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ㆍ행동장애학생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한 과제 및 전망

        박명화 ( Park Myong Hwa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정서ㆍ행동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교육과 지원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고 도출된 문제의 해결을 위한 과제 제안을 통해 정서ㆍ행동장애학생의 교육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ㆍ행동문제를 가진학생 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는 정서ㆍ행동장애 학생 수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장애 표찰이라는 낙인효과로 인한 진단기피, 진단기준의 모호함, 학생정서ㆍ행동특성검사의 우선관리군 학생들에 대한 특수교육대상 진단의 음성오류 내지 누락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아울러 정서ㆍ행동장애 명칭, 사회ㆍ문화적 요인 등을 고려한 진단기준 및 진단도구, 진단과정의 자기보고 추가, 주기적인 재평가를 통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간의 수평적 이동을 과제로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적 배치의 문제는 정서행동장애의 90%가 통합교육을 받고 있으므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공동책무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전문성 신장 문제로 공동책무성을 다하기 위해 교사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에 정서ㆍ행동문제에 대한 행동지원은 물론 학업지도에 대한 교육의 보급ㆍ확대를 제안하였다. 넷째, 지원서비스의 문제는 보건의료행위인 치료지원은 특수교육법에, 교육 및 발달적 지원인 발달재활서비스는 아동복지지원법에 명시되어 있는데 법체계의 재정비를 통해 지원영역 및 지원경로를 개선하고 정서ㆍ행동장애학생의 지원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o propos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by suggesting task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ho are selected for special education has decreased. This point was pointed out to the problem of the voice error or omission of the diagnosi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the priority management group of the diagnosis avoidance, the ambiguity of the diagnostic standard, and the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In addition, I proposed th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hrough self-report addition of diagnosis criteria and diagnostic tool considering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nam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periodic reevaluation. Second, the problem of educational placement is that 90% of the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are integrated education, so they proposed the joint responsibility of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hird, in order to fulfill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due to the problem of specialization of the special teacher and the general teacher, it suggested the support for the behavior of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he retraining course as well as the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education instruction. Fourth, problems of support services are defined as special education law for health care, support for educ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is defined in the Child Welfare Assistance Law.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legal system, Suggesting ways to expand the support of students with behavioral disorders.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동향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를 중심으로

        양길석 ( Yang Kil Seok ),이상훈 ( Lee Sang Ho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최근 경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가 발간하는「정서·행동장애연구」에 2010년부터 게재된 논문 697편을 전반기(2010년∼2014년)와 후반기(2015∼2020년) 그리고 전기(2015년∼2017년)와 후기(2018년∼2020년)로 구분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전·후반기 공통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문제행동, 사회적 기술, 긍정적 행동지원 등이었다. 전반기의 정서·행동장애, 아스퍼거장애, 정서·행동 문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후반기의 우울, 청소년, 대학생 등의 키워드는 시기별 연구 경향을 나타낸다. 전·후기 핵심 키워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우울, 사회적 기술, 대학생, 문제행동 등이었고 전기의 회복탄력성, 문헌연구, 청소년과 후기의 긍정적 행동지원, 발달장애, 사회불안은 연구경향의 부분적 변화를 시사한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018년 이후 게재 논문은 감소 추세이며 전체적으로 특수교육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학령기 아동들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프로그램 관련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에는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 의해 임상적으로 진단되지 않은 대학생과 성인의 우울이나 불안에 대한 이론·가설탐색 목적의 조사연구가 활성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정서·행동장애 특수교육대상자의 감소 및 위험집단에 대한 관심 증대, 학회 명칭 개칭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order to clarify the tend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 this study analyzed 697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0 in th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JEBD」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KSEB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by dividing papers into the first half (2010∼2014) and the second half (2015∼2020), and the second half was divide the former (2015∼2017) and the latter (2018∼2020) perio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common core keywords in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ere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DHD, problem behavior, social skills,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Core keywords in the first half were EBD, asperger disorder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SD, and core keywords in the second half were depressi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This shows the trends in research by period. Core keywords in the former and latter periods were ASD, ADHD, depression, social skills, college students, and problem behavior. Resilience, literature research, and PBS in the former periods and adolescent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ocial anxiety in the latter periods suggest partial changes in research trends. Second, from the aspect of content analysis,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for 「JEBD」has been decreasing slightly since 2018. Overall,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to programs on ASD in school-age children have been mainly conducted b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recently, survey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ories and hypotheses about depression or anxiety in college students and adults who have not been clinically diagnosed tend to be activated by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This can be attributed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EBD, an increase in interest in risk groups, and a change in the name of the KSEBD.

