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he Visible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Absorption of SO₂by Plants

        Lee, Jin-hee,Lee, Chang-Rae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2000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3 No.3

        식물은 대기중의 오염물질을 생리적 기작에 의해 흡수하여 정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는 1900년대 이후로 계속되어 왔다. 1950년대에는 식물의 대기오염 정화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학설에 주장되었고, 1960년대에는 식물에 의한 정화기작을 어느 정도 정립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말부터 식물과 대기오염정화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왔고 최근에는 특정오염물질에 대한 가시피해와 내연성 연구로 환경생물 지표수종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는 환경문제를 외부 대기환경 오염으로만 생각하여 주로 외부 오염물질에 국한되는 연구로 대부분 진행되고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시인들의 생활 패턴은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졌고 최첨단의 건축마감재로 인한 특정 실내오염물질이 인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빌딩증후군이라는 신종 병증을 일으키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실내에서 생물학적인 자연정화기작을 통해 지속적인 실내오염에 대한 정화에 대한 실험연구를 제시하며, 특정 실내오염물질의 지표식물을 개발하는 기초연구로 특정 오염물에 대한 가시피해 특징과 내연성을 분석하여 생물학적인 자연정화 시스템을 실내에 구현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실내에 적음, 도입할 수 있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을 공시 식물로 정하여(팔손이, 대나무, 백량금, 동백나무) 이들에 이산화황에 일정기간(5일 동안 하루 5시간)동안 접촉하였을 때의 가시피해 특징과 내연성 등을 조사하여 생물학적 지표식물로 정하는 데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했다. 연구 결과 백량금, 대나무의 피해정도가 뚜렷하여 이산화황에 대한 지표식물로 개발하기에 적합했다. 본 연구는 실내에서의 특정오염원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앞으로 특정오염원에 대한 여러 가지 실내식물의 동시 실험을 통해 더욱 정확한 생물학적 지표식물을 선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Many researches in the capabilities of biological purification by plants have been carried out and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for removing the pollutants-benzene formaldehyde, trichloroethylene, etc; But it is a few to study the rate of purification for sulfur dioxide(SO2 ) Which is an important pollutant outdoor an indoor, especially within the house and is originated in the instrument of cooking and heating. S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ngate the rate of purification for sulfur dioxide by Indoor plants. For this experiment, each testing chamber was controlled in temperature, humidity, the direction of wind, etc. by main computer and we checked out the data about the removal of SO2, with plants and without plants every six minutes for five hour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Among four native plants, Fatsia japonica, was set best value on the ability to reduce SO2 in testing chamber (0.0343ug/cm2 ) and in other native plants(camellia japonica 0.02145 ug/cm2, Ardisia japonica 0.02133 ug/cm2 , phyllostachys spp 0.01888 ug/cm2) was showed. So, thinking the practical use and application of this study, four native plants can be developed as excellent interior plants in aspect of aesthetic sense in which they reflected the emotion of Korean people as well as the function of purification.

      • SCOPUSKCI등재

        初等學校 校庭內 生態園 造成技法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Hu-am Elementary School in Yong-san gu, Seoul 서울 龍山區 厚岩 初等學校 事例를 중심으로

