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홍재영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교육을 하면서 겪는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면서 겪는 교사의 어려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 면담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교사 전문성’과 관련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 전문성과 관련한 어려움은 ‘수업 계획’, ‘수업 실행’, ‘행동 지원’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개인 내적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인 내적 갈등과 관련한 어려움은 ‘학생에 대한 낮은 기대’, ‘자신의 자질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교육 환경’과 관련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 환경과 관련한 어려움은 ‘지원 체계의 부족’, ‘협력 체계의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educat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Three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then transcribed and used as data in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with teacher professionalism, including class planning, instructional practice, and behavioral support; personal inner conflicts, including low expectations of the students and feelings of inadequate teacher qualification; and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the lack of a support system, cooperation system. This study may help identify the difficulties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experience, and the results may suggest solutions for these difficulties. The study may als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서사의 실패를 서사화하기: 영화적 재현을 매개하는 서사-형식의 이데올로기적 본성에 대한 탐구
홍재영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3 아시아영화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영화에서 그간 재현이라는 문제틀 안에서 씨름해온 일련의 문제들을 서사 혹은 내러티브로 전환해서 현재에 대한 ‘역사적인’ 사고의 지평을 여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 이상 재현이 지시대상과 필연적인 관계를 맺지 못할 때영화가 현실과의 관계를 상정할 수 있기 위해선 새로운 개념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총체화의 계기로서 작동하는 서사, 곧 영화의 내러티브는 바로 그러한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서사를 이데올로기의 한 형식으로 봐야 한다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제안을 따라 세 가지 논점을 제시한다. 첫째, 장 루이 코몰리의 스펙터클 비판은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스펙터클이 된 상황에서도 스펙터클의 한계가 반드시 알레고리화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는 재현이 결코 ‘바깥’과의 관계없이 완전히 자율적일 수 없기 때문에 동시대의 재현은 자체의 불가능성을 알레고리화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이처럼 재현이 스스로를 알레고리화하는 방식으로 연명하는 것은 서사의 작동 때문이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전통적인 서사 관습이 유효하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서사의 작동을 판별할수 있는 것은 결국 서사의 실패를 통해서이다. 프레드릭 제임슨은 지버베르크의 작업이 모더니즘적인 기획 속에서 다시 한 번 서사화의 계기를 마련하는 ‘문화혁명’이라 말하면서도 이러한 기획이 포스트모던한 상황에선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진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패는 서사 자체가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조명하면서 역사적으로 필연적인 것으로 전환될 때 변증법적인 논의의 전개를 가능하게한다. 셋째, 그렇다면 작금의 이른바 유사-서사들은 궁극적으로 인식적 지평의 한계 위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이다. 대문자 서사는 바로 그러한 한계의 이름에 다름 아니다. 여기서 앙드레 바쟁이 찬사를 보냈던 네오리얼리즘의 쇠퇴와 한계가 필연적인 것으로서 다시 논의될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 영화에서 과거에한때 가능했던 서사가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라, 그것은 언제나 영화 자신의 부정성이었으며 영화란 바로 그러한 한계를 발판 삼아 새로운 단계로 이행해간모순적인 운동이라는 사실이 밝혀질 것이다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홍재영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8
이 연구는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요소의 빈도와 특성 그리고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급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수학 교과 수업 중 도형 단원에 대한 수업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언어적 상호작용 주체는 교사가 먼저 시도하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전체 291회 중 237회(84.1%)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질문은 전체 240회가 나타났는데, 지식 영역의 질문이 160회(66.7%)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학생 응답은 전체 617회가 나타났는데 단답형 응답이 367회(59.5%)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 피드백은 전체 581회가 나타났는데 정오(단순) 피드백이 234회(40.3%)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생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은 전체 237회가 나타났고, 교사 질문과 학생 반응 그리고 교사 피드백이 1회 나타나는 I(RF) 유형이 83회(35.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게 된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요소와 유형에 대한 정보는 특수학급 수학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ses of verbal interactions occurring during the mathematics lessons taught in middle school special classes in order to examine the elements and types of verbal interactions that occur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sessions on geometric units that formed part of the mathematics lessons routinely implemented in the special class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eachers initiated 237 (84.1%) of the 291 instances of verbal linguistic interactions. A total of 240 teachers' questions were analyzed, and questions in the area of knowledge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at 160 times (66.7%). A total of 617 student responses were analyzed, and short answers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at 367 times (59.5%). Teacher feedback occurred 581 times in total, and correct/incorrect (simple) feedback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at 234 times (40.3%). A total of 237 verbal interac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 I (RF) type (one teacher question, one student response, and one instance of teacher feedback) occurred most frequently, at 83 times (35.0%).
