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비판적 성찰

        한미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ek some ideas which can activate th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Korean Christian faith and academic commun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the following three issues and alternatives were discussed; the rise and development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ristian education and the alternatives for overcoming the current crises. Since the 21st century arrived, university departments of Christian Education are faced with a challenge by the managerial logic. Furthermore, it is the reality of today’s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that similar disciplines like pastoral counseling and practical theology unnecessarily compete with it. Thus the author deeply contemplated and suggested some ideas as the plausible resolutions for the current crises. First, a new way of teaching and teacher training must be sought. As far as the current teaching conditions used, the digital divide between old teacher and young student will accelerate. Lastly, the Korean Christian education as the academic discipline needs to update its research and instructional technologies in order to advance its academism in a wider academic context including global CE networks. The Korean Christian education is now asking at the crossroad, “Will our children teach their children as we are?”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기독교 신앙 및 학문 공동체에서 논의되고 실천되어온 학문으로서의 기독교교육학의 출발과 발전과정, 그리고 현재의 당면한 위기에 이르기까지 비판적 시각에서 성찰하여 한국에서 기독교교육학이 확고하게 자리매김하는 학문이 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발생은한국에서 크리스천 공동체가 처음으로 형성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신학교육기관의 설립은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발생과 관련이 깊다. 교역자를 양성할최초의 신학교육기관인 평양 신학교가 1901년 설립되었으며 그곳에서 기독교 교육은 실천신학 과목이나 목회학 과목 속에서 다루어 졌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기독교교육학회와교회학교들의 연합도 한국기독교교육학의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크다 하겠다. 넷째, 한국의기독교교육학은 그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여타의 기독교학문과 그 맥을 같이 하여왔다. 60년대 이후 한국 교회는 산업화와 정치 민주화의 물결 속에서 예수가 제시한 복음과 진리의 길을 따르는 것이 곧 그 시대의 우리들에 대한 요청(소명)이라고 믿어 왔다. 이러한 예수의식과 제자양육에 관한 생각과 경험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성찰한 것들을 함께 나누는 장이 곧 학회가 되었으며, 기독교교육학의 발전은 대학에서 기독교교육학이 교수되고 연구되어야 활발히 발전 할 수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가 제안하는 한국기독교교육학의 위기 극복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대의 아동 및 청소년과 기성세대와의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를 해소하기위해 첨단 매체를 이용한 교육방법 및 교사교육이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21세기 기독교교육은 하이터치(high touch)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마음의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교회 내에서 교사를 지원하는 자들이 줄어들고 전문적인 교사훈련이 축소되거나 사라지고 있다. 그들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일군으로서의* 이 논문은 한국 기독교교육학회 2010년 11월 20일 추계 학술대회에서 주제 발표한 논문임. 소명교육일 것이다. 넷째, 학문으로서의 기독교교육학은 기독교교육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관련된 지식과 경험을 조직화하는 연구와 교수기능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더 나아가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기독인재상을 연구하여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이제는 기독교교육학회의 궁극적인 목적과 성과를 학문 후속세대가 살아갈 시대적 요청에 비추어 되새겨 보아야 할 때이다.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연구가 교회현장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연구가 되기위해서는 기독교대학과 교회와 기독교교육학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독교교육학의 미래는 위기이고 어둡다고 했지만 이 땅에 교회가 존재하는 한 기독교 교 육 학 은 계 속 될 것 이 기 때 문 에 미 래 가 암 울 하 다 고 는 생 각 하 지 않 는 다 .

