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nitored anesthesia care with dexmedetomidine in transfemoral percutaneous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two cases report-

        심지연,김경미,정경운,최인철,박희선,심지연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6 No.4

        Percutaneous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TAVI) is recommended for inoperable patients with severe aortic stenosis at high risk for conventional aortic valve replacement. Originally, TAVI was mostly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Here we describe two cases of transfemoral TAVI performed under monitored anesthesia care (MAC) with dexmedetomidine. Dexmedetomidine provides sedation, analgesia with minimal respiratory depression. Although MAC during transfemoral TAVI has limitations, such as unexpected patient movement and difficulty in intra-procedural use of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MAC with dexmedetomidine is feasible with close monitoring, fluoroscopic guidance and the participation of experienced anesthesiologists.

      • KCI등재

        모니터 파형 해석과 생체 정보

        심지연,안원식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2 No.5

        심전도나 이산화탄소 파형은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를 임상가에게 주고 있다. 반면,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압축하여 단순히 상수값을 사용하는 동맥압이나 맥박산소포화도는 상대적으로 적은 정보를 임상가들에게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파형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여 이들을 임상에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하게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양질의 진료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저자: 심지연·안원식*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마취통증의학교실,*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28, 우편번호: 110-744E-mail: aws@snu.ac.kr

      • KCI등재

        Nitric oxide and pulmonary hypertension

        심지연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8 No.1

        Pulmonary hypertension is a serious complication of a number of lung and heart diseases that is characterized by peripheral vascular structural remodeling and loss of vascular tone. Nitric oxide can modulate vascular injury and interrupt elevation of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selectively; however, it can also produce cytotoxic oxygen radicals and exert cytotoxic and antiplatelet effects. The balance between the protective and adverse effects of nitric oxide is determined by the relative amount of nitric oxide and reactive radicals. Nitric oxide has been shown to be clinically eff ective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heart disease, mitrial valvular disease combined with pulmonary hypertension and in orthotropic cardiac transplantation patients. Additionally, new therapeutic modalities for the treatment of pulmonary hypertension,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natriuretic peptides and aqueous nitric oxide are also eff ective for treatment of elevate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 KCI등재

        개심술 환자에서 흉부 경막외 자가진통조절의 효과

        심지연,허인영,임연주,최인철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47 No.4

        Background: Postoperative pain may be severe after open heart surgery (OHS). High thoracic epidural analgesia may reduce postoperative pain and improve the pulmonary func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pidural analgesia after median sternotomy Methods: Fifty-six patients were randomized to epidural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or conventional analgesia (control). Patients received OHS with standardized general anesthetic technique. The day before surgery, patients allocated to the PCA group had an epidural catheter inserted at level T4-5. Proper placement was tested with small dose of lidocaine and epinephrine. Epidural catheter was removed 3 days after surgery. Patients in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nurse controlled analgesia. Postoperative assessment included daily visual analog scoring (VA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3 days after surgery. Complication and patients satisfaction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VAS scor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groups, except 12 hours after surgery during coughing. Patients with PCA awoke and were extubated significantly earlier than patients in control group. Significantly higher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s and peak expiratory flow rate were seen in PCA group than in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thoracic epidural related complications occurred. Conclusions: Thoracic epidural PCA provided better analgesia and allowed earlier extubation. Thoracic epidural PCA yields a slight, but significant, improvement in pulmonary function. (Korean J Anesthesiol 2004; 47: 521~6)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마취과학 임상연구의 임상윤리위원회 심의여부와 동의서의 실태조사

        심지연,고원욱,안원식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3 No.6

        All medical research requires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 IRB ) and informed consent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advance. But there are reports of low rates of IRB approval in major anesthesia journal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IRB approval and informed consent rates of Korean anesthetic field researches and provide suggestion. Methods: We reviewed 11 years data from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and obtained the number and percentage of IRB approved papers, informed consents and verbal consents. Results: The total number and percentage of IRB approved papers has increased to 60% and so as cases with informed consents over the past 11 years. But the ratio is still under 25%. The ratio of informed consent against verbal consent is also increasing. Conclusions: The number of IRB approved and informed consented papers have increased. But the proportion is still not satisfying or low. Changes in understandings of the clinical researchers with education of research ethics and systemic establishment are needed.

      • KCI등재

        지방의료원의 연구기록관리: 인천광역시의료원 임상연구윤리위원회(IRB) 사례

        심지연 한국기록관리학회 2023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3 No.1

        The Incheon Medical Center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 departmen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Incheon Medical Center, a medical and public institution, was established in 2013. IRB contributes to performing its role as a local accountable care hospital and protecting researchers and subjects by proving the ethics of research conducted at the medical center. So far, IRB has reviewed a total of 80 research proposals for human subject research and human-derived material research, and it currently exists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directly under the president of the medical center.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registration and preservation of IRB-related records, the maintenance of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related regulations, and archives, as well as to present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in the disclosure, util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records. 공공기관이자 의료기관인 인천광역시의료원의 특성을 반영하는 부서인 인천광역시의료원 임상연구윤리심의위원회(이하 IRB)는 2013년 설치되었으며, 의료원에서 시행된 연구의 윤리성을 심의·검증함으로써 연구자와 연구대상자를 보호하고 지역책임의료기관 역할 수행에 기여하고 있다. IRB는 지금까지 총 80여 건의 인간대상연구 및 인체유래물연구 계획을 검토하였으며, 현재 의료원장 직속의 독립된 처리과로 존재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IRB 관련 기록물의 등록 및 보존, 기록관리기준표 및 관련 규정, 문서고의 정비에 관하여 설명하고, 기록물 공개와 활용, 분류에 있어 한계 및 개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유통 중인 채소류의 납, 카드뮴 함량 모니터링

