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은지,김현옥 한국모자보건학회 2014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8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ealth perception on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27 child care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participants of a job traning program by purposive sampling.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and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data. Result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demographicfactors (age and license typ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perception and age of theparticipan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Finally, the health perceptionand age had an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Conclusions: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the health perception and agein child care teachers. Further study is need to investigate more factor which influence on thehealth promoting behavior.

      • KCI등재

        닥나무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기반 InDel 마커의 개발

        이은지,김윤아,이미선,김주혁,최용규,김정성,신창섭,이이,Eun Jee Lee,Yoon A Kim,Mi Sun Lee,Ju Hyeok Kim,Young Kyu Choi,Jung Sung Kim,Chang Seob Sin,Yi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6 No.4

        Several members of the genus Broussonetia are woody plants with high-quality cellulose fibers and are used to make a traditional type of Korean paper known as Hanji. Three of these species, Broussonetia kazinoki, Broussonetia monoica, and Broussonetia papyrifera, are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it is challenging to distinguish different Broussonetia species based on morphology alone, we have developed a set of insertion/deletion (InDel) markers for genetic identification of these species. From twenty-two Broussonetia samples collected throughout Korea, we selected six for next-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InDel marker candidate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is sequence information with the B. kazinoki chloroplast genome sequence. The marker candidates were used to screen the genomes of the twenty-two Broussonetia plants, and five useful chloroplast-based InDel markers were identified. Detailed genotyping using these five markers showed that the twenty-two plants of the genus Broussonetia could be clustered into five groups, verifying that the markers developed here can be used for breeding,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species in the genus Broussonetia.

      • KCI등재
      • KCI등재

        중간엽줄기세포(MSC)를 이용한 허혈성 혈관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 기초연구에서 임상연구

        이은지,박신후,서정호,안효경,남시현,권상모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7

        최근 인구 고령화로 인해 허혈성 심장질환, 허혈성 뇌졸중, 말초 동맥 질환 등의 허혈성 혈관질환의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허혈성 질환에 대한 현재 표준화된 치료법은 약물 요법 및 수술을 통한 재관류요법이다. 재관류요법은 손상된 동맥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지만 허혈로 인해 손상된 주변 조직의 기능 회복에 있어 효율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허혈 질병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주변 조직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손상된 부위를 재생하는 줄기세포 기반 치료가 허혈성 혈관질환의 유망한 전략으로 연구되어 왔다. 다양한 조직에서 분리할 수 있는 중간엽줄기세포(MSC)는 면역 조절, 혈관 신생 촉진 및 다양한 관련 인자의 분비를 통해 손상된 조직을 재생함으로써 허혈성 질환의 치료에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줄기세포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3D 배양법을 이용하거나 세포 프라이밍(Cell Priming)과 같은 MSC 기능을 강화하여 이식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MSC를 허혈성 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다양한 전략을 제공하고 허혈성 부위에서 MSC의 분화(Differentiation), 증식(Proliferation) 및 생착(Engraftment)과 같은 이식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 KCI우수등재

        과거 역사 학습동기의 유형에 따른 현재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에 대한 견해 차이 연구: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를 중심으로

        이은지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ypes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past make any difference on one's historical awareness and opinions about history education in the pres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storical awareness depending on the type of motivation. They evaluate four questions differently: The identified regulation group and intrinsic motivation group think more positively about the four questions than other groups. Second, the types of motivation in the past affect opinions about history education in the present. They think differently about why we have to teach history at school and why they are interested in history according to the type of motivation.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oncern for history depending on the type of motivation. This implies that we need to pay more careful attention to the types of motivation for history education. We also need various types of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helpful to improving students' motivation. 이 연구는 과거 고등학생 시절 역사교과에 대해 가장 우세하게 가졌던 학습동기 유형의 차이가 미래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에 대해 가지는 견해에 차이를 만들어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 6차 교육과정 세대와 제 7차 교육과정 세대를 대상으로, 과거 역사교과 학습동기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동기군을 분류한 다음, 동기군에 따라 현재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에 대해 가진 견해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과거 동기군에 따라 현재 보이는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에 대한 견해에 차이가 있었다. 우선 과거에 보였던 동기군에 따라 현재의 역사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한 결과, 동기군에 따라 고구려의 국력, 전근대 일본에의 문화 전수, 붕당에 대한 인식, 일제 식민통치의 잔혹성에서 유의미한 역사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효과크기는 대개 보통 수준이었다. 차이가 발생한 4개 문항에서 대체적으로 확인된 조절동기군과 내재적 동기군이 외적 조절동기군보다 해당 문항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다음으로 두 교육과정 세대가 과거에 가졌던 학습동기에 따라 현재 그들의 역사교육에 대한 견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현재 역사교육의 필요성과 그 이유, 현재 역사에 대한 관심 정도와 그 이유 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동기군에 따라 역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와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갖는 이유에 차이가 있었다. 그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역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와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갖는 이유에서 모두 역사왜곡에 대한 내용이 많은 지지를 받았다는 점이다. 또한 역사에 대한 관심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대개 자율성이 높아질수록 미래에도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역사인식의 형성에 있어 학습동기의 중요성에 대해 더욱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학생들의 동기수준을 자율성이 높은 내재적 동기나 확인된 조절동기의 수준으로 높여줄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미세먼지 없는 학교 위치 선정 ’ MEA활동에서고등학생들의 데이터 우선순위 설정 전략 탐색

