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가 구성원들의 흡수역량과 혁신행동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정식 ( Kim¸ Jeong-sik )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6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 구성원들의 흡수역량, 혁신행동 및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와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성과 간의 관계에서 흡수역량의 매개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방법 실증분석은 AMOS 23.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장기업들에 재직중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이중에서 총 273명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측정의 객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흡수역량은 부하직원이 직접 응답을 하고, 혁신행동과 성과의 측정은 해당 직원의 직속 상사가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부하직원과 상사의 응답을 한 쌍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실증분석결과를 보면,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는 구성원들의 흡수역량과 혁신행동 그리고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흡수역량은 혁신행동과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혁신 간의 관계와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와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흡수역량이 유의한 매개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는 구성원들의 흡수역량, 혁신과 성과에 대해 중요한 선행요인이며, 흡수역량 역시 혁신행동과 성과에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members' absorptive capacity,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and empirically examine i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absorptive capa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innovative behavior,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performance. Methods The empirical analysis involved conduc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23.0. The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400 employees working in companies listed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with a total of 273 respondents used for the analysis. To enhance measurement objectivity, leader-member exchange and absorptive capacity were assessed through direct responses from subordinates, while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were assessed through responses from their immediate supervisors, forming pairs of responses for the analysis. Resul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leader-member exchange significantly influenced members' absorptive capacity,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Absorptive capacity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absorptive capa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innovative behavior, as well as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performance. Conclusion Leader-member exchange is an important antecedent for members' absorptive capacity,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and absorptive capacity itself has been revealed as an important antecedent for innova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 KCI등재

        조직간 관계요인들, 조직간 원가관리와 기업성과 간의 관련성 연구

        최종민(Jong-min Choe),박정수(Jeong-soo Park) 한국관리회계학회 2010 관리회계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조직간 원가관리가 조직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아 조직간 관계 관련 변수들의 조직간 원가관리시스템 도입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기업간 정보교류, 조직간 관계요인들, 조직간 신뢰와 협력이 조직간 원가관리시스템 도입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조직간 관계 변수들 간의 상호연관성도 입증하였다. 그리고 조직간 원가관리 도입이 생산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시스템 구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기업간 정보교류가 조직간 원가관리 도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거래정보 교류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요인들 중 투자자산의 한정성과 상호의존성이 조직간 원가관리 구축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직간 신뢰와 협력 중에서는 협력만이 조직간 원가관리 도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매개영향 분석에서 정보교류와 관계요인들이 조직간 협력을 통해 조직간 원가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간 정보교류와 관계요인들은 조직간 원가관리 도입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지만 조직간 협력을 강화시켜 조직간 원가관리에 간접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조직간 원가관리의 생산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에서는 원가절감 효과만 유의적이었다. 그러나 조직간 원가관리도입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운수장비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조직간 원가관리 도입이 원가절감뿐만 아니라 유연성 증대와 품질개선에도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er-organizational contextual factors (assets specificity, long-term orientation and interdependenc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rading partners, and inter-organizational trust and cooperation on the adoption degrees of inter-organizational cost management systems(ICMS) in manufacturing firms. We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th inter- organizational contextual factors and information exchange on the adoption levels of ICMS. The results showed that assets specificity, interdependence and transaction inform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employment of ICM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organizational trust and cooperation on the adoption of ICM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collaboration is the first significant influence factor, and the trust has an indirec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ICMS through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Finall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t was found that the adoption of IC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ion performance of a firm.

