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허영백,조규태,변순규,전창영,조기채,Hur, Young Baek,Cho, Kyu Tae,Byun, Soon Gyu,Jeon, Chang Young,Cho, Kee Chae 한국패류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9 No.2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 (L-3,4-dihydroxyphenylalanine, serotonin, ${\gamma}$-amino butyric acid,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pm}2.2%$, $35.4{\pm}2.0%$, $19.2{\pm}2.1%$, $11.0{\pm}1.2%$, $15.2{\pm}0.9%$ 및 $42.7{\pm}2.7%$ 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 $1.97{\pm}1.42$ 및 $2.37{\pm}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 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gamma}$-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neuroactive compounds known as synthetic larval settlement inducers on the settlement of the Pacific oyster C. gigas pediveliger on the larval collector. Six types of the inducers, serotonin (5-HT),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methyl bromide (MB) were tested. All the chemicals induced larval settlement, MB being the most effective with settlement rate of $42.7{\pm}2.7%$, followed by GABA ($35.4{\pm}2.0%$), 5-HT ($29.1{\pm}2.2%$), L-DOPA ($19.2{\pm}2.1%$), epinephrine ($15.2{\pm}0.9%$), and norepinephrine ($11.0{\pm}1.2%$). The chemicals ${\gamma}$-amino butyric acid and methyl bromide were also better in terms of settled density on the collector with their respective density of $1.97{\pm}1.42$ and $2.37{\pm}1.86\;ind/cm^2$, reminiscent of being most effective candidates for a larval settlement inducer in the oyster hatchery.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허영백,조규태,변순규,전창영,조기채 한국패류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1 No.1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L-3,4-dihydroxyphenylalanine,serotonin, γ-amino butyricacid,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 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 ±2.2%, 35.4 ± 2.0%, 19.2 ± 2.1%, 11.0 ± 1.2%, 15.2 ±0.9% 및 42.7 ± 2.7%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γ-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1.97 ± 1.42 및 2.37 ± 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γ-amino butyric acid와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neuroactive compounds known as synthetic larval settlement inducers on the settlement of the Pacific oyster C. gigas pediveliger on the larval collector. Six types of the inducers, serotonin (5-HT), γ-amino butyric acid (GABA),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methyl bromide (MB) were tested. All the chemicals induced larval settlement, MB being the most effective with settlement rate of 42.7 ± 2.7%, followed by GABA (35.4 ± 2.0%), 5-HT (29.1 ± 2.2%), L-DOPA (19.2 ± 2.1%), epinephrine (15.2 ± 0.9%), and norepinephrine (11.0 ± 1.2%). The chemicals γ-amino butyric acid and methyl bromide were also better in terms of settled density on the collector with their respective density of 1.97 ± 1.42 and 2.37 ± 1.86 ind/cm2, reminiscent of being most effective candidates for a larval settlement inducer in the oyster hatchery.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유생 성장단계별 미세조류 12의 소화도

