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영(陰翳) 인-에이(IN-EI) 이세이미야케' 조명기구 전시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작품 ‘어둠을 빛내다’를 중심으로 -

        김기슬,김리현,서민영,이진민,신은별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로서, 디자인의 차원과 요소, 원리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평면부터입체 공간까지 차원의 확장에 따른 전시 공간 디자인 계획 프로젝트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가지로 나 뉘는데 먼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자연물을 모티브로하여 점, 선, 면의 평면을 구성하고 이를 입체화하여 Mock-up 스터디를 통해 입체의 조형적 구축을 탐구하였다. 다음으로, 세 명이 한 팀이 되어 개인별 조형적 특징을 살려 팀 Mock-up으로 합쳐 구성하고 이에 어울리는 브랜드를 분석하여 ‘陰翳이세이미야케로’ 선정한다, 이후 공간에 어울리는 매테리얼, 색을 적용시키고 기능을 고려한 조닝, 동선, 도면 등으로 정리하여 전시 공간을 계획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적 공간디자인 계 획을 연구함에 있어 창의적인 프로세스를 제시하며 이론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조형세계를 구축하여 전시공간 디자인 계획한다. 향후 이와 관련된 전시공간 디자인 계획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디터람스에 관한 전시 공간 리뉴얼을 위한 연구 -기초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총15주간 진행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서, 공간기초 디자인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전시 공간 디자인프로젝트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먼저 선(Line), 형태(Form), 빛(Light),색(Color) 등의 기초 디자인 이론을 통해 디자인 요소에 대한 이해와 이를 공간에 적용하여 프로젝트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선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FrankStella의 작품을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 요소들의 형태적 변화와 주요 특징 요소들을 이용해 조형적인 공간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에 기능을 적용시켜전시 공간 계획을 진행하였으며 도면, 다이어그램, 동선, 소재 등 이러한 계획 과정을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다. 이 단계에서 기존 전시 공간 스터디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도출하여 공간의 컨셉과 목적을 구체화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걸 맞는 브랜드의 적용과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a project for the 15 week-long Spatial Design Studio Ⅱ class for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and the project was to develop a spatial design based on the basic theory of spatial design. The process of this study consists three phases. First, the study developed ideas for the project in adva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esign elements through exploration of basic design theories on line, form, light, color, etc. and then applied them to space. Second, the study created a formative space by identifying and using morphological changes of spatial design elements and major characteristic factor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works of Frank Stella. Lastly,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was conducted by applying functions to space, and the planning processes such as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a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is phase, problem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existing studies on exhibition space and solutions were to substantiate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space. All in all,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design processes, which will explore morphological aesthetics based on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which apply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and which reflect an exhibition function unlike the existing process of function-oriented spatial design.

      • 박물관 브랜드 마케팅 및 공간 프로모션 전략 -숙명여자대학교 내 정영양자수박물관 C·E·M 공간디자인을 중심으로-

        김은애,김예은,정채림,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정영양자수박물관의 콘텐츠를 활용한 통합 브랜드를 개발함에 있어 브랜드·디자인 ·마케팅을 융합한 시점에서 바라보고 그래픽아이덴티티, 제품아이덴티티, 공간아이덴티티 통합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박물관 방문자들과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C·E·M’을 物, 事, 人, 場가 융합된 문화로 한정한다. 그 결과, ‘C·E·M’은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을 융합하여 로고 및 사인물의 그래픽디자인부터 제품디자인, 공간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객관성, 스토리성을 도출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가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향후 이와 관련된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끌로드 모네를 위한 작품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몬드리안과 프랭크 스텔라 평면 회화 작품을 바탕으로 -

