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차 진료교육 정책을 보완하는 ‘진로소명’ 교육 제안 : 기독교 학교에서 종교 교과를 통한 진로 교육

        고수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0

        It is the fact that so many youths worry on their career. Since as getting adolescents, they have an ability to imagine their own future. In a social aspect, it was the first time to consider ‘the youth’ as a ‘choosing time for a career’. After the first industry revolution, a new change happened in a career concept, it had not been a succession task from ancestors but become a choosing problem for youth. Today, the concept of ‘career calling or vocation’ has been emerging as an ‘altruistic work’ in a social science. However, it was 16C that a work had been changed from labor to calling or vocation. Religious reformer,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reminded all works and roles in all spheres of people as a ‘holy calling’ like as a clergy. Contrary on emphasis of ‘God’s calling’ from two reformers, Dietrich Bonhoeffer and Richard Niebuhr emphasized the ‘human’s responding’ on the calling. But recently, Parker Palmer advocated that listening of inner voice and God’s voice in silen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alling. Thus, the Calling course is silence, listening and responding to God’s voice and social voice. Originally a career education is the public work in a society but recently it has pronounced in the Korea Education Ministry. In 2009, the first career education policy came up, and in 2016, it had been enforced by the 2th career education policy. However, it has many downsides so that lots of education professionals have pointed out defaults of the policy in individualism, narrow sight and isolation from a real life. Therefore, this study like to suggest the ‘career education by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 The present 2th career education policy has been accepting exchange and connection with other courses. Since a career is the problem of the future, it is so hard to deal with this problem without a deep insight, religious and existential sight about life. The present career education highlights a personal purpose, a privileged achievement and creativity but tends to ignore the social, historical and transcending calling. But individual purpose of a life cannot be divided from ultimate purpose of a humankind. Youth can find out a valuable calling when they are thinking over what is their calling from the holistic and far-sighted view about their life in religious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career calling education by the way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The main point of this education is ‘calling’ concept and the scope is all and total life sphere. The process of this education is silence’s education, listening’s education and responsible responding’s education. This study has lots of defaults however I wish that this education can keep youth who is standing between anxiousness and blinded expectation about future from pseudo or extreme religion, and also look forward to raise up healthy personality who can confront many difficulties about future. 청소년은 미래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지면서 진로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불안사이에 서있게 된다. 산업혁명 이후 진로는 선택의 문제가 되었지만, 미래 사회 직업 구도의 변화는 진로가 단지 청소년기의 선택과 결정의 문제가 아닌 평생의 과제가 될 것을 예측한다. 오늘날 사회과학 분야에서 ‘이타적 직무활동’ 개념으로 ‘진로 소명’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진로를 준비의 과정에서 근본적인 수정의 필요성을 어필한다. 진로 혹은 직업이 하나님의 ‘거룩한 부르심’ 으로 전환되기 시작한 것은 16C 부터 이었다. 마틴 루터와 존 칼뱅은 직업을 포함한 여타의 노동, 일상의 역할들이 성직과 다름없는 하나님의 부르심, 소명이라고 보았다. 종교개혁자들이 소명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강조하였다면 디트리히 본회퍼와 리차드 니버는 소명에 대한 인간의 책임적 응답을 강조한다. 곧 소명은 모든 삶의 영역에서 부르심, 들음, 응답의 과정으로 인식, 실행될 수 있다. 영성학자 파커 팔머는 소란과 소음이 많은 시대에 잘 듣기 위한 침묵의 훈련이 전제되어야 할 것을 조언한다. 본래 진로 교육은 사회적 공공재로서 국가에서 책임져야 할 문제이지만, 최근에서야 그것이 청소년의 권리이며 공교육의 책임이라는 것을 인식, 공포하였다. 현재 시행되는 제2차 진로교육 정책은 진로 교과, 진로 교사 배치, 진로 교육 집중 학기제, 상담을 통한 서비스 등 다양한 정책을 시도하고 있지만 개인주의적 관점, 근시안적 안목, 실제 삶과 이분화 된 텍스트 위주 등의 한계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진로 교육 정책에 대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종교교과의 진로 소명 교육 참여를 제안하고자 한다. 2차 진로 교육 정책이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을 추구하는 것을 볼 때 종교교과의 진로 ‘소명’ 교육에 대한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다. 진로는 미래에 대한 접근이므로 인생의 실존에 대한 심원한 안목, 종교적 관점을 배제하고 다루기 어렵다. 현 진로 교육은 개인의 목적과 성취우위, 창의성을 강조하는 반면 사회적, 역사적 소명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모든 인생에는 유일무이한 목적이 있고 그것은 인류의 보편적, 궁극적 목적과 분리될 수 없다. 종교는 인생에 대한 원시적, 통합적, 초월적 안목을 형성시킴으로서 가치 있는 소명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한다. 기독교 학교의 종교 교과를 통한 ‘진로 소명’교육의 과정은 침묵의 소명교육, 들음의 소명 교육 그리고 책임의 소명 교육이다. 본 연구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진로는 직업 이상의 가치와 의미를 갖기에 종교교과를 통한 진로 소명교육이 삶에 대한 진지함과 경외감을 배우는 교육의 자리가 되도록 공헌 할 것을 기대한다.

