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 모덜소설의 의사사실화(擬似事實化) 과정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김진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3

        Kim Dongin's Chronology of Kim Yeonsil can be regarded as a Model Novel of Kim Myoungsoon, one of the 1st generation of Sinyeosung(Modern Girl). Model Novel as a dramatization of scandals could bring about controversial issues around to what extent the story can be read as a true story. And for the case of Sinyeosung, often excluded from that argument because of their social status and reputation, the story about them is very likely to be pseudo-realistic to the readers. This article examined Chronology of Kim Yeonsil especially in the respect of how this story, as a model novel, is dramatized with the scandals already aroused around Kim Myungsoon, and the cases that showed this novel was treated as a pseudo-realistic text. 본고는 스캔들이 소설화되는 과정, 그리고 그것의 결과물인 모델소설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실재성과 허구성을 동시에 함축하고 있는 모델소설은 작가, 독자, 모델 간의 힘의 삼각구도 안에서 여러 종류의 논쟁을 불러일으키는데 특히 모델이 권력 구도에서 배제되는 환경에서는 그것이 의사사실화(擬似事實化)되는 경향이 더욱 크다는 데 주목하여 김동인의 『김연실전』을 새롭게 읽으려고 하였다. 『김연실전』을 신여성 김명순을 모델로 한 모델소설로 규정하고 그것이 1920-30년대 걸쳐 유포된 김명순의 스캔들을 어떻게 소설화했는지 고찰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모델소설이 독자들에게 의사사실로 읽히는 과정을 김명순에 대한 비평과 회고록을 통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FGI를 통한 직업기초능력 관련 이슈 진단 및 최신화 방안 연구

        김진실,정동열,오춘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issues related Foundational Common Competency(FCC) in Korea and to prepare the plans for updating them through FGI. Specifically, issues were diagnosed and the updating plans were drawn, focusing on 1) the concept, area and contents of FCC, 2) use inf recruitment of FCC, and 3) certification and qualification of FCC. FGI(Focus group interview) was used to conduct this research, and the expert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a total of 15 persons based on those with Ph.D. degrees in related fields such as pedagogy and HRD, and those with experiences in institutions related to utilizing the foundational common competency. From December 12th to 18th, the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ollecting opinion and questionnaires on major issues and improvements for a week.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FCC means the competency that all workers should have in common, and it is necessary at the level of employment. In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competency based HR system, it is conceptually defined as the minimum standard of employment level and needs to be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finance and dissemination of FCC which should be able to serve as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 training and recruitment. Second, the FCC are mostly used in the public notice and writing screening stage during the hiring stage, and only some institutions are used in the screening and interview screening stage. Due to the lack of budget for the project and the lack of examination in the FCC area suggested at the public announcement stag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ployment of the FCC were perceived as low. To improve this, the guideline for FCC evaluation should be developed,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FCC evaluation should be introduced, and the validity study of FCC should be reinforced. Third, FCC should be converted from subject based educa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reflecting it in the formal curriculum, and to certify the curriculum and institution that operates FCC. In addition, the FCC of small institutions should be handled by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reduce the proportion of FCC when hiring, and in the long run, the system should be reviewed. 이 연구의 목적은 FGI를 통하여 직업기초능력 관련 이슈를 진단하고 최신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직업기초능력 개념, 영역 및 내용, 둘째, 직업기초능력의 채용에서의 활용, 셋째, 직업기초능력의 인증 및 자격화 방안을 중심으로 이슈를 진단하고 최신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총 15인의 전문가를 구성하여 2019년 12월 12일부터 12월 18일까지 주요 이슈 및 개선사항에 대한 FGI를 통한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으로, 먼저, 직업기초능력은 입직자 시기부터 직업인으로서 공통적이며 기본적으로 필요한 능력으로 개념을 정의할 수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현행 10개 대영역과 34개 하위영역을 유지하는 안과 장기적으로 개편하는 안으로 영역의 최신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직업기초능력 교재는 학습자 및 활용자 오해 해소를 위하여 “가이드북”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가이드북 개발 주체 및 제시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최신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은 채용 단계에서 대체로 공고와 필기 전형 단계에서 활용되며 서류와 면접 전형 단계에서는 일부 기관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기초능력 기반의 문항 출제를 위한 개발 기간의 부족, 문항 개발을 위한 예산 부족 및 공고 단계에서 제시된 직업기초능력 영역에 대한 검사 미실시 등으로 인하여 직업기초능력 채용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이 낮게 인식되는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직업기초능력 평가 가이드 개발, 직업기초능력 평가자격 인증제 도입, 및 직업기초능력 문항 타당도 연구 확대 등의 최신화 방안이 도출되었다. 셋째, 직업기초능력 관련 인증 및 자격화를 위해서는 정규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초중등교육부터 역량중심 교육으로의 전환 및 직업기초능력을 운영하는 교육과정과 기관을 인증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소규모 기관의 직업기초능력 평가는 공공기관에서 대행하고, 채용 시 직업기초능력 비중을 줄이며, 장기적으로는 직업기초능력 인증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 KCI등재