      • KCI등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학문공동체성 함양을 위한 연구

        박상진,김효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8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Society for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SCRE) and suggest ways to consolidateits identity as an academic community by extracting related factors. KSCRE is asynthesis of diverse academic generations, multitudinous practice fields, and variedacademic disciplin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s of recognition, participation,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membership periods, practice fields, and academicmajors of the participant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s 70, among whichjunior scholars and leading ministers responded most actively. The return rate was35.9%,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level of recognition of KSCRE activity, it is shown thatthe participants with memberships of 3 to 5 years had the lowest average; there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groups. Identity as a KSCRE memberand belongingness were also lowest among the participants with memberships of3-5 years and among those who were enrolled in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e need of diversified academic perspectives andresearch areas” and “the need to change KSCRE” as the most important issue and“the absence of cooperative research among scholars and ministers” as the mostserious problem. Second, the average participation rate was the lowest among the three factorsof recognit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was even lower compared with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erewilling to actively participate in KSCRE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academy. However, the mean of the participation rate decreased in practice,whic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from various aspects. To grow as a soundacademic community, KSRCE needs to sufficiently announce their activities andevents to their members and find ways to increase the member participation.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subcategorized as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operations, conferences, and academic books and journals. For each subcategory,group with a participation background of 5 to 10 years, group covering primaryand secondary schools, and group with majors in Christian Education showed thehighest mean, whereas the mean for those with memberships of 3 to 5 years wasthe lowest. With regard to the satisfaction with academic books and journals, themean utilization rate was lowest for research and/or education purposes. This isdirectly related to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whichpossibly threatens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us a follow-up examination ofthis matter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provide equal opportunitiesfor participation, form close relationships,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theoryand practice, provide occasions for diverse academic discussions, and enhancemutual solidarity in life. 이 연구는 학문공동체를 진단하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현황을조사하고, 학문공동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에는 다양한 학문세대와 실천현장, 전공분야가 존재한다. 따라서 참여자의 학회 활동기간과 실천현장, 전공분야에 따라 학회 활동에 대한 인식도와 참여도, 만족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참여자는 총 70명(남 43명, 여 27명)으로 주로 신진학자들과 중진목회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난다. 설문 회수율은 35.9%이며,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회 활동 인식도(M=3.84, SD=.58)는 3-5년 간 학회 활동을 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으며, 집단 간 평균의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원으로서의 정체성 및소속감 또한 3-5년 간 활동한 집단과 석⋅박사과정 학생들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원들은 ‘다양한 학문적 관점 및 연구 분야의 필요성’과 ‘학회 변화의 필요성’을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학자와 목회자가 연계하는 협력적 연구의 부재’를 가장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회 활동 참여도의 평균(M=2.99, SD=.92)은 세 요인 중 가장 낮았으며,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회원들은 학회의 발전을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자세가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 참여도의 평균은 감소하였다. 건강한 학문공동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회에서 주관하는 활동에대해 충분히 안내하고, 회원들의 참여를 활성화시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학회 활동 만족도(M=3.50, SD=.60)는 학회 운영 만족도, 학술대회 만족도, 학술도서 및 학술지 만족도로 세분하여 조사하였다. 하위요인마다 5-10년 간 활동한 집단과 초⋅중⋅고등학교에 속한 집단, 기독교교육 전공 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난반면, 3-5년 간 활동한 집단의 평균은 모든 요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학술도서 및 학술지 만족도에 대한 문항 중 ‘연구나 교육 시 학술도서 및 학술지 활용’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직결되는 문제이자 학문공동체성을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후속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균등한 참여 기회의 제공, 친밀한 관계 형성, 이론과 실천의 연계 강화, 다양한 학문적 논의의 장 마련, 삶에서 상호 연대감 증진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교육논총」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적 과제

