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Developing a Theme-based Reading Instruction for Children: Focusing on Science
Punahm Park,Mi-ok Lee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06 영어영문학21 Vol.19 No.1
이 논문은 주제(과학)를 중심으로 한 영어 읽기 프로그램을 구성해 초등학생들의 영어학습을 돕고자 하는 취지에서 연구되었다. 초등영어는 어린이들에게 영어에 흥미와 자신감을 갖고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기르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본적인 영어 문형과 기능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활동을 주로하게 된다. 그러나 단순히 언어의 4가지 기능을 학습하는 것 이외에도 학생들의 계속적인 흥미를 유발하기위해서는 유의미한 지식을 습득하는 내용중심의 언어 교수 학습 프로그램이 효율적이라고 제시 되고 있다. 내용중심의 교수는 학습자의 인지수준에 맞는 유의미한 내용을 외국어와 통합하여 가르칠 수 있다는 점에서 ESL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되어오고 있다. 또한 EFL상황 에서도 영어를 매개로 해 교과목과 연관된 학습 내용의 메시지를 이해하려는 시도가 언어와 교과목 내용의 통합모델로 제시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이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언어교육원의 어린이 프로그램에서 과학내용, 특히 동물에 대해 개념중심의 영어 읽기 수업을 7주동안 Concept-Oriented Reading Instruction (CORI)의 교수요목에 맞추어 실시해 보았다. 설문지 조사, 면접, 수업 관찰을 통해, 본 연구는 학생중심의 주제별 영어 읽기전략 학습이 목표어 읽기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고 학생중심의 협동학습과 참여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적은 참여자와 장기적인 연구가 되지 못해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질적인 연구로, 내용중심의 주제별 학습이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어린이에게 흥미를 유발하면서 읽기에 참여하게 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모형이 될 수 있다는 교육적인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Using Poetry in English Education
박연성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04 영어영문학21 Vol.17 No.2
영어교육에서의 영시의 활용에 대한 고찰 박연성(전남대학교) 근래에 들어와 많은 학생들이 영문학 교육이 그들의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교사 입장에서는 10년이 넘도록 영문학을 전공하고도 영어 교육의 현장에서는 애써 배운 지식을 활용하지 않은 모습을 종종 보게된다. 학생들과 영어 교과 담당 교사 모두 영문학에서 멀어지는 안타까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영어교육에 영문학의 활용에 대한 기존의 찬반론을 살펴본 다음, 영어교육을 위한 도구로서의 문학작품을 선택할 때 유의할 점과 효과적인 활용방법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 “눈오는 저녁 숲가에 서서”와 로렌스 퍼링게티의 “말하라!”를 토대로 수업안을 작성하고 그 수업안을 대한영어교육학회의 워크숍과 전남대학교 영어회화작문 수업에 활용한 결과를 제시하고 또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관심과 수준에 맞는 작품을 선택하여 학습자 중심과 의사소통 중심의 방법을 통하여 가르치면 영시가 재미있으면서 동시에 언어학습에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대학영어교육에 영시를 비롯한 영문학 작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