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행동 중재 현장자문이 장애전문어린이집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충훈,이효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observe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on-site consultation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has effect on the efficacy a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Participants were 31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day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ected by a cluster sampling and each child in their class. The on-site consultation program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was consists of 4 sessions of a group education on positive behavior supports and 23 sessions of on-site consultations in the form of the individual support, lasted for 3 months in which the special teachers mediate the child's problem behaviors. Research Design use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analysis of the program effect was conducted with t-test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and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on-site consulta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group education on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of a child and the on-site consultation in the form of individual supports positively influenced on teachers' expectation and beliefs, which are elements of teacher efficacy. Second, a group education on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of a child and the on-site consultation in the form of individual support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se results means that the teachers support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should be accompanied by a group education in the form of the lecture focused on knowledge transmission and on-site consultations together in the form of the individual support. 본 연구는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현장자문이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특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아동의 문제행동을 관찰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군집표집에 의해 선정된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특수교사 31명이고, 문제행동 관찰대상은 특수교사가 소속된 학급의 아동 각 1명씩을 선택한 31명이다. 문제행동 중재 현장자문 프로그램은 긍정적 행동지원 내용에 대한 집단교육 4회기와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 23회기로 구성하여, 특수교사가 아동의 문제행동을 중재할 수 있도록 3개월 동안 지원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분석은 현장자문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고, 관찰과 설문지를 통한 수집 자료를 이용하여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아동의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집단교육 및 교사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이 교사효능감의 요소인 교사의 기대감과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동의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집단교육 및 교사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들은 문제행동중재에 대한 교사지원이 지식전달을 위주로 한 강의형태의 집단교육과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이 함께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육매체로서의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발달장애아동의 인식 비교

        유충훈 ( Yoo Chung Hoon ),이효신 ( Lee Hyo Shi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본 연구는 로봇과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통해서 발달장애아동들의 대상인식과 수용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러한 매체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O시 H초등학교의 특수교사로부터 8세부터 12세까지의 발달장애아동들을 추천 받아, 특수교사와 연구자가 다시 논의한 끝에 10명(남5, 여5)을 최종 선정하였다. 로봇과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교대중재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약 2개월 동안 10회기를 진행하였다. 발달장애아동들의 대상인식과 수용은 설문지를 통해서 측정되었고, 상호작용은 사건기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대상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사용하였고, 매체에 대한 수용과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표와 그래프를 이용한 시각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대상인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공동활동’과 ‘신뢰형성’의 인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둘째,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수용에 있어서 컴퓨터보다 로봇이 아동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또한 학급 내 인기투표에서 9명 모두 ‘잉키’를 1위로 선택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아동들과 매체간의 상호작용은 매체인식에 대한 통계적 분석결과와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로봇은 발달장애아동들에게 공동 활동을 할 수 있고 신뢰관계가 형성될 수있는 친구로 인식되며, 이러한 인식은 아동들의 말과 행동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object recognition and reception abilities and to observe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media - robot and computer. As the subject of study,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age group between 8 to 12 years old were selected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t H elementary school in O city, the final group of 10 children (5 male and 5 female students) for the study was chosen among the pre-selected after discuss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robot and computer were done withi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nd a total of ten sets were performed over the course of two months. The object recognition and reception abilities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and the interactions were measured by event recording. T-test was used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recognition of robot and computer. For visual analysis method, table and graph was used to study the reception abilities and interaction of the educational media - robot and comput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these processe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ject recognition between robot and comput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outcomes especially in the ‘group activities’ and ‘trust building’ areas. Second, for the reception of robot and computer, robot was more attractive to children than computer. Also, nine out of ten students in the classroom voted for ‘Engkey’.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media - robot and computer - showed the same pattern as object recognition in statistical analysis. Therefore, the robot can be recognized as a friend who establishes a trust relationship and performs activities with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is confirmed by the children’s words and behaviors.

      •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유아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

        윤지영.권미영.김태경.석민숙.유충훈.유재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teachers who will be responsible for preschool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risk by analyzing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284 children 's childcare teachers in four metropolitan cities in Kyungsangdo and Jeollado - kwon area were surveyed. The subjects of the stud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the 5 - point scale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six developmental domains of language, cognition, social, motor coordination, auditory perception,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verbal, cognitive, social, motor coordination, auditory perception, visual perception) appeared in six developmental domains. Teachers' perceptions of day care centers on risk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field, we looked at and observed the children belonging to the group with learning disabilities-sometimes, perceptions of based on the experience gained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patterns of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perception can be summarized mainly in spoken (listening) comprehension, memory, attention, coordination ability. This study has limitations of self - report questionnaires on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about the risk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Howe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who can observe the signal of the infant with learning disability firstly should be able to make appropriate screening. And a wide range of professional training for early detec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recommended.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중재연구 동향 및 중재방법 분석