        박경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1 기독교교육논총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future task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issued its first edition in June 1996 and has published its 26th edition in March 2011, including 4 foreign language editions. There are 283 articles, including 44 foreign language articles. Based on the analysis of different educational fields,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topics is: church 45.2%, school 12.7%, family 3.5%, cyber space 3.2%.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jor topics of Christian education, the majority are Christian educational methods, philosophy of Christian education, women education, children education, etc. However, there is a lack of articles related to topics on current issues related with cyber space, multi-culture, unification, etc. Using the analysis above, the article provi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on what the members of the KSCRE should do more research on. First, the KSCRE needs to withdraw from doing more research in the church field, but focus on doing more research in the fields of school, family, and cyber space. Second, the KSCRE needs to provide a method in where both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and Christian educators in the Christian education fields can cooperate and do research together. Third, research on current issues, such as peace, unification, environment, multi-culture, is necessary. Lastly, research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s needed because Christian education is related with social sc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학문적 성과를 논의하기 위하여 학회가 발간한 「기독교교육논총」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학회의 미래적 과제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는데 있다. 「기독교교육논총」은 1996년 6월 창간호의 발간을 시작으로 하여 2011년 3월 현재 외국어 논문집 4권을 포함하여 총 26집 까지 총 283편의 논문이 수록되었다. 이중 외국어 논문은 15.5%로 44편이 수록되었다. 2006년 23대 회기에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 학술지’로 선정되었고, 2009년 12월 28일 ‘등재학술지’로 승격되었다. 논총에 수록된 논문의 주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주류이나 최근에는 정성적 연구방법과 정량적 연구방법의 논문이 수록되어 전체 논문의 9.5%를 차지하고 있다. 수록된 논문의 주제는 기독교교육현장을 주제로 분석하였을 때 교회를 현장으로 한 논문이 128편으로 (45.2%)로 가장 많았고, 학교 현장이 12.7%, 가정이 3.5%, 사이버 현장과 관련된 논문이 3.2%이지만 사회 현장과 관련된 논문은 없었다. 그리고 주제별 분석에 의한 분류에 의해서는 기독교교육방법, 기독교교육철학, 교육사상, 여성교육, 아동교육과 청소년 교육 등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아직도 사이버, 다문화, 통일 등과 같은 현재적 이슈에 관한 연구는 조금 미흡한 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주요 기독교교육학자들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근거한 학회의 학문적 활동의 방향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는 다양한 교육현장 중 교회교육 현장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탈피하여 학교교육현장, 사이버 현장이나 사회교육 현장 등과 관련된 다양한 방향의 연구가요청된다. 두 번째는 학문과 현장과의 괴리감이 역시 본 논총의 분석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교육현장의 전문가들과의 긴밀한 교류를 통하여 현장에서 요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세 번째 정보화 시대인 21세기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을 위한 사이버 현장과의 관련된 연구가 요구된다. 네 번째 다양한 사회적 이슈-평화, 통일, 생태, 다문화 등과 같은 현재적 이슈들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한국사회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 번째, 기독교교육학자들만의 연구가 아닌 학제간 교류를 통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기독교교육학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는 기독교교육학의 시각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생각할 수 있는 기독교교육학의 연구결과에 대한 객관적 결과를 얻기 위하여 정량적 혹은 정성적 연구방법과 같은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 교육 방법론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적용-

        이미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6

        Education is a powerful tool of socialization process to perpetuate the values of an individual or a society. An ideology to maintain the social structure of gender inequality is established as social convention by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activities. Today, Korean church should reform herself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is the important move not only for her renewal and revival but also the enhance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society. To make it come true, educational practice for the seminary students is needed for their’s recognizing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the seminary curriculum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the seminary students. In a concrete way, this study illustrates a lesson plan model to practice into a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the purpos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rough employing the teaching method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This study describes the following contents as the result of the study. Introduction brings out a question related to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church and presents main topics to be discussed for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Chapter II investigates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Korean church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gender equality issue in Korean church,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women minister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equality and the renewal of the church. Chapter