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 Station ID에 표현된 Empty Image 특성 연구
강소영,김도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3
현재까지 Empty Image의 연구는 2차원 평면공간의 디자인 사례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 이며 시간성을 기반 한 영상미디어에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영상 미디어에서 Empty Image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또한 본 논문은 연구자의 박사학위논문(강소영, 2015) 중 사례연구 부분을 요약한 논문임을 밝힌다. 연구의 목적은 영상 미디어에서 Empty Image의 매체적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Empty Image의 조형적 측면, 기능적 측면에서 매체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시간성을 포함하는 영상 매체에서 Empty Image의 미적 가치와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Empty Image의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내 영상 미디어 중 Station ID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Station ID의 공통 분석 모형과 Empty Image 공통 분석 모형을 기준으로 Empty Image 효과 요인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Station ID에서 Empty Image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진행했다.영상 미디어에서 Empty Image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공간성(空間, space), 휴지성(休止, pause), 주목성(注目, attention), 전달성(傳達, communicability), 가독성(可讀, legibility), 착시성(錯視, optical Illusion) 등이 Empty Image의 주요한 특성으로 분석되었다.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사례를 토대로 추출한 Empty Image는 효과적 요인을 제외한다면 그 특징이 상상성(想像, Imagination)에 있으며 Empty Image를 통해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영상 미디어 제작시에 Empty Image의 상상성(想像, Imagination)을 고려하여 제작한다면, 그래픽 조형 요소뿐만 아니라 6가지 효과 요인과 더불어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컨셉을 전달할 수 있고, 표현 방법은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Empty Image를 재조명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매체적 특성을 고려한 Empty Image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므로, Empty Image를 점, 선, 면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조형 요소로서 활용하여, 앞으로 영상 미디어 제작시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교재의 학습 활동 분석 연구
강소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contents of learning activities in cultural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for cultural learning activ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for efficient cultural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aims to foster intercultural skills in students to recognize cultural differences based on academic performance, beyond understanding the actual culture. To achieve this goal, learning activities need to be appropriately organi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in cultural textbooks, the activities solely check whether students have been provided with and understood all the reading materials. They often consist of simple comparisons and do not reflect the students’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textbooks are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Korean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direction for effective learning activities in cultu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문화 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이 어떤 유형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특징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문화 교육을 위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문화 학습 활동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은 문화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넘어서 학문적 수행 능력을 바탕으로 서로 간의 문화 차이를 인정하는 상호문화적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이러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다양한 학습 활동들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그러나 문화 교재의 학습 활동 분석 결과,읽기 활동에 치중하여 텍스트 내용을 확인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단순히 한국문화와 자문화를 비교할 뿐 타문화를수용하는 활동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였다.또한 학문적 수행 기술과 관련해서는 토론하기,비교/대조하기,쓰기,발표하기 등이 제시되어 있지만 교재에 따른 차이가 크고불균형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일반 목적 한국어 문화 교재와 차별성을 지니지 못하는 것이며,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단편적으로 제시되어 문제로 지적되었다.학문 목적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학습 활동은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팀 기반 프로젝트활동이나,실제 체험 관찰하기,설문조사 방식 등 학문 활동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활동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이에 본고에서는 효율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학습 활동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강소영,이남석,오승익 한국국방연구원 2021 국방정책연구 Vol.37 No.1
Local communities that had limited urban development due to the long presence of the US forces in South Korea are expecting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the base return. As there are dozens of bases to be returned and the development plans are constantly being reviewe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local communities will change after the USFK bases are returned. In this study, case studies of Camp Hialeah and Camp Castle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time series analysis, changes in the land price, population, number of businesses, and number of workers were compared between two local communities and their upper administrative area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returning from the military ba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ocal communities. In other words, the population has flowed into the local communities and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the number of workers have increased after returning from the USFK bases. Besides, land prices around the bases have increased and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could be actively promoted. 주한미군의 오랜 주둔으로 인하여 도시발전의 제약과 불편을 겪었던 지역사회는 미군기지의 반환을 통해 지역의 성장과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미군기지가 반환된 이후에 나타난 지역사회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캠프 하야리아와 캠프 캐슬 기지의 반환사례를 바탕으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지 주변지역과 상위 행정구역의 지가변동, 인구 수 및 세대 수,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주한미군기지의 반환 후 개발사업은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연구