        진시현,심우경,이광우 韓國植物ㆍ人間ㆍ環境學會 2000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3 No.1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초등학교내에 생태원을 조성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자연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나는 모든 동, 식물의 종류 초등학교의 교과서 분석 경과 274종의 식물종과 227종의 동물종이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낸 곤충은 나비 78회, 잠자리 64회, 개미 51회, 벌 41회, 그리고 매미가 31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과서별 학년별로 빈도수를 조사한 결과와도 비슷한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초등학교 교과서 중 자연과 과목의 교육내용을 살펴본 결과, 1∼2학년 과정에서는 학교내의 뜰과 화단의 4계절 변화를 관찰하고 3∼6학년 과정에서는 생태계 전반에 걸친 세부적인 내용을 공부하도록 교육내용이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용산구에 있는 15개의 초등학교의 옥외환경 조사 용산구에는 15개 학교가 있고, 그들의 옥외환경의 형태는 교재원과 생산원의 두 가지 종류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교가 이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으나 남정, 보광, 원효로, 한강 초등학교는 생태원의 시설중 소동물 사육장 시설이 없었고, 교재원의 시설도 빈약하였다. 사례지역인 후암 초등학교는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다른 초등학교와는 달리 풍부한 생물상을 가지고 있는 남산에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생태원으로서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3. 사례연구와 생태원 조성계획 생태원의 조성방법으로서 우선, 사례지인 후암 초등학교 부지의 현황조사를 하였고, 두 번째로 4가지 곤충(나비, 잠자리, 벌, 매미)들을 유치하기 위한 식물들을 선별하기 위해 이들이 식이식물로 조사된 식물들 중에서 교과서에 나오고 사례지역에 적합하며 내공해성을 가지며, 자생종이 식물들을 선별한 결과, 나비, 잠자리, 새를 유치하기 위한 식이식물로 각각 44, 17, 16종이 선별되었다. 또한 이 학교의 건물이 도로와 맞닿는 점을 감안하여 건물옥상에 생물서식지를 조성함으로서 남산으로부터의 풍부한 생물종의 유입을 유도하고, 더 나아가 학교 내에 조성되는 생태원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옥상 위의 생물서식공간은 수변공간계획과 식재계획을 통하여 곤충류와 조류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학생들은 자연과의 친밀한 접촉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to urban children by the creation of the biotope in the elementary school ground. The result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 kinds of animals and plants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275 species and 227 animals. The frequencies of insect species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were the butterfly(75), dragonfly(64), ant(51), bee(41), and cicada(31) in order. These results were analogous to the numbers in each textbook and grade. In the 'Nature' textbook of the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educational contents to observe the ground and garden in 1, 2 grade courses and to study the detail of ecosystem in 3-6 grade course. 2. Inventory of the out-door environments of 15 elementary schools in Young-san Gu, Seoul. The number of total elementary school in Young-san Gu were fifteen, which had two garden types appeared as nature study and experimental farm. Two types of gardens were appeared mostly in all the elementary school but Nam-jung, Bu-kwang, Wonhyo-ro, Sin-swang, and Han-gang elementary school didn't have the experimental farms and also have the poor facilities of the nature study gardens. Huam elementary school had the possibility of the biotope creation because it was connected to Namsan park which posseses the abundant biota in contrast to the others in the center of the city. 3. Case study and biotope planning. To create the biotope, the site analysis was carred out and then plant species for inducing 4 kinds of insect (butterfly, dragonfly, bee, and cicada) were selected under the criteria as pollution-resistant, the school tree and flower, tolerance, and original habitat. Consequently, the numbers of plants for inducing butterflies, dragonflies and birds were 44, 17, 16 species separately. Also, it was planned to the induce abundant biota to building's roof as stepping stone from Namsan. These two biotopes were planned to be a habitat of various biota in addition of the water pond and the planting plan. Through the biotope created by this plan, th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will have mor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 SCOPUSKCI등재

        Effect of Ozone in Atmospheric Environment on the Plants

        Chung, Sung-Hye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2001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4 No.2

        도심공기오염을 증대시키는 연료 연소 및 인간 활동으로 인한 가스상 오염원은 식물 대사에 영향을 끼치고 식물 병해를 일으키고 있다. 오존은 식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공기 오염 원으로, 수목에 대한 오존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수일에서 수개월에 걸쳐 실내의 챔버에서 묘상 실험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묘상에 대한 실험으로부터 교목의 결과를 추정하기란 쉽지않은 일이다. 성목은 전형적으로 오존에 대한 반응의 영향이 형태학적, 생리학적으로 묘상과는 다르다. 이 연구는 동종의 타크기 수목간의 오존의 반응의 차이가 오존 흡수력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Gaseous pollutants resulting combustion of any kind of fuels and other human activities which are daily increasing in urban air, are affecting plant metabolisms and causing plants diseases. Ozone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regional air pollutant currently affecting plants. The vast majority of information regarding ozone effects on trees has come from experiments with seedling, where controlled concentrations of ozone were administered in indoor or outdoor chambers for periods lasting from several days to one or more growing seas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trapolate results from experiments on seedlings to larger trees. Mature trees typically differ from seedlings in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may profoundly influence response to ozone exposure. A review of studie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differences in ozone response between different-sized trees of the same species occurs, because of differences in ozone uptake.