      • KCI등재

        현대 한국 간화선의 원류와 구조에 대하여

        정유진(Eu Gene J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60

        중국 송대 간화선은 오조법연과 원오극근에게서부터 맹아가 트기 시작하여 대혜 종고에 이르러 대성하게 되었고, 그 후 원대에 들어와서는 고봉원묘와 그의 제자 중봉명본의 활약에 의하여 再起되었다. 한국선, 즉 한국의 간화선은 고려시대의 지눌과 혜심 이후 그 뿌리를 내리고, 그 유행은 원대 고봉원묘와중봉명본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 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고봉원묘의 『선요』를 애독하기 시작하면서 『선요』가 조선시대에 간화선의 표준이 되었고, 특히 휴정의 『선가귀감』은 『선요』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그 다음 조선말, 대한제국 시대에는 경허 등의 활약이 있었으며, 현대에 접어들어서는 특히 경봉이나 성철 등의 활약에 의하여 간화선이 일반 재가자나 납자들에게 보편화되었다고 생각한다. 대혜가 간화선을 주장하게 된 근본 이유는 문자선의 병폐와 무사안일선의 병폐를 바로 잡고, 공안 본래의 의미를 되찾고자 하는 데 있다. 양자의 병폐는 둘 다 깨달음을 소홀히 하는데 있었다. 그래서 대혜는 공안이라는 도구를 들고 나와 자기의 마음바탕을비추어 보는 수단으로 삼은 것이다. 이 공안은 간화선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로서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이지만 이것을 사량분별로써 이해하려고 해서는 절대 안 된다고 강조한다. 즉 단지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도구일 뿐이라는 말이다. 경봉선사가 보는 화두란 「학인이 법을 묻는데 格外로서 답을 한 것」이라고 하기 때문에 이는 공안의 본래 의미를 말한 것으로서 원오가 말하는 「문을 두드리는 기와조각」이라는 의미라든가 대혜가 말하는 「의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도구」라는 의미와는 다르게 이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는 또 「화두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고 하기 때문에 화두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시설된 방편이라고 보고 있는 것 같다. 다음 경봉은 무자공안을 포함하여 화두를 참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그저 간단하게 「무자를 계속 생각하면 된다」고 할 뿐 고봉화상과 같이 구체적으로 믿음, 분심, 의심의 삼자를 체용관계로 연결시켜서 설명하거나그 상호관계를 말하지 않고, 직접 수도하는 자의 입장에 서서 설명하고 있다. 경봉도 고봉과 마찬가지로 이 셋은 솥발(鼎足)과 같아서 그 중 하나만 없어도 참선을 할 수 없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경봉이 화두를 참구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대혜 『서장』의 이른바 「간화10종병」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 할말이 없다. 경봉선사의 모든 법어집을 읽고 느낀 점에 의거하여 필자의 견해를 피력하면, 물론 심중의 주관적인 경험을 토대로 한 것이지만 지금 한국의 대다수의 납자들은 경봉선사의 가르침과 크게 다르지 않게 간화선을 실참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의 이러한 결과를 가져오기까지의 前史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한국 간화선의 원류는 멀리 송원대에서부터 비롯되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나라에 들어와서는 고려시대에 간화선의 교과서와 같은 역할을 한 보조지눌의 『간화결의론』의 영향과 조선시대에 고봉원묘선의 『선요』을 많은 사람들이 애독한 그 영향이 줄곧 이어져 현대에 이르고 있다고 판단한다. Kanhua chan(看話禪) in Song dynasty of China stemmed from Wu zu fa yan(五祖法演) and Yuan wu ke qin(圓悟克勤) and completed its foundation by Da hui zong gao(大慧宗고), and afterward resurged in Yuan(元) dynasty by the activities of Gao feng yuan miao(高峰圓妙) and his diciple, Zhong feng ming ben(中峯明本). Hanguk Seon(韓國禪), namely Korean`s Kanhua chan established its foundation by JInul(智訥) and Hyeshim(慧諶) in Koryo dynasty and its trend was accomplished by Gao feng yuan miao(高峰圓妙) and Zhong feng ming ben(中峯明本) in Yuan dynasty. Afterward Seon yo(禪要) which was wrote by Gao feng yuan miao became a standard text of Kanhua chan in Chosun dynasty which is supposed to have influenced on Son ga gui gam(禪家龜鑑) that was wrote by Hyugeong(休靜). After ward in the late Chosun dynsty, a Korean empire period the remarkableactivities of Kyeongheo(鏡虛) was presented, and present day it is thought that Kanhua chan was widely spread to the Buddhist priest and lay practitioners,especially by the activities of Kyeongbong(鏡峰) and Seongchol(性徹). The principal reason that Da hui insisted Kanhua chan was to correct the illness of Lettered Seon(文字禪) and Complacent Seon(無事安逸禪) and recover the fundamental meaning of Gongan(公案), which illness of both is thought to neglect the fundamental enlightenment of Buddhism. So Da hu came to assert the Gongan, as an expedient of discerning the intrinsic mind of a self. According to Da hu this Gongan is an essential element of Kanhua chan but is strongly emphasized that the Gongan should not be understood by deliberation or discrimination. Namely the Gongan is understood as an expedient of causing the mind of doubt. Seon master, Kyeongbong defined the Head Phrase(話頭) by saying, ``Answer by means of transcendence for the disciple`s question``, which definition expresses the fundamental meaning of Gongan, but its definition shows different view contrary to the view that Yuan wu expressed Head Phrase by saying ``a piece of roof tile for knocking door`` and also to the view of Da hui that defines the Head Phrase as a tool for bring about question. Also Kyeongbong asserted that the Head Phrase is not regulated by any means, so that the Head phrase is just an expedient that is established diverse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situations. Nextly, Kyeongbong expressed his idea of pursuing Head Phrase including ``Letter Wu(無字)`` Gongan by simply defining it by Just continuously concentrateon the ``Letter Wu(無字)``, which is a direct description on the standpoint of practitioners, but it excludes the explanation by master, Gao feng that considering concrete combination of three elements of belief, exertion and doubt. Gao feng explains those three elements on the basis of nature and phenomenon activities or by on the mutual relations of those elements. But Kyeongbong like master Gao feng put emphasis on those three elements by figuring those to the tripod base of a kettle that excluding any of those elements the practices of Seon is not accomplished. And Kyeongbong utters matters that require attention in pursuing Head Phrase but it is just a quotation of ``Ten ills of practicing Head Phrase`` presented in Seojang. Expressing the opinion of arguer on the basis of reading all the works of Kyeongbong Seon master, however is may be a subjective experience it is supposed that most of Seon practitioners of Korean monks follow and practice the teaching of master, Kyeongbong. Approaching the history backward that eventually resulted in the present situa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root of Korean Kanhua chan dates back to Song and Yuan dynasty of China and influenced by Kan hwa gyeol lon(看話決疑論), a work of Jinul(智訥) in Koryo dynasty which was regarded as a textbook in practicing Head Phrase, and also influenced by considering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의리정신과 그 연원에 대한 고찰

