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자체 GIS 추진 및 운영모델에 관한 연구

        고광철,김은형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2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4 No.2

        The considerable budgets for the 2nd-phase NGIS projects are allocated to the projects for developments of the GIS applications. Especially, the 78 local governments are major users of GIS application systems. In spite of GIS necessity in local government, whether a GIS is "good" or bad, depends on its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How to implementation GIS in effective way and how to measure GIS effect for justifying GIS funding can be major concerns. Because it takes minimum 3~4 years to equal the costs and benefits of GIS, the long-terms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GIS project in local government are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a proper implementation model for the GIS application projects and to promote activities in the projects, this study considers several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e phases of GOS evolution and solutions of these problems. Based on the GIS auditing and consulting experience i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constructs a GIS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model in long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This model can be a key to effective and realistic implementation for the future GIS projects. 제2차 국가GIS기본계획에서의 가장 많은 예산이 산정되어 있는 “GIS활용체계 개발”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곳은 78개 시를 비롯한 지방지차단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GIS가 “좋은” 기술이고 그래서 행정능률의 제고 및 대시민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는 GIS가 필요하다는 사실에 대부분의 지자체는 의심의 여지없이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이제는 막대한 예산의 투입에 대한 효과를 가시적으로 보고 싶어하는 충동과 과연 실효성 있는 “좋은” 기술인가에 대한 증명이 요구되는 시점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지자체 GIS의 투자대비 효과는 어느 정도로 산정할 수 있는 것인가? 과연 현재의 지자체 GIS 현주소는 제대로 구축되고 있다고 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설득력 있는 대답을 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현실속에서 과연 지자첸 GIS 추진상 무엇이 문제이며, 이미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다면 지자체에서는 어떠한 이유로 인해 시스템 활용이 어려운 것일까?와 같은 물음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GIS는 “단번에” 효과가 나타나는 다른 전산시스템과는 달리 최소한 3~4년의 손익분기점을 가지는 기술인 만큼 지자체 GIS 추진단계별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GIS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충분한 이해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며, 문제점에 대한 접근은 단편적인 기술상의 문제에서 그쳐서는 안되고 사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해 분석되어야 한다. GIS활용체계의 궁극적인 목적은 실무에서의 원활한 ‘운영’에 있으며, 최종단계의 운영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부터 발주, 진행, 준공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들이 단계적으로 성과를 확보하며 이루어져야 가능하다. 여러 지자체를 중심으로 수행된 지자체 GIS감리와 컨설팅의 경험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들을 일반화시켜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자체 GIS사업의 추진 및 운영모델을 제시하였다.

      • 간세포암의 진단 및 병기결정에 대한 SPIO-MRI의 임상적 유용성

        고광철,김홍주,최원혁,채경수,최문석,백승운,유병철,이종철,최규완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1

        목적: 간세포암 환자들에 있어 SPIO-MRI가 진단 및 수술 전 병기결정에 유용한 검사법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간내 결절 진단 능력, 위양성률 및 위음성률 등의 척도를 조사하여 SPIO-MRI의 임상적 유용성 및 제한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1년 2월까지 본 병원에서 3상 역동적 나선상 CT 소견상 간세포암 결절이 의심되어 SPIO-MRI를 수술 전 병기결절 검사로 시행한 21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 조직병리학적 소견 및 방사학적 소견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술 후 조직병리학적 소견과 3개월 이내의 조기재발을 실제 간세포암 결절의 기준으로 삼았다. 결과: 진단된 평균 간내결절의 수는 SPIO-MRI에서 3상 역동적 나선상 CT에 비해 외과적 절제를 시행받은 군과 방사선학적 중재술을 시행받은 군 모두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p<0.01). 전체 환자(n=218) 중 22명(10.1%)에서 외과적 나선상 CT의 소견이 달라 치료방침의 변경이 있었다. 3개월 이내의 조기재발은 10명(7.8%)에서 관찰되었다. 간세포암 환자에 있어서 SPIO-MRI의 위양성 및 위음성 진단율은 각각 6.3%, 13.3%였다. 결론: 간세포암 환자에 있어서 간내결절 진단능력은 SPIO-MRI가 기존의 3상 역동적 나선상 CT에 비해 우수하였다. 비교적 허용할 만한 정도의 위양성 및 위음성 진단율을 고려하면 SPIO-MRI는 간세포암 환자의 수술 전 진단 및 병기결정에 적합한 영상진단법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Aims: It is still unclear whether Super Paramagnetic lron Oxide-Magnetic Resonance Imaging (SPIO-MRI) is a clinically useful imaging modality for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his study searched for the clinical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SPIO-MRI with respect to tumor detection capacity, false positive and negative rate, and early recurrence rate. Methods: From December 1999 to February 2001, 218 patients who were surgical candidates by 3-phase dynamic helical CT (3dHCT) were enrolled.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findings, retrospectively, and postulated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and the early recurrences within 3 months as the standards for the true positive lesion. Results: The mean number of nodules detected by SPIO-MRI was significantly more numerous than that of 3dHCT (p<0.01). Modifications of treatment strategy due to the discordant findings between SPIO-MRI and 3dHCT for tumor resectability were observed in 22 (10.1%) out of 218 patients. Early recurrences were observed in 10 patients (7.8%). The false positive and negative rates of SPIO-MRI were 6.3% and 13.3%, respectively. Conclusions: We demonstrated that the tumor detection rate of SPIO-MRI was better than that of 3dHCT. Given the relatively acceptable false positive and negative rates, SPIO-MRI could be an appropriate preoperative imaging modality for patients with HCC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간세포암의 진단 및 병기결정에 대한 SPIO-MRI의 임상적 유용성

