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경기지역 주민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와 선호도 조사연구

        최은미,송윤신,이선희 경복대학 2004 京福論叢 Vol.8 No.-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2004년 5월 11일부터 25일까지 15일간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위생사의 인식에 대한 조사결과 62%가 치과위생사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치과위생사가 수행하는 업무활동 범위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 치과의사보조 업무가 53.3%로 가장 많았고, 스켈링 및 방사선촬영업무 41.5%, 예방업무 24.0%, 구강보건교육 업무 20.0%, 접수 및 수납에 대한 업무 17.0%, 치료에 대한 상담 업무 12.5% 순으로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의 근무기관에 대한 지식을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치과진료실이 51.5%로 가장 많았고, 보건소 43.5%, 학교구강보건실 35.5%, 치과관련기자재 생산회사 28.0%, 제약회사 14.0%, 연구소 13.5%, 치과기공소 10.5%순으로 나타났다. 4. 치과위생사의 교육 수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전문대학 3년 학력에 47.0%, 전문대학 2년 학력에 27.5%, 대학교 졸업 학력에는 15.5%, 고졸학력에 4.5% 순으로 나타났다. 5. 치과위생사의 복장에 대한 선호를 조사한 결과 유니폼은 치마투피스 40.5%로 가장 많았고, 유니폼의 색상은 흰색이 33.5%로 가장 선호되었다. 또한 신발은 샌들이 48.0%로 가장 많았으며, 머리스타일은 뒤로 묶은 머리 44.0%를 가장 선호하였다. 6. 치과위생사 전문 직업 이미지 선호 조사결과 밝은 표정 62.0%, 단정함 24.5%, 세련됨과 지적임은 각각 4.5%로 나타났다. 또한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향상을 위한 주관성 중 내·외적 자질로서 중요시 되어야 할 항목은 친절성 34.5%, 성실성과 책임감 32.5%, 전문적 지식인 21.5%, 인격과 소양 8.0%로 나타났다. 7.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바 전문분야에 대한 업무를 실행하는 것이 30.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 상호협조적인 관계형성 22.0%, 업무의 전문화 21.5%, 치과위생사 스스로의 태도변화 13.5%, 높은 교육수준 6.5%, 기타가 6.5%로 나타났다. 8. 치과위생사의 상징에는 명찰이 44.0%로 가장 많았고, 직종명칭에 있어서는 치과위생사가 53.3%로 가장 선호되었으며, 치과간호사 35.0%, 구강보건사 6.5%, 구강관리사 1.0%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홍보방법에서는 대중매체 35.5%, 인터넷 20,5%, 구강보건교육 19%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치과위생사의 인식을 높이고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전문분야 업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에 대한 홍보방법은 대중매체와 인터넷 등을 통해 다각적인 치과위생사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dental hygienist. The subject of this investigation are 200 inhabitants in Seoul and Kyunggi-do and the analysis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s by direct intervie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62% of the surveyees recognize dental hygienists. 2. According to the question of a dental hygienist's duty, 53.3% of the subjects answered the assistance of dentists, 41.5% picked out scaling and taking a radiograph, and 24% recognized preventive treatment as the duty. The lowest answer is consultation with a patient on treatment, 12.5%. 3. In case of the working places of a dental hygienist, 51.5% selected dental clinic, 43.5% chose a public health center, and oral health center in school is 35.5%. 4. In an academic background of dental hygienists, 47% of the surveyees responded a dental hygienist have schooling of 3 year-course in college, 27.5% picked out 2 year-course schooling in college, and 15.5% selected college graduate. 5. The uniform of dental hygienists shows a two-piece suit(skirt) is selected by 40.5%, 33.5% answered white as the color of the uniform. Sandal shoes had the highest rate, 48% and the subjects prefer to binding hair at back. 6. 62%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a dental hygienist have to be a pleasant-face as extrinsic characteristics, kindness and responsibility was selected by 34.5% and 32.5% respectively. 7. In the factors of affecting a dental hygienist's image, the performance of specialized job showed the highest rate, 30.3%, a cooperative relation with dentists and the specialization of a job showed 22% and 21.5% respectively. 8. 44% recognized name card as a symbol of dental hygienists and a dental hygienist was selected as a proper title. Dental nurse and oral health aid showed 35% and 6.5%. In the publicity method of a dental hygienist, mass communications have 35.5%, internet have 20.5%, and the education of oral health have 19%