        안병관(安炳?)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3

        현재에 당면하고 있는 무수한 사회적 제 모순은 내부적 외부적 여러 가지요인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 다음으로 그 여러요인들을 관통하고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설명해 관련성을 밝혀야하는 것이 올바른 접근 방식이다, 이것은 하나의 사건과 하나의 인물을 이해하는 데도 마찬가지이다. 간재의 인물에 대한 평가는 그동안 많은 학자들의 노력에 힘입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간재의 조선 유학에 있어서의 위치·그의 심성론의 특징 및 의의·간재와 이론적으로 대립하는 학자들의 이론 특징까지 다양하고 폭넓은 연구는 간재라는 인물에 대한 사고의 지평을 크게 넓혀주기에 충분하였다. 그런데 필자가 여기에 논문을 하나 더 보태는 이유는 간재의 처신에 대하여 존재하는 부정적인 인식에 대해 조금 다른 각도를 통하여 볼까하는 이유이다. 그것은 절의를 위하여 순국하였던 민영환같은 분들과 유인석·최익현과 같은 분들의 평가에 비해 사실상 간재의 거지수구의 처신은 부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것을 비판한 가장 중심에 김평묵과 근대의 현상윤 같은 분들을 언급한다. 그러나, 한 사람의 학문을 정식으로 논할 때는 단지 語類상의 몇 마디 말머리(話頭)를 인용하는 것으로 그를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한 사람의 학문의 올바른 이해는 그의 문제의식이 무엇이었는지의 정확한 이해에서 출발해야 하며, 그러한 문제의식은 그 인물의 시대상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김평묵은 초기에 영남만인소를 칭찬하고 본인도 위정척사운동에 사문인 화서학파와 같이 적극적으로 임했는데, 위정척사운동 자체의 의미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는 일련의 학자들이 위정척사운동에 참여한 모든 인물을 부정적으로 평가한다면 중암 김평묵 또한 예외가 될 수 없으며, 그 또한 당연한 것인가? 현상윤도 초기의 비판적인 간재 비판의 시기가 있으며, 후대에는 관점의 변환이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렇다면 현상윤의 시기적 다른 관점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해야하는가? 여기서 위에서 언급한 그 인물의 문제의식에 주목해야 한다. 김평묵이나 현상윤같은 분의 사상도 그들의 문제의식에서 설명해야지 어느 한시기 어는 하나의이론으로 설명할수는 없는 것이다. 간재의 문제의식은 의리정신의 구현에 있었으며, 그것은 의리정신 중의 하나의 방편이지 결코 소극적인 저항이나 현실도피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간재의 사상은 중요하나 그 처신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 아니라, 간재의 일이관지하는 의리정신을 이제는 당당하게 주장하고, 그 비판에 있어서도 분명하게 답해야한다. 간재의 서간문에는 간재의 의리정신이 도의 수호와 그 전달에 있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으며, 항일의병과 파리장서에도 원칙적인 반대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스스로 밝혔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 SCOPUSKCI등재