      • SCOPUSKCI등재

        The Effect of Urban Trees on Peduction of Particulate Pollution

        Chung,Sung-Hye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2001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4 No.1

        최근 10년간 도시 먼지 오염은 인간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며 전세계의 문제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수목은 생물학적 여과장치로서 다량의 먼지 오염물을 제거하고 도시 환경의 공기 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먼지 오염의 효과를 저감하는 수목과 식물의 역할을 검토했으며 향후 도시 수목의 먼지 흡수를 정량화하고 먼지 오염에 효과적인 식물 수종의 선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Effects of Visual Complexity and Natural Environment on stress Restoration

        Chung, Sung-Hye 韓國植物ㆍ人間ㆍ環境學會 200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경관조망, 치료 정원내 원예치료 활동 및 자연 환경내 에서의 경험의 스트레스 저감 반응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이 연구는 자연 환경과 시각적 복잡성의 스트레스 회복 효과를 비교하여 자연 환경이 스트레스를 크게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그 결과 의료시설내 자연 환경은 이용자들에게 크게 선호되며 스트레스 회복을 가져온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치료정원의 설계 개념은 적극적, 소극적 조경 요소가 모두 도입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경관치료 및 원예치료가 도입되는 치료 경관의 도입이 요구된다. This study arises from research on stress restoration response to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viewing the landscape, working in a healing garden like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experience of being in a natural setting. These researches compare stress recovery effect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visual complexity and indicate that natural environment influenced on highly stress redu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atural settings in healthcare facilities influenced stress restorative benefits for people and were preferred highly.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pt design of a healing garden should have both active and the passive ele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suggests both the effects of the passive application of a healing landscape, that is, landscape therapy and active participation, i.e. horticultural therapy.

      • SCOPUSKCI등재

        Effects of Light Quality on Growth and Flowering of Hibiscus syriacus L. 'Blue Bird' at the Indoor

        Heo, Keun-Young,Kang, Ho-Chul 韓國植物ㆍ人間ㆍ環境學會 1999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 No.2

        식물에 있어서, 빛은 단순히 에너지의 공급원일뿐만 아니라, 생육과 발달을 조절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광의 파장영역별 광량분포를 의미하는 광질(light quality)은 식물의 생육과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에서 무궁화(Hibiscus syriacus L. 'Blue Bird')의 생육과 개화에 대한 광질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실내조건에서 인공광원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무궁화는 서로 다른 광질 특성을 나타내는 인공광원에서 생육하도록 하였느데, 광질(light quality)처리는 젤라틴 필름(gelatin film)을 이용하여 무궁화에 조사(照射)되는 인공광의 파장영역별 광량분포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중에 각처리의 PPF(photosynthetic photon flux)와 온도는 서로 균일하게 유지하였다. 각 처리에서, 파장영역별 비율(B: blue = 400-500nm; GY: green + yellow = 500-600nm; R: red = 600-700nm; FR: far-red = 700-800nm; T: 400-800NM)은 파장영역내의 광량으로 계산되었으며, phytochrome 광평형치(photoequilibria=Pfr/Ptot ratio)는 Sager 등(1988)이 기술한 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생육에 있어서, 높은 수준으 FR/T와 낮은 수준의 B/T는 식물의 크기를 증가시켰으며, 높은 수준의 R/T는 총신초길이를 증가시켰다. 높은 수준의 B/T는 엽장과 엽폭, 엽생체중, 건물증, 엽면적을 감소시켰다. �育�수준의 R/T와 GY/T, 그리고 낮은 수준의 B/T에서 잎의 색은 밝은 녹색을 나타냈다. 개화 반응에서 낮은 수준의 Pfr/Ptot는 개화기시를 앞당겼다.

      • SCOPUSKCI등재

        몇가지 植物의 棲息地 造成에 關한 硏究

        윤종선,김익환,신세균,심우경,이철희,신영철 韓國植物ㆍ人間ㆍ環境學會 1999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 No.2

