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베트남의 전통놀이 비교: 상대놀이를 중심으로

        이택균 ( Lee Taek-kyun ),김기동 ( Kim Ki-dong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국민이 즐기고 있는 전통놀이에 대한 포괄적 조사연구를 통해 국가별 놀이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기 위해 국내·외 대학과 국가 도서관 등에 소장된 한국과 베트남의 전통놀이와 관련된 각종 자료 및 서적,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론: 한국의 공기놀이와 베트남의 쩌이 쭈옌은 하나를 공중에 던지고 떨어지기 전에 바닥에 있는 나머지를 집는 방법에서 공통된 특성을 발견하였으며, 놀이의 각 단계가 진행될수록 점차 어려운 기술을 요구하여 뛰어난 손재주와 순발력이 필요하였다. 놀이도구에 있어 공기놀이는 손톱 크기의 공깃돌 5개, 쩌이 쭈옌은 나무막대 10개와 1개의 공으로 이루어졌으며 막대는 집고 공은 던지는 기능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가장 큰 차이는 공기놀이는 한 손만을 사용하였는데 쩌이 쭈옌은 두 손을 사용하는데 있었다. 한국의 팽이치기와 베트남의 단 꽈이는 팽이와 꽈이라는 놀이도구를 줄로 감아 던져서 누가 더 오래 돌리는가로 승패를 가린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한국의 팽이는 윗부분이 넓고 무거우며 단단한 반면, 베트남의 꽈이는 윗부분이 삼각 플라스크처럼 튀어나와 있고 속이 비어 가벼웠다. 또한, 한국 팽이는 끝에 쇠구슬을 박았으나 베트남 꽈이는 끝을 뾰족하게 깎거나 못을 박는 차이가 있었다. 한국의 제기차기와 베트남의 다 꺼우는 제기(꺼우)를 땅에 떨어뜨리지 않고 누가 더 오랫동안 차올리는가로 승패를 가린다는 점과 혼자 또는 여럿이서 함께 즐긴다는 점에서 공통된 특성이 있었으며 놀이도구의 모양 또한 무거운 쇠붙이 위에 한지나 깃털 따위를 붙여 만들었다는 점이 유사하였다. 가장 큰 차이점은 신체 부위 활용으로, 한국의 제기차기는 일반적으로 발만을 사용하는 데 비해 베트남의 다 꺼우는 무릎, 어깨, 머리, 등, 특히 손을 사용하여 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베트남의 다 꺼우는 족구와 유사한 형식의 경기종목으로 발전하였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Pu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play culture and to compare and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a comprehensive survey of traditional play enjoyed by the people of both Korean and Vietnam.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focusing on various materials, books, and related prior studi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and Vietnam plays collected in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national libraries. Conclusion: Korean ‘Gonggi’ and Vietnamese ‘Chuyen’ found common characteristics in throwing one into the air and picking up the rest of the ground before falling. The difference is Gonggi was made up of five nail-sized stones, and Chuyen was made up of 10 wooden sticks and one ball, also Gonggi only used one hand, while Chuyen used two hands. Korean tops and Vietnamese ‘Quay’ had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would wind up the top and the play tools in a string and decide who would spin them longer. However, the top of the Korean top was wide, heavy and hard, but the top of the Vietnamese Quay was protruding like a triangular flask and hollow and light. Korean ‘Jegi’ and Vietnamese ‘Cau’ had a common characteristic in that they were chose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the shape of the play tools was similar. ‘Cau’ showed a difference in that it can be played with whole body, especially hands.

