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핀란드와 한국의 초등 예비교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사례연구

        문지영,서지희,김지윤,엄문영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2 다문화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o we comparatively analyz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 teachers are implemented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Finland and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rimary and secondary data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s programs by intentionally selecting prim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two countries. The data from 3 institu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considering multi-cultural context and perspective in two countries, and suggested practical and progressive perspective to student teachers program.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교원 역량 함양을 위해 다문화 교육이 핀란드와 한국의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교사교육 해외 사례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실증자료를 제시하며, 한국 사회에 적합한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핀란드와 한국의 초등 교원양성 교육기관을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1차, 2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문헌 분석을 통해 질적 분석을 위한 분석 요소와 기준을 추출하였다. 비교 분석결과 핀란드는 다문화 교원 양성을 위해 별도의 5년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 교원에게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역량을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이중언어 교육이 강조되었다. 반면, 한국에서는 학기 단위로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지역 단위의 요구와 연계한 교육을 수행하고 있었다. 다문화 교원 역량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향후 한국 교원양성기관에서는 다문화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장 연계성과 지역적인 특징을 반영한 교원양성 교육기관의 특색 있는 프로그램 운영 확대 및 기초 의사소통 교육 그리고 이중언어 강사와의 협력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교원양성 교육기관에서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한국과 핀란드 수학교과서 삽화의 다문화적 내용 비교분석

        조문주(Moon-Zoo Cho)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1 다문화교육 Vol.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핀란드의 수학 교과서에서 다문화관련 삽화 및 이름, 문제 속 그림을 중심으로 다문화관련내용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에 일조를 하는데 있다. 교과부는 2006년 12월 다문화 관련 교과 교육과정 시안 연구 개발을 발표하였으며, 2007개정 교육과정에 다문화 관련 내용을 삽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새 교육과정에 다문화 관련 내용이 얼마나 반영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중요한 일이며 수학교과서도 예외 일수 없다. 이에 교육 선진국이며 다문화 교육 정책을 앞서 실천하고 있는 핀란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와 비교하여 한국 수학교과서의 다문화적 내용 분포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한국정부와 핀란드정부의 수학 교육과 다문화정책에는 차이가 많다. 지리 경제적 여건과 문화적 환경 등이 다르기에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에서 다문화적 관련 요소에 현격한 차이가 있는 점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 수학교과서 삽화에서는 외국계 학생이라고 여겨지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반해 핀란드 교과서에서는 다문화 학생이 함께 어우러지는 삽화가 많으며, 한국인 아이의 이름까지 제시될 정도로 이름도 범세계적이다. 또한 수학문제 속에서도 다문화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생활경험 중심의 교육이 많이 거론되며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서에 다문화적 내용이 많이 제시되어야한다. 수학교과서에서도 다문화적 내용의 문제를 접하며 다문화 학생들의 이름이 등장하고 다문화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고 놀이하는 모습이 많이 제공될 때 비로소 다문화정책의 실효성에 좀 더 다가갈 수 있게 됨을 시사하는 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mathematics textbooks in South Korea and Finland multicultural illustration and name, the problems by analyzing the multicultural more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help. Since announcing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December 2006, the Minstry of Education has decided to insert a great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new curriculum has been reflected in the multicultural look at how much information. Math textbooks can never be an exception. The Korea mathematics textbooks is compared with the Finnish that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developed to practic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There is a lot of difference mathematics education & the multicultural policies of the government in South Korea and Finland. As geographical and economic conditions and cultural environment is different. But in mathematics textbooks illustrated striking differences in cross-cultural-related factors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int. In mathematics textbook illustrations Korea is considered unlikely that foreign students do not. But Finnish textbook illustrations often come together in the multicultural student and Koreans presented to the child's name is enough to name the world. Multicultural information is presented with math problems. The current is discussed a lot of life experiences and inclusive Education, a lot of multi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s should be provided. If it will contact with the problem of multicultural content, Multicultural students' names appear and students study to play with multicultural content in Mathematics textbooks, the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policies will receive more.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한국어교육 인식 변인과 학습 능력에 대한 연구