        고광철,김홍주,최원혁,채경수,최문석,백승운,유병철,이종철,최규완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1

        Background/Aims: It is still unclear whether Super Paramagnetic Iron Oxide-Magnetic Resonance Imaging (SPIO-MRI) is a clinically useful imaging modality for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his study searched for the clinical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SPIO-MRI with respect to tumor detection capacity, false positive and negative rate, and early recurrence rate. Methods: From December 1999 to February 2001, 218 patients who were surgical candidates by 3-phase dynamic helical CT (3dHCT) were enrolled.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findings, retrospectively, and postulated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and the early recurrences within 3 months as the standards for the true positive lesion. Results: The mean number of nodules detected by SPIO-MRI was significantly more numerous than that of 3dHCT (p<0.01). Modifications of treatment strategy due to the discordant findings between SPIO-MRI and 3dHCT for tumor resectability were observed in 22 (10.1%) out of 218 patients. Early recurrences were observed in 10 patients (7.8%). The false positive and negative rates of SPIO-MRI were 6.3% and 13.3%, respectively. Conclusions: We demonstrated that the tumor detection rate of SPIO-MRI was better than that of 3dHCT. Given the relatively acceptable false positive and negative rates, SPIO-MRI could be an appropriate preoperative imaging modality for patients with HCCs.(Korean J Hepatol 2002;9:17-24) 목적 : 간세포암 환자들에 있어 SPIO-MRI가 진단 및 수술 전 병기결정에 유용한 검사법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간내 결절 진단능력, 위양성률 및 위음성률 등의 척도를 조사하여 SPIO-MRI의 임상적 유용성 및 제한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1999년 12월부터 2001년 2월까지 본 병원에서 3상 역동적 나선상 CT 소견상 간세포암 결절이 의심되어 SPIO-MRI를 수술 전 병기결정 검사로 시행한 21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 조직병리학적 소견 및 방사학적 소견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술 후 조직병리학적 소견과 3개월 이내의 조기재발을 실제 간세포암 결절의 기준으로 삼았다. 결과 : 진단된 평균 간내결절의 수는 SPIO- MRI에서 3상 역동적 나선상 CT에 비해 외과적 절제를 시행받은 군과 방사선학적 중재술을 시행받은 군 모두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p<0.01). 전체 환자(n=218) 중 22명(10.1%)에서 외과적 절제가능 여부에 대한 SPIO-MRI와 3상 역동적 나선상 CT의 소견이 달라 치료방침의 변경이 있었다. 3개월 이내의 조기재발은 10명(7.8%)에서 관찰되었다. 간세포암 환자에 있어서 SPIO-MRI의 위양성 및 위음성 진단율은 각각 6.3%, 13.3%였다. 결론 : 간세포암 환자에 있어서 간내결절 진단능력은 SPIO-MRI가 기존의 3상 역동적 나선상 CT에 비해 우수하였다. 비교적 허용할 만한 정도의 위양성 및 위음성 진단율을 고려하면 SPIO-MRI는 간세포암 환자의 수술 전 진단 및 병기결정에 적합한 영상진단법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