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참여 관점에서 본 과학기술문화정책 분석 - 민주주의 시기를 중심으로

        이용길,강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This study analyzed cultural policy for science and technology(S&T) from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ill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 democratic period.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research examined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in S&T at each period. Authoritative administration realized cultural policy for S&T as s field subordinate to economic policy, so concentrated on fostering S&T climat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set up national understanding of S&T as core goal of cultural policy for S&T, so prepared the basis of civil participation in S&T. Kim Dae-joong Administration established private lead and civil participation as basic principle of cultural policy for S&T, so rasied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in S&T. Rho Moo-hyun Administration concentrated on policy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foster civil participation through creating S&T culture with people and expanding interaction between S&T and civil society, so innovated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in S&T. Lee Myung-bak Administration developed cultural spread for S&T intensively, so weakened civil participation in S&T relatively. Eventually, civil participation in S&T often weakened but it has been developing generally. i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S&T and civil society is constructed, civil participation in S&T will develop remarkably. 이 연구는 한국의 민주주의 시기인 김영삼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까지의 과학기술문화정책 분석을 토대로 각 시기에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참여의 수준을 고찰한 것이다. 권위주의 정부는 과학기술문화정책을 경제정책의 하위 분야로 인식, 과학기술풍토 조성에 주력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과학기술문화정책의 핵심 목표로 과학기술의 국민이해 증진을 설정함으로써 시민 참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김대중 정부는 민간 주도와 시민 참여를 과학기술문화정책의 기본 원칙으로 전면화함으로써 시민참여 수준을 진일보시켰다. 노무현 정부는 국민이 참여하는 과학기술문화 창달과 과학기술과 시민 사회간 상호 작용의 확대를 통해 시민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제도적 노력에 집중함으로써 시민참여 수준은 획기적 진전이 이루어졌다. 이명박 정부는 과학기술문화확산의 측면을 집중 육성함으로써 시민참여가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결국 시민참여는 시기별로 일부 측면에서 위축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라고 볼 수 있다. 과학기술분야와 사회의 소통 체계가 구축된다면 시민참여의 괄목할 만한 성장이 기대된다.

      • KCI등재

        다의적 융합 개념의 이해를 통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간 융합연구 촉진방안

        고명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Although the importance of convergent technology is widely recognized, there are not enough convergent research and development(R&D) among sciences, technolog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is study starts to refine the concept of convergence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multiplicity and ambiguity of the concept make it difficult for consensus on the research direction and goal between researchers from various disciplines. In order to facilitate convergent research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various dimensions of the concept of “convergence” and embrace the concept into the Korean research and development(R&D) support system. By identifying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such as gradual changes and development of convergent research,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understanding o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s a form of convergence studies, various financial research support system, and introducing performance measureme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studies. 학문 연구에 있어 다양한 학문분야 간 소통을 통한 융합연구 활성화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융합연구는 과학기술들 사이의 기술융합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과학기술과 인문사회과학 간 융합연구는 매우 더딘 상황이다. 선행연구들은 융합을 당위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고 융합이라는 개념에 대해 아주 포괄적인 수준에서 합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융합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바탕으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간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을 도출하였다. 융합이 관계의 집중도, 중심 학문분야, 상호연계성 등에 따라 단계적 발전의 특성을 보이며, 이로 인해 융합연구는 그 성과가 가시화되는데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 이에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간의 융합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융합연구의 한 가지 유형으로서 초학제 연구를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융합연구에 대한 단계적 연구지원이 이뤄져야 하며; 융합연구의 성과 지연성을 고려한 성과평가제도가 도입되어야 하며;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관련 인력 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을 위한 내러티브학 탐구의 가능성과 시사점