        산업교육 교재연구의 동향 분석

        김진실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1945년 해방이후부터 2007년까지 이루어진 국내 산업교육 교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2007년 11월 27부터 2007년 12월 5일까지 총 120편의 논문을 수집하였고,총 105펀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먼저,연구시기,연구영역,연구내용,연구방법,발표지유형,교재유 형,연구대상,연구기관에 따라 산업교육 교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초기 산업교육 교재연구는 1970년대 이전에도 8.6%의 연구가 이루어졌고,전체적으로 1980년대 후반기 이후에 연구가 급증하기 시작하여,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둘째,가사실업교육분야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실과교육,상업교육,공업교육,농업교육,수산·해양교육 순이었다. 셋째,주된 연구내용은 교재활용 실태/방안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교재 개발 모형/방향,교재유형에 따른 효과,교수방법/학습지도 순이었다. 넷째,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였고,그 다음으로 문헌연구,실험연구,개발연구,사례연구 순이었고,발표지유형은 1970년대까지는 학회지 중심으로, 2000년에는 학위논문이 더욱 많이 발표되었다. 다섯째,주로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재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고,컴퓨터,시청각교재,교재일반과 실습매뉴얼 순이며,주된 연구대상으로는 교사,학생,교재, 일반인,산업계인사 순이었고,연구기관을 보면 초등학교,고등학교,중학교,전문대학/직업훈련원,4년제 대학 순이었다. 지금까지 산업교육 교재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연구물이 너무 적은 편이고,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이 너무 편향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원을 중심으로 교재연구에 대해 좀더 심도 깊은 문제의식을 갖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선행연구의 고찰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학술단체를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물에 대해 정기적으로 종합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vious instructional material studies in vocational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instructional material studies in vocational education. The review of literature included articles, dissertations in vocational education from 1945 to 2007 year. A total of 105 papers were analysed in the following research aspects: Instructional material studies in vocational education was analyzed by the research year(-1970, 1971-1980, 1981-1990, 1991-2000, 2001-2007), vocational areas(agriculture, industry, business, fishery & marine transportation, home economics/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Practical arts subject education), research method(such as literature review method, survey method, experimental method, case study, and developing research method), research content(Princip1e of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ing model of instructional material, using status of instructional material, effect of instructional material type, instructional method, learning method, contents analysis, evalu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 Publication type(journal, thesis), instructional material type, research target, research institute. As the result,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s: (1) Instructional material studies in vocational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since the half of 1980, (2) home economics/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Practical arts subject education were actively researched but fishery & marine transportation education was not, (3) the research content of using status of instructional material and content analysis, developing model of instructional material were actively researched but that of principle of instructional material,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 were not, (4) survey method was mostly used and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also commonly used. In addition, the author suggested needing research areas and made recommendation for the better research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 studies in vocational education.