        유경애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empirically. The main results and findings are summarized as below. The multicultural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ink that the listening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speaking ability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in the areas of the proficiency of Korean. The grammar and rules of composition appear not much important to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While the learning Korean has been helpful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ability, th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and Korean culture are also important to enhance the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As the results of statistical tests, multicultural families answered that the grammar and rules of composition were the most difficult and the textbooks for Korea grammar and composition were also the most difficult. They asked to make and provide the stratified or classified textbook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of Korean. The statistical test such as ANOVA show that since there exist several differences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learning and recognition variables of Korean, the Korean education should reflect thes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se variables more effectively. 본 연구는 대부분의 기존연구가 거의 하지 않았던, 한국어를 실제 학습하고 있는 전국차원의 다문화가족 460여 명을 대상으로 실제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족들의 기초 학습 변인, 다문화가족들이 느끼는 한국어교육에 있어 다문화교육의 성격에 대한 인식, 다문화가족들의 한국어 능력과 그 중요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변인들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실증적인 조사 분석 결과 좀 더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을 위해서는 학습 수요자인 다문화가족들의 학력 등의 기초 학습배경과 다문화와 한국어 능력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변인들에 따라 한국어 각 영역에서의 교재수준을 조절하여야 하며, 한국어의 다문화교육 차원의 인식과 한국어 학습영역의 난이도 등에 따라서 알맞은 한국어 강의 교재 선택, 수업시간 조정, 수강 반 편성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 다문화 한국 사회를 위한 이중 언어 교육

        이창덕(Lee, Chang Deok)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글에서는 21세기 들어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문제, 특히 이중 언어 교육 문제를 살펴보고, 다문화 사회로 가기 위한 이중 언어 교육 방향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한국 사회 소통 환경의 변화와 이중 언어 교육의 개념과 역사, 목적과 방법 등을 다루고, 한국 다문화 가정의 이중 언어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였다. 전통적으로 단일 민족과 문화를 자랑하고 지향하던 한국사회가 21세기 들어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면서 앞으로는 더 이상 단일 민족으로서 국어 교육만을 고집하기 어렵게 되었다. 현재 교육환경에서 소수자로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이중 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것은 다문화 가정 자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 구성원 전체를 위한 사회 통합과 국제 경쟁력을 위해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이중 언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이중 언어 교육은 언어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 가치관 등 다양한 교육내용이 함께 다루어지 는 총체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했다. 그리고 교사 연수와 학부모 연수가 필요함을 논하고, 자격을 갖춘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다문화 교육 교사로 양성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가올 다문화 사회의 여러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 각 부처와 다양한 학문 영역에 속하는 사람들이 다문화 교육을 위해 협의하고, 구체적 다문화 교육 실행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먼저 다문화 사회로 이행한 국가들이 걸어간 이중 언어 교육, 다문화 교육의 실행 과정과 성과를 점검하면서 미래 한국사회가 바람직한 다문화 사회, 다양한 구성원들이 상생의 시너지를 내는 사회를 형성하도록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a monolingual, mono-cultural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a few recent surveys,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out every school level for all the members of the next generation as well as the min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contention, I have explained the concept, history, purpose, and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And I have suggested the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irst, it must be started on the basis of the request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econdly, the contents of bilingual education for minor students should be expanded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e comprehensive area needed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 as same as the major students. Thirdly, for the effect positive results, all the other students except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uld be taken to the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It would be helpful to integrate the various people in the mut-icultural future society of Korea. Finally, I have suggested to have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study and take training for the multilingual education programme. For fre hopeful progress into rrulti-culttrral society integrated with every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authorities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to thrive every effcrts to set up nation-wide plan referring to the examples of the otrer multi-cultural societies.