      • KCI등재

        스케일링 전문치과위생사제도와 관련업무에 관한 인식조사

        박규정,김혜진,김경민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6

        In order to scaling specialized dental hygienist system, we intend to conduct a perception survey on dental hygienis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 model. The study surveyed dental hygienist who worked dental clinic in B&K city, and their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sed using SPSS ver 23.0. Most dental hygienists were found to be interested in the scaling specialized dental hygienist system, and the scope of work should also be expanded when implementing the scaling specialized dental hygienist system. It is considered positive to promote a scaling specialized dental hygienist system to emphasize the expertise and independence of dental hygienists. In addition,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policies on the introduc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dental hygienist system (scaling), and dental hygienists and the government need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aling and public oral health It is thought that a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스케일링 전문치과위생사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전문 치과위생사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B시와 K도의 치과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SPSS 23.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치과위생사가 스케일링 전문치 과위생사 제도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케일링 전문 치과위생사 제도 시행 시 업무 범위도 확대 해야 한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치과위생사의 전문성과 자립성을 강조하기 위해 스케일링 전문 치과위생사 제도 를 추진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더불어 본 연구가 차후 치위생관리과정( 스케일링) 전문치과위생사 제도 도입 및 보완에 대한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스케일링에 대한 질 향상과 국민구강보건의 향상을 위해 치과위생사와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며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온·오프라인 정보수집 경로에 따른 치과위생사 이미지 : 대입 준비생을 중심으로

        이경진,김혜중,엄지은,이주희,주민정,한지은,정임희 대한치과위생학회 2023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6 No.2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정보를 얻는 경로에 따라 치과위생사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 악하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직업 이미지 긍정화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수도권 지역의 대입 준비생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3문항), 경로 관련 문항(3문항), 치과위생사 이미지 관련 문항(21문항), 앱 관련 문항(2문항), 진학 관련 문항(5문항), 총 34 문항으로 작성되었다. 일반적 특성, 인식 경로 및 진학 여부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는 Mann-Whitney의U 검정, kruskal-wallis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전체 이미지는 3.75점으로 나타났고, 개인적 이미지 (4.18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이미지(3.20점)가 가장 낮았다. 치과위생사 인식경로에 따른 치과위생사 전체 이미지는 ‘온라인’(3.88점)이 높게 나타났고, 전체 이미지, 개인적, 업무적 이미지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정보획득 경로에 따른 치과위생사 전체 이미지는 ‘오프라인’(3.87점)이 높게 나타났 으며, 세부 영역 중 개인적 이미지에서만 집단 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학 여부에 따른 치과위생사 전체 이미지는 ‘진학(4.00점)’이 ‘비진학(3.64점)’보다 높았고, 사회적 이미지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온라인 경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치과위생사의 중요성과 전문성을 알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통해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직업의 가치를 홍보하고 교육함으로써 이미지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of dental hygienist images based on the pathways of obtaining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correct perception and positive promotion of the dental hygienist profession. Method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305 college preparator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4 item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3 items), pathway-related questions(3 items), dental hygienist image-related question(2 1items), application-related questions(2 items), and admission-related questions(5 items). The images of dental hygienist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pathways, and admission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nd Kruskal-Wallis test. Results: The survey results from all participants showed that the overall image of dental hygienists was 3.75 points. Personal image scored the highest at 4.18 points, while social image was the lowest at 3.20 points(p<0.05). The overall image of dental hygienists was higher for the ‘online’ group (3.88) compared to the ‘offline’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groups in overall, personal, and professional images(p<0.05). The overall image of dental hygienists was higher for those who learned offline (3.87), and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een in the personal image. When it came to admission, the ‘admitted’ students gave a higher overall score (4.00) compared to ‘non-admitted’ students (3.64), with significance found in all areas except for social image (p<0.05).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effective utilization of online pathways can inform more people about the importance and expertise of dental hygienists, thereby contributing to promoting oral health and 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ion. Properly valuing and educating about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through promotion and education can help improve the image of the profession.