강소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ing model to foster media literacy skills among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role of media in modern society is growing. As it expands to various learners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s increasing. This is because Korean language learners encounter Korean society through media and thereby acquire knowledge about Korean culture and language. Moreover, media literacy education cannot be ignored because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adults from overseas, learning to live in a Korean society, of which media is an important part. Accordingly, a five-step class model was applied to Korean language learners to propose media literacy subjects and suggest the learning curriculum for week 15.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were formulated to develop media literacy skills in learners, breaking away from the limita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하기위한 수업 모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점점 더커지고 있다. 한국어교육 내에서도 다양한 학습자들로 확대되면 미디어 리터러시의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 사회에서 미디어를 통해 한국 사회를 접하고, 한국 문화, 한국어 등을 습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성인으로서 가장 중요한 시기에 한국 사회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학문을 쌓고 있기 때문에 더욱이 미디어 리터러시교육에서 배제될 수 없다. 이에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5단계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과목을 제안하고 15주차의 학습 내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 언어 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미디어를 활용해 오던 교육적 한계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학문적 수행 능력을 고려하여 미디어 텍스트에초점을 두고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강소영,김도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4
To interpret the image effect of 5 TV commercials for the 5th National Local Electionin 2010-Oh Sei Hun edition of Grand National Party, Ji Sang Wook edition of Liberty Forward Party, the editions of Han Myung Sook’s Noh Moo Hyun and Bad Woman and I will Return You of Democratic Party, this study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their image signifiers (visual, description and letter codes) and voice signifiers (Narration, background music, and sounds). In terms of Semiotics of moving typography as well as the rhetoric, color and narrative structures of the TV commercials of Seoul mayor candidates, I came to know that first the image effect was based on two formations: chronological narrative and contrasting-reverse narrative. Chronological narrative was produced in form of a documentary to deliver credibility to eligible voters and emphasize the image of a candidate to stimulate their emotional cues. On the other hand, contrasting-reverse narrative was produced as a commercial of political promises that seek solutions to problems. Second, the analysis on the rhetoric structures resulted in the finding that the commercials used diverse types of rhetoric such as metaphor, metonymy, simile, and synecdoche. All of 5 the TV commercials used synecdoche in their images containing present issues, problems and political suggestions to speak for Seoul citizen. They also used pictorial aesthetics and a variety of rhetoric structures to give salience to the image of a candidate. Third, the analysis of color used in the commercials revealed that they made contrasts of time and mood by color contrast. They contrasted the past and the present with black and white color, respectively and showed dark reality by dark tone of transition and bight future by bright colors. Finally, the analysis of moving typography showed that it functioned as promoting the public pledges, the switchover and connection of contents and the name of candidate. 3 out of total 5 TV commercials of the 5th National Local Election in 2010 appeal to emotion and pictorial esthetics. In order to deliver candidate’s vision, competence and impress his or her image in voters’ mind, accordingly, TV political commercials should be produced by analyzing the political status and situation at the point of election accurately and pinpointing cues of appealing to them. 2010년 제 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오세훈>편, 자유선진당 <지상욱>편, 민주당 <한명숙-노무현, 나쁜 여자, 돌려드립니다>편 총 5편의 TV광고의 영상의미작용을 해석하기위해 영상기표, 음성기표, 문자기표를 분석하여 내포하고 있는 함축의미를 분석하였다. 서울시장 후보자의 TV광고에서 수사구조, 색상구조, 서사구조와 무빙타이포그래피의 기호학적 측면에서 영상의미작용의 기전은 첫째, 두 가지로 연대기적 서사구조와 대비, 반전의 서사구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대기적 서사구조는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유권자에게 신뢰감을 전달하고 감정이입을 유도하여 영상 속에 후보자와 친밀감을 높여 거리감을 좁히고 있었다. 대비, 반전 서사구조는 후보자의 비전과 역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수사구조를 분석한 결과, 은유, 환유, 직유, 제유 등 다양한 수사법을 사용하고 있다. 5편의 모든 TV광고에서 제유를 사용한 것이 공통점이며 영상미학과 후보자의 이미지를 부각시켜 전달하기위해 다양한 수사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색상구조를 분석한 결과, 색상대비를 통하여 시간의 대비와 분위기 대비를 나타내고 있다. 과거와 현재, 어두운 현실과 밝은 미래를 색상대비를 통하여 나타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무빙타이포그래피를 분석한 결과, 공약전달, 내용전환 및 연결, 후보자 이름을 홍보하는 역할과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2010년 제 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시장 후보 TV광고에서 총 5편 중 3편이 감성과 영상미학에 호소하고 있었다. 짧은 시간 동안에 후보자의 비전과 역량, 신뢰감을 전달하고, 인상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서 선거 당시의 정치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권자의 소구를 파악한 후에 후보자의 디지털 이미지 메이킹을 통하여 TV광고를 제작해야 할 것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대학생활 기반 문화 교재 개발 연구
