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호원들의 심리극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진환 한국치안행정학회 201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0 No.1

        이 연구는 심리극복 프로그램이 경호원들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년 이상 경력의 경호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독립변인으로 심리극복 프로그램의 3가지 유형을 선정하였다. 심리극복 프로그램의 유형은 신체적 극복기법, 인지적 극복기법, 신체적․인지적 극복기법으로 구분하여 처치하였다. 종속변인은 자아존중감으로 각 검사시기와 사전검사와의 변화량을 3회 반복 측정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사회통계학적 변수들에 대하여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고, 경호원 자아존중감 결과의 변화량 차이를 이원변량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극복 프로그램 자아존중감 측정에서 통제 집단을 제외한 심리극복 프로그램 처치를 받은 집단은 사전 검사에 비해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아진 경향을 볼 수 있으며, 특히 신체적 극복집단에서. 사전 자아존중감은 여자가 남자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신체적 극복프로그램 처치 후 1차, 2차, 3차 자아존중감에서 남자보다 높게 자아존중감 수준이 뚜렷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이원변량 분석결과에서는 1, 2, 3차 검사와 사전검사와의 자아존중감 변화량의 성별, 처치 집단별 차이에서는 모두 동일하게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 처치 집단은 1, 2, 3차 검사와 사전검사의 변화량에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의 변화량에서 통제집단을 제외한 심리극복 프로그램 처치를 받은 모든 집단이 사전검사보다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신체적․인지적 극복기법 병행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높은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수행하는 경호원들에게 신체적․인지적 극복기법 프로그램을 장기간을 두고 점진적으로 처치 및 훈련을 실시할 때 경호원들의 자아존중감 상승에 의한 경호수행에 매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of the bodyguards through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also this research is targeting 60 bodyguards who have experienced this kind of career more than 2 years, and they were treated with three type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 physical, cognitive, physical and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y. The dependent variable surveyed the test period and the pre-test of self-esteem. Data analysis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statistical variables. And through 2-way ANOVA, this research came to a conclusion as below. First, Evaluation of self-esteem about psychological overcoming program related general speciality: Except the controlled group, self-esteem has been increasing through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Especially, the female group showed dramatical improvement than male group after the treatment. Second, Result of self-esteem 2-way ANOVA: changing rate of self-esteem has been shown as similar levels(p<.05) as the pre-test with all the groups.(gender and different treatment) Thus, statistically gender treatment group was found that the changing rate between 1, 2, 3 tests and the pre-test was about p<.05 level. The group that was treated with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had a tendency to be increased in self-esteem than pre-test, except controlled group. Especially, physical and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y group showed highest level of self esteem. Therefore,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for bodyguards has to materialize gradually, not in a short term. And the physical and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it influences on improving bodyguard's self -esteem which causes positive impact on bodyguarding.

      • KCI등재

        웹 기반 영어 학습 환경에서 중재프로그램이 듣기전략사용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조진현 ( Jin Hyun Jo ),이승은 ( Seung Eun Lee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21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upporting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RL) skills in web-based listening activities on students` liste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Fifty-eight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keep self-reflection reports before and after listening practice.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monitoring the students`` self-directed WBL activities with the self-reflection repor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the intervention program, students in both groups completed the TOEIC test and a listening strategy questionnaire. They also completed a motivation and attitude questionnaire (MAQ). Related to the effects of different self-directed WBL activities,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n the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For this reason, the finding means that they could be taught self-regulating strategies through an intervention program and encouraged to plan, monitor, evaluate and reflect on the learning processes. After the participants finished the intervention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mean scores in three out of four of the MAQ scales. It means that they became more responsible for their own learning, more intrinsically motivated and believed that their efforts to learn made a difference in their learning and led to positive outcome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y use and motivation, it was found that the more self-efficacy, intrinsic goal orientation and control of learning belief, the stronger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listening strategy use. This study implies motivation and strategy use can be promoted with scaffolding students`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by providing them with timely, honest, and explicit feedback in collaborative environment amongst peer learners.

      • KCI등재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 및 계획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자경 ( Kim Ja-kyoung ),강혜진 ( Kang Hye-jin ),김기주 ( Kim Ki-j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4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과 계획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를 실시하였는데, 7회기 동안 수학연산을 효과적으로 계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다. 중재 사전-사후검사로 수학성취도 검사(BASA-Math)와 인지처리 검사(CAS 계획기능)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재를 실시하는 매 회기동안 수학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BASA-Math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AS 계획기능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계획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계획기능 수준에 따라 PASS기반 인지전략 중재의 회기별 수학평가 점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계획기능 수준이 높은 집단은 수학평가에서 점수가 향상된 반면 계획기능 수준이 낮은 집단은 점수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즉,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는 연산능력과 계획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특히 계획기능 수준이 높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based on PASS for children ar 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Metho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posed to a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for 7 sessions, which was designed to encourag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planning for math calculation. Standardized tests of math achievement(BASA-Math) and cognitive processes(CAS-Planning) were administerd pre-post intervention. Students completed math worksheet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hase. Resul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based on PASS was effective to improve math calculation of children ar 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a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based on PASS was effective to improve planning of children ar 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Third, according to planning scores, low- and high planning groups were identified, and the improvement in two groups` math scores were compared using math worksheets. The low planning group had not see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ath worksheets, while the high planning group had improved. Conclusion: A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based on PASS was effective to improve math calculation and planning of children ar 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especially high planning groups.

