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산 거주 초등학생 및 중학생의 굴절이상도 변화에 따른 비구면계수와 각막 형상

        장봉순,김정미,오현진,원찬희,배현주,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7 대한시과학회지 Vol.9 No.1

        The present study conducted cycloplegic auto-refraction and comeal topography (Oculus Co., Keratograph V 1.65, Gerrnany) for 325 eyes of 163 students living in Ilsan and analyzed changes for a year by age and refractive eπor in order to obtain reference data for contact lens fitting in clinics and for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of contact lens fit for Koreans. For a year, the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changed significantly (-0.368:t0.413[)) toward myopia(t = 16.068, p = 0.000), and the mean difference in the 1 sr and 2na measurements was significantly in bo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lst measurement: t = -3.696, p 二0.000, 2nd measurement t = -3.016, p = 0.003), but the mean change was highe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in middle school ones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t = 2.698, p = 0.007). In addition, the mean change was higher in the myopic group than in the non-myopic group(t = 2.703, p 二0.007).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yopic group showed a larger change(t = 3.002, p = 0.003), and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yopic group showed a larger chang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t = 1.586, p = 0.115). As to 300 radius aspheric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1st measuremènt( t 二 1.117, p = 0.265) and in the 2nd measurement(t = 0.084, p = 0.933). The mean change was slightly higher toward the negative (-) in middle school students but not significant(t = -1.711, p = 0.088). The mean change was slightly higher in the myopic group than in the non-myopic group(t = 1.873, p 二0.062).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the myopic group showed a larger change(t 二2.273, p = 0.024), and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non-myopic group showed a larger change but not significant(t 二0.508, p = 0.613). The comeal shape was mostly that of a prolate ellipse, flattening from comeal apex to periphery. When asphericity(Q) range of -0.4 르 Q < 0 was assumed to be the average comeal shape, 88.9% fell within the range in the 1st measurement and 85.5% in the 2nd measurement. The largest number of eyes were within the range of -0.4드 Q< -0.2, and concentration in the range was particularly high in the myopic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Asphericity was slightly more positive (+) in the non-myopic group than in the myopic group, and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hange of asphericity and the change of the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r = -0.035, p 二0.526). 안질환이 없는 일산 거주 학생 163 명 325안(초등학생 90 명, 중학생 73 명, 10.99:t 2.08세, 2004년 기준)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굴절검사와 각막지형도 검사를 실 시하여, 1 년 동안의 변화도를 연령별(초등학생군과 중학생군) 및 굴절이상도별(근시 군과 비근시군)로 분석하여 한국인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설계와 제조 및 임상에서 콘택트렌즈를 피팅하는데 참고할만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1 년 동안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0.368:t0.413D 근시 쪽으로 변화하였고 (t = 16.068, p 二0.000) , 1 차 및 2차 측정에서 초등학생군과 중학생군의 평균 차이는 모두 유의하였으며 (1 차 측정 : t = -3.696, p = 0.000, 2차 측정 t = -3.016, p = 0.003), 평균 변화도는 초등학생군에서 더 컸다 (t 二2.698, p = 0.007). 근시군과 비근시군의 평균 변 화도는 근시군에서 더 컸고 (t 二2.703 , p 二0.007) , 초등학생군에서도 근시군에서 더 변 화하였으며 (t = 3.002, p = 0.003), 중학생군에서는 근시군의 변화도가 더 컸으나 유의성 이 없었다 (t = 1.586, p = 0.115) 30。반경의 비구변계수는 1차 및 2차 측정 모두 초등학생군과 중학생군 사이에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 변화도는 중학생군에서 음(-)의 방향으로 좀 더 컸지만 유 의성은 없었다 (t = -1.711, p = 0.088). 전체 대상에서 근시군의 변화도가 비근시군보다 더 컸고 (t 二1.873, p = 0.062), 초등학생군에서도 근시군의 변화도가 더 컸으며 (t 二 2.273, p 二0.024), 중학생군에서는 비근시군에서 좀 더 변화하였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t = -0.508, p = 0.613) 전체 대상자의 각막 형상은 대부분 prolate 형상이었고, 비구면계수 (Q) 가 -0.4 드 Q <0의 범위를 평균적인 각막 형상으로 간주하였을 때, 1 차 측정에서는 88.9% , 2차 측 정에서는 85.5% 가 이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0.4 드 Q < -0.2 의 범위에 해당하는 대상자의 분포가 가장 많았고, 중학생의 근시군에서 분포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구변계수는 근시군보다 비근시군에서 좀 더 양(+)의 방향인 값을 가졌 으며, 비구면계수와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변화는 상관성이 없었다 (r = -0.035, p = 0.526).