강소영 한국문예창작학회 2019 한국문예창작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s based campus life for cultural education necessary for thos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to adapt themselves to the campus culture of Korea and improve the leaning competency. As the government has mapped out the polic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at a policy level,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among the students entering domestic university. However,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there was the adverse effect, considering that many peop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showed sluggish academic performance or dropped out right after they entered domestic universities, raising the concern. Therefore, campus life-based 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separately, so that people who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can understand the norms, mode of conduct, and custom which they have to observed,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conducive to promoting systematic cultural education based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practical and useful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learners. We examined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through analysis with existing studies and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and conducted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and needs of learners and professors, thus exploring the basic course for improvement that could be achieved when the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successful educational culture, the campus life-based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may be developed for thos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education integrating the cultural education and linguistic education should be pursued while organizing each unit by taking the content-based approach on the basis of campus life. Second, the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allow for the academic activities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Third, the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provide motivation to learners. Fourth,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present the activities comparing the culture so as to help build the critical thinking of culture and expand the ability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the learning of culture. Fifth, the educational materials suited for the level of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and furthermore, the stage of evaluation that assesses the level of understanding after cultural learning would need to be presented together. Based on aforesaid principles, this study organized and presented the learning items corresponding to a total of 8 units, along with the actual cases of contents for each un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organized practical teaching items and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development of campus life-based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at, learners can learn practical cultural details based on more systematic process, which would lead to minimization of burden on their teachers and promotion of efficient 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대학 문화에 안정적으로 적응하여 학업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문화 교육을 실행하기 위하여 대학생활 기반의 실용적인 문화 교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있다.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를 확대하는 제도가 마련되면서 국내 대학에 진학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많은 수의 학습자들이 국내 대학 진입과 동시에 학업 부진이나 중도 포기하는 부작용이 발생하여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때문에 한국의 대학 사회 내에서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해서는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로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범이나 행동 양식, 관습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대학생활 기반의 문화 교육이 별도의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재 개발까지 이어져 체계적인 문화 교육의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실제적이고 유용한 문화교재 개발에 관해 논의하였다. 기존 연구와 문화 교재 분석을 통해 현황과문제점을 고찰하였고,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문화 교재개발 시 어떤 점들이 새롭게 보완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성공적인 문화 교육을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생활 기반의 문화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첫째, 대학생활 기반의 주제중심 접근법(Content-based Approach)을 바탕으로 단원을 구성하되, 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의 통합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둘째, 학문 목적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문적 활동들을 수반하는 교재여야 한다. 셋째, 학습자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실제성이 있는 교재여야 한다. 넷째, 문화 학습을 통해문화에 관한 비판적 사고를 키우고,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문화 비교 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교재를 개발해야 하며 문화 학습 이후 이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단계를 함께 제시해야 한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총 8과에 해당하는 교수요목을 구성하여 제시하였으며 단원에 따른 내용 구성을 실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활 기반의 문화 교재 개발을 통해 실제적인 교수요목과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보다 체계적인 과정 속에서 실제적인 문화 내용을 학습할 수 있으며, 그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부담도 최소화되어 효과적인 문화 교육을 진행할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