      • KCI등재

        Cognitive Function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김진실,황선영,심재란,정명호 대한심장학회 201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45 No.4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cognitive function with self-care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among heart failure (HF) patients. Subjects and Methods: In this prospective study, 86 outpatients with HF completed face-to-face interviews including neuropsychological testing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and the use of the Self-Care of Heart Failure Index to measure self-care. Functional status was assessed with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classification. Follow-up data on MACE were obtained at 24 months after enrollment. Results: Compared with the Korean norm values, more than half of the HF patients had cognitive deficits in global function (33.0%), immediate recall (65.1%), delayed recall memory (65.1%), and executive function (60.5%). Patients with symptomatic HF (≥NYHA class II) had the higher risk for substantially poor cognitive function in all areas of cognitive function than asymptomatic HF patients (NYHA class I, p<0.05). Most patients demonstrated poor self-care adequacy in maintenance (84.9%), management of symptoms (100%), and confidence (86.0%).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gender, memory fun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care confidence (odds ratio 1.41, 95% confidence interval 1.03-1.92, p=0.033).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ognition and self-care maintenance. There were 19 MACE’s during the 24-month follow-up. Patients without MACE had a significantly higher global cognitive function (p=0.024), while no cognitive domain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ACE when adjusted for age and gender. Conclusion: HF patients with memory loss have poorer self-care confidence. Studies are warranted to examine the functional implication of cognitive deficits and adverse outcomes in a larger sample.

      • KCI등재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및 학습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진실,나승일 한국농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4

        이 연구는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심충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란 두 개 이상의 교과가 연계하여 운영 하는 형태로서, 이 연구에서는 전공기초교과와 전공심화교과를 연계한 학습공동체를 말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를 선정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D 공과대학 정보통신과의 ‘마이크로프로세스’ 교과와 ‘마이컴응용’ 교과를 연계한 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2006년 3월 3일부터 2006년 6월 20일까지 관찰 및 연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전사, 자료의 통합, 약호화 및 배열화, 범주화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으로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은 교과중요도, 수업경험, 교과내용, 과제유형, 학습집단, 외부적인 환경, 수업방법, 강화유형, 학제, 개인적 특성에 영향을 받고, 상호작용을 위한 발화유형은 선도발화-반응발화-피드백 발화를 한 단위로 구성되는데, 선도발화는 전달형, 유도형, 지시형, 반응발화는 수긍형, 의문형, 행동형, 응답형, 무반응형, 피드백 발화는 유도발화 반복/수정형, 학습자 반응 평가형, 학습자 반응 수정형, 피드백 생략형이 있다. 또한, 교수자-학습자의 상호작용 유형은 교수자(T)-전체 학습자 (Ss)'유형를 포함하여 10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발화유형 및 상호작용 유형이 진단되고 관리될 때, 보다 활발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을 제고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은 개인적 특성, 학습집단 구성, 외부적인 환경, 학습과제 수준, 과제유형, 보상수준, 과제 수행방법, 갈등 및 응집성, 리더십, 과제발표부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때 상호작용을 위한 개인 발화유형은 과제 관련 발화유형과 과제와 관련이 없는 비과제 관련 발화유형으로 유형화되었고, 상호작용 유형은 설명주도형, 문답형, 의견교환형 유형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발화유형 및 상호작용 유형을 근거로 학습집단을 구성하고 관리될 때, 보다 활발한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을 활발히 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뚜렷한 학습전략의 개념이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고, 외부적인 환경, 특히, 교수자의 수업방법, 과제유형, 강화수준, 발표수업 등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자료정리나 시간계획 및 실천, 자기점검, 평가, 피드백능력 등이 부족하다. 또한 학습전략 유형은 행동형, 인지형, 관리형 유형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부족한 학습전략에 대한 진단하고, 학습자 나름의 학습전략을 관리하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interac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Teacher-student interac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of the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at 'D' Junior college in Kyoungki province, which was linked courses of 'Microprocess' and 'Micom Application'. These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in one semester that was lasted form 3 in March to 20 in June. The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learning strategies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To establish trustworthiness, multiple data collec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riangulation of observation, depth interviews, recording and videotaping.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factors on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ere Importance of Subject matters, Experiences of Subject matters, Contents of Subject matters, Task Types, Cohort, External Environment, Teaching Method, Reinforcement Type, Education System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utterance patterns in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ere 1) Initiatives, 2) Response, 3) Feedback. The 10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were noticed. Second, the effect factors on interaction among students w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of Cohort, External Environment, Level of Learning Task, Level of Compensation, Project Management, Conflict and Cohesion, Leadership and Load of Presentation. The utterance patterns in interaction among students were 1) utterance related tasks, 2) utterance not related tasks. The 6 interaction patterns among students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were 1) Pattern of Leading Explanation, 2) Pattern of Q&A, 3) Pattern of Exchanging Opinion(Addition of Opinion, Correction of Information, Pattern of dialectic), 4) Pattern of Action. Third, the learners didn't perceive the importance of learning strategy. They depend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especially teaching types of teachers, tasks types, reinforcement and presentation. They felt difficulties in recording, time management and practice, self-examination and feedback. Patterns of Learning Strategies of learners were 1) Behavior (Participation Class, Recording, Preview and Review, Accomplishment of Tasks, Repetition and Exercise, Preparation of Exam, Asking help to teacher and colleagues, Presentation); 2) Cognition(Attention, Comprehension, Selection of core contents, Memorizing); 3) Management(Time Management and Practice, Learning Materials Management, Self-Examination, Environment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 KCI등재

