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일측성 접근을 통한 최소 침습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로 충분한 정복 및 유합을 얻을 수 있는가?: 고식적 요추 추체간 유합술 및 양측성 최소 침습 요추 추체간 유합술과의 방사선학적결과 비교

        구기형,이장연,김재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2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compare the radiologic results of unilateral or bilateral minimal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MIS TLIF) and conventional open lumbar interbody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Only a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slip reduction and fusion rate between unilateral or bilateral MIS TLIF and conventional open TLIF.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7 and May 2015, 80 patients with single-level low-grade spondylolisthesis underwent unilateral MIS TLIF (26 patients), bilateral MIS TLIF (10 patients), or open TLIF (44 patients) by a single surgeon. Radiologic studie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2 weeks postoperatively,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Slip reduction, the lumbar lordortic angle, and the fusion rate were analyzed. Results: The 3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improved slip after oper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3 groups (p=0.015) and between the MIS TLIF group (31.76%±14.42%) and the open TLIF group (41.66%±15.98%) (p=0.01) in the slip reduction rate at 2 weeks after the oper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unilateral MIS TLIF and bilateral MIS TLIF (37.61%±15.0% vs. 29.5%±13.82%, p=0.148). In the lumbar lordotic ang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3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3 groups in slip reduction or the fusion rate at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s that unilateral MIS TLIF showed a similar slip reduction and fusion rate to bilateral MIS TLIF, but that conventional open TLIF showed better slip reduction than MIS TLIF, although it had a similar fusion rate.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일측성 최소 침습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MIS TLIF), 양측성 MIS TLIF과 고식적 접근법을 통한 경추간공 요추 유합술의 방사선학적 결과를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일측성 최소 침습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MIS TLIF), 양측성 MIS TLIF과 고식적 접근법을 통한 경추간공 요추 유합술의 전위 정복 정도와 유합율을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단분절 척추 전방 전위증으로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80명을 대상으로하였다. 고식적 유합술을 시행받은 환자가 44명, 양측성 최소 침습 유합술을 시행받았던 환자가 10명, 일측성 최소 침습 유합술을 시행받았던 환자가 26 명이었다. 수술 전, 수술 후 2 주 및 12개월에 단순 방사선 영상을 시행하였다. 정복의 정도, 요추 전만각, 수술 분절의 유합을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 모두에서 수술 후 유의한 전위 정복을 얻을 수 있었다. 수술 후 2주에 시행한 단순 방사선 영상에서 척추 전방 전위의 정복 정도에서 유의한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고 (p=0.015), 고식적 유합술군(41.66±15.98%)이 양측성군과 일측성군을 포함한 MIS TLIF 군(31.76±14.42%) 보다 우수하였다(p=0.01). MIS TLIF 군 내에서 양측성군과 일측성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7.61±15.0%, 29.5±13.82%, p=0.148). 세 군간에 요추 전만각의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1년에 측정한 정복의 유지 정도 및 수술 분절의 유합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저도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고식적 요추 유합술은 최소 침습 유합술 보다 정복의 정도에서 우수하였으나, 유합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최소침습군 내에서 양측성군과 일측성군 사이의 전방 전위의 정복 정도나 정복의 유지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약칭 제목: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의 MIS TLIF