      • KCI등재

        국내·외 아스퍼거 장애 중재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01∼2010년 문헌을 중심으로

        김수정,이성호,제현선,조정숙,서경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외 아스퍼거 장애 중재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16편, 국외 40편, 총 56편의 아스퍼거 장애 중재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와 대상연령별 논문발표 수, 종속변인, 중재 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7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사회성을 종속변인으로 한 논문이 주를 이루었다. 대상연령은 아동(7∼12세)이 주를 이루었으며, 대상연령별 종속변인에 대한 결과는 사회성 연구가 비중이 가장 높았다. 중재전략 특성 및 내용에 대한 결과는 사회성에 관한 중재전략이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중재전략에 따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을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es trend with a focus on the researches related to domestic & overseas asperger disorder interventions from 2001 until 2010.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56 scientific treatises [16 domestic papers and 40 overseas papers] on asperger disorder interventions, and made an analysis of the research year, number of presented papers by study object age, dependent variable, and intervention strategy targeting 56 treatises on asperger disorder interventions. As a result, domestic & overseas researches were found to actively go on starting from 2007, and the 56 treatises were mainly the ones setting sociality as a dependent variable. The object age was dominated by children aged 7∼12, and the result of dependent variables by object age revealed the researches gave highest weight on sociality. As for the result of intervention strategy & contents, it was found that the intervention strategy about sociality was the most applied, and most of the researches reported there came up an effect consequent on the intervention strategy. On the basis of such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further research.

      • KCI등재후보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Impartiality and the Duration of Conflicts Affecting Mediation Strategy

        차재훈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3

        This research, a study of intervention strategy for successful mediation, attempts to discover appropriate strategic code of conduct for Six‐party Talk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In connection with intervention strategy,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s of problem intervention set‐up for the mediator and the timing and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As apparent from the joint statements of Six‐party Talks,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r is deeply linked to solving the problem of North Korean nuclear. And, under discussion are major issues such as nuclear inspection, nuclear dismantlement process, North Korea‐USA normalization process etc. Mediator intervention cannot fully substitute for a lack of specific action strategy or guidelines in a negotiation. Nor can it be explained in terms of simple structure or tendency of the media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ecise action strategy for precise timing. In this study, major features of the 1st ‐ 4th Six‐party talks, during which different standpoints of various countries are made apparent, are analyzed in order to discover appropriate strategical action guidelines for South Korea during the Six‐party Talks. multilateral nature of interventions are shown to be effective in shortening the length of conflicts. Finally, it is the assessment of this study that mediation is shown to be more successful when it is bias towards a specific position rather than when it is neutral and that the timing of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at the beginning of negotiation when the agendas are being mediated and at the end of negotiation when agreements are being drawn up. 본 연구는 다자협상에 있어서 성공적인 중개자의 역할과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교착을 계속하고 있다.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다자협상의 기능과 성공적인 중개 전략은 무엇인지 구조적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론에서 제기하는 성공적인 중개조건은 분쟁 당사자간 갈등 기간과 중개자의 개입 시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분쟁 당사자간 갈등 기간이 짧을 수록 그리고 중개자의 개입 시점이 분쟁이나 갈등 초기에 개입할수록 중개의 효과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참여국의 개입 전략과 중개 시점이 협상결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성공적인 중개를 위해 중개자의 중립성이나 편향성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 지 여부도 중요한 문제였다. 일반적인 경향은 중립적 성격의 중개자 역할이 성공적이라고 설명하지만 당사자간 갈등이 심화되고 갈등 기간이 오랜 분쟁사례의 경우 중개자가 어느 특정 분쟁 당사자에 대해 보다 우호적인 관계를 갖는 경우가 분쟁해결의 중개효과를 더 높여준다는 전략적 시사를 제공했다.