      • KCI등재

        국내 전문발레단 웹사이트 및 작품경향 분석

        전효정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10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립발레단, 광주시립발레단, 유니버설발레단, 서울발레시어터 인천시티무용단등 5개의 발레단을 선정하여 이 단체들의 웹사이트를 비교 분석하여 그 속에 포함하고 있는 작품의내용을 통해 한국 직업발레단의 작품경향을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발레에 대한 기본 정보를전문서적이나 선행연구에서 탐색하여 바탕학문으로 두고 각 단체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이트를 비교 분석한 뒤 사이트의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발레단의 작품경향을 파악하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결과 첫째, 웹사이트 비교를 통해 비교적 규모가 큰 단체(국립발레단, 광주시립발레단, 유니버설발레단)는 발레단 소개, 발레단 사람들(예술감독, 단장, 아티스트 등), 공연정보, 후원회, 교육 아카데미, 발레단 소식 등의 구성이 잘 되어 있었으나 서울발레시어터는 예술감독이나 안무자에 대한 정보 및공지사항, 뉴스레터 등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인천시티발레단은 교육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지않았다. 둘째, 최근 작품경향을 보면 국립발레단의 경우 대부분의 작품이 외국의 유명 레퍼토리를 가져와 공연하고 있었으며 광주 시립발레단과 유니버설발레단은 외국의 전통발레공연을 하지만 한국적 발레작품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울발레시어터는 외국의 전통 클래식 작품보다는 창작화된 모던발레의 작품을 주로 공연하고 있었으며 인천시티발레단은 한국적 스토리를 가진한국전통 발레극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전문 발레단으로서의 5개 단체에 대한기본 정보는 웹사이트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지만 각 단체마다의 특성은 부각되지 않고 사이트의 내용이 대동소이한 점이 아쉬웠다. 또한 국립 발레단에서의 한국발레의 정착을 위한 레퍼토리 개발에 주력하지 않은 점도 한국발레의 장래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websites of five ballet companies, including the National Ballet, Gwangju City Ballet, Universal Ballet, Seoul Ballet Theater, and Incheon City Dance Compan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ork trends of Korean professional ballet companies through website contents. Methods Basic information on ballet was searched for in specialized books or previous studies, and the Internet homepages of each organization were accessed and the sit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ite, it is a qualitative study to understand the trend of the professional ballet companies. Result First,First, through website comparison, relatively large organizations (National Ballet, Gwangju City Ballet, Universal Ballet) had well organized information through their websites, but Seoul Ballet Theater and Incheon City Ballet did not have educational programs. Second, looking at the recent work trends, there are groups that bring and perform famous foreign repertoires, groups that mainly perform creative modern ballet works rather than traditional foreign classic works, And it is divided into group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ballet plays with Korean stories. Conclusion Basic information on the five organizations as professional ballet troupes could be grasped through the website, but it was disappoint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rganization were not highlighted and the contents of the sites were largely the same. Also, the fact that the National Ballet Company did not focus on repertoire development for the settlement of Korean balle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future of Korean ballet.

      • KCI등재

        아시아 유학생들의 한국 유학 결정 과정: 부산 B대학 석사과정 학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지영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oosing process of Asian international students opting tostudy in Korea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decis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applied Chen's(2007) model to examine the study-abroad choosing process and significant factors among master's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B University's graduate school. Methods 11master's cours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utobiographical essays based on questionnaires and to conduct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interpreted usingAnalyse thematique. Result In the study-abroad choosing process, the primary consideration isrevealed to be the ‘undergraduate major’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econd, in theexploration/screening/apply phase, factors such as low admission barriers, curiosity about Korea,scholarship support, cultural/geographical proximity, reliable information, notice, and networking were considered. In the third and final choosing phase, factors such as scholarship support,cultural/geographical proximity to Korea and one’s home country, and the attractiveness of the city andcampus environment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Conclusion Supporting scholarships andcultural/geographical proximity are factors that appear multiple times in the choosing process. Providingpractical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se factors can serve as pull factors. Additionally, it is crucialto thoroughly understand their study abroad purposes, plans, and post-graduate aspirations, and todevelop multilayered and detailed strategies for notice-attract- operation-management that also focus on guiding and managing career paths and settlement plans after studying abroad. 연구목적 이 연구는 아시아지역 유학생들의 한국 유학 결정 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Chen(2007) 모형을 적용하여 B대학 대학원 한국학과에 재학 중인 석사과정학생들의 유학 결정 과정에 나타난 유의미한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석사과정 유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기반한 자서전적 에세이 작성,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별 분석방법으로 해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학 결심 단계에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학부 전공’과 ‘한국어 능력’ 으로 나타났다. 둘째, 탐색/선별/지원 단계에서는 ‘낮은 입학 허들’, ‘한류와 한국에 관한 호기심’, ‘장학금지원’, ‘문화적·지리적 근접성’, ‘신뢰할 수 있는 정보, 홍보, 네트워크 형성’ 등을 고려하였다. 셋째, 최종결정 단계에서는 ‘장학금 지원’, ‘한국과 자국의 문화적·지리적 근접성’, ‘매력적인 도시와 학교 환경’을 고려하였다. 결론 아시아지역의 석사과정 유학생에게 장학금 지원과 문화적·지리적 근접성은 한국 유학 결정과정에서 여러 차례 고려된 요인으로 나타난다. 이에 관한 실제적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은 유학 결정에 있어유인 요인이 될 것이다. 또한, 이들의 유학 목적과 계획, 학위 취득 후 계획 등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유학후 진로 및 정주 계획에 대한 안내와 관리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다층적이고 세밀한 홍보-유치-운영-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안전 및 발달을 위한 융합형 스포츠 프로그램 모델 개발

