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중장년 노후준비 양적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영광 한국성인교육학회 202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6 No.3

        이 연구는 중장년 노후준비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의 실태와 쟁점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제안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에 따라 총 117개의 문헌을 수집하였고 수집한 문헌을 종합 및 분석하여 중장년 노후준비 관련 국내 연구 현황과 중장년 노후준비 관련 변인의 특징을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 중장년 노후준비 중 경력 준비에 관한 학술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둘째, 중장년의 연령 구분이 선행연구마다 상이하였으며 셋째, 중장년 노후준비의 개념이 선행연구마다 다소 상이하였다. 넷째, 중장년 노후준비 측정도구는 인지적, 행동적 활동뿐만 아니라 노후준비의 의향/의도와 현재 상태를 측정하였고 다섯째, 중장년 노후준비 및 각 구성요인과 관련 변인 간 관계가 일관되지 않게 보고된 연구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수행 시, 중장년 노후준비의 개념적 합의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개념에 따라 측정도구의 문항을 구성하며 경력을 노후준비의 영역으로 포함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alities and issues of studies by analyzing previous domestic studie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117 literatures according to the systematic reviews proposed by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Medical Care, synthesiz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literature, and report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related to preparation for old age. As a result of the study, academic discussions on career preparation during old age were not actively conducted. Second, the age classification of old age was different in each previous study. Third, the concept of preparation for old age was different in each previous study. Fourth, measurement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measured not only cognitive and behavioral activities, but also the intention of preparing for old age and the current state after prepar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based on the conceptual agreement of preparation for old age, compose items of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and include career as an domain of preparation for old age.

      • KCI등재

        노인주택개조서비스 사례 연구 -행정안전부 노인돌봄 전달체계 개편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이영광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providing customized housing remodeling services considering the needs, physical condition, and lifestyle of the clients in Hwa-seong & Chun-cheon. The case used in this study is data on housing remodeling service users among the 「Reorganization pilot project of the Elderly Care Delivery System」 promo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subjects who had been provided with Housing Remodeling service for about 4 months.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client's lifestyle and physical function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risk of falls is high. Second, the safety of each housing space is low. Third, the location and service items were includ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ervice provision plan. Fourth, the service was provided according to the service plan. Fifth, service inspection and additional needs were identified through follow-up management and monitoring.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ir health status should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home remodeling services. And after providing the service, training on how to use is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의 욕구, 신체상태, 생활방식 등을 고려한 맞춤형 주택개조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 활용한 사례는 행정안전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인돌봄 전달체계 개편 시범사업」중 주택개조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자료이다. 분석대상은 주택개조서비스를 제공 받은 후 약 4개월 지난 22명의 대상자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생활방식과 신체기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낙상 위험이 높다. 둘째, 각 주거공간별 안전성이 낮다. 셋째, 서비스 제공 계획 수립 시 서비스 제공장소 및 서비스 품목을 포함하였다. 넷째, 서비스 계획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다섯째, 사후관리 및 모니터링을 통해 서비스 점검 및 추가적 욕구를 파악하였다. 결론적으로 주택개조서비스를 제공할 때 노인의 특성과 건강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후에는 사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 교수 진로지지 척도 타당화

        이영광 한국취업진로학회 2023 취업진로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Professors’ Career Support Scale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56 of 3rd and 4th year college students in Korea. Following two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processes,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experts and face valid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Subsequently, a preliminary survey and a main survey were executed to confirm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professors’ career support scale was over .8, and both construc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met the criteria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Subsequently, as a result of founding the criterion validity, professors’ career suppor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professors’ support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rofessors’ career support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between general professors’ support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교수 진로지지 척도를 번안하고 우리나라 4년제 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 대학교 3, 4학년 학생 5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총 2차례에 걸친 번안-역번안 과정을 거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대학생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 구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교수 진로지지 척도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8 이상으로 나타났고 구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 모두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준거타당도 확인 결과 교수 진로지지는 일반적인 교수지지 및 진로탐색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교수 진로지지와 진로탐색행동 간 상관계수는 일반적인 교수지지와 진로탐색행동 간 상관계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상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특성에 의한 국내의 건축물 입체녹화 공간 연구

        이영광,김용성,이남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Background and Purpose) As a solution to this urban problem, it has been found that it absorbs carbon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greening of buildings, and is effective in reducing temperature. Landscape Urbanism, an urban theory advocated by many scholars, landscapers, urban planners, and architects for a long time, includes the components of landscaping, cities, and architecture. The three-dimensional greening of buildings includes architecture and landscaping, and has a similar context. As prior research has shown the effect of three-dimensional greening of buildings as an environmental solution to urban problems, the capacity for three-dimensional greening of buildings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ree-dimensional green space of buildings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and to present matters to be considered in future architectural planning. (Method) To derive nine concepts and confirm the validity of these concepts when applied in Korea, five common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previous domestic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urbanism. A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on the definition and type of three-dimensional greening of buildings, and recent trends i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t were identified. As the subject of the case analysis, target works from the city were selected among completed works within the last 10 years of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prize”, hosted by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Association.” For detailed evaluation, we intend to deriv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dimensional greening of buildings through examples. (Results) Five main spati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were derived: horizontality, ecology, infrastructure, process, and sit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recent cases of three-dimensional green buildings in domestic cities according to the detailed evaluation items of each characteristic, and selected three spatial characteristics with the most common items. First, it forms two or more green layers in the land; second, it has a large space that can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people as infrastructure; and third, it has a new location specificity through a three-dimensional green space that is different in nature from the existing land. (Conclusions) There is a correlation with landscape urbanism, such as urban, architectural, and landscape; therefore, it is an urban theory to be reflected in space planning. This study summariz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considering the landscape, urban, and architectural context through recent domestic studies, suggests the direction of three-dimensional green space, and reveals its applicability through domestic case analysi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진로지지 척도 타당화

        이영광,조은혜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개인의 특성에 관한 이해를 함양하고 진로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며 학생의 진로를 격려하는 교사의 도움을 측정할 수 있는 교사 진로지지(Career-Related Teacher Support Scale: CRTSS) 척도를 번안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의 331명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사 진로지지 척도를 타당화하였다.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교사지지 척도 및 진로탐색행동 척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척도의 내적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교사지지의 구성요인인 자기탐색 함양,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및 척도 전체의 내적 신뢰도 계수가 .7 이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수정된 3요인(자기탐색 함양,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모형의 적합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준거타당도 확인을 위해 14문항으로 구성된 교사 진로지지 척도와 교사지지, 진로탐색행동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상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