        포스터 전시 : 알코올대사 관련효소 및 cytokine의 유전자 다형성과 알코올성 간경변의 연관성

        이진우,이돈행,이정일,정석,김범수,김형길,김영수,권계숙,신용운,김명식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알코올에 의한 간독성은 개인적 차이가 심하여 과음주자의 약 10-20%에서 알코올성 간경변이 발생한다. 이러한 원인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알코올대사효소나 사이토카인의 유전적 차이 즉, 유전자의 다형성에 의한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알코올성 질환에 개인의 감수성으로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연자등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cytochrome P450 2E1(CYP2E1)효소와 4가지 사이토카인(IL-1, IL-6, IL-8, TNF-α)의 유전적 다형성과 알코올성 간질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정상 성인 36명의 건강대조군과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 22명에서 말초 혈액 백혈구에서 DNA를 추출한 후, ADH2, ADH3, ALDH2, CYP2E1, IL-1, IL-6, IL-8, TNF-α 유전자에 대해 PCR을 시행한 후 제한효소들로 처리하여 제한분절길이 다형성으로 유전자형을 나누어 각 유전자형의 출현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CYP2E1*c1과 ADH2*1의 경우 각 유전자형의 출현빈도가 건강대조군에 비하여 알코올성 간경변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CYP2E1*c1; 간경변군:건강대조군=0.864:0.667, p=0.019/ ADH2*1; 간경변군:건강대조군=0.727:0.500, p=0.043). 2) 경계역상 유의성을 가진 비교결과로는 ALDH2*2의 경우 알코올성 간경변군과 대조군의 비교시 대조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알코올질환군: 대조군=0.114:0.264, p=0.053). 3) 상기 두군에서 IL-1, IL-6, IL-8, TNF-燒?유전자 형의 출현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CYP2E1*c1과 ADH2*1의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은 알코올성 간질환에 대한 감수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적 다형성과 알코올성 간경변의 연관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 KCI등재

        조직간 원가관리와 공식관계 통제방안이 공급망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규철(Kim Kyu-chul),최종민(Choe Jong-m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3