      • KCI등재
      • KCI등재

        신경 섬유종증을 동반한 척추 변형의 치료

        장봉순,황일웅,한일규,김동한,이춘기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3

        연구계획 :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 신경 섬유종증을 동반한 척추 변형 환자를 분석함으로써 이영양성 변화의 유무, 변형의 진행 여부 및 진행 관련 인자, 시상면 상의 변형에 따른 치료 결과, 수술 방법에 따른 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7년부터 1999년 12월까지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신경 섬유종증을 동반한 척추 변형으로 진단 받은 39명의 환자(남자18명, 여자21명)를 의무 기록과 방사선 계측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비이영양형(nonodystrophic)이 4명(10%)으로 모두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이영양형(dystrophic)이 35명(90%)이었으며, 27명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 중 8명은 추시 도중 평균 7.9도/년의 진행을 보여 수술을 시행하였고, 비정ㅇ상적인 후만, 하 흉추부에 위치한 첨 척추, 척추의 부채꼴 변화, 설상형 변형, 늑골의 연필끝 변화가 존재할 때 진행하는 양상이었다. 시상면 변형을 43%에서 동반하였고, 특히 심한 후만을 동반한 경우 전후방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기기별로는 척추경 나사못이 가장 우수하였고, 합병증으로는 만곡의 진행 6명, 금속 파손 2명이었고, 재수술은 5명에서 시행하였다. 결론 : 비이영양형은 비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이영양형은 대부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고 빠른 진행을 보였다. 이영양형의 치료는 수술 전 시상면 변형을 확인 후 그에 맞는 견고한 고정 및 장기간 추시 관찰이 필요하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 : By analyzing the patients of neurofibromatosis with spinal deformities, to identify presence of dystrophic changes, progression of deformity and associated factors, and treatment results according for sagittal curve pattern and operative methods. Summary of Lierature Review : A single thoracic curve involving tour, five, or six vertebrae is recognized as the most common pattern.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of curve were anterior vertebral scalloping, patricularly in younger patients, three or more penciled ribs, abnormal kyphosis, etc. It has been stated that the most effective management for dystrophic curves is early and aggressive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 nine patients with nerofibromatosis and spinal deformities were reviewed with chart and radiographic review from 1977 to 1999. Results : Four of thirty nine patients were nondystrophic type, and al patients were treated nonoperatively. Thirty five of thirty nine patients were dystrophic type, and twenty seven patients were treated operatively. Eight of these patients had been in progress till operation with 7.9 degrees/year progression rate, and their commonest pattern of deformity is a single curve in lower thoracic area with dystrophic changes such as vertebral scalloping, wedging, pencilling of average four fibs, particularly. Forty three percent of dystrophic type has sagittal plane deformities. The pedicle screw system was most excellent among the instrumentations. The complications of surgery were 6 progression of curve, 2 metal failure. Reoperation was done in 5 of 27 operated patients. Conclusion : Nondystrophic type had good results with nonoperative treatment, but dystrophic type mostly required surgical intervention and had rapid progresion. The treatment should be done by rigid fixation after considering sagittal plane deformities and long term follow-up was needed for progressions of curve.

