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서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Home Economics integrated career education for strengthen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To do this, the trend of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of Home Economics in high school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ere analyzed, methods for Home Economics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en a case study was developed.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the importance of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there are much rooms to improve in oper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Therefore, the systematic preparation for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is requir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expansion of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Second, all achievement criteria in three domains of Home Economics were shown to be highly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Eventuall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Home Economics is a core subject that meets the goals of career education and hone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o be prepared as future human resources. Final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 case study of Home Economics integrated career curriculum focusing on the association with curriculum-teaching & learning-evaluation was developed and proposed. Even though the developed case study of curriculum has not been proven yet in the clas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nlargement of career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as fundamental data for integration of Home Economics and career education. 본 연구는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동향, 고등학교 가정과 성취기준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 분석 및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운영에 미흡한 점이 많다. 이에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적용과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의 확산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요구된다. 둘째, 가정교과 3개 영역의 모든 성취기준은 진로개발역량과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정교과는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진로개발역량을 길러주는 핵심적인 교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를 중심으로 가정교과통합 진로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개발된 수업 사례를 현장에 적용하지 못해 그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진로교육의 통합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가정교과의 진로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계발능력의 구성요소

        정수진,류창열,김대영,김기수,김판욱,이창훈,구진희,최유현,노태천,최완식,강현무,노희진,이진우 대한공업교육학회 200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constituent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re for th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engineering. In this study,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eans that the students in an engineering college should initiatively choose, prepare and adapt themselves for their future career in their lifetime. This study examined all the career-related references that are determined to be linked with the competencies of career development. Also, other reference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at are related to the career key competencies and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this study was approached with two points of views;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for students and the ability to maintain and develop the future career in an engineering field. Ultimately, this study derived the conclusion that there are 8 categories and 42 subordinate constituents i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for the students in an engineering college.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개발능력의 구성요소가 무엇인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진로개발능력이란 공학 분야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생애에 걸쳐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하며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진로개발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진로 관련 문헌과 직업기초능력 및 공학기초능력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진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검토 및 수정 작업을 거쳐 진행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진로개발능력은 크게 학생들의 진로개발 과정과 공학세계에서 진로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능력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되었다. 그 결과 공학인의 진로개발능력에 속하는 구성요소에는 8개의 영역과 42개의 하위요소들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학교 진로교육 및 부모의 영향

        장현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chool career education and par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er conduct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2017)'.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 area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self- awareness and sociality, understanding work and occupation,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areas were high level, but career exploration area was relatively low level. Second, participation in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competencies of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ubject-relate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psychology tests were positively influenced their development of career competencies. Especially, the influence of subject-relate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as high.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career education is,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gets. Third, parental variables influence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tudents.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arental recognition of their child 's desired job, and participation in parent career education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ir children' 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tudents and follow– up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학교 진로교육 및 부모의 영향을 밝히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7)’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가운데 자기이해와 사회성, 직업이해, 진로설계와 준비 영역은 높은 수준이었으나, 진로탐색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활동 참여와 진로교육 만족도가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교과수업 중 진로탐색, 진로체험, 진로상담, 진로심리검사 참여는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교과수업 중 진로탐색 참여의 영향력이 높았다. 아울러 초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개발역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하여 부모 변인들의 영향력이 컸다. 부모와 자녀 간의 대화 빈도, 부모의 자녀 희망직업 인지, 부모 진로교육 연수 참여가 자녀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향상과 보다 심층적인 후속 연구를 제언 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진로지원 및 학교 진로교육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정숙 ( Kim Jung-sook ),연보라 ( Youn Bo-ra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9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자료 중 중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여 2-수준의 위계적 선형분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양한 부모의 진로지원 변인에 따라 학생들의 진로개발 역량에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의 진로지원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교 진로활동 및 진로체험 일부 변인들이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학교 진로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진로개발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수준에서도 학교 진로활동만족도가 높은 학교에 다니는 경우 학생 개인의 진로개발역량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학생들의 진로교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양질의 진로교육 제공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학교수준 변인들이 추가로 투입되면서 기존 부모의 진로지원 변인 중 진로정보인지 변인의 효과가 사라졌는데, 이는 부모의 진로지원 수준에 따라 발생한 자녀의 진로개발역량 격차를 학교의 진로교육을 통해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진로교육의 질 제고 방안, 가정배경에 따른 진로개발역량 격차 해소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parental career support and school career education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applied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for analysis, using “The 2016 Survey on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data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It was found that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tent of parental career support. In addition, school’s career activity and experience variables(e.g. the satisfaction with school’s career ac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ontrolling parental career support variables. Also, the higher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s career activity in school level, the higher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s result implies that it’s important to make plans for improv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s career education. Furthermore, when we add school level variables into the model, the effect of parent’s perception of career information disappear. It means school’s career education can quitely diminish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gaps caused by parental career support. Grounded on the results, authors discussed some plans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gaps between students.