      • KCI등재

        일부 성인의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윤성욱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9

        본 연구는 20대 이상 성인의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설문조사하여 SPSS WIN18.0 프 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p<.05). 치과위생사 이미지 평균 3.65이며 ‘보람 있는 직업.’, ‘국 민구강건강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가 가장 높았다. 치과위생사 이미지 결정요인 평균 3.94, ‘친절한 경우’, ‘환 자 입장을 잘 배려 시’ 높았다. 치과위생사 이미지는 학생, 1년 내 치과를 방문한 경우 높았다. 구강건강행태와 치 과위생사 이미지는 양의 상관관계이며 회귀분석 결과 Y(치과위생사 이미지)= .054 + .277(직업) + .183(구강건강 행태) + .717(치과위생사 이미지 결정요인)로 분석되었다. 총괄적으로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향상을 위해 올바른 구 강건강행태를 위한 치과위생사의 노력이 필요하며 다양한 변수들의 고려한 체계적인 방안 모색이 이루어져야 것이다. This study the effects of dental hygienists in adults over 20 years of age study of determinants were survey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18.0 program to obtain significant results (p<.05). Average dental hygienist image was 3.65 points, high scores ‘Rewarding job', ‘Ggreat contribution to improving national oral health'. Average of dental hygienist image determinants is 3.94, high scoresm ‘If friendly', ‘If takes good care of the patient's position'. Image was high when student, visited the dentist within a year. Oral health behavior and image are positively correlated,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Y (dental hygienist image) = .054 + .277 (occupation) + .183 (oral health behavior) + .717 (dental hygienist image determinants). Overall, to improve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efforts by dental hygienists for correct oral health behavior are required, and systematic measures should be sought in consideration of various variables.

      • KCI등재

        주성분 분석을 활용한 우리나라 치과위생사 인력의 수급 지수 제안

        정태양(Taeyang Jeong),김주희(Juhee Kim),김규석(Kyuseok Kim),강정윤(Jung Yun Kang)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24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29 No.1

        우리나라 치과 보조인력의 수급 불균형으로 치과의원에서 치과위생사의 인력난이 심화하고 있다. 매년 5천여 명의 치과위생사가 배출되고 2019년 기준 면허등록 치과위생사는 83,817명에 이르지만 현직에서 활동하는 치과위생사는 전체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 수급과 관련하여 문제점을 짚어보고 지역별 치과위생사 수급지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 데이터는 취업 포털 사이트의 치과위생사 구인 공고 수와 치위생학과 졸업생 수, 치과 병의원 수를 활용한다. 연구방법론으로 상관있는 요인들로부터 특징이 되는 본질을 합성하여 데이 터를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인 비지도학습 머신러닝 기반의 주성분 분석을 사용한다. 주성분 분석을 활용한 치과위생사 수급 지수를 개발한 결과, 치과위생사의 수급 지수는 치위생학과 졸업생 수와 상관성이 낮고, 치과 병의원의 수와 상관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를 누적하여 추후 더 정확도가 높은 지수 개발을 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n imbalance in Korea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for auxiliary dental personnel has led to a growing shortage of dental hygienists in clinics. Despite the annual graduation of approximately 5,000 dental hygienists, the number of registered dental hygienists stands at 83,817 as of 2019, and the number of active practitioners account for only half of this total. This study aimed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the supply and demand of dental hygienists and develop a regional dental hygienist supply-and-demand index. The research data included the number of dental clinics, graduates from dental hygiene departments, and job openings for dental hygienists on employment websites.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bas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 statistical technique that synthesizes the essence of features from correlated factor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developing a dental hygienist supply-and-demand index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a low correlation of the index with the number of graduates from dental hygiene departments, an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dental clinics. The data used and deliver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support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for and the future development of a more accurate index.