        본 연구는 행동통제, 성과통제인 공식관계 통제방안과 조직간 원가관리가 조직간 협력, 조직간 정보교류, 조직간 학습을 통해 어떻게 공급망 성과를 향상 시키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식관계 통제방안은 조직간 협력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간 원가관리는 조직간 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공식관계 통제방안과 조직간 원가관리는 조직간 정보교류에 각각 유의한 확률에서 양의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조직간 정보교류가 조직간 학습에 유의한 확률에서 양의 영향을 미친다. 조직간 학습에 대한 간접영향 분석에서는 공식관계 통제방안이 조직간 정보교류를 통한 조직간 학습에 간접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간 원가관리가 조직간 정보교류를 통해 조직간 학습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에서는 조직간 협력과 조직간 학습에서 유의한 확률에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공급망 성과에 대한 간접영향 분석에서는 공식관계 통제방안이 조직간 협력을 통한 공급망 성과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조직간 원가관리가 조직간 협력을 통한 공급망 성과의 간접영향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직간 협력의 유의적인 양의 영향은 관련기업 구성원들 간의 협력의식을 촉진하고 기회주의적이고 이기적인 요소를 감소시키고 공동 노력으로 성과를 달성할 가능성을 높여 준다는 의미이다. 조직간 정보교류와 조직간 학습의 양의 영향은 관련기업 구성원들의 활발한 정보교류와 학습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자재 조달, 적정 재고 관리와 생산 적절, 적기 제품출시, 시장 완벽 대처 등으로 이어지는 공급망 성과 달성을 가져오게 된다. 조직간 원가관리와 공식관계 통제방안으로 실증 연구를 해 본 결과, 조직간 협력은 공식관계 통제방안을 사용하여 조직간 협력을 고취하는 것이 조직간 원가관리보다 더 유리한 방안임을 의미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how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control systems(formal control systems) and inter-organizational cost management(IOCM) improve supply chain performance through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flow, and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control system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but the IOCM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In addition, formal control systems and inter-organizational cost managemen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flow. And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flow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In the indirect impact analysis of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it was shown that th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control systems had no indirect effect on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through inter organizational information flow, and the IOCM had an indirect impact on the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through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flow.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In the indirect impact analysis of supply chain performanc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control systems indirectly affect supply chain performance through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while IOCM has no indirect effect of supply chain performance through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Th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f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mean that high Levels of collaborations among related employees, reduces opportunistic and selfish factors, and improves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performance through cooperative efforts. The positive effect of the amount of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flow and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is to achieve supply chain performance that is accompanied by information flow and learning among relevant employees of the company, timely delivery, perfect inventory management and proper production, timely product launch and perfect market response. As a result of empirical study on IOCM and formal control systems,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means that promoting inter-erganizational cooperation using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control systems is more advantageous than IOCM.

      • SCOPUSKCI등재

        포스터 발표 : 한국인에서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은 증가하는가?

        박상훈,오길찬,장현주,이자영,박철희,한태호,박현주,이동근,김진봉,김종혁,장웅기,김동준,이명석,박충기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과거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은 전체 간세포암의 10-30%를 차지하였으나, HCV의 발견으로 최근에는 약 5% 정도로 감소된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의 원인으로 당뇨병이나 비만이 독립적인 위험인자일 것으로 추정되는 연구보고가 있었고, 최근에는 원인미상의 간경변증의 약 30-50%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이하 NASH로 함)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었다. 최근에 NASH가 간경변증을 거쳐 간세포암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전체 간세포암의 13%를 차지할 정도로 원인미상 간세포암의 원인으로 NASH를 포함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AFLD)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연구보고가 있었다. NASH가 심한 섬유화나 간경변증을 일으키는 위험인자로는 고령, 당뇨병, 비만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위험인자를 가진 NASH 환자는 간세포암으로 발생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로 비만 인구가 늘어가는 한국에서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이 증가되었는지 후향적으로 알아보고, 원인미상 간세포암 환자의 특성이 위험인자를 지닌 NASH 환자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원인미상 간세포암의 원인으로 NASH가 차지하는 정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의료원에 내원한 환자에서 A군은 1993-1995년, B군은 2000-2002년으로 하여, 그 기간에 간세포암으로 진단받은 107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간세포암 진단은 조직검사나 영상소견 및 AFP로 하였으며, 비특이적인 영상소견을 보이면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간세포암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면서 HBc Ab만 양성인 경우는 원인미상 간세포암에서 제외하여 따로 분리하였다. 대상 예는 모두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원인미상 간세포암이 증가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하였다. 결과: 원인미상 간세포암에서 BMI가 측정되었던 34예 중 BMI>25 이었던 예는 12예였으며, DM 8/48, HTN 11/48, hyperlipidemia 9/48 예였다. 원인별 분석은 Table 1과 같으며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는 소견을 보였다. Table 1. A(1993-1995년)와 B(2000-2003년) group 사이의 간세포암 원인별 분석 원인 A (%) B(%) HBV 130 (51.8%) 473 (61.4%) HCV 10 (3.9%) 76 (9.8%) Alcohol 33 (13.1%) 71 (9.2%) HBV+Alcohol 65 (25.9%) 79 (10.3%) HCV+Alcohol 5 (2.0%) 16 (2.1%) Cryptogenic 6 (2.4%) 42 (5.5%)* Total 251 770 젨젨젨젨젨 *p<0.05 결론: 한국인에서 HCV가 완전히 배제되었다고 생각되는, 2000-2002년의 원인미상 간세포암의 발생율은 1993-1995년에 비해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원인미상 간세포암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 의한 원인이 증가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후향적 연구의 한계로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앞으로 전향적 대규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포스터 전시 :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혈청 및 복수내 보체 3/4의 임상적 중요성