        허영백,전창영,조기채,허성범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7 No.4

        Twelve species of food microalgae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 digestion index of Crassostrea gigas larvae using epifluorescence microscopy to choose an appropriate diet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in hatcher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1 (D shaped stage), 4 (Early umbo stage), 8 (umbo stage) and 12 (Full grown stage) days old larvae. larvae were stocked in 1 L flasks at 5 individuals/mL and fed 10×104 algal cells/mL of each species individually. Prior to larvae were fed for 3 h and then were observed under the microscope to detect ingestion; larvae were then sieved and replaced in 1 L flasks containing filtered seawater and were observed after 3, 5 and 8 h to analyse the digestion index. Values of digestion indices were specific for each alga. No evidence for the ingestion of Thalassiosira weissflogii was evident at all larval development stages tested. Digestion indices of others microalgae were 0.8-99.7% at 4 stage of larval development stages: Chlorella ellipsoidea (0.8-5.4%), Nannochloris oculata (1.4-5.0%), Isochrysis galbana (99.1-99.5%), Pavlova lutheri (99.1-99.5%), I. aff. galbana (99.4-99.5%), Cheatoceros calcitrans (0.0-99.2%), C. gracilis (0.0-99.7%), C. simplex (0.0-95.9%), Phaeodactylum tricornutum (0.0-99.6%), Tetraselmis tetrathele (0.0-99.7%) and Dunaliella tertiolecta (0.0-99.6%),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food microalgae showing the high digestion such as I. galbana should be supplied to the early umbo stage larvae, and then after the umbo larval stage, the mixed microalgae with diatoms and light green algae should be supplied to the full grown stage larvae to increase the digestion of their larvae. 굴 인공종묘생산 시 적정 먹이생물을 선택하기 위하여 먹이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12종의 미세조류를 대상으로 굴 유생의소화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유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D형 유생, 초기각정기 유생, 각정기 유생 및 부착기 유생으로 구분하여 수용적 1L 수조에 5 마리/mL 밀도로 각각의 성장단계별유생을 수용하고, 조사대상 먹이생물 12종을 각각 투여하였다. 소화도 측정은 먼저 12종의 먹이생물을 공급 후 3시간 동안충분히 섭취하도록 방치한 후 먹이섭취 상태를 현광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이 후 유생은 걸름망으로 걸러 여과해수가 채워진 비이커에 재 수용 후 3,5 및 8시간 후 소화도를 현광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12종 미세조류의 소화도는 유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했다. 전 유생기 동안 Thalassiosira weissflogii는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고, 나머지 종의 소화도는유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0.8-99.7%: Chlorella ellipsoidea (0.8-5.4%), Nannochloris oculata (1.4-5.0%), Isochrysis galbana (99.1-99.5%), Pavlova lutheri (99.1-99.5%), I. aff. galbana (99.4-99.5%), Cheatoceros calcitrans (0.0-99.2%), C. gracilis (0.0-99.7%), C. simplex (0.0-95.9%), Phaeodactylum tricornutum (0.0-99.6%),Tetraselmis tetrathele (0.0-99.7%) 그리고 Dunaliella tertiolecta (0.0-99.6%)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기 유생은 I. galbana와 같이 소화성이 높은 것을 공급하고 각정기 이후규조류 또는 담녹조류를 혼합해 주는 것이 소화성을 높일 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부착기 유생의 부착에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종의 영향

        허영백,조규태,변순규,문태석 한국패류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0 No.4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neuroactive compounds known as synthetic larval settlement inducers on the settlement of the Pacific oyster C. gigas pediveliger on the larval collector. Six types of the inducers, serotonin (5-HT), γ-amino butyric acid (GABA),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methyl bromide (MB) were tested. All the chemicals induced larval settlement, MB being the most effective with settlement rate of 42.7 ± 2.7%, followed by GABA (35.4 ± 2.0%), 5-HT (29.1 ± 2.2%), L-DOPA (19.2 ± 2.1%), epinephrine (15.2 ± 0.9%), and norepinephrine (11.0 ± 1.2%). The chemicals γ-amino butyric acid and methyl bromide were also better in terms of settled density on the collector with their respective density of 1.97 ± 1.42 and 2.37 ± 1.86 ind/cm2, reminiscent of being most effective candidates for a larval settlement inducer in the oyster hatchery.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종류(serotonin, γ-amino butyric acid, L-3,4-dihydroxyphenylalan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 methyl bromide) 의 신경전달물질을 채묘기질에 직접 처리하여 굴 부착기 유생의 부착 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평균 채묘율는 각각 29.1 ± 2.2%, 35.4 ± 2.0%, 19.2 ± 2.1%, 11.0 ± 1.2%, 15.2 ± 0.9% 및 42.7 ± 2.7%로 MB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norepinephrin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채묘기질 cm2당 부착밀도와 부착빈도는 γ -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 처리구에서 각각1.97 ± 1.42 및 2.37 ± 1.86 마리/cm2로 가장 높은 부착밀도를 보였다 (P < 0.05). 본 실험결과 굴 인공종묘배양장 등에서 부착기 유생의 부착요율을 높이는데, γ-amino butyric acid와 methyl bromide를 이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유생의 먹이생물 섭취 크기

        허영백,전창영,조기채,허성범,Hur, Young-Baek,Jeon, Chang-Young,Cho, Kee-Chae,Hur, Sung-Bum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7 No.4