      • KCI등재후보

        결핵성 척추염과 화농성 척추염의 감별 진단

        구기형,이혁진,염진섭,박건우,이춘기,장봉순 대한척추외과학회 200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6 No.2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wanted to make the early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uberculous spondylitis and pyogenic spondylitis according to the clinical and MRI findings.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Making an early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uberculous spondylitis and pyogenic spondylitis is essential to start prompt and proper treatment. However, the clinical symptoms and MRI findings of both these illnesses can vary considerably. Material and Method: Ninety-five patients (49 men and 46 women, mean age: 54.5) who were treated from January 2001 to February 2007 and whose diagnosis was confirmed by laboratory or pathological studi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50 patients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and 45 patients with primary pyogenic spondylitis were included. The patients with combined infection or an uncertain diagnosis were excluded. We compared the medical records and MRI findings between the different groups of patients. Results: The patients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were younger (48.2 years vs. 61.5 years, respectively) and they had a longer symptom duration (4.3 months vs 1.8 months, respectively).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the C-reactive protein (CRP)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pyogenic spondylitis (71.3/49.6 mm/hr and5.74/2.98 mg/dl, respectively). A high fever above 38 degree was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pyogenic spondylitis. Intraosseous abscess, epidural abscess, a well-definded paraspinal abscess, focal enhancement and severe destruction of the vertebral body on MRI were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Four parameters such as a symptom duration longer than 3 months, no fever higher than 38 degree, a well-defined paravertebral abscess and an intraosseous abscess were selected. 42 patients in the tuberculous group had 3 or more of these four parameter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se combined 4 parameters were 84% and 97.8%, respectively, for mak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hese 2 maladies. Conclusion: These diagnostic criteria might be useful to discriminate between tuberculous spondylitis and pyogenic spondylitis even without definite laboratory or pathological results.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결핵성 척추염과 화농성 척추염의 감별은 조기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하나 임상 경과 및 방사선학적 소견이 다양하여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임상 소견 및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이들을 감별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감염성 척추염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고 술 중 균배양 및 조직학 적 검사로 확진된 환자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49명, 여자가 46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4.5(14~86)세이었다. 각 군에서 성별, 나이, 침범 추체수, 증상 발현 기간, 술전 임상 병리 검사 결과, 동통, 발열, 신경학적 증상 등의 임상 양상과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결핵성 척추염이 50례, 화농성 척추염이 45례이었다. 결핵성 척추염에서 평균 연령이 48.2세로 화농성 척추염 의 61.5세에 비하여 조기에 발병하였으며, 평균 발병 기간은 4.3개월로 화농성 척추염의 1.8개월에 비하여 길었고, C 반응성 단백(CRP), 적혈구 침강 속도(ESR)는 화농성 척추염에서 5.74 mm/hr, 71.3 mg/이으로 결핵성 척추염의 2.98 mm/hr, 49.6 mg/이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38도 이상의 고열도 화농성 척추염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서 추체내 농양, 경막 주위 농양, 경계가 분명한 추체 주위 농양, 추체의 심한 파괴는 결핵성 척추염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조영 증강시 부분적이고 다양한 조영 증강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3개월 이상의 이환 기 간, 38도 이상의 발열이 없는 경우의 임상 소견과 경계가 분명한 척추 주위 농양, 추체내 농양과 같은 방사선학적 소 견을 종합하여 이러한 4가지 항목 중 3가지 이상을 만족시키는 경우가 결핵성 척추염으로 진단된 50례 중 42례이었 고 진단의 민감도는 84%이었고, 특이도는 97.8%이었다. 결론: 이러한 진단 기준은 배양 검사나 조직학적 검사가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감염성 척추염의 감별 진단에 유용하 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퇴행성 경추 추간판 질환

        구기형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6 No.1

        Degenerative changes in the cervical spine are very common in industrial populations. Cervical spondylosis refers to symptomatic age-related degeneration, which causes axial neck pain, cervical radiculopathy, and cervical myelopathy. Some patients can have a combination of these symptoms. Cervical radiculopathy is a common condition that is the results of compression and inflammation of the nerve root. Cervical myelopathy occurs as a results of compression of cervical cord and is the most common cause of spinal dysfuction in the elderly. We reviewed the pathophysiology, presentations, and the clinical evaluations of the radiculopathy and myelopathy. 경추의 퇴행성 변화는 고령화사회에서 아주 흔하다. 경추증은 증상이 동반된 연령에 따른 노화를 의미하며 축성 경부 동통, 경추 신경근증, 그리고 경추 척수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일부의 환자들에서는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경추 신경근증은 신경근의 압박과 염증으로 발생하는 경추 추간판 탈출에 해당하며, 경추 척수증은 경추 척수의 직접 압박 및 변성 등으로 발생하며 노인에서의 척추성 신경 이상의 흔한 원인이다. 여기에서는 이런 경추신경근증과척수증의 병태 생리,임상증상및 검사에 대해 기술하기로한다.