        김지효,전하영,정유진,이진민,신은별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공간스튜디오 디자인Ⅰ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로서, 기초 디자인 요소를 이용한 조형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평면회화를 통해 입체, 공간 조형을 하고 이에 어울리는 전시 컨텐츠를 선정하여 조형적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를 팀색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과정으로 나뉘며, 먼저 기초 디자인 요소를 디자인 원리에 평면 조형하고 이를 바탕으로 몬드리안 또는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입체화 시켜 mock- up 스터디를 통해 형태를 발전시켰다. 두 번째로 이에 맞는 전시 주제 분석하여 선정하였으며 공간의 기능과 색, 재질, 조명 등을 형태에 적용시켜 전시 공간으로 완성하였다. 이에 따른 플랜 및 조닝, 동선을 구체화 하여 표현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 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적합한 전시 컨텐츠 적용과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이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을 모티브로 한 레고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서민영,송윤영,정민주,이진민,신은별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Ⅰ 수업에서 진행한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로서, 디자인의 기본 요소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평면회화를 통해 평면, 입체, 공간 조형까지 차원에 확장에 따른 형태적 발전에 따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첫째 점, 선, 면의 디자인 기본요소를 이용하여 디자인 원리에 입각해 평면 구성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면회화를 선택하여 입체 조형을 통해 공간의 형태를 발전시킨다. 둘째, 공간의 형태에 적합한 브랜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위한 전시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적용된 공간 계획을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조닝, 동선, 색채 및 재질을 계획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조형적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전시 컨텐츠의 접목으로 향후 이와 같은 일련의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기초적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제품의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감성적 패키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패키지 디자인의 분류 및 분석, 외형적(External)소재 부분 중심연구

        송미나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09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현재 우리생활에서 패키지 디자인의 정의와 분류되는 방식, 트렌드를 분석하고 패키지 디자인의 소재 분석을 통해 우리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패키지 디자인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제품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중하나인 패키지 디자인은 제품 판매 및 이미지 형성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먼저 제1장에서는 패커지 디자인의 분류와 분석을 하는 목적과 문제를 파악하고 연구의 방법파 범위를 설정해 본다. 제2장에서는 본격적인 패키지 디자인의 분류, 분석해본다. 패키지 디자인을 외형적 (External)인 것과 기능적 (Functional) 인 것으로 분류해보았다. 외형적 분류로는 소재, 가공, 구조, 부피, 투명성 5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기능적 분류로는 제품 보호의 기능, 운반 용이의 기능, 정보전달·광고의 기능, 사용 용이의 기능, 심미적 기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패키지 디자인의 현재 트렌드를 살펴보면 크게 3가지로 들 수 있는데 리뉴얼 (renewal), 감성(sensibility), ECO으로 정해 내용을 연구했다. 제3장에서는 패키지 디자인의 소재를 분석하여 좀 더 패키지 디자인의 기본적인 것에 대해 연구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라는 것을 추출하였다. 앞으로도 패키지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연구함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의 사고의 변화의 계기가 될 것이다.

      • 미학과 사회적 이슈를 연계한 전시디스플레이 작품 연구 저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 프로젝트 - “나쁜 엄마, 최고의 아빠”의 전시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강미선 ( Kang Me-sun ),박수빈 ( Park Soo-bin ),윤정원 ( Yoon Jung-won ),오정은 ( Oh Jung-eun ),이소원 ( Lee So-won ),이진민 ( Rhie Jin-min ),신은별 ( Shin Eun Byeol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 분야에 미학을 기반으로 예술적, 사회적, 디자인적 측면으로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전시 디자인 분야의 색다른 코딩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고, 동시에 기존의 전시와는 차별화 되는 새로운 전시 공간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9월~12월까지 15주간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학과<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교과목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중 일부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3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학적 개념과 사회적 문제, 전시관련 학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뒤 이를 전시디자인에 코딩하는 작업을 선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코딩한 작업을 바탕으로 전략적 모티브를 빛으로 선정하고, 전시디자인 전략계획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전시전개구성을 하고 이를 통해 스토리가 있는 차별화된 공간구성을 하였다. 로고디자인, 포스터디자인, 리플렛디자인, 영상 디자인 등 전시디자인 E.I작업을 통해 전시를 표현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미학 + 사회문제 + 전시디자인의 코딩`이라는 새로운 창의적 전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고, 이는 미학과 사회문제의 이론적 고찰을 반영한 전시디스플레이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exhibition display from aesthetic, social issues, design aspects based on the aesthetic theory, to systematically summarize the display works and to propose unique exhibition display design process different from standardized display. The study subject is output from the `Exhibition display` subject of the Environment Design department of Soookmyung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6. The process of this study consists three phases. First, the study developed ideas for the project in adva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esthetics theories on middle age art and social issues. and then applied them to exhibition display. Second, the project created display outline and strategical design motive based on coding process with aesthetics. Lastly,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was conducted by storytelling, and specifically expressed by logo design, poster design, brochure design and media design are specifically expressed. All in all, This study`s creative design process called `aesthetics + social issues + exhibition display design coding`,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ew and creative exhibition display processes, which will reflected aesthetics theory and social issues unlike the existing process of exhibition display design