        종의 棲息密度가 낮아지고 있는 하늘나리, 섬초롱, 자란 3종의 식물을 인위적으로 棲息地를 造成하기 위하여 국립공원 속리산 등산로변 標高 200m, 400m, 600m 지점에 150주식 종당 450주를 조직배양 및 분주에 의하여 육묘 된 묘를 이식하여 생존상태 및 棲息地 造成의 가능성을 2년에 걸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造成 棲息地의 토양의 理化學的 造成은 pH 5.2∼5.6, 유기물 함량 29∼54g/㎏, CEC 9.4∼11.5㎝ mol(+)/㎏으로 산성을 띠고 있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높은 편이었고, 염기치환용량은 낮았으나 비교적 우리나라 典型的 山地土壤의 理化學的 造成과 유사하였다. 2. 棲息地內 생장기간의 投光率은 標高 200m 지역은 10.8∼11.6%, 400m lw역은 10.8∼11.4%, 600m 지역은 11.0∼12.8%로 식재식물의 生長環境에 부족한 상태였다. 3. 식재 식물 수는 식재 후 활착율은 3종 모두 양호하였으나, 점차 감소되었으며, 특히 자란의 감소율이 높았다. 감소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하늘나리, 섬초롱, 자란 모두 굴취나 절취의 피해가 많았으며, 특히 자란은 凍害에 의한 枯死가 1년차 72∼86주, 2년 차에서 19∼35주로 조사도어 자연상태에서의 越冬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중호우에 의한 流失도 감소의 한 원인이었다. 4. 식재식물의 생장상태는 불량하였는데 이는 投光量 부족으로 판단되어 棲息地造成時에는 錄陰期 投光量에 대한 사전 검토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5. 개화율은 섬초롱과 자란에서 높았으며 標高가 높을수록 개화기는 2∼4일 늦어지고 휴면기는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식물 棲息地 造成時에는 造成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토양, 光環境 등을 고려한 위치 선정이 중요하며, 上層林에 의한 遮光으로 下層 초본식물 遷移速度가 빨라짐으로써 光環境 개선을 위한 上層林의 間伐, 周邊樹種의 更新이 요구된다. In order to make the artificial habitats of Lillium concolor, Campanula takesimana and Bletilla striata that the number of plant became sparse, 150 plants per species were transplanted at the region of 200m, 400m and 600m above sea level. And the growth of plants and the potential as habitats creation were analyzed. I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the there, soil pH was 5.2 to 5.6, organic matter content was 29 to 54g/㎏ and cation exchange capacity(CEC) was 9.4 to 11.5㎝ mol(+)/㎏. The transmittance rates of sunlight of the habitats during the growing periods were 10.8 to 11.6% in the 200m region, 10.8 to 11.4% in the 400m region and 11.0 to 12.8% in the 600m region. These transmittance rates were deficient for normal growth of plants. After the plants were transplanted, the survival rates of three species were high in common but the rates decreased gradually. Especially the decrease rate was high in the Bletilla striata. The causes of decrease were digging and cutting by climbers, sweeping asay by rainfall and freezing damage. Especially, the cold tolerance of Bletilla striata was weak in the natural condition. The growth of planted plants was poor, and it was assumed that the reason was shortage of sunlight transmittance. The flowering rates were high in the Campanula takesimana and Bletilla striata. And as the elevations were high, the flowering was later by 2 to 5 days but the dormancy was earlier. In the artificial making of plant habitats, the growth environment of plants have to be considered to choose the suitable region. And, because the habitats are shaded by the trees and bushes, the thinning of trees and the change of species are needs to improve the light transmission.

      • SCOPUSKCI등재

        Indoor Air Pollution : Influence of Interior Plant on Particulate Matter

        정성혜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2001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 미세 먼지에 대한 관엽식물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는 미국 텍사스 브라이언시 크레스트뷰 노인 아파트의 로비와 휴게실에서 조사되었다. 식물의 설치 유무에 대해 미세 먼지 축적이 측정되었으며, 두 공간의 실험 모두 식물이 설치되었을 때가 설치되지 않았을 때에 비해 미세 먼지가 보다 더 감소되었다. 식물의 설치 유무에 상관없이 실내 중심부에 비해 출입구 근처에서 보다 많은 미세 먼지가 관찰되었다.

      • SCOPUSKCI등재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 친화적 행동의 예언변인

        박성진,서우석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2000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3 No.2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dentify predictors of their Pro-Environmental Behavior.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4th and 6th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in Kyounggi-Provi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48.77. (2) There w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Behaviors and such related variables as Ecolog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the Environmental activity, Attitude, sensitivity, Normative belief and Locus of Control etc.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termined the six variables as the best combination of variables to predict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The six belief and locus of control) together accounted ofr the total explained variance of 63.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