      • KCI등재

        요추부 퇴행성 질환의 수술 후 발생한 경막 주위 혈종

        장봉순,김우진,이재철,이동호,신용운,이상림,이춘기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2

        연구계획 : 요추부의 퇴행성 질환에 대한 수술 후, 경막 주위 혈종으로 인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한 증례에 대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 수술 후 경막 주위 혈종 발생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 혈종 제거술을 시행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과 신경학적 손상의 회복과의 관련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요추부의 퇴행성 질환으로 수술한 1280예 중, 경막 주위 혈종으로 인해 신경학적 증상을 보였던 20예와 나머지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후향적 접근을 통하여 성별, 연령, 수술 방법, 수술 분절 수, 혈액학적 변수, 수술소요시간, 출혈량 등 혈종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았다. 추시 중 탈락한 2예를 제외한 18예에서 신경회복 추시기간은 평균 19개월이었다. 신경학적 증상의 회복은 술전 근력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수술 후 신경학적 증상 발현까지의 시간 및 증상 발현 후 혈종 제거술까지의 시간과 회복 결과를 연관하여 보았다. 결과 : 전체적으로 혈종에 의한 신경학적 손상의 발생율은 1.6%이었으며, 고려된 인자들 중, 수술한 분절 수가 4분절 이상으로 많은 경우 혈종 발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혈종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은 14례에서 수술후 12시간 이내에 발현되었고, 6례에서는 수술 후 30시간 이후에 나타나서, 양분되는 양상을 보였다. 최종 신경학적 회복 정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14예(78%)는 완전 회복으로 나타났다. 급성 발현에서 75%(12례 중 9례), 지연성 발현에서 83%(6예 중 5예)가 완전 회복되었으나 통걔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경과 시간의 면에서는 4시간 이내에 혈종 제거술을 시행한 8예에서 100%, 4시간 이후에 시행한 경우는 60%(10예중 6예)에서 완전 회복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3) 결론 : 혈종의 발생은 예측이 어려운 만큼 수술 직후의 집중적인 신경학적 관찰을 통해 경막 주위 혈종을 시사하는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신속히 시행하는 것이 신경학적 후유증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of neurologic complication with peridural hematoma was performed in the cases of operation for the lumbar degenerative disease. Objectives : To prove the risk factors of the postoperative neurologic compli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 onset, the evacuation time and the neurologic recov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There are rarely proven risk factors related with perioperative hematologic change, and the proper evacuation time is in controversy. Materials and Methods : In 1280 operations from 1995 to 1999, there were 20 cases of neurologic complication with peridural hematoma We considered age, sex, operative method, number of operation segment, hematologic variables, operation time and estimated blood loss as possible risk factors. The mean follow up was 19 months. The recovery was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the preoperative motor power, and we considered the time relationship of surgical outcome with the symptom onset and the time to hematoma evacuation. Results : Neurologic sequelae occurred in 1.6%. The only detected risk factor was the increased number of operation segment more than 4. There were two types of onset, less than 12 hours and beyond 30 hours. Neurologic sequelae were completely recovered in 14 cases, 75% in acute onset and 83% in the delayed (p>0.05). According to the evacuation time, rapid hematoma evacuation within four hours made better recovery. Conclusions: We thought that the best way to prevent the neurologic sequelae is close observation and rapid evacuation if peridural hematoma is suspected.

      • 일산 거주 초등학생의 2 년간 굴절이상도 변화에 따른 안광학상수와 비구면계수의 상관성

        장봉순,김정미,엄창득,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7 대한시과학회지 Vol.9 No.4