        한승진 ( Han Seung-jin ) 한국융합과학회 2017 한국융합과학회지 Vol.6 No.3

        연구목적: 체육학은 단순하게 교육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 심동적, 인지적, 사회적으로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청소년들에게 가르치기 위해서는 다양한 스포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특히 총체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융합형 스포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및 청소년의 안전 및 발달을 위한 융합형 스포츠 프로그램의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융합형 스포츠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사례를 조사하고, 실제 융합형 스포츠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결론: 융합형 스포츠 프로그램 연구 사례를 토대로 융합형 스포츠 프로그램의 모델의 요인을 정하고, 융합형 스포츠 프로그램 사례를 통하여 각각의 실천 과제들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아동 및 청소년 안전 및 발달을 위한 융합형 스포츠 프로그램 모델은 크게 3가지 요인, 9가지 내용으로 정리되었다. 첫째, 긍정적 청소년 발달 요인으로 세부적으로 스포츠 인지활동, 스포츠 정서활동, 스포츠 체험활동으로 구성된다. 둘째, 뇌과학요인으로 달리기 위주 활동, 뇌 활성도 측정 프로그램, 스포츠과학 접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스포츠안전요인으로 스포츠안전 이해하기, 스포츠안전 체험 하기, 스포츠안전 극복하기로 구성된다. Pupose: Physical education has an emotional, psychological, cognitive and social role as well as an educational role. A variety of programs are needed to teach these roles to young people. Therefore, It is to develop a model of a convergent sports program for the safety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First, we investigate case studies of convergent sports programs and investigate the actual cases of convergent sports programs. Conclusion: The model of the convergent sports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ase study of convergent sports program. In addition, practical tasks were derived through convergent sports program. Through this process, the convergent sports program model for the safety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developed as three factors and nine tasks. First, The positive youth development factors consisted of sports cognitive activities, sports emotional activities, and sports experience activities. Second, Brain science factor was composed of running - oriented activity, brain activity measurement program, and sports science integration program. Finally, Sport safety factor was composed to understand sports safety, experiencing sport safety, and overcoming sport safety.

      • 공연예술 융합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용 안무의 방향 연구

        이주영,신동아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0

        이 논문은 공연예술 융합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용 안무의 방향을 고찰하는 데 있다. 논의를 위해 문헌고찰과 다섯 명의 무용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융합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용 안무는 무용의 특질 반영, 타 장르와의 끊임없는 연구와 시도, 이해도 진작, 안무자로서의 사명감 견지 등을 들 수 있다. 융합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용 안무의 주된 방향은 무용의 내재성에 기반한 발현과 타 장르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통한 예술성 진작으로 귀결된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응집력 강화, 치밀한 연구와 구현, 미적 특성 및 의미의 선명성, 독창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발산 등을 들 수 있다.