      • KCI등재후보

        치과 보조 인력과 치과위생사-미국의 제도 비교

        최영윤 대한치과위생학회 2023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6 No.2

        연구배경: 치과계 특히 치과 의원들은 최근 수년간 보조 인력의 부족을 호소하고 있는 반면 치위생계에서는 미국 치과위생사와 같이 고유의 업무를 어느 정도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강 위생 전문가의 역할을 추구하고 있 어 이러한 업무 범위의 조정과 치과 보조 인력의 양성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절실하다. 연구방법: 이러한 논의에서 자주 언급되는 미국의 치과위생사와 치과 보조원제도에 대하여 미국 치과의사 협 회(ADA), 미국 치과위생사 협회(ADHA), 미국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위원회(NBDHE), 미국 치과 보조원 협회 (ADAA), 미국 치과 보조원 국가시험위원회(DANB)에서 제공하는 면허취득을 위한 교육요건, 업무영역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은 각 주별 제도가 서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치과위생사는 치위생 교육을 이수할 수 있는 기 초 학습 능력 시험을 통과한 후에 2~3년의 전문학사 과정을 수료하고, NBDHE(National Board Dental Hygiene Examination)를 통해 면허를 취득한다. 이후, 주로 환자 검사, 구강 위생 관리 및 예방 처치와 관련된 업무를 수 행한다. 치과 보조원(Dental Assitant)은 9~11개월 정도의 교육과정을 마친 후 기본적인 면허(General Chairside Assisting, GC) 취득을 위한 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있고, 추가적인 업무를 위해서는 해당 업무에 대한 주별 자격시 험 통과, 교육 이수 또는 학위취득, 일정 시간 및 기간 이상의 임상 경험 등이 요구된다. 결론: 우리나라의 의료 기사법과 시행령에서 지정하는 치과위생사의 업무 범위는 미국의 치과위생사와 치과 보 조원의 업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데, 현재의 치과 보조 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미국과 같은 치과 보조원 제 도를 도입한다면 이러한 업무 범위에 대한 조정과 구강 위생 관리 및 예방 업무에서의 치과위생사의 역할 확대 등의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 shortage of dental hygienists as assistant is a great concern to dental clinics, while dental hygienists are rather pursuing the role of oral hygiene control and preventive treatments which is the main role for dental hygienists in the United States. The dental hygienist and dental assista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can be a reference in these discussions. Methods: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licensure and work areas for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assista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DA),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National Board Dental Hygiene Examination (NBDHE), Dental Assistants Association of America (ADAA), and Dental Assistants National Board (DANB). Results: In the United States, each state has different systems, but in general, dental hygienists obtain licenses after completing 2~3 years of associate degree programs in dental hygiene after obtaining basic learning skills, and mainly perform tasks related to patient screening procedures, oral hygiene management and preventive care. Dental assistants can take the license test after completing a training course of 9~11 months to obtain a dental assistant certification. Additional expanded work typically requires passing state qualification tests, completing a training program, obtaining a degree, or gaining clinical experie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epending on the state Conclusion: The scope of work of dental hygienists designated by the Medical Engineer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in Korea includes both the work of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assistants in the United States, and if a dental assistant system like the United States is introduced to address the current shortage of dental assistant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such as adjustment of the scope of work and expansion of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in oral hygiene management and prevention work is needed and in-depth discussion is necessary.