      • 부티크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김학희(Hakhee Kim)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2

        이 논문은 한국에서 최근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특성을 메타 지리적으로 성찰하고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지리적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인종ㆍ젠더ㆍ계급 문제와 분리된 관광객 접근법을 선호하고 피상적 문화 소개에 그치는 등 부티크 다문화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다문화 관련연구와 이론적 논의에서는 북미, 서유럽, 호주의 다문화 교육의 논의와 동향을 주로 참고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메타 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서구중심주의 및 개발주의가 내재된 메타 지리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티크 다문화주의 및 피상적인 다문화교육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연구자 및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자신의 메타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정형성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대안적 세계관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특히 학습자의 일상생활 세계를 글로벌 권력의 관계망 속에 위치시키고 다양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ㆍ환경적 이슈와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지리적 상상력의 도입과 지리 교육적 처방은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과제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ritical reflections on the meta-geographical framework adopted 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explore geographical perspectives which go beyond tokenistic multiculturalism. A form of 'boutique' and 'touristic' multiculturalism which excludes features of race/gender/class seems to be prevalent in South Korea and this is reinforced by the adoption of theoretical and research trends borrowed from North America, Western Europe and Australia. The paper argues that to achieve a meaningful and authentic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ers and educators working within the South Korean context, need to keep examining their own meta-geographical framework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resist conventional ideas or regional stereotypes. The paper argues that educators can do this by exploring an alternative world view. In this process, geographical imaginations can play a central role by locating learners within the realities of global power politics and help them to connect their everyday life-worlds with diverse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geography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의 교육현실과 과제: 서울 서남부 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철희,박주형,김왕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6 다문화교육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mprovement plan for ‘Multi-cultural Students Crowded Elementary Schools(MSCES)’ through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s to the schools. To this purpose, research team selected 5 MSCES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Seoul City and conducted survey to teachers in those school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o improve MSCES, it is crucial to set the school vis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chool. Second, supporting policy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integrating general and multi-cultural students together. Finally, it is necessary for all school and community members to collaborate to succeed in MSCES. Also, every student in MSCES should be valued by school community members. The solutions that the research team suggested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teachers’ difficulty of teaching and counselling multi-cultural students, strong support for improving MSCES’ educational circumstances is essential. Second, specialized school support program for teachers is necessary. Finally, support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is also important for the succes of MSCES. 이 연구는 서울지역의 다문화학생이 밀집한 학교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의 현실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요구사항을 조사함으로써 개선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5년 기준으로 서울지역에서 다문화학생 비중이 높은 학교들을 선정하여 학교에 대한 문헌연구 및 학교교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다문화밀집학교 개선을 위한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특성을 반영한 적극적 학교 비전의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일반학생과 다문화학생 모두를 고려한 통합교육적 관점에서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의 지원을 시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학교의 교육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교 내외의 공동체적 접근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교육 및 생활지도 측면에서 일반학생보다 다문화학생에 대한 어려움이 더 큰 점을 고려할 때 다문화밀집학교에 대한 교육여건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다문화학생 교육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교원들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학부모 교육 및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한국어 학습 어려움과 수업개선에 대한 실증연구

        유경애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먼저 전국의 주요 거점 다문화지원센터 14개에서 한국어를 수강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 학습과 개선에 관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다문화가족은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및 한국어 강사의 다문화에 대한 좀 더 많은 관심과 이해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족은 강의교재보다 한국의 강의자의 능력과 강의자의 열성과 자질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한국어 교재 가운데 어휘 혹은 관용어 교재, 읽기, 쓰기, 문법교재 등의 순으로 좀 더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말하기 수업과 한국사회와 한국문화 이해 관련 수업을 좀 더 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통계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은 한국사회 유대감을 증진시키고 있으나, 다문화가족이 한국어교육은 상호문화 이해를 지향해야 된다고 생각할수록 한국어 교재 개선, 한국어수업시간 증가, 문화와 역사 이해 등의 수업시간에 대한 증가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고 한국어수업교재와 교재언어가 좀 더 부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An Empirical Study of the Learning Obstacles and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family’s learning variables and the obstacles in learning Korean language in Korea. Most multicultural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ant Korean textbooks be improved and they desire to learn Korean in bilingual textbooks from bilingual teachers. In particular, they think that the Korean lectures’ enthusiasm and abil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Korean textbooks. They also want to have more Korean culture-related speaking classes as well as Korean writing and reading classes to adjust to Korean society. The more multicultural families have intercultural perspectives and the closer ties they have with Korean society, the more strongly they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textbooks an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국어교과에서의 다문화교육