역전류 주입 토폴로지를 적용한 복합형 직류 차단기 제안
홍재영,안태풍 대한전기학회 2024 전기학회논문지 Vol.73 No.2
In order to respond with the power consumption caused by the spread of eco-friendly vehicles and the expansion of data center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gener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provide stable power. In order that,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 multi-terminal DC grid to effectively manage the AC/DC hybrid grid opera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DC systems. DC circuit breaker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accident system is needed to minimize the impact at the fault and the stable operation of the multi-terminal DC grid. In this paper, we propose a hybrid DC circuit breaker that performs the blocking operation by creating a current zero crossing by injecting a reverse current. The current formula is explained through the order and analysis of the topology blocking oper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topology was verified by modeling and simulation the reverse current injection topology through PSCAD/EMTDC.
시각장애 대학생의 대학 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홍재영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2 시각장애연구 Vol.38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llege life experience and its meaning for an undergraduate student who has visual impairments.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narrative inquiry,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research subject was one undergraduate student who has visual impairments. From January 2020 to June 2022, the researcher talked with the subject through meetings and collected data.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the collected data, found the narrative elements contained in the data, and composed a story by restructuring the plot and theme. Results: With a focus on the relational life of the undergraduate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s, the meaning of the college life experience he had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characteristics: confidence,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for relationships; confusion, which means a desperate relationship and its limitation; and letting go of the desperate attitude toward life, which means a change for a new relationship.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 of diverse support plans is expected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form positive relationships during their college life so they can experience a successful change toward adulthood. 시각장애, 시각장애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 대학생이 대학 생활을 하면서 겪은 경험과 그러한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시각장애 대학생 민준해이다. 2020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인 만남을 통하여 이야기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수집한 자료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자료에 담긴 내러티브 요소를 찾고, 줄거리(Plot)와 주제(Theme)를 재구성하여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 대학생의 관계적 삶에 주목하여 그가 대학 생활에서 겪은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감’: 관계의 기초. 둘째, 혼란: 필사(必死)적인 관계 그리고 한계. 셋째, 내려놓음: 새로운 관계를 위한 변화.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성공적인 성인기로의 전환을 위하여 대학에서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둔 다양한 지원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대학생, 내러티브, 대학 생활, 관계적 삶
홍재영,김두영,김호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support providing moreorganized education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e, educational condition, and need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and other disabilities who attend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irteen specialsch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158 teachers whohave experience wit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were surveyed. The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322 of 1,252 students attending special schools for studentswith visual impairments in 2014 had other disabilities (25.7%).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visual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was delivered mostly by homeroom teachers and class-specificteachers (33.8%). Regarding class arrangements, 49.7%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disabilities studied in separate classrooms the entire school day. In regards to educational goals, thepriorities were to develop skills for independent living (54.2%) and learning (40.1%). In setting goals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students’ level of development (51.1%) wasa primary consideration. The special schools preferred establishing separate, regular classes for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42.9%). An appropriate curriculum (23.9%)was identified as a key to the effect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disabilities. Specifically, 47.4% of participants emphasized the need for a special curriculum for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focused on the skills necessary for daily living(26.4%) and daily functions in relation to learning materials (20.7%).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searchers propose how to provide effective education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disabil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현황을 알아보고,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3개 시각장애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시각장애학생 및 시각중복장애학생 현황을 조사하였고,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시각중복장애학생의 비율은 전체 1,252명의 재학생 중 322명으로 조사되어 전체25.7%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담당은 담임교사와 교과 담임교사(33.8%)가 가장 많았으며,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학급 편성은 별도의 학급에서 전일제 수업(49.7%)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목표는 독립생활(54.2%)과 학습 지원(40.1%)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목표 설정 시 학생의발달 수준(51.1%)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형태는 학교 차원에서 별도의 정규학급을 편성하여 운영(42.9%)하는 것을 원하고 있으며,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중점 요소로 적합한 교육과정 편성(23.9%)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은 별도의 교육과정 편성(47.4%)을 요구하고 있으며,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별도의 교육과정 편성 시 일상생활 훈련중심 내용(26.4%)과 교과와 연계한 생활 기능 중심 내용(20.7%)을 중심으로 편성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사들은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으로 적합한 교육과정의 부재(21.7%)를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령기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홍재영,김기룡,김삼섭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8 시각장애연구 Vol.34 No.2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95명과 학부모 35명을 대상으로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 및 두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와 학부모 모두 시각중복장애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 간 차이를 요인별로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 따른 교수학습 지식 요인이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문항별로는 진로 및 직업 지도가 가장 크고, 눈의 구조ㆍ기능ㆍ질환에 관한 지식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결과, 1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시각중복장애 지원, 교수학습 운영, 학습자 특성에 따른 교수 지식, 2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감각 활용 지도, 3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관련서비스 지원 요인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각장애아교육 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뿐 아니라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연수 등 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eachers competencies to perform teach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95 teachers and 35 parents in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addition, the signific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Both groups showed that support for visual impair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difference of teaching - learning knowledge factor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The factors in the first quadrant of the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blind children are as follows: support for visual redundancy, teaching and learning operation, respectively. The factor in the second quadrant was sensory teaching, and factors in the lower third quadrant were related service suppor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stitute as well as reeducation programs such as special teacher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