      • KCI등재

        정부 정책 PR에 있어서 공중별 특성에 따른 조직의 대응 전략 연구: 할라한(Hallahan)의 이슈 처리 모델을 중심으로

        고광완,이종민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광고연구 Vol.0 No.116

        본 연구의 목적은 할라한(Hallahan, 2001)의 ‘이슈 활성화 및 조직 대응의 역동성: 이슈처리 모델’(The dynamics of issues activation and response: An issues processes model)을 활용하여 조직의 대응 전략들이 할라한의 주장대로 4개 전략 그룹(협상 전략, 교육 전략, 개입 전략, 예방 전략)으로 유형화되는지를 검증하고, 아울러 새롭게 유형화 된 전략 그룹들이 이슈(issue)에 대한 지식(knowldedge)과 관여도(involvement)의 고·저에 따라 구분된 공중별(활동 공중, 자각 공중, 환기된 공중, 비활동 공중)로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들과 대체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결과, 할라한이 관념적으로 분류한 협상 전략, 교육 전략, 개입 전략, 예방 전략에 속하는 16개 세부 전략들이 동일 요인으로 유형화되지 않았다. 둘째,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결과, 새롭게 유형화된 직접 협상 전략, 간접 협상 전략, 간접 개입 전략, 직접 개입 전략 그룹들도 지식과 관여도의 고·저에 따라 구분된 특정 공중에게만 배타적으로 효과적인 전략이기보다는 여러 공중 그룹에 중복적으로 효과성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활동 공중(active publics)에 대해서는 직접 협상 전략이 효과적이고, 자각 공중(aware publics)에 대해서는 직접 협상 전략, 간접 협상 전략, 직접 개입 전략이 효과적이며, 환기된 공중(aroused publics)에 대해서는 직접 협상 전략, 직접 개입 전략이 효과적이고, 마지막으로 비활동 공중(inactive publics)에 대해서는 간접 협상 전략과 직접 개입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ganization’s response strategies are classified as four categories of strategy such as Negotiation-Based Strategies, Education-Based Strategies, Intervention-Based Strategies, and Prevention-Based Strategies according to Hallahan’s Issues Processes Model. The study also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organization’s response strategies are effective in four publics groups categorized by different levels of knowledge and involvement as Hallahan assumes that one specific strategies group is appropriate to only one publics group.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organization’s response strategies are not classified as Hallahan’s four strategies groups and each strategy is not appropriate to only one publics group either. First,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s that Hallahan’s sixteen sub-strategies are not actually classified as his abstractly assorted strategies categories, such as Negotiation-Based Strategies, Education-Based Strategies, Intervention-Based Strategies, and Prevention-Based Strategies. Second, the result of one-way ANOVA demonstrates that newly assorted strategies categories, such as Direct-Negotiation Strategies, Indirect-Negotiation Strategies, Indirect-Intervention Strategies, and Direct-Intervention Strategies are not effective in only one specific publics group but effective in several publics groups categorized by levels of knowledge and involvement in an issue.

      • KCI등재

        증거기반의 행동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노진아 ( Jina N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각 지역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설문지 211부를 바탕으로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인식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이 보통 정도로 나타났고, 문제행동 중재 전략의 실행에 가장 큰 걸림돌로 업무의 과중을 들었으며, 학교 단위로 문제행동 지원팀을 구축하는 것을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대부분의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다소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거나 반대로 증거에 기반을 두지 않은 전략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식 수준은 교사 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사의 연령과 근무하는 기관의 유형에 따라서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인식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연령이 어리고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현장에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and to explore seve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se strategi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out South Korea. 211 of thos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perception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As a result, the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at the medium level. Also, it was found that a heavy workload was a determining factor for not using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hile building a behavioral support team at each school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need. In addition, participants identified most evidence-based behavioral strategies as being important. But some of the strategies were identified as somewhat insignificant or conversely nonevidence-based strategies were identified important. The level of percept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ased on certain variables. Specifically, perceptions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ifferent based on ages and type of institution. That is, younger teachers who worked at special schools were more likely to use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ways to facilitate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중재연구 동향 및 중재방법 분석