      • 마임 건강식품 홍삼진을 이용한 전통과 모던의 융합적 브랜드 이벤트 프로모션 산업체 연계를 통한 아트, 디자인, 공학, 마케팅 융합 디자인을 중심으로-

        길혜경,박민지,이하은,조예린,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융합 연출 디자인 이라는 목적에서 출발하여 마임 브랜드 홍삼진 제품을 다각적 측면에서 기획 및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 3월~ 6월 15주 동안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융합 캡스톤 디자인>수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본 연구는 마임브랜드 중, 건강식품을 브랜딩하고 있는 <홍삼 진>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기존 이벤트 프로모션과 전시의 사회적 문제를 도출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과 현대의 융합의 오감적 체험 프로모션을 주제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SWOT/STP 마케 팅 분석 방법과 브레인스토밍을 사용하여 아트, 디자인, ICT, Marketing의 융합 브랜드를 구축하였다.끝으로 본 연구는 향후 마케팅을 기반한 융합 브랜드 개발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융합연출적 관점에서의 브랜드 스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작품 ‘향명(響明) ; 울리는 빛’ 을 중심으로 -

        공혜림,김경희,이채린,최주현,이진민,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8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마임과 산업 연계하여 진행된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융합연출디자인워크샵’ 교과목을 통해 진행된 ‘향명(響明); 울리는 빛’ 프로젝트의 기획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마임의 브랜드 ‘오클래식’, ‘비에타’, ‘마임건강식품’을 브랜딩, 스타일, 마케팅적 측면에서 조사·분석하고, 최종적으로 마임의 프로모션 공간이 도출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브랜드 스페이스 디자인과 마케팅 분야에 있어서 체계적이고 융합적인 방법들로 결과물을 도출하는 방법을 정립했다. 또 본 연구의 자료가 향후 브랜드 스페이스 디자인과 마케팅 분야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브랜드 스페이스 마케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브랜드 스페이스를 개발하고 공간의 구성요소를 융합적으로 연출하는 프로세스를 마케팅 프로세스, 디자인 프로세스, 결과물 도출로 구성하여 그 과정들을 밝힌다.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와 디자인 분야의 전략을 종합하고, 기업의 홍보관, 전시관, 체험관, 판매관 등의 다양한 공간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디자인적 연결점을 찾아내 요소들 간 융합을 이루는 사례를 제시하여 브랜드 스페이스 마케팅에서 새로운 방향성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공간의 융합 연출적 구성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Andre Birtz 특별전을 위한 전시공간 계획 - 디자인의 기본요소를 중심으로 -

        김수림,이진민,신은별,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8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조형(造形)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한 공간 구성, 이에 맞는 작가의 작품을 적용시킨 작가 전시 공간을 디자인하는 프로젝트 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뉘며, 먼저 ‘Man the designer’의 기초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Andre Britz의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포스터를 제작하고 그를 바탕으로 입체화 시켜 형태를 발전시켰다. 두 번째로 작가의 특성이 느껴지도록 형태를 발전시켰으며 이에 맞는 기능과 색, 재질 등을 형태에 적용시켜 Andre Britz의 전시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이에 따른 도면 및 다이어그램, 동선 소재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15주 수업기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3주가 소요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 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걸맞는 작가의 적용과 그 의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