        방승민,전재윤,김자경,박영수,박준용,백용한,문병수,이관식,한광협,문영명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에 있어 낮은 농도의 복수내 단백질 및 알부민은 자발성 복막염의 위험인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일부 보고에 의하면 간경변증 환자군 중 혈청 또는 복수 C3/C4의 농도가 낮은 경우 자발성 복막염이 자주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혈청 또는 복수 C3/C4 농도와 자발성 복막염 발생의 인과관계는 아직 명확히 규명된 바가 없다. 이에 연구자들은 만성 간염부터 자발성 복막염을 동반한 간경변증까지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질병의 중증도에 따른 혈청 및 복수 C3/C4의 변화를 관찰하여, 자발성 복막염과 C3/C4사이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본원 소화기 내과에서 만성 간염 또는 간경변증으로 진단되어 추적 관찰 중인 총 10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만성 간염군(I군), 복수를 동반하지 않은 간경변군(II군), 무균성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군(III군) 및 자발성 복막염을 동반한 간경변군(IV군)의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군에 있어 혈청 C3/C4 및 복수 C3/C4를 측정하였으며, IV군은 치료 시작 후 0, 3, 7일째 혈청 및 복수 C3/C4를 추가로 검사하였다. 결과: 총 104예 중 I군이 17예, II군이 18예, III군이 51예, IV군이 18예였다. 각 군의 혈청내 C3값은 A군이 89.8 mg/dl로 나머지 군들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value<0.05).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군인 III군과 IV군의 복수 C3/C4값은 각각 7.60/ 1.88 mg/dL, 6.78 / 1.53 mg/dL로 자발성 복막염을 동반한 경우 보다 낮은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무균성복수를 동반한 환자군(III군)을 추적 관찰한 결과 Child-Pugh 분류상 C군이 혈청 C3가 낮았고, A, B군에 비하여 보다 짧은 기간에 자발성 복막염이 발생하였다. 결론: 만성 간질환 환자들에 있어 질환의 중증도가 심해짐에 따라 혈청과 복수 C3/C4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무균성 복수를 동반한 경우 간기능이 불량할수록 혈청 C3의 농도가 낮고, 이는 보다 짧은 기간에 자발성 복막염이 발생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춘계학술대회 : 구연 ; 이식 전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한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Milan 기준과 UCSF 기준의 유용성

        김도영,최문석,이준혁,고광철,백승운,유병철,이종철 대한간학회 2005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1 No.3(S)

        배경/목적: 간기능 저하 등의 이유로 간절제술이 불가능한 비진행성 간세포암종(간암) 환자에서 처음부터 간이식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공여자의 부재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간이식 전에 간동맥 화학색전술(TACE;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등의 치료를 시행하다가 후에 간이식을 시행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간암 환자에 대한 간이식 기준으로 이식 전 영상학적 방법에 근거한 Milan 기준과 적출 간의 병리에 근거한 UCSF

      • KCI등재후보

        간세포암 환자에서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발생한 급성 간부전의 위험인자

        백용한 ( Yong Han Paik ),전재윤 ( Chae Yoon Chon ),조재용 ( Jae Yong Cho ),안상훈 ( Sang Hoon Ahn ),이관식 ( Kwan Sik Lee ),한광협 ( Kwang Hyub Han ),문영명 ( Young Myoung Moon ),이도연 ( Do Yeon Lee ),이종태 ( Jong Tae Lee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6