      • KCI등재

        대학 졸업예정자의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 및 대학경력개발지원의 관계

        성희진,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senior student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in universiti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949,477 senior students, considering ratio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students, 200 metropolitan students and 280 provincial students(1:1.4)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the method of data analysis, consists of demographic item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cal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cale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in universities scale; these four scales were subdivided into smaller p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levels of senior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Second,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levels of senior students were 2.67 and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 levels in universities were 3.16. Third,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senior students have hig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have middl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 in universities. Fourth,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support for preparing for a job explained 28.0%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졸업예정자의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 및 대학의 경력개발지원 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 4학기 이상을 마친 3학년 이상의 대학생으로 2011년 12월 기준 총 949,477명이며, 모집단의 크기에 따른 적정 표집 수는 382명이다. 표집은 수도권과 지방의 학생 비율을 고려하여 비례적 층화 표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은 389부가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졸업예정자의 경력개발역량 수준은 평균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지식, 진로결정 확신도, 의사결정 효능감, 관계활용 효능감은 필요한 정도를 갖추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구직기술은 다소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대학 졸업예정자의 경력탐색행동 수준은 스스로 결정한 경력목표달성을 목적으로 자기 자신과 직업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행위적인 노력에 전반적으로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에 대해 탐색하는 노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대학경력개발지원 수준에 대해 대학 졸업예정자는 대학에서 취업준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지원되고 있지만 현장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지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 졸업예정자의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 및 대학경력개발지원은 유의미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졸업예정자의 경력개발행동과 대학경력개발지원 중 취업준비지원이 경력개발역량에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재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9 다문화교육연구 Vol.12 No.1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16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from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Ⅱ(2016). The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re divided into six variables: ‘career and vocational class,’ ‘career activities during creative activities,’ ‘career psychology tests,’ ‘career counseling,’ ‘career club,’ and ‘career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areer education activities’, ‘career and vocational class’ and ‘career psychology tes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oreover,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ond,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erience’ activit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other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do not hav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improving ways of multicultura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y strengthening self-efficacy program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and expanding career education activities in high school.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Ⅱ 1차년도 데이터의 다문화가정 고등학생 216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학교 진로교육활동은 ‘진로와 직업 수업’,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동아리’, ‘진로체험’의 6가지 활동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과 자기효능감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와 직업 수업’ 활동과 ‘진로심리검사’ 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체험’ 활동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체험 활동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 진로체험을 제외한 기타 학교 진로교육활동 변수들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을 연계한 진로교육의 제공,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등을 통해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저소득층 대학생의 진로활동 참여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삼성꿈장학재단 대학희망장학사업 장학생을 중심으로

        이승엽 ( Seungyeop Lee ),하재영 ( Jaeyoung Ha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4 조사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저소득층 대학생의 진로활동 참여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삼성꿈장학재단이 제공하는 교육소외 아동청소년 종단연구 자료 중 대학희망장학사업 2020~2022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3개년도에 모두 응답한 356명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패널회귀분석에서의 하우스만-테일러 도구변수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의 결과, 교수 진로상담과 직업인 만남은 진로개발역량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개발 프로그램, 진로멘토링, 직업체험은 진로개발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활동 참여와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 대해 다른 대학생 집단과의 비교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저소득층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종단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현재 저소득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진로개발 지원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ticipation in career activities of low-income college student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o this end, among the longitudinal research data for underprivileged children and adolescents provided by the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data from 2020 to 2022 were used, and 356 people who responded in all three yea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n analysis method, the Hausman-Taylor instrumental variable model in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rofessors’ career counseling and professional meetings significally increased career development compentency, but career development programs, career mentoring, vocational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 suggestions sugges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by additionally inputting a variable that affects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low-income college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college student grou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career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itudinal studies using various method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low-income college stu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currently provided to low-incom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예측요인