      • 경락혈을 이용한 한국무용 기본무

        조성민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0

        목적: 음양의 성격을 갖고 있는 한국춤은 호흡을 기반으로 신체 각 부분의 관계성을 중시한다. 따라서 한국춤은 수행할 때 몸의 기(氣)흐름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호흡에 담긴 신체의 기(氣)흐름은 기의 경로라고 할 수 있는 혈자리를 통해 분석해 볼 수 있다. 이에 한국적 움직임과 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국무용을 이용한 무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무용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여 앞으로 다가올 초고령사회에서 대체의학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노인무용의 비전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정: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여 문헌조사, 개별면담, 참여관찰, 연구 대상자 자신의 생각을 직접 기입하는 자기 보고서를 작성하였으며 연구자의 경험적 사실이 시사하는 이론적 의미를 분석하고 종합하였다. 결과: 몸의 혈자리를 알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집중력 향상, 자기 몸에 대한 애착과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학습욕구에 있어 긍정적인 자극제 역할을 하였다. 또한 호흡의 운용과 함께 자신의 관절가동범위를 알고 움직임으로써 관절의 유연해짐과 신체지각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하체움직임에 대한 두려움과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감소하였다. 이로 인해 동작수행이 편해졌으며 춤동작에 더욱 집중할 수 있어 예술교육 측면까지 충족되었다. 결론: 적은 연구 대상자들이라는 점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적이나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보다 많은 노인들에게 적용한다면 노인교육프로그램으로써 의미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지며, 노인들에게 있어 무리한 운동 보다 자신의 몸을 자각하면서 흐름을 알고 움직인다면 초고령사회에 활기와 건강을 선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리고 건강과 즐거움 그리고 재미를 위한 요소로서의 외형적인 동작체계에 초점을 맞춘 한국무용이 아닌, 호흡을 느끼며 동작의 흐름과 함께 기(氣) 운용체계를 통한 혈자리의 자기 지각으로 대체의학의 역할로서의 한국무용프로그램을 기대해 본다. 또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노인 뿐 아니라 다른 다양한 연령층에게 폭넓게 활용하므로 해서 한국적 움직임에 대한 지식탐구는 물론 움직임, 춤, 삶을 연계하여 결국에는 건강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무용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의 방향 설계: 중등 선택교과의 진입을 전제로

        윤정옥 ( Yoon Jeong-ok ),김지안 ( Kim Ji-an ),홍애령 ( Hong Ae-ryung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 설계 방향을 탐색하는 것으로 무용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델파이 조사, 전문가 회의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무용 교육과정의 영역으로 다섯 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는 각각 ‘움직임 원리’, ‘사고와 표현’, ‘문화와 역사’, ‘건강한 삶’, ‘다양성과 융합’으로 명명화되었다. 각 영역의 핵심개념은 ①움직임 원리(기초, 응용, 안무), ②사고와 표현(읽기, 비평, 글쓰기), ③문화와 역사(역사, 문화), ④건강한 삶(신체균형, 건강관리), ⑤다양성과 융합(다양성, 융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첫째, 전체적인 학교급을 포괄하는 무용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무용교육계는 수요 요청에 대한 노력으로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제도’를 활용하여 전국의 많은 고등학교에서 무용교과를 선택하는 수요가 조성될 수 있도록 무용교육의 다양한 가치를 현장에 알리고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 첫째,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는 주제별 교육과 주요활동을 고려하여 다섯 가지로 유형화되었으며, 이는 각각 ‘움직임 원리(움직임 표현 역량)’, ‘사고와 표현(창의적 소통 역량)’, ‘문화와 역사(사회 문화적 공감 역량)’, ‘건강한 삶(자기관리 실천 역량)’, ‘다양성과 융합(창의융합 실천 역량)’으로 명명화되었다. 둘째,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구성된 다섯 가지 영역에 근거하여 학생들이 무용 교육과정 영역에서 숙지해야 하는 보편적인 지식과 필수 학습내용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구성된 내용 체계에 근거하여 총 19가지의 성취 기준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시도는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 즉, 무용교육표준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측면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Pupose: This study explores the basic design direction for a national dance curriculum and to 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framework, and achievement criteria. Methods: This study used a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s, and expert meetings. Result: First, the dance curriculum should cover all levels of the school. Second, the dance education community should actively promote the various values of dance education locally and gain sympathy to create demand for dance courses in many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by utilizing the “Open Choice Curriculum System.” Conclusion: This study first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national dance curriculum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movement principles,” “thought and expression,” “culture and history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healthy lifestyle” (self-management practice), and “creative convergence.” Second, the content system of the national dance curriculum should present universal knowledge and essential learning that students should be familiar with based on the five areas. Third, the authors derived 19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national dance curriculum based on the structured content framework.