        강현석,전호재,신혜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2

        The purpose of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of narratology, narrative-based science. This narratology implies new titles of alternative science. But this means beyond title of science. The exist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has its limits. It tends to separate the human and society as a subject of inquiry. The limits could be an obstruction to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and context. The narratology focus Human’s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semantic composition. It can be a powerful alternative way for a dichotomy problem of existing humanities and social perspective. In narratology, the process of semantic composition consist with an interaction of the human’s experience and society’s experience. It can provide alternative ways to better understand human and society. We should focus on new narratology based on meaning making and cultural psychology. Narrative knowing is new tool for making new science and discipline.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학 탐구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탐구하는 것에 있다. 내러티브학은 기존의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대안적인 새로운 명명이다. 그러나 단순히 명칭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학문 탐구 방법과 새로운 인식론을 전제한다. 학문이 발전해 나감에 따라 현상을 해석하는 다양한 설명 방식들이 같이 발전되어 왔다. 기존의 인문사회과학 탐구 방법은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기존의 인문사회과학은 인간과 사회를 탐구의 대상으로 분리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한계는 실제 상황과 맥락을 반영하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내러티브학 탐구 방식은 인간의 경험과 의미 구성에 중심을 둔다. 내러티브 설명 방식은 개인과 사회를 분리된 대상으로 보는 기존의 설명 방식을 보완하여 인간의 경험 속에서 내러티브를 통해 의미를 구성해가는 과정을 중시한다. 이 내러티브 설명 방식은 인간의 경험, 삶, 앎을 총체적으로 해석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내러티브학 탐구 방식은 기존 인문사회과학이 가진 이분법적 한계를 보완할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내러티브학 탐구에서는 의미 구성의 과정은 인간의 경험과 사회의 경험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 내러티브 탐구 방식은 강력한 새로운 인식론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학교부적응 아동의 모래상자치료사례연구

        조정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모래상자치료사례를 통하여 그 효과성을 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J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저소득층 가정 아동으로 사회적 기술의 부족으로 학교생활과 또래관계에 어려움으로 인해 학교생활의 부적응을 보여 담임교사 및 부모님에 의해 상담이 의뢰된 아동이다. 본 상담실시 기간은 2016년 9월 28일부터 2017년 11월 23일까지 모래상자치료를 주1회 각 회기별 50분씩 총 30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해 HTP 사전 사후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사전 사후 변화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모래상자치료사례의 사전 사후 변화는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결과, 첫째: 모래상자에서 단계별 발달과 적응의 단계에서는 전체성을 보이며 자기실현을 이루었으며 둘째: HTP 검사에서는 사전검사에 비해 소통과 사회성, 자율성이 회복되고 있음의 차이를 보였으며 셋째: 사회적 기술척도가 사전검사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모래상자치료는 학교부적응 아동의 부적응의 문제를 돕기 위해 모래상자치료를 활용한 기법이다. 이를 통해 아동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무의식과 의식을 통합하고 자아를 강화하며 문제행동을 치유해가는 방법으로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andtray therapy to improve social skills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ow-income family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J city. They showed maladjustment of school life due to difficulties in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 due to lack of social skills, and they were counseled by homeroom teacher and parents. The period of this counseling room was from 30 September 2016 to 23 November 2017, and sandtray therapy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for each session for a total of 30 sessions. First, what is the post hoc trans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Second, what is the pre-event change in the social skills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Third, what is the pre - and post-change of the case of sandtray therapy to improve social skills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age of development and adaptation in the sand box, self-realization is achieved with totality. Second, the HTP test shows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ociality and autonomy compared to the pre-test. Third, Social skills sca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e-test. In other words, sandbox therapy is a technique using sandtray therapy to help the problem of maladjustment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useful as a way of expressing the inner world of the child, integrating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strengthening self, and healing problematic behavior.

      • KCI등재

        지역기관 연계를 통한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적 교육의 비전 -초등학생 및 부모를 중심으로

        이명희,정영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This article studied 4th-year to 6-year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ecologic humanities as a part of Ever Learning Specializing Institute Program. Therefore, it provides a different aspects of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to children, who are about to step into academic world. Also, it emphasizes importance of convergence humanities. The effect of elementary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lecture with convergence view can give opportunities and expectations. First, since it uses cafes and parks in local communities, local communities can be a part of Ever Learning program. Utilizing local community facilities showed increase in learning effect due to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of the location. Second, students and parents spend time together, it gives them time to develop their relationship. Third, opportunities for students and parents to participate in Ever Learning Program are provided. Moreover as students view fields of study with integrated and balanced approach, converged education will enable students to remove self serving bias and form well-balanced thoughts. This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s as well as educating students to be better citizens. 본고는 2016년 서울시 평생학습 협력기관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중구 청소년 수련관과 공동 실시한 생태인문학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융합적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교육 대상자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에 이르는 학생과 학부모이며 8주간에 걸쳐 총 20시간의 교육기간 내 지역기관의 융합적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발전을 가늠할 수 있었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융합적 교육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하나의 대상을 다른 시각에서 살필 수 있도록 그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역기관인 청소년 수련관을 활용할 때 학부모와 초등학생들의 관계성 개선은 물론 접근성의 편리성으로 인해 학습효과가 배가되었다. 지역기관을 통한 융합적 교육은 학문의 첫 발걸음을 떼기 시작한 초등학생에게 지역커뮤니티의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한 시민으로서의 성장을 도울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학문을 통합적이고 균형감 있는 시각으로 대하며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보다 균형 잡힌 사고를 가능케 하며 환경에 대한 인식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ICT융합 헬스케어 서비스 현황 및 발전전략