      • KCI등재

        독일과 일본의 정서·행동장애 교육 체제가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교육 발전에 주는 시사

        이재욱 ( Lee¸ Jae Woo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보다 정서·행동장애 교육이 먼저 실시된 독일과 일본의 정서·행동장애 교육체제를 통해 우리나라 정서·행동장애 교육 발전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 번째로, 이 두 나라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정의를 사회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심인성에 의한 적응행동 곤란으로 보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정서·행동장애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두 번째로, 이 두 나라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진단은 외부기관과 협력하고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진단 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세 번째로, 교육적 배치에 있어서, 이 두 나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학급이나 교육지원센터와 단기치료센터가 운영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서·행동장애 학생이 특수학교, 특수학급, 통합학급에 주로 배치되어 있어, 다양한 학급이나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네 번째로, 교육과정을 보면 이 두 나라에서는 분리형교육과정이나 일반교육 과정의 보완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이 나라들의 사례를 참고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독일에서는 학부-대학원 연계 과정과 2년 이상의 교육 실습과 수습 교사 생활을 거치고 나서 정서·행동장애 교사 자격증을 부여하는 교사 양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연수나 대학원 과정을 통해 정서·행동장애 학생 지도 능력을 갖춘 교사 양성이 가능하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gain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EBD) in Korea by analyzing the education system of students with EBD in Germany and Japan.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in both countries, the definition of EBD is regarded as difficulty in applying adaptive behaviors due to interaction with the socia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eems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map by specifically identifying the cause of EBD in Korea. Second, in both countries, the diagnosis of EBD conducts by cooperating with out of school education, counseling, and support, linked with educational programs, and reflecting educational, med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It is also necessary to introduce such a diagnosis method in Korea. Third, in the educational placement, various types of classrooms, educational support centers, and short-term treatment centers were operated in these two countries. In Korea, students with EBD are mainly assigned to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rooms, and integrated classrooms, so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nstall various types of classrooms or institutions. Fourth, for students with EBD, the two countries operate separate curriculums or supplementary curriculums for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EBD by referring to the examples of these countries in Korea. Finally, German teacher-training system for EBD teacher certificates requires more than two years of educational practicum and probationary teaching, an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linked courses. In Korea, it is not possible to do it like Germany, but in reality, it is possible to train EBD teachers through various training or graduate courses.

      • KCI등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고찰

        이상훈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1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in business status and follow-up tasks in order to illuminate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Korea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KSEB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KSEBD is changing with the times and social needs as a professional academic organizations for the purpos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EBD)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s(ASD) children’s education. Second, the individual research activities for the EBD & ASD children being actively carried out, but it should more affirmatively strive for schooling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children. Third, the KSEBD has been published the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four times a year and held conferences twice a year in order to actively support the research of its members. Challenge is to strive for practice-based research and encourage members to participate in the conference. Fourth, it has been opened a training course for the children’s education and behavioral intervention experts. Also has issued a behavior therapist certification. But the discussion on the overall direction and management of training and qualifications issued is required. 본 연구에서는 창립 30주년을 맞이한 한국정서·행동장애교육학회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조명하기 위해 학회의 주요 사업 현황과 후속 과제를 고찰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학회는 정서·행동장애 및 자폐성장애 아동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학술단체로서 시대와 사회적 요구에 합당하게 변화해 오고 있다. 둘째, 정서·행동장애와 자폐성장애 아동 교육을 위한 개별 연구활동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지만 앞으로 이들 아동들의 학교 교육과 교육적 수행에 대한 학회 차원의 보다 적극적 개입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연 4회 발간되는 등재 학회지 「정서·행동장애연구」와 연 2회 개최하는 학술대회를 통해 회원들의 연구를 적극 지원하고 있지만 향후 현장 연구와 학술대회의 활성화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서·행동장애와 자폐성장애 아동의 교육과 행동중재를 위한 전문가 양성과 교육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수 과정을 개설하고 행동치료사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지만 연수의 방향 및 자격증 발급과 관리 전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근원적 인지 메커니즘을 통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상호 관계성 탐구