        신윤희,김진희,이은지,유충훈 한국자폐학회 2014 자폐성 장애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rends and method(tool and strategies) of intervention for increasing social skill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Data was collected 46 regional and international papers which contains the keyword ‘Autism, Autistic disorders, Asperger, Social skill’ and published from 2000 to 2013. Analysis of data was use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ges, tool and strategies, purpose of method and intervention, approaches of intervention. We also classified the factors of method as description of disabilities’ characteristic, demographic, intervention’s setting, characteristic, purpose, and effectiveness of tool and strategies compared with others. In result of this paper, various approaches of intervention have been conducted globally. Cognitive approach for intervention and treatment also was focused from 2003. Especially, Unclassified approach, for example, mediated music and art was researched in south Korea, howev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pproach was outside. In the result of analysis for factors of method(tool and strategies), the most regional studies absented explain and description of participants, and demographic, especially, why this tool and strategy compared with others for the participa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pproaches and practical factors of tool and strategies to discuss for intervention and treatment on evidence-based practices.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사회적 기술 증진 연구를 중심으로 중재 및 치료 적용현황에 대해 국내․외에서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중재방법의 질적 지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자폐, 아스퍼거, 사회성 기술로 검색된 논문을 발췌하여 연령, 연구도구 및 전략, 연구방법의 목적과 중재 및 치료유형별 적용현황에 관해 분석하였다. 또한 중재방법의 질적 지표로 연구대상자의 장애특성, 인구학적 특성, 중재환경 요소, 도구적 특성, 타 프로그램과의 비교, 종속변인 향상 근거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국내와 국외 모두 다양한 접근법의 연구들이 시행되어왔으며, 인지중심중재 및 치료의 경우는 국내는 2003년부터 급속도로 가장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기타중심중재 및 치료가, 국외에서는 인간관계중심중재 및 치료가 꾸준히 연구되어오고 있다. 중재방법의 질적 지표 동향에서는 국내의 연구들이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과 다른 도구에 비해 왜 이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해 명확하게 기술한 연구논문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증거기반실제를 위해 연구 시행 시 논의되어야할 연구도구와 중재전략의 접근법 및 실제적 기초에 대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과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

        박지혁,박혜연,홍익표,한대성,임영명,김아람,남상훈,박강현,임승주,배수영,진연주,박지혁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라이프스타일-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은 라이프스타일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해 준다. 라이프스타일은 결정, 실행, 습관화 단계를 거쳐 형성된다. 결정 단계는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이고, 실행 단계는 실제로 활동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두 단계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습관화라고 한다. 라이프스타일 형성 단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환경, 자원, 개인적 요소로 구분된다. 환경은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문화적 환경, 가상적 환경이 포함된다. 자원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건강적 자원, 시간적 자원, 경제적 자원, 사회적 자원 등으로 분류된다. 개인적 요소는 역량, 욕구, 가치가 포함된다. 역량은 할 수 있는 능력, 욕구는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의 차이, 가치는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뜻한다. 라이프스타일의 형성 단계에서 환경, 자원, 개인적 요소는 각 단계별로 서로간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전반적 과정을 흔드는 것을 사건이라고 하며, 개인적 사회적 사건을 모두 포함한다. 건강과 관련된 라이프스타일 요소는 신체활동, 식습관, 사회관계, 활동 참여이며, 이것들이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목표이다. Lifestyle-DEPER 모델을 기반으로 한 중재 전략 KEEP (지식, 경험, 평가, 계획[Knowledge, Evaluation, Experience, Plan])은 라이프스타일 형성 단계와 영향 요소들을 다면적으로 고려한 건강을 위한 중재 전략이다. 본 문헌을 통해 Lifestyle-DEPER 모델을 소개하고,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KEEP)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를 통해 Lifestyle-DEPER 모델과 KEEP 전략은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s, Environment, Resources) model explains lifestyle formation. Lifestyles are shaped through the decision, execution, and habituation stages. Factors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of a lifestyle are categorized as environmental, resource, and personal. The environment encompasses our surroundings and social, physical, cultural, and virtual environments. Resources refer to what individuals possess, such as health, time,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Personal factors include competencies, needs, and values. At the lifestyle establishment stage, each of these factors influences a different stage. These collective processes are referred to as events, encompassing both personal and social events. Health-related lifestyle factors include physical activity, nutrition, social relationships,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These are the goals of lifestyl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strategy based on the Lifestyle-DEPER model, called KEEP (Knowledge, Evaluation, Experience, Plan),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omoting a healthy lifestyle by considering lifestyle formation stag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introduces the Lifestyle-DEPER model and presents a lifestyle intervention strategy (KEEP) to promote health.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validate the practicality of the model after applying interventions based on the lifestyle construction model.

      • KCI등재

        토론담화에서의 말 끼어들기에 대한 연구

        강소영 한국어의미학회 2017 한국어 의미학 Vol.58 No.-

        This study purposed to show that turn taking takes place often at unfavorable-easy points by examining the phenomenon of intervention observed in CEDA discussion discourses. Intervention at unfavorable-easy points was somewhat frequent interventions at a point where the intervention did not affect the present speaker’s message such as quotations, wh-clauses, tag questions, predicatives of a ‘neun geosida’ noun clause and idiomatic expression. Also, unfavorable intervention is showing an unfavorable behavior to the present speaker by cutting in the present speaker’s turn and raising a question on or refuting the present speaker’s message or changing the topic by presenting another alternative, so listener did use several language strategies at unfavorable points. Especially, interventions at unfavorable-easy point did use a linguistic device for saving the present speaker’s positive face, unlike other interv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