        To obtain reference data for contact lens fitting in clinics and for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of contact lens for Korean young students. cycloplegic autorefraction, corneal topography(Oculus Co. , Keratograph V 1.65, Germany) and A-scan ultrasonography (Sonomed AJB Scan 5500. USA) were performed on 66 eyes of 33 young students who were living in Ilsan city near Seoul(mean age of 9.010.16 yrs inn 20α04쇠4). The change of spherical equivalent. corneal apical radius, axial length and corneal astigmatism during 2 years were -0.818:1::0.704 D(p = 0.000). -0.007:1::0.033 mm(p = 0.044) and 0.310土0.309 mm(p = 0.000). -0.024:1::0.367 D(p = 0.590) respectively. The asphericity(Q-value) of cornea increased toward negative value as it moved from apex to periphery. The change of corneal asphericity was 0.005:1::0.092 in 100 radius, 0.003 土0.076 in 200 radius and -0.012:1::0.063 in 300 radius, but the differences were all no significance. Asphericity were not correlated to spherical equivalent and axial length. In the myopic group, asphericity and corneal apical radius showed a low correlation(l st ‘ r= -0.399. p=0.014, 2띠 r = -0.361, p = 0.028) and the change of two ocular components showed a low correlation(r = 0.410. p = 0.012). Asphericity and corneal astigmatism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l st: r = 0.354. p = 0.032, 2nd : r = 0.427, p = 0.008) , but the change of two ocular component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r = -0.012, p = 0.945). While asphericity were not correlated to ocular componets in the non myoplC group.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ully understand the correlation corneal asphericity with the ocular components in young students during growing period on the myopic group and to apply this information for design and manufacture of contact lenses. 일산 거주 초등학생 33 명 66 안(9. O1::t 1.1 6 세, 2004 년 기준)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 굴절검사, 각약시형도검사 및 A-scan Ultrasollography를 실시하고 2 년 동안 변화노릎 분 석하여, 한극언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섣겨1 와 저l 조 빛 임상에서 콘택트렌즈 피팅에 관한 참 고 사료를 얻고자 하였다. 2 년끼 능가구면 굴절이상도는 -O,818 :t O, 704 D(p = 0 , 00이 근시쪽으운 변하고. 안축장은 0,310+0,309 rnm(p = 0 , 00이 증가했F며, 각막정점 곡률반경은 -0.007 :tO,033 mrn(p = 0,044) 변하고, 킥막난시는 0,024 ::tO, 367 D(p = 0.590) 변화하였다 각막 정점으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비구면계수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 비구면 계수의 변화도는 10。반경 O,005 ::tO,092(p = 0.691), 20。반경 0.003 :t 0.076(p = 0.692) 및 30。반경 -O, 012 :tO, 063(p = 0.127) 였다. 전체 대상자에서 비구면계수와 퉁가구면 굴절이상도. 각막 정점 곡활반경, 안축장은 상관 성이 없었고, 2차 측정시 비구변계수와 각막난시는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으나(1' = 0.283, P = 0,021). 변회노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r 0,009, p = 0,945). 근시군어서는 각딱 정점 곡 률반경 (1 자 , r = • 0.399, p=0.014. 2 치: 1' =-0,361, p=0.028) 과는 낮은 상관성블 띄였 고, 변화도에서도 상관성을 보였다(r 0,110‘ p=0.012) 벼구면계수와 각막난사은 낮은 상 핀성이 있었으나(1차 r=0.354 , p=O , O~~2 , 2 차 r = 0 427‘ p=0.008) , 변회노에서는 상 판성이 없었다(r = -0.012, P = 0.945) 빈연, 비큰시군은 비구면계수와 제시된 안광학상수 사이에 장관성아 없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비구면계수과 관련된 각막의 비구면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성장기 학생의 각막 형상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설계 및 제조를 위해서는 근시안에 대한 장기적 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자기공명 영상과 조직검사와의 비교 연구