III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of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ideologies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aradigm shift for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it tries to build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include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e study of chapter II and chapter III, Chapter IV explicates the components and movement process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as a practical teaching model and adds some consideration to apply to teaching-learning scene. Chapter V illustrates the example of an actual model employing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to practice in a particular educational field. Specifically, that example is presented as a lesson plan with the class topic titled as “a typical pattern of workload sharing in pastoral ministry between men and women” for one session of a course of women’s studies in a theological seminary’s curriculum. Conclusion summarizes the overall process of the study and proposes the practical use of this praxis model for the teaching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over the various educational ar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a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for the paradigm shif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and to contribute to the renewal of Korean church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gender equality recognition in Korean society. 한 개인이나 한 사회의 가치를 영속화하는 사회적 과정은 ‘교육’에 의해 이루어진다. 성차별적 사회구조를 유지하는 이데올로기 역시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통념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오늘날 한국 기독교회의 양성 불평등 문제의 개혁은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 사회의 양성평등 가치의 발전에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신학교 차원에서부터 기독교 사역자로 교육받는 남녀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을 위한 교육적 실천이 필요하다. 본서의 목적은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기독교 관련 고등 교육기관으로서의 신학교 차원의 커리큘럼에서 실천적 교육방법론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모델을 적용하여 양성평등의 인식과 관련한 실천적 교수-학습 모델(레슨 플랜)을 구성하여 구체적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 실현을 위해 본서는 1장 서론에서 한국 기독교회의 사역자들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과 관련한 문제를 제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다루게 될 주요 명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 기독교회 내 젠더 문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면서 한국 기독교회와 양성평등 인식 수립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과정의 신학적, 철학적 이데올로기와 교육적 패러다임 전환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먼저 고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방법론의 기초가 되는 교육 철학의 구성 요소를 다루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연구를 기초로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인 교육적 방법론으로서 토마스 그룸의‘나눔의 프락시스’방법론의 구성 요소와 핵심 활동의 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에서 이를 적용하기 고려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나눔의 프락시스’모델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의 실제적인 진행 모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신학교 차원의 한 학기의 여성학 강의 중‘교회 내 남녀 사역자의 업무 분담의 정형성’이라는 한 차시의 수업을 위한 레슨 플랜을 프락시스 모델의 전개과정을 적용하여 예시하였다. 6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전체적인 과정을 요약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적 방법론의 활용 및 확장을 위한 제안을 진술하였다. 본 연구가 ‘양성평등 인식’의 가치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 방법론으로써 활용되고, 한국 기독교회의 성숙과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사회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양성평등’ 인식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사’ 연구동향 분석: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비교연구

        손정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EACHER’ research trends among Christian Education study in Korean and USA through language net work analysis(keyword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keyword frequency, ‘TEACHER EDUCATION’, ‘CHURCH SCHOOL TEACHER, ‘CHRISTIAN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 are appeared distinctively in Korean research. ‘CHRISTIAN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 are related to school education which means the importance of bring up Christian teacher in schoo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is related the role of teacher, which is changed from traditional role as just giving information to leadership role in which teacher facilitates learning community. In USA research, ‘THEOLOGY’ and ‘BIBLE’ are appeared distinctively. This result shows the main role of Christian education teacher is to teach theology and Bible. In terms of centrality analysis, ‘REFLECTIVE JOURNAL’, and ‘FEEDBACK’ are appeared typically in Korean study. These keywords have very low value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but have very high value in closeness centrality. This result means that these keywords have strong influence in spite of having low connections in net work system. In USA study, keywords shows higher value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but lower value in closeness centrality comparing to Korean study. This result means keywords are appeared with concentration in USA study, but appeared with diversity in Korean study. In terms of