      • KCI등재

        Comparison of Clinical and Physiological Efficacies of Different Intermittent Sequential Pneumatic Compression Devices in Preventing Deep Vein Thrombosis: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구기형,최재성,안지현,권재현,조은태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Vol.6 No.4

        Background: There are few comparative studies about the optimal method of pneumatic compression to prevent deep vein thrombosis (DVT). The aim of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was to compare venous hemodynamic changes and their clinical influences between two graded sequential compression groups (an alternate sequential compression device [ASCD] vs. a simultaneous sequential compression device [SSCD]). Methods: In total, 34 patients (68 limbs) undergoing knee and spine operations were prospectively randomized into two device groups (ASCD vs. SSCD groups). Duplex ultrasonography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the 4th and 7th postoperative days for the detection of DVT and the evaluation of venous hemodynamics. Continuous data for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a two-tailed, unpaired t-test. Relative frequencies of unpaired samples were compared using Fisher exact test. Mixed effects models that might be viewed as ANCOVA models were also considered. Results: DVT developed in 7 patients (20.6%), all of whom were asymptomatic for isolated calf DVTs. Two of these patients were from the ASCD group (11.8%) and the other five were from the SSCD group (29.4%),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331). Baseline peak velocity, mean velocity, peak volume flow, and total volume flow were enhanced significantly in both device groups (p < 0.001). However, the degrees of flow and velocity enhancem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The accumulated expelled volumes for an hour were in favor of the ASCD group. Conclusions: Both graded sequential compression devices showed similar results both in clinical and physiological efficacie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method for enhanced hemodynamic efficacy and better thromboprophylaxis.

      • KCI등재후보

        골 이식 대체재로서의 세라믹과 생체 활성 유리

        구기형 ( Ki Hyoung Koo ),임군일 ( Gun Il Im ),김지영 ( Ji Young Kim )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09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6 No.4

        Autograft is the gold standard procedure for grafting with osteoinduction, osteoconduction and osteogenecity. Limitations, however, exist due to donor site morbidity and graft availability. Allograft also has the risk of disease transmission and the poor biological activity. Biomaterials including DBM and BMP showed osteoconductive and/or osteoinductive capacities and are used as a bone graft extender. Synthetic bone graft substitutes, such as ceramic and bioactive glass, share some advantages over autograft and allograft including unlimited supply, easy sterilization and good bioactivity. Thus this article presents an overview of bone graft and bone graft substitutes available for current clinical applications.

      • KCI등재

        정상 면역 성인에서 발생한 Arcanobacterium haemolyticum에 의한 침습성 감염 2예

        박성연,구기형,허희진,채석래 대한감염학회 2012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4 No.6

        Arcanobacterium haemolyticum is a gram-positive bacillus that is most commonly implicated in pharyngitis and infections of the skin and soft tissue. Systemic and deep- seated infections caused by this organism are rare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Recently, we encountered two cases of invasive infections caused by A. haemolyticum. We describe two cases, one with vertebral osteomyelitis with an epidural abscess and the other with a buttock abscess with bacteremia.

      • KCI등재

        최소 침습 기법을 이용한 요추 유합술

        박상민,박현진,구기형,홍재영,임수택,최소침습 척추치료 연구그룹 대한척추외과학회 202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30 No.1

        Study Design: Review article Objectives: To introduce minimally invasive surgical (MIS) techniques and to review previous studies about these techniqu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Recent trends indicate an increase in the use of MIS for spinal fusion. According to reports, MIS reduces postoperative morbidity, with surgical outcomes comparable to those of conventional spine surgery. Furthermore, there are reportedly fewer complications and pain after surgery, resulting in a rapid return to everyday life. Materials and Methods: A review of the relevant articles. Results: MIS techniques, such as biportal endoscopy, the use of a tubular retractor, and the anterior approach, have recently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ccess to the intervertebral disc through the intervertebral foramen is a characteristic shared by biportal endoscopy and the use of a tubular retractor. Numerous investigations have demonstrated that procedures employing a tubular retractor yield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comparable to those of conventional open spine surgery. Biportal endoscopy is still undergoing clinical investigations, and its safety and efficacy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Anterior approach fusion is mainly used in patients with mild central canal stenosis; thus, its indications are somewhat limited compared to conventional posterior fusion. However, additional decompression after anterior approach fusion allows both direct and indirect decompression to be obtained. Conclusions: With MIS, patients’ satisfaction after surgery is high due to the small amount of bleeding during surgery and limited damage to surrounding anatomical structures. However, these MIS techniques have narrow indications, and we must accurately understand the dis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each technique.