      • KCI등재

        공공부문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류상일 ( Ryu Sang-il ),권승 ( Kwon Seung ) 한국융합과학회 2018 한국융합과학회지 Vol.7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관들의 감정 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소방관들의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소방본부 소속 소방공무원 297명의 사례를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의 빈도, 감정노동의 주의 정도, 감정 부조화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 감정노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감정 왜곡 등 감정 부조화가 커질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진다. 하지만, 감정노동의 빈도는 많아질수록 오히려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당 업무에 따라 감정노동의 빈도와 직무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현장직근무자들에 비해 내근직(행정) 근무자들이 감정노동의 빈도가 더 높은 반면, 직무스트레스는 오히려 내근직에 비해 현장직 소방관들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른 연령대에 비해서 20대의 소방관들이 감정 부조화와 직무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직기간에 따라 감정노동의 주의정도와 감정 부조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계층에 비해서, 5년 미만의 소방관들이 감정노동의 주의 정도와 감정 부조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소방관의 직무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감정 부조화를 극복할 수 있는 심리훈련이나 심리치료를 제공하고, 특히, 재직기간이 짧은 젊은 소방관들의 감정 부조화를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조속히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제언한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the firefighters in the public sector on job stress and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rekief of firefighter 's job stress in the future. Methods: Employing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297 cases of firefighting officers belonging to Busan Fire Service Headquarte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the degree of attentiveness of emotional labor, and the emotional disharmony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tress. The more you pay attention to emotional labor, the higher the job stress. Also, The greater the emotional disharmony, such as emotional distortion, the higher the job stress. However, as the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increased, job stress decreased. Secon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e job in charge. In other words, the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was higher among internal(administrative) firefighters than the field firefighters. On the other hand, job stress was more severe in the field firefighters than in the administrative firefighters. Third, emotional disharmony and job stress level were highest among firefighters aged 20-29 compared to other ages.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ttentiveness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congruity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employment. In other words, firefight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service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the degree of attentiveness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congru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up the system to provide psychological training and psychotherapy to overcome emotional disharmony in order to mitigate job stress of firefighters, particulary young firefighters in their 20s.

      • KCI등재

        재난관리 공무원의 인식을 통한 재난대비활동의 효과성 분석: 지역사회 재난 레질리언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성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disaster preparedness activities on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and to structurally identify the role of reinforcement of community disaster as an intervention effect. Methods : This study uses the SPSS 21.0 and AMOS 21.0 statistical programs to identify structural equation models. Conclusion : For the preparedness activities, the planning, resource allocation, disaster education, training, and cooperation system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index and the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was surveyed about economic, institutional, human and social capital. Disaster preparedness affects disaster management effectiveness, and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has been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disaster management effectiveness.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대비 활동이 재난관리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확인하고, 매개효과로서 지역사회 재난레질리언스 강화의 역할을 구조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비활동에는 계획수립, 자원확보, 재난교육, 훈련, 협조체계를 측정지표로 하였고, 지역사회 재난 레질리언스로는 경제적, 제도적, 인적, 사회적 자본을 조사하였다. 충남지역 공무원의 인식을 토대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확인하기위하여 SPSS 21.0,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론 : 늘어나는 재난사고에 대비한 다양한 지방정부 차원의 활동과 더불어 최근 지역사회의 재난 레질리언스에 관심이 커지고있다. 지역사회는 재난발생의 최전선이며, 대응이 시작되는 곳이기 때문에 재난대비활동을 통하여 지역이 가진 모든자원을 활용하여 상호작용하면서 외부 환경에 적응하는 체제로서 의미를갖는다. 재난대비활동은 재난관리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지역사회 재난 레질리언스는 재난관리효과에 부분매개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