        이태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o realize the healthy life of human, ment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must be managed continuously and stably. In order to manage human health, the 21st century healthcare field is essential ongoing interactions and convergence with ICT technologies. Such demands have created a convergence of technologies (fusion technology) in combination with the heterogeneous technologies. And, with the convergence of medical technology and ICT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therapy environments is created. Advances in ICT-converged healthcare services are progres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wearable devices. Such ICT fusion system is exponentially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ICT convergence healthcare system and is resulting in various technical, institution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issues. This study explores the status of developments in ICT healthcare technologies from the past to date, identifies major technology and policy issu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Finally it will recommend healthcare policies and a future road-map. 인간의 건강한 삶을 실현하기 위하여, 정신적, 육체적, 환경적 요인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되어야한다. 인간건강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21세기 보건의료분야는 ICT기술과 지속적 상호작용 및 융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왔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이종(heterogeneous)기술의 결합으로 융합(fusion)기술을 창출했고, 의료기술과 ICT기술의 융합을 통해서 개인맞춤형 치료환경이 조성되며,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로 ICT융합 모바일 건강의료 서비스가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이종기술의 결합은 ICT융합 헬스케어시스템의 복잡도(complexity)를 기하급수적으로 상승시켜서, 다양한 기술적, 제도적, 환경적, 문화적 이슈와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ICT 헬스케어 기술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발전현황을 조명하고, 주요한 국내외 헬스케어 기술 및 정책 이슈들을 발굴하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헬스케어 로드맵과 향후 발전방향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인문학 기반 인문·지역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 활용방안

        강지훈,문상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2

        As a methodology for academic studies, user requirements and use cases on systems which are fusion of specific academic disciplin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re increasing. Digital Humanities is a research methodology, which means study methods or systems for Humanities, Area studies etc. Electronic cultural atlas is a form of convergence technology that is merged between IT and cultural contents, and 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cademic researches. In this paper, we suggest methods to utilize electronic cultural atlas for Humanities and Area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In details, we investigate both systems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and electronic cultural atlas at domestic and overseas perspective, and also study on methods to implement electronic cultural atlas effectively in the view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학문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 특정 학문 영역과 정보기술학이 융합된 형태의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요구나 그 사례 또한 증가되는 추세이다. 디지털인문학은 연구방법론이며 인문학, 지역연구 등을 위한 연구방법,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전자문화지도는 문화와 관련된 콘텐츠가 IT와 접목된 형태의 융합기술이며 학문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인문학의 방안으로 전자문화지도를 인문·지역연구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세부적으로 국내 및 해외의 디지털인문학 기반의 시스템 사례 및 전자문화지도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인문학의 관점에서 전자문화지도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 KCI등재