        원중희,장봉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2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조직병리학 소견과 비교연구하였다. 11명의 환자 12회의 고관절에 관해 연구하였다. 3례의 고관절은 Stage 2, 6례는 Stage 3, 3례는 Stage 4였다(Ficat and Alert). 표본은 영상에 따라 절개하여 조직학적으로 연구하고 T1, T2 자기공명영상과 연관지었다. 초기에 괴사 소견은 T1에서 음영이 증가되었다. 괴사골과 괴사지방이 괴사부분에서의 낮은 음영을 나타내었다. 괴사부위 주위의 낮은 음영의 띠는 섬유조직과 골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괴사부 밖의 음영도 정상지방골수에 비하면 감소되었다.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각각의 진행시기나 대퇴골두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조직학적 소견과 상호연관지을 수 있었다. Magnetic resonance image of INFH were correlated with histopathologic sections. Eleven patients with twelve hip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reoperative radiographs and MRI were taken for the patients. Three hips were in stage Ⅱ, six hips were in stage Ⅲ, and remaining three were in stage Ⅳ respectively(Ficat and Alert). These hips were replaced with artificial joint and resected heads were examined. The specimens were bisected along the imaging plane, and studied histologically and matched with respective MR images of T1 and T2. Necrotic portion in earlier stage showed higher signal intensity in T1-weighted image. Subchondral void, necrotic bone, and saponified fat were responsible for low signal intensity in necrotic portion. Low signal band adjacent to the necrotic foci represented inner fibrous tissue and outer reactive sclerotic bone. Outside the necrotic foci, the signal intensity diminished compared with normal fatty marrow. These findings were attributed by cellular infiltration and trabecular bony proliferation. MRI patterns were variable in various stages and each femoral head, but corresponded well with histologic findings.

      • 매듭 방법과 굵기에 따른 수술용 철사의 강도

        전경철,고영도,정성수,원중희,장봉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정형외과수술에서 수술용 철사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원회철사고정시 최대한의 고정을 얻기 위해 정형외과의사들은 적절한 굵기의 선택과 효과적인 매듭 방법을 사용해야만 한다. 강한 내고정 요구시에는 원회철사고정이 아직도 믿을만한 시술로 인식되지는 않는다. 이는 비효과적인 매듭 방법, 부적절한 굵기에 기인한다. 아직도 원회철사고정시 효과적인 매듭 방법이나 적절한 굵기에 대한 연구 및 이론적 배경이 부족한 형편이다. 우리는 각기 다른 굵기의 철사 및 여러 방법의 매듭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경우를 얻기 위해 비교 실험을 하였다. 최대 응력과 파괴점 응력 측정은 load cel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임상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16G, 18G, 21G에서, 최대 응력이 16G에서는 21.337 ±0.640 (kgf)인 반면에 18G, 21G는 11.874 ±2.081 (kgf), 6.255 ±1.005 (kgf)로 굵기가 굵을수록 더 큰 값을, 꼬임매듭이 매듭꼬임보다 16G에서는 약 73배, 18G에서는 약 18배 그리고 21G에서는 약 3배로 더 큰 값을 얻었다. 그리고 요크를 이용한 장력기조작 방법보다는 철사집게를 이용한 수동조작 방법이 16G에서는 약 2배 그리고 18G, 21G에서는 약 1.5배 더 큰 값을 얻었다. 본 실험을 통해 수술용 철사의 사용시 더 굵을수록, 매듭꼬임보다는 꼬임매듭이, 요크를 이용한 장력기 조작 방법보다는 철사집게를 이용한 수동조작 방법이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role of surgical wire in the bone and joint surgery is very important. To get a maximum effect of the surgical wiring, the orthopaedic surgeon should not only select appropriate wire diameter but also apply adequate wiring technique. When strong fixation is required, wire loops are frequently untrustworthy. These are due to insufficient caliber or inadequate technique of wire thightening and/or twis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effective wiring technique and useful diameter in cerclage wiring is poor. We studied the effective cerclage wiring by different wiring technique and diameter. We evaluated ultimate stress and stress at breaking point with load cell. Ultimate stress and stress at breaking point of different diameter of the wire was higher in 16G than 18G or 21G. Twist knot was stronger than knot twist. Wire holder was more effect than tensioner(york). Tension tightening with twist knot by wire holder have been found most suitable for internal fixation by surgical wire.