        인효연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profiles of adolescents and examine whether school and student demographics, school-based career activitie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academ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predict profile membership.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2016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RIVET. The subjects included 9,626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292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ou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job understand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The results yielded four latent profiles, characterized as excellent, high, medium, and low competency. Several factors predicted membership in the latent group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a higher level of competency group in all group pair comparison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bout school and department choice, satisfaction with school-based career activities, school adjustment, and happiness positively predicted the probability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long to the excellent competency group. Some predictive factors work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or latent profiles: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career counseling at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clubs and talked less about their studies and grades with their par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excellent competency group. The lower the self-reported grades, the higher the probability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longed to the low competency group compared to the excellent or high competency groups. Grades, however,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excellent and high competency groups in either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eer interventions should address diverse factors, including academic, psychological, and parental factors, in accordance with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profiles. Implications of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cultivat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adolescents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학교특성 및 성별, 학교진로활동, 부모와의 대화, 학업 및 심리적 영역의 변인들이 잠재집단 구분을 예측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한 진로교육 현황조사(2016)의 중학교 3학년 9,626명, 고등학교 2학년 10,29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기이해와 사회성,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와 준비 역량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잠재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최고역량, 고역량, 보통역량, 저역량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양한 요인들이 집단 구분을 예측하였으며, 그 중 자기주도학습이 높을수록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모든 집단 비교에서 더 높은 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중고등학생 공통적으로 학교 및 학과 선택에 대해 부모와 대화를 자주 하고, 학교 진로활동에 대한 만족도, 학교적응, 행복감이 높을수록 최고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학교급이나 잠재집단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하는 예측요인들도 있었다. 중학생은 학교에서 진로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을 때, 고등학생의 경우 진로동아리 참여 경험이 있고 부모와 공부나 성적에 대해서는 덜 얘기할수록 최고역량 집단에 속할 할 확률이 높았다.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중고등학생들이 최고역량이나 고역량 집단에 비해 저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 고역량에 비해 보통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나, 성적은 고역량과 최고역량 집단 구분을 예측하지는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중고등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 유형에 따라 학생의 학업적, 심리적 요인 및 부모 요인 등을 고려한 다각도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진로개발역량 함양을 위한 상담과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조리전공 대학생의 성별과 자격증 수 변인이 경력개발역량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현우,오석태 한국외식경영학회 2014 외식경영연구 Vol.17 No.3

        This study, we aim at identify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students in culinary course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guidance counseling on career direction. Among 380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370(97.4%) of them are utilized for actu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le students in culinary course are found to be showing higher scores in factors such a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an female students. There found to be no consiste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culinary certificat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 sub-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having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include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of decision-making, information on occupation & majors and efficacy on net working while confidence. In conclusion, the study on characteristic factors of culinary art students and career related factors are recommended to be carried out in future so more effective career direction guidance and instructional methods can be offered to the students in culinary course. 본 연구는 조리전공 대학생의 경력개발역량을 규명하여 조리전공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배포된 설문지 380부 중 370부(97.4%)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조리전공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경력개발역량 수준 차이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격증 수에 따른 경력개발역량의 수준 차이는 일관성 없는 결과를 나타났다. 조리전공 대학생의 경력개발역량 하위요인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으로 진로결정 확신도, 의사결정 효능감, 전공 및 직업지식, 관계활용 효능감이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연구되지 못한 다양한 조리전공 대학생 특성 변인과 진로관련 변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조리전공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교육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미술대학생과 진로 - 진로개발지원 조사를 통한 진로교육 현황 고찰 -

        김형숙,안선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4 No.-

        This research investigates current situation of career education of college of art, analyzes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decision scale of art-major undergraduates, in order to contribute to improve career guidance of college of art. First, compare to former researches,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decision scale of art-major undergraduates are similar to general undergraduat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sub-item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o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decision scale have static correlations,coefficient of 0.578. As Davis(1971), standard of analysis in this research,provides that above coefficient 0.5 has strong correlations, it seems tha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decision scale have strong correlations. Third,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in correlations between sub item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decision scale. Capability to networking showed highest correlations, and capability to lifelong study showed lowest correlations. In addition, networking and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changes are significant items having high correlations with career decision scale but low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hich reflects necessity of supporting career education. 본 연구는 서울시내의 4년제 미술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진로개발역량수준과 진로결정수준을 확인하고, 두 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평생교육이라는 패러다임에서 미술대학의 진로교육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수준과 진로결정수준은 선행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4년제 일반 대학생들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진로개발역량수준의 하위항목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결정수준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진로개발역량 항목은 네트워킹능력이었으며,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인 항목은 평생학습능력이었다. 또한 네트워킹 항목과 변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 항목은 진로결정수준과의 상관관계가 높으면서 진로개발역량수준이 낮은 대표적인 항목으로, 진로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