        김연권(Kim, Yeon-kwon),노재윤(No, Jae-Yoo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3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cours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s the school curriculum and analyzes existing 23 Korean textbooks of 7th grade and extracts multicultural contents. And then, this study develops a four hour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utilizing a framework of multicultural contents (identity, diversity, social justice) and applies it to 7th grade of SonGok middle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conten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very rare (only 0.18%). So the writers of Korean textbooks need to have more multicultural awareness. Second, the result of t-test shows the effectiveness of 4 hour-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age teaching because most of students show the positive changes in all three categories: diversity, social justice and identity. Especially students showed very high muticultural degree in terms of diversity. Howev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identity' needs to be more intensified and improved. 이 논문의 목적은 중학교 국어교과를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중학교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적 내용을 추출 분석하였다. 둘째, 국어교과서의 제재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다음으로 다문화교육을 하기에 적절한 제재를 추출하였고, 이를 내용에 따라 사회정의, 다양성ㆍ다원성, 정체성으로 나누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설계ㆍ적용하였다. 교수ㆍ학습 과정안은 기존의 교과 내용에 다문화적인 텍스트를 첨가하여 설계하였다.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다문화 사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이 논문은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사회를 이해하는 국어수업의 예를 보여줌으로써 다른 교과의 교사들에게도 다문화교육을 할 수 있는 하나의 실천적 방법을 제시한다.

      • 교육대학교 다문화교육 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구정화(Jeonghwa Koo)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공모에 의해 이루어진 2009학년도 경인교육대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의 운영에 대하여 기술하고, 이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에서는 2009학년도 1, 2학기에 경인교육대학교에서 개설한 '다문화교육의 이해'의 교육내용 구성과 운영에 대하여 서술하고, 이 수업에 참여한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및 사후조사, 서술형 조사 등을 활용하여 이들이 학습한 것은 무엇인지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자신의 문화 정체성 확인과 문화적 편견에 대한 고백이 요구되는데, 강좌의 운영에서 이 부분에 대한 내용 설정에서 부족한 점이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우 사전 사후조사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서 향후 다문화교육 운영에서 다문화가정과 사회에 대한 능동적인 인식을 강조할 수 있는 수업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통한 사전-사후조사 결과를 보면 강좌에 참여한 결과로서 수업 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은 약한 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한 학생들의 주관적 서술을 보면 전반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서는 상당한 변화가 감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practi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teacher train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teacher training(University of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2009 and was the government-funded program.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er was carried out practice observation and gathered the documents about the cours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data of attendances at the '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nt itself to the con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ttendances. Seco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not provided direction tru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prejudice of attendances.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need to underline the understanding of minority group for attendances.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교육실천에 미치는 영향

        김영학,최성보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 about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argeting capabilities How does this affect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aware of these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The subjects were surveyed 350 people who are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Studies have shown that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he teacher education practices and static correlation effec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among the sub-competencie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in ord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 has had a. Especially in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education, multicultural student instruction experience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ived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teacher. Therefore, special education autonomous competence of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cholarship Council, a special training program for school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open such a course i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take measure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다문화 교육 역량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교육 실천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문화 교육 하위 역량 중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 다문화 관련지식, 다문화 교육기술 순으로 다문화 교육실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교사의 다문화 연수경험, 교육경력, 학력,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 인식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자율적인 장학협의체, 특수학교 사정에 맞는 연수프로그램,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교과목 개설 등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실천가인 특수교육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