        목적 : 간동맥 화학색전술은 수술적 치료가 어려운 진행된 간암 및 전이성 간암 환자의 고식적 치료방법의 하나로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급성 간부전은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나 일단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예후가 좋지 못하므로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의 치료목적으로 시행한 간동맥 화학색전술로 유발된 급성 간부전의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방법 :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에서 간세포암의 치료목적으로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받았던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치료경과를 추적관찰하여 이들에게 시행된 총 263회의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분석하였다. 대상환자들의 간동맥 화학색전술 시행시의 의무기록과 방사선학적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경과를 추적조사 하여 합병증 발생을 조사하고 급성간부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① 색전술 후 간내 합병증은 202회/263회(77%)에서 발생하였으며 색전술 후 증후군 187예(71.1%), 간기능 악화 90예(34.2%), 급성 간부전 13예(4.9%), 간동맥 손상 또는 폐색 9예(3.4%), 담즙종 4예(1.5%), 간경색 2예(0.8%), 간농양 2예(0.8%), 간암파열이 1예(0.4%) 발생하였다. ② 색전술 후 간외합병증은 26회/263회(10%)에서 발생하였으며 상부위장관출혈 14예(5.3%), 패혈증 3예(1.1%), 담낭경색 2예(1.1%), 혈소판감소증 2예(0.8%), 위천공 1예(0.4%), 폐렴 1예(0.4%), 조영제로 인한 두드러기 1예(0.4%), 감각신경성 난청 1예(0.4%), 대퇴동맥 천자부위 혈종 1예(0.4%)가 있었다. ③ 시술 후 급성 간부전이 발생했던 13예 중 12예가 3개월 이내에 사망하였으며 그 중 8예는 1개월 이내에 사망하였다. 사망원인은 간부전 8예, 간부전 및 상부위장관출혈 3예, 간부전 및 패혈증이 1예이었다. ④ 단변량분석상 색전술 후 급성 간부전발생과 연관이 있는 인자로는 혈청 알부민수치(p=0.003), 혈청 총 빌리루빈수치(p=0.000), 프로트롬빈 응고시간(p=0.003), Adriamycin 투여용량(p=0.013), 색전술 전 Child-pugh 등급이 C인 경우(p=0.024), 종양의 크기가 5 cm 이상인 경우(p=0.004), 종양의 형태가 미만형인 경우(p=0.000), 간문맥 색전이 있는 경우(p=0.002), TNM 병기가 3기 이상인 경우(p=0.022) 등으로 나타났다. ⑤ 급성 간부전발생과 연관이 있는 인자에 대한 다변량분석(multivariate analysis) 결과 혈청 총 빌리루빈 수치와 미만형 종양형태가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간부전 발생과 유의하게 관계 있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 간세포암의 치료목적으로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시 혈청 총 빌리루빈치와 미만형 종양형태가 급성 간부전 발생과 관계가 높은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 간동맥 화학색전술로 인한 급성 간부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함에 앞서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충분히 고려한 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has been the most widely used treatment for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 Korea. However a number of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ACE have been reported in many studies. Acute hepatic failure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of TACE, because of its grave progn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hepatic failure after TACE. Methods : A total of 263 TACE procedures performed in 163 patients with HCC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complications that occurred after TACE and analyse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hepatic failure after TACE. Results : Complications included post-embolization syndrome (187 cases), temporary hepatic insufficiency (90 cases), acute hepatic failure (13 cases), hepatic arterial injury (9 cases), intrahepatic biloma (4 cases), liver infarction (2 cases), liver abscess (2 cases), tumor rupture (1 cases), gastrointestinal bleeding (14 cases), septicemia (3 cases), gall bladder infarction (2 cases), thrombocytopenia (2 cases), gastric perforation (1 cases), pneumonia (1 cases), urticaria (1 cases), sensorineural hearing loss (1 cases), femoral artery aneurysm (1 cases). According to univariate analysi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hapatic failure after TACE were serum bilirubin and albumin, prothrombin time, dose of adriamycin, pre-TACE Child-Pugh class, tumor size, diffuse tumor type, portal vein thrombosis and TNM stage.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serum bilirubin {odd ratio=3.86 (95% CI: 1.59-9.32)}, and diffuse tumor type {odd ratio=5.29 (95% CI: 1.46-23.8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Conclusions : It is recommended that above mentioned risk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efore TAC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cute hepatic failure after TACE in HCC patients.(Korean J Med 69:622-630, 2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