        전국 보건소 금연클리닉 신규등록자의 성별 금연 성공요인

        김진실,강수정,대진,최인영,최병선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1

        Objective : The study aimed to identify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among smokers enrolled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 based on gender differences. Methods : A total of 677,254 smoker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from 250 public health centers for more than 6 months from July 18, 2013 to July 27, 2015 were examined. After classifying enrolled smokers into men and wome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ir smoking cessation rat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Results : The study variables of age, occupation, alcohol, past quit-trials, smoked cigarettes daily, nicotine dependence, confidence, motivation and readiness of smoking cessation, total number of visits for counseling, area, motive to register and use of supplemental agents were successful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to both genders. On the other hand, past disease, age of starting smoking, and duration of smoking were non-significant. In regard to education level, the level was a significant factor to men, while it wasn't to women. Conclusion : To efficiently manage smoking cessation clinics, different approaches should be required since enrollees had different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based on gender. In particular, male smokers' smoking cessation rates were higher as getting older while females showed lower rates. Thus, it's necessary to promote younger female smokers to enroll the clinics, providing gender differentiated service types for smoking cessation. Also, total number of visits for counseling and use of supplemental agent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moking cessation rates. Therefor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motivating smokers to easily access the clinic services should be required.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남성등록자와 여성등록자의 금연성공요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보건소 금연사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7월 18일부터 ~ 2015년 7월 27일까지 전국 250개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6개월 이상 서비스를받은 성인흡연자 677,254명을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금연 성공 여부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단변수 분석과 다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연령, 직업, 음주 횟수, 과거 금연시도 여부, 하루평균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금연 자신감, 금연 동기, 금연 준비, 총 상담횟수, 지역, 등록경로, 보조제 사용 여부가 남성과 여성의 공통적인 금연성공요인으로 나타났고, 질병력과흡연 시작연령, 흡연기간은 남성과 여성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교육수준은 남성에서 유의하였으나 여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금연클리닉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의 금연 성공 영향요인이 다른 만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남성은 연령이 높을 때 성공률이 높지만, 여성은 성공률이 낮으므로 젊은 여성의 등록율을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금연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또한, 금연보조제사용과 상담 횟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 금연성공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연클리닉 서비스 이용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운영 방식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분석 : 2007년도 서울대학교 농생대 중등교육연수원 연수 참여자를 중심으로