        이은지,남윤경 한국지구과학회 202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4 No.5

        본 연구는 대도시에서 미세먼지 없는 학교 부지를 찾는 Model Eliciting Activity (이하 MEA) 활동을 통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문제 해결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 5차시로 개발된 MEA 활동에 79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참여 하였으며 , MEA 활동지를 주요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답을기반으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모델을 귀납적 및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 먼저 학생들이 다른 데이터보다 어떤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사용했는지 순서를 분석한 후 주어진 데이터 세트를 어떻게 상호 연결하여 순서를 결정하는지 분석하였다 . 분석결과 학생들은 미세먼지 배출량이 많은 곳을 기피하기 위해 미세먼지 배출농도 , 산업단지 분포 등 미세먼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를 먼저 활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흥미롭게도 MEA 활동에서 고등학생의 문제 해결 특성은 매우 다양하여 76명의 학생이 총 61가지 유형의 문제 해결 모델을 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순서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학생의 최대 수는 6명으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방법은 매우 다양함을 보여준다 . 그러나 공통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곳을 제외하는 방법으로 미세먼지 배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를 먼저 선택하는 특성을 보였다 .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olving approaches of high school sophomores during a model elicitingactivity (MEA) aimed at determining the best location for a school in a heavily industrialized city where fine dust is aconcern. Over five lessons, 79 students engaged in this activity, and their completed worksheets provided the primarysource of data. These worksheets contained students’ step-by-step problem-solving methods provided in response to open-ended questions. By using induc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 examined which data students prioritized and how theyinterconnected various data points. A key observation was that most students prioritized data related to fine dust, such asemission levels and the locations of industrial complexes, to identify areas with lower emissions. Surprisingly, the students'problem-solving methods were highly varied. There were 61 unique problem-solving models from 76 students. The largestnumber of students who approached the problem in a same way was only six. This indicates the vast diversity of studentapproaches to the task. Although their methods varied, one commonality was that most students first considered fine dust-related data to exclude high-emission areas.

      • KCI등재후보
      • 거리 기반 위치센서 고정점의 정밀위치결정 및 좌표계 구성

        이은지,은영호,박찬덕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이 연구에서는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거리 기반 위치센서의 고정점의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하고 이를 통해 좌표계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내에 설치된 인공위성 하드웨어 시뮬레이터의 위치는 위치센서 고정점들을 기준으로 구성된 좌표계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서는 고정점들의 정확한 상대 좌표 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최소 자승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정점들의 배열을 임의로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의 특성에 맞는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위치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므로 물리적인 측정 방식에 비해 높은 정밀도로 좌표계를 구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결과 고정점의 3차원 위치오차가 10cm에서 3cm로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절대위치결정의 정밀도는 약 4배 향상되었다. This research presents precise location determination of the anchor of range-based position sensor and the associated coordinate construction using rotational motions. If the location of an indoor hardware simulator is to be represented in a coordinate system referencing the location of anchors, it is critical to precisely localize the anchors. The proposed approach employs a simple batch least square algorithm. The anchors can be arranged freely, the sensors can be used effectively based on their properties. Software simulation shows that 3 dimensional position errors of the anchors are decreased to 3cm from 10cm, and that the accuracy of absolute positioning becomes almost quadru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