      • KCI등재

        대학생들의 치과위생사에 인식수준과 선호이미지

        김창태,윤현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9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ollege students in the regions of Busan and Gyeongnam during a seven-month period of time from November, 2015,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heir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 and their preference for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level of awareness, the way of looking at dental hygienist was best among the health-related majors, followed by the commerce/economics majors, humanities/social sciences majors and natural sciences/engineering majors. Regarding the major work of dental hygienist, they gave top priority to cooperation for treatment, followed by scaling and counseling. As to educational level required for dental hygienist, 91.2 percent had the right understanding about that. As for the status of dental hygienist in the medical law, just 17.4 percent regarded dental hygienists as medical technicians, and 40.7 percent considered them to be paramedics. 69.9 percent though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ranted a dental hygienist license, and 85.7 percent looked upon this job as a profession. In terms of the way of calling dental hygienists, 34.1 percent called them dental hygienists. As a result of asking what kinds of images dental hygienists must have, the students who were female, who were freshmen and seniors, who were on the commerce and economics track and on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track, whose monthly allowance was less than 300 thousand won and who used public health centers placed importance on friendliness, responsibility, professionalism, ethics, a sense of mission, reliability and commitment, and the students also considered these images important when there were no dental hygienists among their relatives. In regard to favorite images, they had a preference for decent and bright images in general,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aspect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year, major an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way of looking at dental hygienists improved, but that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correct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work, status in the medical law and the license-granting institution. 2015년 11월부터 7개월간 부산•경남지역의대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인식수준과 선호이미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과위생사 인식수준은 보건계열, 상경계열, 인문사회계열, 자연.공학계열순이였고, 치과위생사의 주된 업무로 1순위는 진료협조, 2순위 치석제거, 3순위 상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한 교육수준은 91.2%가 올바르게 인식하였고, 의료법상 치과위생사의 위치는 17.4%만이 의료기사로 인식하였으며 40.7%가 의료보조원으로 인식하였다. 면허주관기관으로 보건복지부를 69.9%에서 인식하였고, 전문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85.7%로 나타났으며, 호칭에서는 34.1%에서 치과위생사라고 부르고 있었다. 치과위생사에게 꼭 필요한 이미지는 친절, 책임감, 전문성, 윤리의식, 사명감, 신뢰성, 헌신에서 여자, 1학년과 4학년, 상경계열과 인문.사회계열, 한 달 용돈이 30만원 미만인 경우, 보건소를 이용하고 친척 중 치과위생사가 없는 경우 높았다. 선호이미지에서는 대체로 단정한 이미지와 밝은 이미지를 선호하였으며, 성별과 학년, 전공계열, 구강보건교육 경험 유무에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연구결과 치과위생사의 인식수준은 향상이 되었으나, 업무와 의료법상의 위치, 면허주관기관 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임상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학업병행과 일반을 중심으로

        이혜진,지민경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with and without schoolwork, who form professional manpower in dental clinic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develop detailed plans for reducing the turnover intention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For data collection,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at dental clinics in Daejeon and Chungcheong and Gyeongsang Provinces from July 20 to September 20, 2019,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using IBM SPSS/WIN 20.0. For the dental hygienists with schoolwork,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for the dental hygienists without schoolwork,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professional self-concept, job stress, and age of ≥30 for the dental hygienists with schoolwork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job stress, and the position as a middle manager for those without schoolwork.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tress wer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for dental hygienists with and without schoolwork.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formation of good dental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positive institutional support as well as through systematic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의료기관의 전문인력인 학업을 병행하는 치과위생사와 일반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이직의도를 낮추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면밀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7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대전ㆍ충청도ㆍ경상도 지역에 치과 병ㆍ의원에서 근무하는 임상 치과위생사를 편의표본추출 하였고,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작성하였으며, 자료는 IBM SPSS/WIN 20.0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학업병행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일반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학업병행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스트레스, 30세 이상에서, 일반 치과위생사는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스트레스, 중간관리자급에서 나타났다. 이에 학업병행 치과위생사와 일반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스트레스가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전문직 자아개념의 체계적인 정립과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으로 올바른 치과 조직문화 형성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치과위생사 인력정책 현황 및 과제