        심지연,오현숙,장미란,이윤애,이륜경,김민아,이효정,이상민,조태용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5 No.4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s a survey on the contents of Lead (Pb) and Cadmium (Cd) in 5 type agricultural products unestablished safety guideline in Korea. The average levels of Pb: onion 0.010 mg/kg, cucumber 0.018 mg/kg, garlic 0.012 mg/kg, green pepper 0.027 mg/kg, sesame 0.029 mg/kg. The average levels of Cd: onion 0.006 mg/kg, cucumber 0.002 mg/kg, garlic 0.008 mg/kg, green pepper 0.011 mg/kg, sesame 0.024 mg/kg. The present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b and Cd contents in the whole samples were less than the maximum residual levels of the codex standard. The levels of exposure assessment for Pb and Cd by intake from vegetables and sesame were merely at 1.3 × 10−⁴(mean) ~5.1 × 10−⁴(95th percentiles) μg/kg bw/day for Pb, 7.5 × 10−5(mean)~3.6 × 10−⁴(95th percentiles) μg/kg bw/day for Cd. The data from this research will be valuable source for database construction for science-based safety control and management for the trace metal contamination in food including agricultural products.

      • SCIESCOPUSKCI등재

        Clinical effect of smoking on the healing response following scaling and root planing

        심지연,김태일,설양조,이용무,구영,류인철,정종평,한수부,Shim, Ji-Yeon,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Rhyu, In-Chul,Chung, Chong-Pyoung,Han, Soo-Boo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200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6 No.1

        1. 목적 흡연은 치주질환의 주요한 위험 인자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비외과적 및 외과적 치주치료에 대한 반응이 덜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도의 만성 치주염이 존재하는 한국인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하여, 비외과적 치주치료인 치석 제거술과 치근 활택술을 시행한 후 6개윌 동안의 임상적 치유 반응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2. 방법 20명의 중등도 만성 치주염 환자(흡연자 10명, 비흡연자 10명)를 대상으로 치주낭 깊이(Probing Pocket Depth, PPD), 치은퇴축(GR), 치주탐침시 출혈유무(BOP), #16, 12, 24, 32, 36, 44의 치태지수(Plaque Index, Silness & $L{\"{o}}e$ 1964)를 임상변수로 측정하였다. 치주낭 깊이 (PD)와 치은퇴축(GR)은 전자 탐침(Florida $Probe^{(R)}$ Co. Gainesville, FL)을 이용하여 각 치아당 6군데를 측정하였다. 임상적 부착 수준(CAL)은 치주낭 깊이(PD)와 치은퇴축(GR)의 합으로 계산하였다. 초진시에 전악 임상 검사를 시행하였고, 초진시의 치주낭 깊이에 따라 조사 대상이 되는 치아 부위를 선정하였다. 치주적으로 건강한 부위 $(PD{\leq}3mm)$를 대조군인 1군으로 하고 치주낭 깊이가 4 mm를 초과하고 5 mm 미만인 부위를 2군, 5 mm 이상의 치주낭 깊이를 가지는 부위를 3군으로 설정하였다. 비외과적 치주치료인 치석 제거술, 치근 활택술과 구강위생 교육을 시행하였고 2개월(T1), 4개윌(T2), 6개윌(T3)에 선정된 해당 치아 부위에 대해 임상 재검사를 시행하였다. 3. 결과 BOP와 Plaque Index는 초진, 2, 4, 6개월에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대조군인 l군에 서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에 모든 시기에서 PD, GR, CAL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치주낭 깊이가 4 mm를 초과하고 5 mm 미만인 2군에서는 비흡연자에서 6개월에 유의할 만한 치주낭 깊이 감소가 나타났으며, 4개월과 6개윌에 유의할 만한 부착수준의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치주낭 깊이가 5 mm이상인 3군에서는 비흡연자에서 치주낭 깊이 감소가 일관되게 더 많이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는 6개월째에서만 관찰되었다. 2군과 유사하게 치주낭 갚이 감소는 흡연자보다 비흡연자에서 0.6 mm 더 크게 나타났다. 부착수준의 획득은 2군에서는 4, 6개월째에, 3군에서는 6개월째에 비흡연자에서 유의하게 더 많이 일어났다. 초진시의 치주낭 깊이와 각 시기별 ${\Delta}PD$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치주낭 갚이가 5mm 이상인 3군에서 비흡연자의 경우 6개월째에 가장 강한 상관성이 나타났다($r_s=0.43$, p<0.05). 흡연자에서는 3군에서 어떠한 유의한 상관관계도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중등도 만성 치주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6개윌의 단기간 연구에서 비외과적 치주치료 후 흡연자에서 비흡연자보다 치주낭 깊이 감소의 개선과 부착수준의 획득이 더 적게 나타나 임상적 치유반응이 좋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흡연이 숙주의 치유반응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