        신윤희,김진희,이은지,유충훈 한국자폐학회 2014 자폐성 장애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rends and method(tool and strategies) of intervention for increasing social skill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Data was collected 46 regional and international papers which contains the keyword ‘Autism, Autistic disorders, Asperger, Social skill’ and published from 2000 to 2013. Analysis of data was use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ges, tool and strategies, purpose of method and intervention, approaches of intervention. We also classified the factors of method as description of disabilities’ characteristic, demographic, intervention’s setting, characteristic, purpose, and effectiveness of tool and strategies compared with others. In result of this paper, various approaches of intervention have been conducted globally. Cognitive approach for intervention and treatment also was focused from 2003. Especially, Unclassified approach, for example, mediated music and art was researched in south Korea, howev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pproach was outside. In the result of analysis for factors of method(tool and strategies), the most regional studies absented explain and description of participants, and demographic, especially, why this tool and strategy compared with others for the participa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pproaches and practical factors of tool and strategies to discuss for intervention and treatment on evidence-based practices.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사회적 기술 증진 연구를 중심으로 중재 및 치료 적용현황에 대해 국내․외에서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중재방법의 질적 지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자폐, 아스퍼거, 사회성 기술로 검색된 논문을 발췌하여 연령, 연구도구 및 전략, 연구방법의 목적과 중재 및 치료유형별 적용현황에 관해 분석하였다. 또한 중재방법의 질적 지표로 연구대상자의 장애특성, 인구학적 특성, 중재환경 요소, 도구적 특성, 타 프로그램과의 비교, 종속변인 향상 근거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국내와 국외 모두 다양한 접근법의 연구들이 시행되어왔으며, 인지중심중재 및 치료의 경우는 국내는 2003년부터 급속도로 가장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기타중심중재 및 치료가, 국외에서는 인간관계중심중재 및 치료가 꾸준히 연구되어오고 있다. 중재방법의 질적 지표 동향에서는 국내의 연구들이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과 다른 도구에 비해 왜 이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해 명확하게 기술한 연구논문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증거기반실제를 위해 연구 시행 시 논의되어야할 연구도구와 중재전략의 접근법 및 실제적 기초에 대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유아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

        윤지영,권미영,김태경,석민숙,유충훈,유재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teachers who will be responsible for preschool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risk by analyzing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284 children 's childcare teachers in four metropolitan cities in Kyungsangdo and Jeollado - kwon area were surveyed. The subjects of the stud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the 5 - point scale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six developmental domains of language, cognition, social, motor coordination, auditory perception,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verbal, cognitive, social, motor coordination, auditory perception, visual perception) appeared in six developmental domains. Teachers' perceptions of day care centers on risk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In the field, we looked at and observed the children belonging to the group with learning disabilities-sometimes, perceptions of based on the experience gained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patterns of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perception can be summarized mainly in spoken (listening) comprehension, memory, attention, coordination ability. This study has limitations of self - report questionnaires on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about the risk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Howe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who can observe the signal of the infant with learning disability firstly should be able to make appropriate screening. And a wide range of professional training for early detec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recommended. 본 연구는 학습장애 위험유아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취학 전 학습장애 위험특성을 보이는 유아들을 담당하게 될 교사들을 위한 연수나 서비스 등을 마련하는 기초자료가 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권, 전라권 지역의 4개 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은 학습장애 위험 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 운동협응, 청지각, 시지각의 6가지 발달 영역의 특성들과 관련하여 5점 척도 기준으로 설문에 응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영역 6가지에서 학습장애 위험유아가 보이는 특성(언어적, 인지적, 사회적, 운동협응, 청지각적, 시지각적 특성)이 나타났다. 학습장애의 위험 유아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은 현장에서 학습장애 위험군에 속해 있는 유아들을 살펴보고 관찰하면서 때로는 얻어진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장애에 대해서 지각하고 있었고, 이러한 지각을 통한 학습장애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의 패턴은 주로 구어(듣기)이해, 기억, 주의집중, 협응능력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장애의 위험 유아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에 대해 자기보고식의 설문조사가 가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신호를 가장 먼저 관찰할 수 있는 어린이집 교사들이 적절한 선별을 할 수 있도록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따른 심도 깊은 고찰과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조기선별을 위한 전문적이고 폭넓은 연수가 추천되어 진다.

      • KCI등재

        텔레프리젠터 로봇을 통한 정서,행동장애 및 위기학생의 상호작용 탐색연구: 경북 N초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신윤희 ( Yun Hee Shin ),이효신 ( Hyo Shin Lee ),진미영 ( Mi Young Jin ),유충훈 ( Chung Hoon Yoo ),김창걸 ( Chang Guel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및 위기학생들이 텔레프리젠터 로봇과의 상호작용에서 어떠한 행동 반응특성을 보이며, 로봇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경북 N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명의 학생으로 양적 방법인 부분간격기록법과 질적 방법인 비참여 관찰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모든 학생들이 게임활동 상황 보다는 자유대화상황에서 자리이탈이나 부주의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두 번째, 학생의 특성과 상관없이 자신의 관심이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대상으로 로봇을 인식하였다. 세 번째, 또래에게 부정적 경험을 한 번 이라도 받은 적이 있는 학생들인 경우, 로봇의 상황을 이해하여 경험을 제안하는 공동활동을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네 번째, 심각한 놀림이나 집단따돌림을 받고 있는 학생들인 경우, 로봇을 신뢰로운 친구가 되고 싶은 대상으로서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또래관계에 문제가 있는 정서·행동장애 및 위기학생의 교육적 중재시 텔레프리젠터 로봇이 새로운 매개체로 역할을 해 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ehavioral responses and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and student at risk through interaction with tele-presence robo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book, South Ko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artial interval recoding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umber of ``out of seat`` and ``off-task`` behaviors of All participants were more showed in conversation situation than in task situation. Second, All of participants recognized the robot sharing their interests and experiences. Third, the participants who having bad experience from peers recognized the robot having a pro-social relationship through understanding the robot``s situation and suggesting their opinions. Last, the participants who were bullied from peers recognized the robot as their friend. Therefore, this study was showed that Robot could be new medium of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being bul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