      • 하지 골 종양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평가

        이상훈,오주한,유광현,서성욱,구기형,김한수,임수택,Lee, Sang-Hoon,Oh, Joo-Han,Yoo, Kwang-Hyun,Suh, Sung-Wook,Koo, Ki-Hyoung,Kim, Han-Soo,Lim, Soo-Tae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1

        목적 : 하지의 골 종양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기능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받고 기능적 평가의 설문이 가능하였으며, 방사선학적인 평가를 계속적으로 할 수 있었던 8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76(22~174)개월이었다. 연령(20세 이하 군과 20세 이상 군), 시멘트 사용 여부, 골절제율, 항암치료 여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여부에 따라 대치물의 생존율, MSTS 기능적 평가와 ISOLS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 종양 대치물의 5년 누적 생존율은 근위 대퇴골에서 100%, 원위 대퇴골에서 83.3%, 근위 경골에서 81.9%이었다. 기능적 점수는 각각 73.3%, 72%, 68.7%이었다. 원위 대퇴골에서 비 항암치료 군의 종양 대치물 생존율이 높았고, 기능적으로는 원위 대퇴골에서 국소 재발이 없는 군과 비 원격 전이 군이, 근위 경골에서 비원격전이 군이 우수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원위 대퇴골에서 20세 이상인 군과 시멘트 사용 군에서 골 재형성이 우수하였다. 수술 후 감염과 해리는 종양 대치물 실패의 주요 원인이었다. 결론 : 하지에서 발생한 골 종양의 치료에서 종양 대치물을 사용한 골 종양의 치료는 만족할 만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골 절제율, 항암치료 여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등이 종양 대치물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고, 보다 많은 예를 분석하여 예후 인자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radi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of prosthetic reconstruction for locally aggressive benign and malignant tumor in the lower extremity. Materials and Methods : Eighty eight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n average 76 months(22~174). We examined the survival rate of prosthesis, and evaluated the final result by MSTS functional score and ISOLS radiological implants evaluation system. Th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age(<20 year vs. ${\geq}$20 year), fixation methods, amount of bony resection, chemotherapy, local recurrence, and presence of metastasis. Results : The 5 year prosthetic survival rates were 100% in the proximal femur, 83.3% in the distal femur, 81.9% in the proximal tibia. Mean total functional scores were 73.3%, 72%, 68.7%, respectively. In distal femur, the non-chemotherapeutic group was superior in the prosthetic survival rate. Recurrence or metastasis affected the functions in the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In the radiological evaluation of the distal femur, older patients over 20 years of age and with cement fixation were superior in bone remodeling(p<0.05). Postoperative infection and radiological loosening were the main causes of the prosthetic failure. Conclusion : The prosthetic reconstruction in the lower extremity led to goo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mount of bony resection, chemotherapy, recurrence and metastasis seemed to influence the prosthetic survival, and long-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 KCI등재

        성공적인 최소침습 경추간공 요추체간 유합술을 위한 수술전략

        박융,박세준,홍재영,구기형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4

        Study Design: Literature review.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surgical strategies for successful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though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minimally invasive TLIF, few have described surgical strategies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r to reduc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searched for studies reporting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TLIF, and analyzed the optimal indications, technical pitfalls, and tips for successful surgical outcomes. Results: The ideal candidate for minimally invasive TLIF is a patient with single or 2-level low-grade adult degenerative or isthmic spondylolisthesis. Incomplete decompression, dura tearing, nerve root injury, and implant-related complications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reported adverse events, especially in the early periods of a surgeon’s experience. Precise positioning for skin incision and tube insertion, complete neural decompression, proper interbody preparation for bone graft and cage insertion, and the correct placement of percutaneous pedicle screws are critical strategies for successful surgical outcomes. Fully understanding the surgical pitfalls and tips described in this review is also important to avoid potential complications. Conclusions: It is imperative not only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preoperative evaluation and proper patient selection, but also to perform meticulous surgical procedures with thoughtful considerations of potential pitfalls, in order to improve the success rate and to reduce the complications of minimally invasive TLIF. 연구 계획: 문헌 고찰. 목적: 최소침습 경추간공 요추체간 유합술의 성공적인 수술결과를 얻기 위한 올바른 환자선택 및 흔히 간과할 수 있는 수술술기를 소개하고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수술전략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최소침습 경추간공 요추체간 유합술은 원통 견인기와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을 이용한 수술로 고식적 수술법보다 후방 척추근육손상을 줄일 수 있어 수술 중 출혈과 입원기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술시간, 방사선노출시간, 수술술기 습득시간이 긴 단점도 보고되고있다. 또한 불유합 및 내고정물 관련 합병증과 특히 술자의 경험도에 따른 합병증 빈도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문헌 고찰을 통하여 최소침습 경추간공 요추체간 유합술의 성공적인 수술결과를 얻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대표적인 수술 적응증, 외과적수술기법 등에 대한 최신 지견을 정리하고 저자들의 경험과 증례를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단분절, Meyerding 분류 I / II, 퇴행성(Degenerative) 혹은 협부형(Isthmic), 요추 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이 가장 대표적인 수술 적응증이다. 부적절한 감압, 경막 손상, 신경근 손상, 내고정물 관련 합병증 등이 흔한 수술관련 합병증이었고 주로 습득곡선 초기에 발생했다. 합병증을 줄이고 성공적인 수술결과를 얻으려면 올바른 피부절개 및 원통 견인기 삽입위치 결정, 완전한 신경감압, 골이식과 케이지 삽입을 위한 세심한 종판 준비, 및 올바른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삽입 등 각 단계에서 지켜야 할 중요 술기와 요령을 숙지하여야 한다. 결론: 최소침습 경추간공 요추체간 유합술은 고식적 경추간공 요추체간 유합술과 비교하여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수술방법이다. 수술 합병증 대부분은 수술습득곡선 초기에 발생하므로, 특히 이 시기에는 올바른 환자선택과 흔히 간과할 수 있는 수술술기 및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수술전략을잘 숙지하여야 성공적인 수술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방사선학적 평가