        유생의 발달크기에 따라 미세조류 12종에 대하여 섭취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유생의 크기에 따라 섭취 가능한 미세조류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 유생크기에서 I. galban, I. aff. galbana, P. lutheri, C. ellipsoidea, N. oculata는 94.2-99.7%의 섭취율를 보였고, C. calcitrans, C. gracilis, C. simplex는 평균 각장 $189.3{\pm}13.8{\mu}m$ 크기인 중형 각 정기 이후 90.0% 이상의 섭취율을 보였다. P. triconutum, D. tertiolecta, T. tetrathele는 평균 각장 $65.0-100.0{\mu}m$의 D형 유생은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후 유생에서는 각각 97.3-99.7%, 43.3-99.3%, 48.5-99.3% 섭취하였다. 그러나 T. weissflogii는 평균 각장 $306.2{\pm}14.7{\mu}m$ 이상에서 1.0-1.7%의 섭취율을 보였지만, 전체 유생기동안 그의 섭취가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해 전체 50.0% 이상 섭취 가능한 먹이생물의 세포크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각장 $102.3{\mu}m$ 이하의 D형 단계는 장축과 단축 모두 $4.6{\mu}m$ 이하, $158.3{\mu}m$ 미만에서는 장축기준으로 $9.3{\mu}m$ 미만까지 섭취가 가능하고, $158.3{\mu}m$ 이상 크기는 단축 기준 $9.3{\mu}m$까지 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제 유생기 동안 장축과 단축을 포함해서 $10.0{\mu}m$ 이상은 섭취가 되지 않았다. Digestibility index of 12 phytoplankton species were invested during the larval development sizes. Ingestible size of phytoplankton varied depending on larval sizes: Isochrysis galbana, I. aff. galbana, Pavlova lutheri, 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was ingested 94.2-99.7% all larval sizes. Cheatoceros calcitrans, C. gracilis and C. simplex could ingest over 90.0% after umbo stage (mean shell length $189.3{\pm}13.8{\mu}m$). Phaeodactylum triconutum, Dunaliella tertiolecta and Tetraselmis tetrathele could not ingested D-shaped larvae (shell length $65.0-100.0{\mu}m$) but ingested 97.3-99.7%, 43.3-99.3%, 48.5-99.3% after then larval stages, respectively. But Thalassiosira weissflogii was ingested 1.0-1.7% only at full grown stage. Over 50.0% ingestion cell size was D-shape stage larvae with smaller than mean $102.3{\mu}m$ in shell length could ingest phytoplankton with $4.6{\mu}m$ in both major and minor axis and up to $9.3{\mu}m$ in minor axis basis for larger than mean $158.3{\mu}m$ in shell length, respectively. At all larval stages, phytoplankton with larger than $10.0{\mu}m$ in both major and minor axis could not be ingested.

      • KCI등재

        굴 Crassostrea gigas 유생의 먹이생물 섭취 크기

        허영백,전창영,조기채,허성범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0 No.4

        Digestibility index of 12 phytoplankton species were invested during the larval development sizes. Ingestible size of phytoplankton varied depending on larval sizes: Isochrysis galbana, I. aff. galbana, Pavlova lutheri, 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was ingested 94.2-99.7% all larval sizes. Cheatoceros. calcitrans, C. gracilis and C. simplex could ingest over 90.0% after umbo stage (mean shell length 189.3 ± 13.8 μm). Phaeodactylum triconutum, Dunaliella tertiolecta and Tetraselmis tetrathele could not ingested D-shaped larvae (shell length 65.0-100.0 μm) but ingested 97.3-99.7%, 43.3-99.3%, 48.5-99.3% after then larval stages, respectively. But Thalassiosira weissflogii was ingested 1.0-1.7% only at full grown stage. Over 50.0% ingestion cell size was D-shape stage larvae with smaller than mean 102.3 μm in shell length could ingest phytoplankton with 4.6 μm in both major and minor axis and up to 9.3 μm in minor axis basis for larger than mean 158.3 μm in shell length, respectively. At all larval stages, phytoplankton with larger than 10.0 μm in both major and minor axis could not be ingested. 유생의 발달크기에 따라 미세조류 12종에 대하여 섭취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유생의 크기에 따라 섭취 가능한 미세조류는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 유생크기에서 I. galban, I. aff. galbana, P. lutheri, C. ellipsoidea, N. oculata는94.2-99.7%의 섭취율를 보였고, C. calcitrans, C. gracilis,C. simplex는 평균 각장 189.3 ± 13.8 μm 크기인 중형 각정기 이 후 90.0% 이상의 섭취율을 보였다. P. triconutum,D. tertiolecta, T. tetrathele는 평균 각장 65.0-100.0 μm의D형 유생은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 후 유생에서는 각각 97.3-99.7%, 43.3-99.3%, 48.5-99.3% 섭취하였다. 그러나 T. weissflogii는 평균 각장 306.2 ± 14.7 μm 이상에서1.0-1.7%의 섭취율을 보였지만, 전체 유생기동안 그의 섭취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해 전체 50.0% 이상 섭취 가능한 먹이생물의 세포크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각장 102.3μm 이하의 D형 단계는 장축과 단축 모두 4.6 μm 이하,158.3 μm 미만에서는 장축기준으로 9.3 μm 미만까지 섭취가 가능하고, 158.3 μm 이상 크기는 단축 기준 9.3 μm까지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제 유생기 동안 장축과 단축을 포함해서 10.0 μm 이상은 섭취가 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