      • 식물요소가 도입된 공간연출의 최신경향

        고수진,이진민,홍순미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7 No.-

        본고는 최근 3년(2009년에서 2011년)동안 매거진 에 나타난 공간에서의 식물요소의 연출표현방법 및 디자인의 경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식물요소가 도입 된 공간연출 연구에 있어 특정 공간의 일시적인 표현 연구에만 한정되어 있다 보니 전문적인 연구 자료의 활용이 미흡하다. 따라서 최신 경향에 대한 연구에 의미가 있다고 보고, 식물요소의 연출에 관한 경향 분석 및 연출방법 파악에 있어 학문적 기초적 연구 자료로 활용이 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에 식물 요소의 기본적 이해를 두고 최근 3년간 국내외의 리 빙 매거진의 사례를 고찰하여, 식물 요소가 도입된 공간연출의 최신경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임종 전 말기 암 환자의 임상 증상 및 징후의 변화

        고수진,이경식,홍영선,유양숙,박혜자,Koh, Su-Jin,Lee, Kyung-Shik,Hong, Yeong-Seon,Yoo, Yang-Sook,Park, Hyea-Ja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보다 정확한 잔여 수명을 예측하고자 임종의 시기에 객관적으로 임상적 증상 및 징후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방법: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를 방분한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시부터 임종까지 말기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과 신체적 징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증상의 정도는 $0{\sim}3$점수화하였으며 신체적 징후는 있다 또는 없다로 구분하였다. 이밖에 활력증후와 통증 정도, 진통제 사용을 관찰하였다. 결과: 호흡곤란, 혼수의 증상은 입원 시와 비교해서 임종 $1{\sim}2$일 전에 악화되었다. 대상자의 활동 수행 능력은 임종 시간이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섭취량과 소변 배설량도 줄어들었다. 특히 임종 $1{\sim}2$2일 전부터 현저하게 혈압이 감소하였다. 임종 시점을 기준으로 시기에 따라 증상의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난 임상 지표는 활동수행 능력, 수축기 혈압, 구강건조증, 식욕저하, 쇠약감, 변비, 황달, 부종, 욕창, 호흡곤란, 진정, 혼수, 청색증, 호흡이상, 가래 끓는 소리, 눈을 뒤로 젖힘 등이었다. 결론: 말기 암 환자에서 수축기 혈압의 감소, 호흡곤란, 진정, 혼수, 청색증, 호흡이상, 가래 끓는 소리, 눈을 뒤로 젖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임종이 임박했음을 예상하여 가족들과 환자가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의료진도 임종에 관한 돌봄을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Purpose: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ccurate prediction of survival is necessary for clinical and ethical reasons, especially in helping to avoid harm, discomfort and inappropriate therapies and in planning specific care strategi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rognostic factor of dying patients. Methods: We enrolled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from Kangnam St. Mary's Hospital from 2004 until their death. We observed symptoms shown in dying patients and assess 17 common symptoms show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performance status, pain and analgesic use. Results: Average period from hospitalization to death was 11.7 day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s performance status (KPS), average KPS at enrollment is 48% and at last 48 hours is 25%. Physical symptoms that have significant prognostic importance are poor oral intake, weakness, constipation, decreased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bed sore, edema, jaundice, dry mouth, dyspnea. Dying patients showed markedly decreased systolic blood pressure, cyanosis, drowsiness, abnormal respiration, death rattle frequently at 48 hours before death. Conclusion: If we assess the symptoms more carefully, we can predict the more accurate prognosis. The communication about the prognostic information will influence the personal therapeutic decision and specific care planning.