sub group analysis, in Korean study, ‘TEACHER EDUCATION’ is studied with community paradigm as well as individual paradigm. ‘CHURCH SCHOOL TEACHER’ is studied with essential role of teacher rather than functional role. ‘RELIGIOUS SCHOOL’ is studied with bringing up religious school teacher. In USA study, ‘THEOLOGY’ is studied with theoretical elements as well as practical elements. ‘LEARNING’ is studied with educational content as well as the situation and need of learner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교사 연구 분야에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수, 연결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그리고 하위집단의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결과로 나타나는 각 나라만의 특징과 두 나라 간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분석하여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교사연구의 동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키워드 빈도분석에서 한국의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교회학교교사,’ ‘기독교교사,’ ‘예비교사’등이 그 빈도수가 높고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교회학교교사를 제외한 교사교육, 기독교교사, 예비교사는 교육의 장이 학교라는 점과 이 키워드들이 종교교사양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기독교교육 교사연구의 특이점이었다. 미국연구에서는 ‘신학,’ ‘성서’등이 특징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미국에서 기독교교육 교사의 역할이 기초적 교리를 중심으로 하는 신학과 그와 관련된 교육사상을 가르치는 것과 성서를 가르치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심성 비교분석에서 한국연구의 특징적인 것은 ‘반성적 일기,’ ‘피드백’과 같은 종교교사양성과 관련된 키워드들이 연결정도 중심성이나 매개 중심성에서는 그 값이 평균치 이하로 아주 낮았지만, 근접중심성의 경우 최대값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는 종교교사양성이라는 주제가 표면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 준다. 미국의 연구는 한국의 연구에 비해 연결정도 중심성 값이 높지만, 매개 중심성에서 미국연구보다는 한국연구에서 지표가 높은데, 이것은 미국의 연구에서는 키워드의 집중화가 한국의 연구에서는 키워드의 다양화가 나타났음을 알게 하여 준다. 하위집단분석에서 한국연구의 특징적인 것은 교사교육의 연구동향이 개인적인 패러다임 (정체성, 영성 등)과 아울러 공동체적인 패러다임(공동체)이 균형적으로 어우러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것이다. ‘교회학교교사’의 경우에는 교회학교교사들의 기능적인 면보다 본질적인 교사됨을 강조하는 연구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고, ‘기독교학교’의 그룹에서는 종교교사양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연구에서는 ‘신학’ 그룹에서 기독교 신학의 이론적 요소와 실천적 요소가 골고루 균형적으로 나타났었고, ‘학습’ 그룹에서는 성서교육과 관련된 연구들과 아울러 학습자의 필요와 상황등과 연관되어 나타났는데, 이것은 교육의 내용과 학습자의 상황과 필요가 균형잡힌 모습으로 연구된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기독교학교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장유정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2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독교학교교육과 관련한 학회 활동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기독교학교교육 관련 학회 활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의 기독교학교교육관련 학회 활동(학술대회)의 주제 및 연구 문헌을 수집하여 기독교학교교육 관련 주제의 빈도 및 동향을 분석하였다. 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연도별로 정리하여 그 빈도를 분석하였으며, 각 연구의 표제어와 주제어 및 초록과 논문의 내용을 참고하여 교육대상과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술지 개제논문 중 “기독교학교”로 검색된 논문을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기독교학교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기독교학교교육관련 학술지 게재논문의 연도와 학술지별 빈도를 분석하였으며, 게재논문의 내용을 연구학교, 연구대상, 연구내용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독교학교교육 관련 학회 주제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기독교학교교육 유관기관 중 기독교학교교육과 관련한 학술교류나 학회 활동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으며, 대부분은 학교현장을 직접 지원하는 교육과정 및 수업의 재구성 혹은 교수법과 관련한 강의 및 모임을 지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교육 유관기관에서의 학회 및 학술대회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 관련 학회의 정기 학술대회가 기독교학교교육에 대한 주제로 개최된 경우가 극히 드물다는 것을 파악하였고, 기독교교육을 교회교육과 동일시하는 분위기 속에서 기독교학교교육과 관련한 활발한 연구를 통해서 학교교육의 회복으로 교육의 영역에 하나님 나라가 확장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세 번째로,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분석한 결과 기독교학교교육 관련 연구가 주로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주제도 역사, 교육과정, 종교교육, 정체성, 선교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기독교학교교육 관련 연구 주제의 확장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독교학교교육 관련 연구가 게재된 학술지를 분석한 결과 비기독교진영에서도 기독교학교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에 기독교학교교육 관련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비기독교진영과의 소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 전망과 과제

        박상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1 기독교교육논총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future task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KSCRE) which was established 50 years ago.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ncludes two kinds of prospects, including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of Christian education in Western society and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Korean context by analyzing five fields of Christian education including church, school, family, media, and society.