        특허 분석을 통한 국내 3D 융합 산업 연구

        최상미,김광집,권순철,이승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2

        Recently, 3D is a convergence technology that combines various technologies, and it is changing the paradigm in the traditional industry and advancing the convergence industry. In particular, domestic companies have competitiveness in 3D technology as well as corporations, government agencies,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However, as it is an immature industry, it is time for a strategic approach.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patent trends in medical, education / training, advertising / exhibition, entertainment, construction, defense / military, distribution / logistics by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this, we aim to analyze trends and present implications. This paper uses patent data from January 1, 1990 to February 27, 2017.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tents trend of the entire 3D convergence industry is on the increase of patent application, and the technology market of the 3D convergence industry shows a typical growth phase. In particular, the 3D display market and the 3D application market are expected to continue to expand. In addition, domestic 3D technology and application equipment have a relative advantage. However, considering the future expansion of 3D convergence industry, intensive policy support and fostering of 3D contents and application fields are required. 3D 기술은 다양한 기술이 결합된 융합기술이며, 최근 전통 산업에 패러다임을 바꾸고 융합 산업을 진일보 시키고 있다. 특히, 국내는 기업체뿐만 아니라 국공립기관, 연구소, 대학 등에서 일정 수준의 3D 기술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미성숙 산업 분야인 만큼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D 융합산업의 의료, 교육/훈련, 광고/전시, 엔터테인먼트, 국방/군사, 분야에 대한 특허 동향을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3D 융합산업의 향후 전망 및 시사점 제시에 목표를 둔다. 특허 분석 데이터는 특허출원일 기준으로 1990년 1월 1일부터 2017년 2월 27일까지의 특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3D 융합산업 전체의 특허 동향은 특허 출원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3D 융합산업 전체의 기술시장은 전형적인 성장기 양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3D 융합산업에 있어 3D 디스플레이 시장과 3D 애플리케이션 기기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국내의 3D 기술력, 애플리케이션 기기 등은 상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향후 3D 융합산업의 시장 확대를 감안할 때 3D 콘텐츠 및 응용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정책적 지원과 육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

        권위주의 정부 시기의 과학기술문화활동 분석 –공공 및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이용길,강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1

        This study analyzed the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erformed by public and private sector from Lee Seung-man Government until Rho Tae-woo Government. The level of domestic science and technology was elementary and the interest in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limited in Lee Seung-man Government period. Therefore, the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erformed by public sector was very weak except fostering science-technology manpower and there was no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erformed by private sector. The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ed mainly based on public sector in Park Jung-hee Government period. Especially, as Park Jung-hee Government claimed to support the scientification of whole nation, the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carried out in various field. The press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very active in the activity of private sector. The press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book published by private publisher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cience Writer Association became point to start the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erformed by private sector. The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was carried out in Jun Doo-whan Government period expanded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But the scientification of whole nation which Jun Doo-whan Government claimed to stand for succeeded to previous Park Jung-hee Government. There were limitations that the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was carried forward by center was not implemented systematically to the region. The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ism performed by private sector was very active in Jun doo-whan Government period. Rho Tae-woo Government raised the recogn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perated program to enlighten science and technology widely, claiming to support the scientification of youth. To legislate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Act and to establish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Fund contributed to activating the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ly, the cultural activ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erformed by private sector diversified. The typical example was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s to enlighten science and technology widely. 이 연구에서는 이승만 정부부터 노태우 정부까지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전개해 온 과학기술문화활동을 분석하였다. 이승만 정부 시기에는 국내 과학기술이 초보적인 수준이었고 과학기술문화활동에 대한 관심도 극히 제한적이었다. 그러므로 공공 부문에서의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제외하고는 과학기술문화활동이 매우 미약했고 민간 부문에서의 활동은 전무했다고 볼 수 있다. 박정희 정부 시기에는 과학기술문화활동이 주로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전국민의 과학화를 표방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과학기술문화활동이 이루어졌다. 민간 부문에서의 활동은 과학기술출판 분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민간 출판사의 과학기술도서출판 활동과 그에 따른 한국과학저술인협회 발족 등은 그동안 전무했던 민간 부분의 과학기술문화활동의 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전두환 정부 시기의 과학기술문화활동은 공공 및 민간 부분에서 모두 확대되었다. 그러나 전국민의 과학화라는 지향점은 이전 시기의 것을 그대로 답습하였다. 중앙에서 추진된 과학기술문화활동이 지방까지 체계적으로 이행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는 한계가 있으나 이 시기에는 민간 부분에서 과학기술언론 분야의 활동이 대두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노태우 정부 시기에는 청소년의 과학화를 내세워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이해 확산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과학기술진흥법의 제정과 과학기술진흥기금의 설치는 과학기술문화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 특히 민간 부문에서의 과학기술문화활동이 다양해졌는데,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단체 결성 등이 이루어져 성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정보영재아동의 예술영재성 분석연구

        전우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giftedness in IT and artistic giftedness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Currently gifted education is going on as a form of convergent education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since 2013. Therefore, in current gif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various convergent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rts, and technology are included as well as information subject. In this paper, correlation between giftedness in IT and giftedness in convergent subjects especially artistic giftedness is analyze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gifted children in IT who have attended a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at Seoul are selected. Their scores are gathered and analysed. The thorough statistical results indicates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subject and artistic subject. It means that the higher scores information subject is, the lower scores artistic subject is. The statistical results can be used as important baseline data on gif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