      • 후측방 유합술

        고영도,장봉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2

        척추관 협착증이나 척추관 협착증이 동반된 척추전방전위증의 치료시 광범위한 후방감압술에 의한 불안정성의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척추경 나사고정술을 이용한 후측방 유합술을 시행하며, 척추의 일부 운동분절의 고정으로 인한 고정분절 상위분절에 변화가 예측된다. 1992년 8월부터 1994년 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정형외과에서 광범위한 후방감압술 및 척추경 나사고정술을 이용한 후측방유합술을 시행한 27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요추전만각의 변화, 고정분절 상위분절의 추간판 간격의 감소 및 불안정성의 유무와 임상적 결과와의 연관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적 평가는 우수 3.7%, 양호 70.4%, 보통 14.8%, 불량 11.1%, 74.1%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2. 요추전만각은 수술직후 증가했다가 점차로 감소했으며, 최종추시시의 요추전만각은 임상결과와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으나 요통의 유무와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3. 고정분절 상위분절의 추간판 간격은 술후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나, 그 감소 정도가 임상결과 및 요통의 정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4. 37례중 3례(11.1%)에서 고정분절 상위분절에 불안정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술후 요통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술시 요추전만각의 정상범위로 회복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에 대한 교차 핀 삽입 고정술

        장봉순,서중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2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은 소아의 주관절 골절 중 가장 흔하다. 최근 치료의 추세는 만약 도수 정복으로 만족스러운 정복이 얻어지면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내, 외측 교차 핀을 삽입하는 것이다. 여러 가지 합병증 가운데 내반주 변형이 가장 흔한데 이는 부정확한 정복 및 정복유지의 실패에 기인한다. 각형성 변형과 함께 원위골편의 기울임 변형은 흔히 변형과 주관절 운동 장애를 유발한다. 본원에선 1993년 5월에서 1995년 12월까지 총 42예의 Gartland 제 Ⅱ, Ⅲ형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에서 관혈적 정복이나 비관혈적 정복후 경피적 핀고정술이나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1. 방사선학적 측면 사진상 골절면이 사상이거나 내상과 측에 분쇄 골절면이 있는 경우, Baumann각에서 5도 이상의 차이가 일었던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2. 이와 같이 정복이 불안정한 경우 정확한 정복과 정복의 유지를 위하여 평균 2.7개의 핀이 필요하였다. 3. 비록 수술 직후 5mm의 회전 전위와 5mm의 전, 후방 각형성과 2-4mm의 수평 전위를 허용하여도 마지막 추시시 건측의 운반각과 Baumann 각에 근접하였다. The supracondylar fracture of the humerus is the most common fracture of the elbow in children. New trends for treatment is that if satisfactory reduction is achieved by manual reduction, medial and lateral cross percutaneous pinning fixation is better than others for stable fixation. Among many complications, cubitus varus deformity most commonly results from inaccurate reduction and failure in maintenance of fixation. The forty-two Gartland type Ⅱ, Ⅲ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humerus were treated by closed reduction or open reduction with percutaneouss pinning or internal fixation from May 1993 to December 199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4 frequency of a difference above 5°in Baumann's angle was relatively high if fractare line were oblique on lateral roentgenograms or medial column comminution is present, that is, reduction is unstable. 2. At this time, average 2.7 pin is needed for inaccurate reduction and maintenance of stability in outs study. 3. Even though a few degree of rotation(5mm), translation(about 2-4mm) and angulation(5-10') is resent at immediate reduction, follow up carrying angle and Baumann's angle is often remained at about the similar values compaired with normal at the last follow up. 4. If aceptable range of intraoperative carrying angle were achieved and a few degree of rotation, translation and angulation was permitted after reduction, only rarely is caused varus deformity and limitation of motion of elbow so that repetative forceful manual reduction for anatomical reduction is avoided because the final results may be progressively remodelled to norm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