      • 대금과 플룻의 배음구조에 따른 색청 연구

        고수진,김준 한국공학안전보건예술학회 2014 한국공학예술학회 논문지 Vol.6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악기인 대금의 음색을 서양 목관 악기인 플룻 음색과 비교하여 분석하고, 각 악기 의 음색적 특징을 찾아 그것을 색청(Color-Hearing)에 대입해 보았다. 대금과 플룻 모두 부는 관악기로 진보라 (Dark-violet)색과 노란색(Yellow)을 강하게 주로 띠고 있으며, 일반 주법의 대금은 원래 음정의 색 이외의 다른 색이 높은 주파수의 배음에서 나타났다. 이렇게 나타난 색은 원음의 색, 진보라 또는 노란색과 가산 혼합하여 좀더 명도가 높아진 색 으로 표현된다. 청 소리의 대금은 E♭3에서 특이하게 음량이 큰 상위 5순위 배음들이 주로 기본 주파수가 아닌 제 1배음에 몰려있다. 원래의 피치가 역배음으로 들리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으로 대음의 청 소리 E♭3은 좀더 명도가 높은 음색을 갖 는다. 플룻은 E♭3과 B♭3 음이 음량이 큰 상위 5순위 배음들이 다 제1배음에 몰려있어, 훨씬 더 명도가 높은 색이 나타난 다. 저음역에서 대금의 청과 플룻의 음색이 밝다고 할 수 있겠다. 반면에 일반 주법의 대금 소리는 거의 모든 대역이 순색 보다는 명도가 더 높은 색이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로 소리를 들어보면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많이 들린다. In this study, the timbre of Daeguem, a Korean representative wind instrument, is compared with that of flute, an occidental woodwind, and analyzed, and then the features of timbre of each instrument are applied to the color- hearing. The result shows that both of Daegum and flute have mainly dark violet color and yellow color, and Daegum without ‘Cheong (a thin film inside reed attached to the orifice next to the mouthpiece of Deageum), has color other than that of its original timbre in harmonics of high frequency, which results in a brighter color due to the additive color mixture (dark violet or yellow color of original tone and that of harmonics). Most of the first five loud volume harmonics in E ♭3 of Deagum with ‘Cheong’, are distributed in the first harmonic tone, not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It means that the original pitch sounds like harmonic inverse. This causes the sound of Deagum with ‘Cheong’ to have brighter color of timbre. In case of flute, all of the first five loud volume harmonics in E♭3 and B♭3 are distributed in the first harmonic tone, resulting in much brighter color. It can be said that the color of timbre of Daegum with ‘Cheong’ and that of flute are brighter in the lower register, whereas the color of timbre of Daegum without ‘Cheong’ is brighter than unmixed color in almost all registers, relatively many noises being actually heard.