        문상호,이상훈,김한수,오주한,고병원,구기형,이재학,황정수,이한구,Moon, Sang-Ho,Lee, Sang-Hoon,Kim, Han-Soo,Oh, Joo-Han,Ko, Byung-Won,Koo, Ki-Hyung,Lee, Jae-Hag,Hwang, Chung-Soo,Lee, Han-K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4

        목적 : 악성 골종양의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에서 방사선학적 변화를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 종양 대치물로써 사지 구제술을 받은 69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4년 9개월이었다. 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ISOLS)에서 제창한 방사선학적 대치물 평가 체계(Radiological Implants Evaluation System)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술후 1년 및 최종 추시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우수, 양호, 보통, 불량을 각각 통계분석을 위해 4, 3, 2, 1로 변환하여 분석하였고 평가 결과를 시멘트 사용 여부, 병변의 위치, 종양의 종류, 종양 대치물의 종류 및 나이(<20세 vs ${\geq}$20세)에 따라 나누어 T-test 및 ANOVA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최종 추시에서 시멘트군이 무시멘트군보다 골 재형성 및 접촉면 항목에서 우수했으나 고정 항목(anchorage)에서는 무시멘트군이 우수했다. 병변의 위치 상 근위 대퇴부 및 원위 경골부가 다른 부위보다 골 재형성면에서 불리하였으며 골육종군이 비골육종군보다 고정 및 관절면에서 불리하였다. 대치물의 종류 및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방사선학적 중기 추시상, 시멘트를 이용한 재건술이 골 흡수 및 해리에서 더 우수하였고 무시멘트 술식은 고정(anchorage) 면에서 우수하였다. 원위 대퇴골 및 근위 경골이 골 흡수면에서 유리한 해부학적 위치였으며 골육종군은 화학요법으로 인해 고정 및 관절면에서 불리하였다고 생각한다. Purpose : To verify radiological changes of limb salvage operation using tumor prosthesis. Materials and Methods : Sixty-nine cases which used tumor prosthesis were reviewed. They have been followed up for average four years and nine months. We evaluated radiographs by ISOLS(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 radiological implants evaluation system immediate postoperatively, at postoperative 1 year and last follow-up. After converting 'excellent, good, fair, poor' to '4, 3, 2, 1' for stastic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use of cement, anatomical sites, diagnosis implant designs and age (<20 year vs. ${\geq}$20 year) using t-test and ANOVA. Results : The outcomes of cemented type prostheses were superior in remodelling and interface but inferior in anchorage. The scores of proximal femur and distal tibia were worse in bone remodelling. Osteosarcoma group had lower scores in anchorage and implant articular proble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four different implant designs and age. Conclusion : In the intermediate term follow-up radiological evaluation, cemented type prosthesis were better in the aspects of bony resorption and osteolysis, and cementless one in anchorage.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have higher scores in bony resorption, and osteosarcoma was worse tumor entity in anchorage and articular problem, and chemotherapy may be the ca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