        김진실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구명하고,현재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수준을 구명하며,주요 변인에 따른 차이를 밝혀내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7년 서울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에서 개설한 초임교사과정,교수학습과정,뉴패러다임과정,1정 자격연수과정,농업계 통합표시과목 연수 교사 총 161명을 대상으로 2007년 8월 7일과 8일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빈도,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증,F검증 등의 추리통계를 적용하였다. 통계적 차이 검증을 위한 유의도는 1%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역량은 크게 교육훈련 역량,연구 역량,상담 역량,행정 및 경영 역량,산학협력 역량인 5개 역량으로 종합할 수 있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은 보통 수준이다. 이 중에서 상담·지도 역량이 가장 높은 수준이고,행정·경영 역량,교육훈련 역량,연구 역량 순이다. 이에 반하여 산학협력 역량이 보통 이하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셋째,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성별,연령,최종학력,교직진출 경로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성별,연령 및 최종 학력에 따라서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대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역량은 교육훈련 역량에서 수영운영 역량과,연구역량에서 학회 및 연수참여 역량,상담·지도 역량에서 학생상담,생활지도,인성적 역량이었으며,행정·경영 역량에서는 학급경영 역량은 성별,연령,최종학력에 따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교직진출 경로에 따라서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단지 교육훈련 역량에서 담당교과의 전공지식과 기술과 연구역량에서 담당교과 관련 전문 직업 개발 역량만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평균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40,50대 교사가 20,30대 교사보다,대학원 과정 이수 교사가 대졸 교사보다 높은 역량 수준을 나타냈다.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제시한 역량에 대하여 전문교과 교사틀의 역량이 비교적 종합적이고 실증적 인 관점에서 정리되었다. 이와 같이 구명된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은 교사 양성,연수 프로그램 개발,전문성 개발 및 평가 등에 활용할 수 있고,직업교육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직업교육의 질 제고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resent competency of vocational teaching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three specific objectives were 1) determine competencies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2) to analyze the present competency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3) to verify the difference competency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by main variable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population of the survey was the 161 vocational teachers who were taking courses in Center for Vocational Educator Development in SNU in 2007. A total of 130 responde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5 main competencies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were determined. The competencies were teaching and training, Research, Counseling and Guides, Administrating and Managing,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competencies. Second, the present competencies level were analyzed 3.29. In 5 competencies, Counseling Guides competency was 3.68 which I the highest, Administrating and Managing competency was 3.51, Teaching and Training competency was 3.36, Research competency was 3.01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competency was 2.89 which is the lowes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n gender, age, education and career path for teacher. Besides Operating class, Participation on conference, Counseling, Guides, Personality, most competen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gender, age and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significantly on difference on career path for teacher in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subject related professional vocation development. The comprehensive competency should be emphasized as the aspect of school organization development, teachers and community development, connection with industry as well as the fundamental teaching competency. Also, research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should be emphasized to do co-work with general subject teachers.

      • KCI등재

        Effect of Smartphone Use and Overdependence on Or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김진실 대한예방치과학회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 Vol.18 No.1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martphone usage hours and overdependence of adolescents in Korea on oral health. Method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martphone usage and overdependence of adolescents on oral health. Results: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among the 54,948 subjects, 46.1% (n=25,332) experienced symptoms of oral disease in the last 12 months; furthermore, 54.2% used smartphone 4 hours or longer during the weekdays and 74.7% during the weekend. Adolescents who used smartphones for ≥2 hours during the weekdays experienced oral disease symptoms 0.94 times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use smartphone at all (p=0.036). In addition, those who used smartphones for ≥2 hours during the weekends experienced symptoms of oral disease 0.88 times higher than those who used smartphones for <2 hours (p<0.001). Regarding overdependence to smartphones, adolescents in the overdependent group experienced oral diseases 2.19 times more than those in non-dependent group (p<0.001). Conclusion: Overuse and overdependence of adolescents to smartphones have deleterious effects on or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