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wo kinds of future tasks for the KSCRE. One is the academic task and the other is the task of activities in the KSCRE. The academic tasks include some common tasks and also tasks according to each field. The common task means one which should be pursued irrespective of the Christian education fields. This study suggests five common tasks for the KSCRE. The first is to study the appropriate response of Christian education to the continuously growing Postmodern tendency in the future. The second is to study the way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media communication. The third is the study of the change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and multi-ethnic society that comes with globalization. The fourth is the study of new methods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and personal relationship. The fifth is the effort toward a new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and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asks in each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ask in the field of the church is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odels to the church schooling paradigm which discloses the serious current limitations. The task for the school field i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religious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context of Korea. The task for the family field is to study the recovery of Christian family education in the future. The task for the media field is to develop methodologies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are relevant to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era. The task for the social field is Christian education relevant to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o preserving the environment. Finally, as a path to achieving these purposes, this study suggests activities for the KSCRE that include aiding academic research, changes in the practice, and the formation of the academic community. 본 논문은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를 조망하면서 향후 과제가 무엇인지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서구 기독교교육의 미래 전망을 살펴보았고, 한국 기독교교육의 미래 전망을 교회, 학교, 가정, 미디어, 사회 등의 다섯 가지 기독교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한국 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 과제를 학문적 과제와 학회 활동의 과제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학문적 과제는 다시 공통적 과제와 현장별 과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공통적 과제는 현장과 관계없이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서 다섯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는 지속적으로 심화될 포스트모던 경향에 대해 기독교교육이 어떻게 응전해야할 지를 탐구하는 연구이다. 둘째는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기독교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수행되어야하는지를 모색하는 연구이다. 셋째는 세계화 및 지구촌화의 확산과 이로 인한 다문화, 다종교, 다인종 사회의 도래에 따른 기독교교육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넷째는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공동체의 의미와 인격적 관계의 중요성을 고려한 새로운 기독교교육 방법론에 관한 연구이다. 다섯째는 기독교 영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기독교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또한 현장별 과제가 제시되었는데, 교회영역의 가장 큰 과제로는 교회학교에 대한 대안적 모델 연구를 들 수 있다. 학교영역을 위한 과제로는 종교교육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가정영역을 위한 과제로는 가정교육의 회복에 관한 연구, 미디어영역을 위한 과제로는 멀티미디어 시대에 걸맞는 기독교교육방법 연구, 그리고 사회영역을 위한 과제로는 기독교통일교육을 비롯한 평화교육과 환경교육 연구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활성화하고 실제적으로 현장을 변화시키기 위한 학회활동의 과제를 학문연구, 현장변화, 학문 공동체 형성을 위한 과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KCI등재

        포스터의 신앙공동체 이론을 통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연구

        김영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new insights to apply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Korean churches by diagnosing problems in the realit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and by looking at different ideas and theories, through Foster’s multicultural education of communities of faith through which transformation embracing diversity can integrate with tradi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here multicultural society is rapidly in progress. The purpose begin with, raising the questions,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and understand basic i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Why could Forster’s educational theory of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be the alternative?’and this study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the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and the framework of education. I sought to derive education models of his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from the visions of existing together, practicing together, hoping together. and I reinterpreted Foster’s theory and described actual programs(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applicable to situations within the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es for the Christian people in ecclesial communitie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will lead to the education designed to bring about a new awareness especially to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in forms of education including community, different ways of life, the embrace of diversity, and hospitality, unlike conventional education focusing mainly on knowledge acquisition, such as professor-based instruction, school-based education, etc. Secondly, this study based on Foster’s education theory is not a study accepting indiscriminately or denouncing western theories, but a study suitable for situa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with a holistic perspective. It can be presented as a study which may establish a system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divided