      • 거문고와 가야금, 어쿠스틱 기타의 배음구조에 따른 색청 연구

        고수진,김준 한국공학안전보건예술학회 2012 한국공학예술학회 논문지 Vol.4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뜯는 현악기인 거문고와 가야금의 음색을 서양 악기인 어쿠스틱 기타 음색과 비교 하여 분석하고, 각 악기의 음색적 특징을 찾아 그것을 색청(color-hearing)에 대입해 보았다. 거문고, 가야금, 기타 모두 뜯는 현악기로 진보라(dark-violet)색을 주로 띠고 있으며, 배음들이 음량이 큰 가야금이 가장 밝은 색청을 가지고 있고, 거문고와 어쿠스틱 기타가 비슷한 밝기의 색청을 가지고 있다. The tone color of geomungo and gayageum which are the plucked string instruments of Korea was compared with that of acoustic guitar, the western musical instrument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and the tone color features of the musical instrument were found and they were substituted into the color-hearing. Geomungo, gayageum and guitar, they are all plucked string instruments which are mainly charged with dark-violet and gayageum is the brightest as it has the biggest harmonics in terms of contrast, geomungo and guitar have similar brightness.

      • KCI등재

        여수와 남해 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

        고수진,서수현,이성훈,유태식,한경호 한국어류학회 2019 韓國魚類學會誌 Vol.31 No.3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eggs and larvae were investigated from 2017 to 2018. During the study period, the fish egg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6 taxa.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eggs were Engraulis japonicus, Leiognathus nuchalis, and Konosirus punctatus.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96%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collected larval fishes were identified into 17 taxa, 11 families, and 5 orders. The dominant species of larval fish were Engraulis japonicus, Leiognathus nuchalis, and Konosirus punctatus.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70%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diversity index of the larval fishes was the highest in summer (Hʹ=1.78) and the lowest in winter (Hʹ=1.34). The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in this area were Engraulis japonicus, Konosirus punctatus, Sebastes schlegelii, Cynoglossus joyneri and Stephanolepis cirrhifer. 이 연구는 여수시와 남해군 연안에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년에 걸쳐 계절별로 총 8회 수집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7개의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총 6개 분류군으로, 우점종은 멸치, 주둥치, 전어였고, 이 3종은 총 개체수의 96%를 차지하였다. 연구기간 중 출현한 자치어는 총 5목 11과 17개 분류군으로 우점종은 멸치, 주둥치, 전어로 부유성 난과 같았으며. 이 3종은 총 개체수의 70%로 높은 비율이었다. 자치어의 다양성 지수는 여름에 가장 높았고 (Hʹ=1.78) 겨울에 가장 낮았다 (Hʹ=1.34).

      • KCI등재

        Experiences and Opinions Related to End-of-Life Discussion: From Oncologists' and Resident Physicians' Perspectives

        고수진,김신미,김진실,김범석,허대석,이경희,김봉석,김지현,장혜정,백선경 대한암학회 2018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50 No.2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how oncologists and resident physicians practice end-of-life (EOL) discussions and to solicit their opinions on EOL discussions as a me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EOL care. Materials and Method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opinions about EOL discussions among oncologists and residents. Descriptive statistics, the t test, and the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for the analyses. Results A total of 147 oncologists and 229 resi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pondents reported diverse definitions of “terminal state,” and most respondents tried to disclose the patient’s condition to the patient and/or family members. Both groups were involved in EOL care discussions, with a rather low satisfaction level (57.82/100). The best timing to initiate discussion was considered when metastasis or disease recurrence occurred or when withdrawal of chemotherapy was anticipated. Furthermore, the study respondents suggested that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EOL discussion. Medical, legal, and ethical knowledge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along with practical issues were revealed as barriers and facilitators for EOL discussion.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d various perspectives of oncologists and resident physicians for EOL discussion. Since the Life-Sustaining-Treatment Decision-Making Act will be implemented shortly in Korea, now is the time for oncologists and residents to prepare themselves by acquiring legal knowledge and communication skills. To achieve this, education, training, and clinical tools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