        송광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 through an original cognitive mechanism (송광한, 2013a), from which diverse phenomena of human mind appear, in order to decide if two disorders are one or two independent disord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ASD and E/BD share a common biological cause of excessive growth of mental space in the brain. Excessive attention and consciousness are directed to the internal cognitive space in the brain (ASD) subsequently, causing autistic cognitive disorder. And the autistic cognitive disorder results in diverse characteristics of E/BD reflected by intellectual level. Therefore, ASD and E/BD, as appearing through the same hierarchical casual relationships, are not independent disorders, and the different criteria of two disorders ar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ASD appearing according to intellectual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two disorders and its direction, and provides specific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irection and research on biological causes of ASD and E/BD.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정서․행동장애가 서로 다른 장애인지, 혹은 동일한 장애인지 판단하기 위해, 인간의 다양한 정신 현상들이 생성되어 나오는 근원적 인지 메커니즘(송광한, 2013a)을 통해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상호관계성을 파악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는 모두 두뇌 인지 공간의 과도한 성장으로 인한 두뇌 구조 이상이라는 생물학적 원인으로부터 비롯되고 있다. 과도한 내적 인지 공간의 성장은 주의 및 의식이 내부 인지 공간의 기억의 세계로 과잉 집중(자폐)되도록 만들고 그에 따라 다양한 자폐적 인지 장애가 발생한다. 이런 자폐적 인지 장애로 인해 지적 수준이 반영된 다양한 정서․행동장애의 특성들이 나타난다. 따라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는 서로 다른 별개의 장애가 아니라, 층층의 인과 관계로 연결되어 나타나는 장애로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서로 다른 주요 특성들은 지적 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자폐인의 정서․행동장애 특성들이다. 이 논문은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의 통합적 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을 제안하였으며,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공통적인 기본 교육 방향 및 생물학적 원인 연구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과 특수교사의 대처전략 및 지원요구

        박명화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ppearanc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support needs and coping strategy of teacher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special education teachers, 322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stribution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in the normal, quasi-clinical and clinical level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 and 4 low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appeared in students of special school higher than students of special classroom. Seco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Ⅱ fo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Ⅰ, Ⅱ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Finally, Both of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the most highly support need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ere supply and development of behavioral intervention manual and arrange behavioral intervention specialis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이 어떠하며,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대처전략과 지원요구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교사 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초등특수교사 161명과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장애학생 322명이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특수학교․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는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및 8개 하위유형 모두 임상범위와 준임상범위, 정상범위에 분포되어 있었고, 외현화문제와 총행동문제 및 4개 하위유형은 특수학교 초등학급 장애학생의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내재화문제에 대한 대처전략은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현화문제에 대해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Ⅰ과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 대한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는 내용면에서는 학급에서 실시할 수 있는 예방 및 행동중재 메뉴얼 개발 및 제공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지원형태는 전문가 배치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의 교육권과 안전은 물론 특수교사의 교권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실질적인 교사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게 되었다.