states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pa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t can also be seen as a basic theory of multicultural ministry which forms the perfect blend of theory and practice, such as new institutions, pastoral approaches, re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inistries, and pastoral counseling. Thirdly, this study can present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It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recovering churches again as the place of the public community and making them coexist with their regions and neighbors beyond their internal dimension through education connected to communities includi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nd to other relevant communities or local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will provide alternative pathways for problems and for the status of Christia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challeng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that Korean churches are facing. Now I am hoping this study will be a paper acting as the pump priming water to give directions and points of application to Korean churches through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inistrie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화가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차원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오늘의 한국 상황에서, 전통과 변혁의 통합교육과 다양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 신앙공동체를 추구하는 포스터의 이론에 기초하여,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진단하며,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개념 및 다양한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회 다문화 기독교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통찰력 모색함을 목적으로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먼저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기본이해와 한국의 연구동향은 어떠한지?, 왜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의 배경과 교육프레임,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재개념화에 대한 내용들을 도출하고, 포스터의 이론을 종합, 정리하여 성인초기 기독청년들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실제 프로그램(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게 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과거 전통적인 교육 구조, 즉 지적인 차원에만 초점을 둔 교수중심, 학교식중심 등의 교육과는 달리 공동체적, 다양성, 포용성, 환대성 등을 포함한 교육구조로,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과 특별히 다문화 기독교교육 부분에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교육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서구의 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답습,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통전적 조망’으로 한국사회의 상황과 한국교회의 실상과 맞는 연구로서, 특별히 한국의 분단과 연결하여 통일교육에 대한 부분과 새터민 등 탈북이주자에 대한 부분들도 연계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목회적 부분, 즉 한국교회의 전문적인 다문화목회에 있어 새로운 제도와 목회방식, 다문화적 목회상황 재정비, 목회상담 등 이론과 실천의 온전한 조화를 이루는 다문화목회의 기본이론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셋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삶의 장인 지역사회와 각 유관기관과 연계한 교육으로, 교회의 내적 차원을 넘어서 지역과, 이웃과 공존하며, 외적인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는 공적공동체의 자리를 다시 한번 회복시킬 수 있는 대안 연구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교회가 직면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들에 대한 한 대안으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과 다문화목회의 적용점과 방향설정에 대한 마중물교육의 연구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역사 기술에 관한 소고

        김도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al with the issues of writing fifty year of history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KSCRE hereafter) which was founded in 1961. It was formed as an informal gathering which a few scholars thought would promote the fellowship for the most part and of course the scholarship among scholars. It has grown, however, to have more than two hundred members in 2011. Therefore it is now needed to write a history in order to reflect on what had happened in the past and to look forward to embracing the future vision with hope. Writing history of the KSCRE at this point is a meaningful academic endeavor for the present members and those who will come after this generation. When we write history, perspectives of looking at history is crucial. Thus three kinds of perspectives this paper adopts are articulated in order. The kinds of perspectives in this paper are the ones of teleology, historical laws, and historical theories according to Ha Soon Cha. These three perspectives raise several important issues and questions in looking at history and those questions were used to write the history of the KSCRE. These sorts of discussion are synthesized ultimately in the redemptive perspective of Christian history that is about the revelation of God in history according the Jung Joon Kim. In particular, the methods used for writing the history in this paper are the ones of cultural history, character history, problem history, and oral history. It had been proposed that the four of the above methods must be used holistically by not eliminating any one of the methods. Moreover, through looking at preceding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 KSCRE, we must not only looking at famous events that can and used to be grounds for argument, but closely rethink about forgotten or hidden events that we did not pay close attention in the past with carefulness and scrutiny as well. It is found out that when we write history of the KSCRE it is very important to deal critically with major events and issues according to each meaningful period. It is however more than just writing a history of one society of scholars. We must look beyond the history of the KSCRE and deal with it sociologically,politically, economically, so that we do not ignore the various realms of human history at the same time because they are all intricately related and interacted to each other throughout the history. 이 논문은 1961년에 창립된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50년사를 기술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는 처음에는 몇 명 되지 않는 학자들이 친교와 학술적 교류를위하여 비형식적으로 모인 작은 모임이었으나, 2011년 오늘 200명이 넘는 학자들이 참석하는 큰 학회로 발전하게 되었다. 따라서 학회 역사를 기술한다는 것은 과거를 성찰하고현재를 진단하는 것 뿐 아니라 앞으로 맞이하는 새로운 미래의 희망을 찾는 학문적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역사 기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사관이라고 볼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학회라는 독특한 모임에 대한 성찰을 위한 사관을 탐색적으로 먼저 서술하였다. 즉 목적론적, 역사법칙적, 사학이론적 사관이 제기하는 역사서술의 주요한 쟁점들을 기초적인 질문으로 삼아 서술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인간을 구원하시고자 보여주신 계시에 관한 구원사적 역사를 보는 사관 속에서 통합된다. 구체적 접근방법에 있어서는 문화사적, 인물사적, 문제사적, 구술사적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이를 통하여학회 역사 서술은 이러한 관점들이 통합적으로 채택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한국기독교교육학회 역사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역사 기술의 논거가 될 수있는 대표적인 사건들을 고찰하는 것과 아울러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사건 및 사안들에대하여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역사 기술에 있어서 시대구분의 주요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다루면서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역사를 서술한다는 작업은 단순히 학회 활동의 발자취를 고찰하는 것은 넘어서는 사회적, 정치적, 기독교교육 현장적, 기독교교육사적인 다양한 역사의 흐름과 발자취와 밀접한 관련성과 상호작용 속에서 복선적으로 고찰하고 기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최근 한국기독교교육학 연구 동향(2006.3∼2013.12)

        임창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is research is a follow-up study of first generation scholar Oh InTak’s published work titled “Korean Christian Education: Bibliography(1945-2005),” which was published in 2008. Oh’s research is anexhaustive indexical collection of Christian Education-related papers andpublications written in post-liberalization South Korea, and as such, itembodies the tremendous effort that has gone into its completion and isregarded today as a resource of utmost value within the field of KoreanChristian Education. In commemo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thisresearch paper documents the developments and trends seen within thefield in the 8years following Oh’s publication and seeks to identify areasfor future research. Insum, this research may be considered acontinuation of and supplement to Oh’s original research. The paper focuses on works published during the 8 year periodbetween March 2006 and December 2013, analyzes and quantitativelycompares the general trends found during this period with those writtenpost-liberalization to 2005, and offers suggestions for topics of future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reveal areas of research thathave since subsided, others that have piqued new interest, and thosethat continue to be rigorously studied. In particular, research areas thatremain important in the field include Christian Education, Educational Ministry, Missionary Work, Spirituality, Revivalism, Growth, andContinuing Education. Christian Education must invariably be continued;to this end, all Christian ministries must be reformed into Christianeducational ministries, Christian Education must be supplemented withMission Work and continue to focus on Spirituality and Revivalism, andlastly, Christian Education must be approached as a form of ContinuingEducation. These aforesaid foundational areas have robustly endured forthe past 68 years, and scholars must strive to diversify and enrich the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hrough further research and analysis inthese areas. 한국기독교교육학계 일세대 학자인 오인탁교수는 2008년 “한국기독교교육학문헌목록”(1945∼2005)집을 출간했다. 오인탁교수의 이 연구는 해방 이후 한국에서 다루어진 기독교교육학 관련 자료를 총망라하는 서지학적 가치가 높은 목록자료집으로, 지금까지 그어느 누구도 시도해보지 못한 방대한 작업을 수행한 연구로써 한국기독교교육학 문헌목록의 집대성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설립 50주년을 기념하여오인탁교수 이후 8년간의 연구를 증보하면서 최근의 연구동향을 살펴 향후 연구과제를 전망하는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기본적으로는 오인탁교수의 후속연구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2006년도 3월부터 시작하여 2013년 12월까지 8년간 발표된 연구내용을 조사하였으며, 해방 이후 2005년도까지 나타난 전편의 연구 주제와 수량적 단순 비교 대조하면서 그 간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새로운 연구과제 방향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의결과 2005년도 이후 8년 사이에 연구대상에서 사라진 항목들, 새롭게 등장하여 활발하게연구되고 있는 항목들, 여전히 계속 연구되고 있는 항목들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월이흘러가면서도 기독교교육연구 가운데 변함없이,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항목들은 기독교교육, 교육목회, 선교, 영성, 부흥, 성장, 평생교육 등과 같은 항목들이었다. 기독교교육은 계속되어야 하며, 모든 목회는 교육목회로 거듭나야 하고, 기독교교육은 선교와 함께 가야하며, 기독교교육은 영성을 잃지 말고 지속적으로 부흥 성장해야 하며, 기독교교육은 평생교육 차원에서 수행해야 한다고도 정리할 수가 있겠다. 68년 동안 변함없이자리를 튼튼하게 다져온 이들 주제 항목들은 한국기독교교육학 연구 안에서 앞으로 보다더 심도 있고 다양하게 분석되고 연구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