      • KCI등재

        국어과와 연계한 사회정서학습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중학생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윤준희,김옥주,방명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class participati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on-disabled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does a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the effects on the class participati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Second, does a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effec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on-disabled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one student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and 24 non-disabled students. The 24 non-disabled students evaluated the class participation of a student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24 non-disabled students was measured by self-report instrument. The dependent samples t-test was implemented for analyzing the data.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 test on the class participati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on-disabled students. In conclusion, a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class participati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on-disabled students.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be create collaborative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 integrated with other subject. Second,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test, the method of examination should be diversifi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ypology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 that can be generalized and appl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와 연계한 사회정서학습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중학생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이며,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A중학교에 재학 중인 한 학급 25명(정서·행동장애 위험중학생 1명, 비장애학생 24명)이었으며, 편의목적표집을 하였다.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 내용과 연계한 사회정서학습프로그램을 총 21회기로 구성하였다.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대한 자료는 또래평가에 의하여 수집하였고 비장애학생의 정서지능은 자기보고식 평가로 측정하였다. 두 종속표본 t검증을 적용하여 사전-사후검사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국어과와 연계한 사회정서학습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중학생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학생의 정서지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정서학습프로그램의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태블릿PC를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동현 ( Lee Dong Hyeon ),김은경 ( Kim Eun Kyoung ),전상신 ( Jeon Sang Shi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이 연구에서는 태블릿PC를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 2학년 남아 1명 이었으며, 행동간 중다기초선설계가 적용되었다. 기초선, 중재, 유지의 세 단계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중재는 대상 아동이 평소 학습지도를 받는 치료실에서 치료사인 연구자에 의해 시행되었다. 기능평가를 통하여 문제행동의 기능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체행동을 선정하고 태블릿PC를 이용하여 대체행동이 포함된 문제행동 관련 상황에 대한 사회적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이야기를 제작하였다. 상황이야기 중재는 수업 전 10분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태블릿PC를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의 감소와 대체행동의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효과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태블릿PC를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대체행동을 증가시키는 것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tory using Tablet PC on the challenging behaviors and alternative behaviors of an elementary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or this purpose, one elementary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selected an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has been used.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and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e treatment room where the child received the usual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was decrease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elementary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econd,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was increase the alternative behaviors of elementary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ird, the effect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was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i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and increasing the alternative behaviors for the elementary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is effective for maintaining.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정서⋅행동장애아 교육’ 수업 설계 적용 사례 연구

        강성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PBL 기반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 설계를 적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전략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자의 수업 참여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 39명이다. PBL 기반 수업은 이론 강의와 PBL 교수법을 혼합으로 사용하였고, PBL 문제는 2개의 문제로 구성하여 7주간 운영하였다. PBL 기반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전략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참여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된 PBL결과물 중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Miles와 Hubernam(1984)의 방법에 따라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기반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전략 중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향상시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BL기반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수업 참여 경험은 ‘PBL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성찰(실제적인 유아 행동 지원 과정 경험하기, 학습의 주도성 경험, 지식의 확장, 교사의 태도와 자세 숙고하기)’과 ‘PBL 과정을 통한 행동지원 전략 탐색 내용(정서행동장애의 진단기준에 대한 이해, 행동중재의 전략 탐색, 가족-학교-지역사회 지원전략)’의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 19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원양성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PBL-bas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ducation clas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and teaching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learners’ experiences in the cla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class on teachi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PBL-based class used a mixture of theoretical lectures and PBL teaching methods, and the PBL problem consisted of two problems and was operated for 7 weeks. A pre-post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BL-based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flection journals to find ou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 participation experienc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BL-bas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class improv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revention strategies (t=-6.53, p<.001) and positive response strategies (t=-8.51, p<.001) among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and the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BL-bas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class improv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ing effectiveness, and th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0.66, p<.001). Third,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room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ere categorized into two major categori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ons" and "content of exploring behavior support strategies," with seven subcategories and 19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futu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전문가와 부모가 협력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선희 ( Lee Surn Hee ),이원희 ( Lee Weon He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전문가와 부모가 협력하여 실시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의 한 장애인부모회에서 운영하는 자립생활 체험 홈에서 생활하는 자폐성장애 성인 3명으로 선정하였고,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도전 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도전 행동인 자해행동, 부적응행동, 폭식행동, 이탈행동에 대하여 중다 요소 중재인 배경사건 및 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교수 중재, 후속결과 중재를 자립생활 체험 홈에서 실시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결과, 자립생활 체험 홈과 가정에서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 행동이 감소하였고, 중재 후 유지기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대상자의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비교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자폐성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한 것과 전체적인 행동지원 과정에 부모가 참여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conducted by experts and parents on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3 adults with ASD living in an independent living training home run by the parents' association for the ASD in city D. The study design was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in order to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the subjects' challenging behaviors. Background and setting event strategies, alternative behavior strategies, and consequence strategies were conducted at independent living training home in order to support the subjects' challenging behaviors such as self-harm behavior, maladjustment behavior, binge eating behavior, and churn behavior.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arental participation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ASD at home and independent living training home decreased. It was shown that the intervention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aintenance period.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 effects were better when par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BS to adults with ASD and involving parents in the interven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