        이효진,신선정,배수명,신보미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urrent issues of workforce policy of dental auxiliary personnel in Korea. The literature review and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in terms of the auxiliary personnel supply, regional distribution, legal works, working environment. Despite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s, the number of active dental hygienists is less than half of the total, and the dental clinics still experience the shortage. Considering the dental hygienist's work, the available dental auxiliary personnel for the dental assistance is limited. The proportion of dental hygienists is concentrated in large cities, and the ratio of dental clinics composed of only dental hygienists is high. Thus, it is essential to look for a plan to solve the disparity. The criterion for judging the legality of the works is ambiguous because a large portion of dental hygienist's work is not specified in the Medical Technicians Act. The job life is also shortened, and occupational profession and satisfaction are lowered. Thus, job burnout is acceler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gal works and the practiced works of dental hygienist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personnel might be due to the lack of utilization plans for the dental personnel at the government level.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the roles of dental hygienist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the dental health service, institutionalize the necessary policies accordingly, and make efforts to establish plans to improve the relevant laws and utilize the manpower appropriately. 치과보조인력 정책의 현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치과보조인력 공급 현황, 지역별 분포, 법적 업무, 근무환경 등의 측면에서 관련 선행문헌고찰 및 자료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고, 관련요인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정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치과위생사 수의 급격한 양적 증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활동 수는 전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치과계는 여전히 치과위생사 인력난을 경험하고 있다. 치과위생사의 수행 업무를 고려했을 때 치과진료보조 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적 치과보조인력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치과위생사 분포가 편중되고, 치과위생사로만 구성된 치과의료기관 비율이 높기 때문에 지역별 치과보조인력 분포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수행 업무 중 많은 비중이 의료기사법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사항이 아니므로 해당행위의 적법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모호하다. 치과위생사의 직업수명, 업무 효율성, 직업전문성 및 만족도가 감소함에 따라 직무소진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치과위생사의 법적 업무와 실제 수행하는 업무와의 괴리, 직역 간 갈등의 심화는 정부 차원에서의 치과의료인력의 활용 계획과 방안이 부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검토된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는 치과의료서비스 수요에 따라 치과위생사 인력의 역할을 정립하고, 필요 정책을 제도화하며, 인력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 KCI등재

        일부 성인의 치과위생사 법적업무 인식과 치과선택 영향

        김현진,권민슬,양민아,김희주,김지현,김설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Perception of Legal Work of Dental Hygienists,the Influence of Dental Clinic Choice in Some AdultsHyeonjin Kim, Minseul Kwon, Minah Yang, Heejue Kim, Jihyun Kim, & Seolhee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using dental professionals and the need for medical professionalization of dental hygienist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ome adults on the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work and the sel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164 Adults in Daejeon,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using SPSS 21.0 program.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legal duties was high in toothbrushing education, scaling, and sealant, while fluoride application and professional brushing were relatively low. The experience of legal work performed by dental hygienists was much in scaling and brushing education, but less in the rest of the work. When choosing a dentist, the dental hygienist’s skills, oral health education, counseling, preventive treatment,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high next to the dentist’s expertise. It wa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by promoting the legal work of dental hygienists and the promotion of medical personnel.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dentistry will be able to increase its competitiveness by utiliz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Key Words: Dental Hygienist, Institution Selection, Legal Work, Health Care Provider, Oral Health 일부 성인의 치과위생사 법적업무 인식과 치과선택 영향김 현 진*ㆍ권 민 슬**ㆍ양 민 아***ㆍ김 희 주****ㆍ김 지 현*****ㆍ김 설 희******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일부 성인의 치과위생사 업무에 대한 인식과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활용과 의료인화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대전에 거주하는 성인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분석을 하였다. 연구 내용: 치위생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인식은 칫솔질 교육, 스케일링, 실란트 분야에서 높았으나 불소 도포 및 전문적인 칫솔질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치과위생사가 수행하는 법률 업무의 경험은 스케일링 및 칫솔질 교육이 많았지만 교정, 임시치 접착제거 등 업무는 낮게 조사되었다. 치과 선택시 치과위생사의 능력은 구강건강교육, 상담, 예방치료, 감염관리 업무와 함께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필요성 인식은 81%로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및 제언: 치과위생사 법적업무 인식은 전체적으로 낮아 인식개선이 필요하였고 의료인화 추진 필요는 높았으며 기대효과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치과위생사는 의료기관 선택의 중요 영향요인으로 치과는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활용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구강건강, 법적 업무, 의료인, 의료기관 선택, 치과위생사 □ 접수일: 2022년 11월 11일, 수정일: 2022년 11월 2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학부생(First Author, Bachelor’s Course, Konyang Univ., Email: yfami@hanmail.net)** 공동저자 1,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학부생(Co-author 1, Bachelor’s Course, Konyang Univ., Email: yangmina39@naver.com)*** 공동저자 2,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학부생(Co-author 2, Bachelor’s Course, Konyang Univ., Email: khj28589@naver.com)**** 공동저자 3,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학부생(Co-author 3, Bachelor’s Course, Konyang Univ., Email: jihyun1466@naver.com)***** 공동저자 4,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학부생(Co-author 4, Bachelor’s Course, Konyang Univ., Email: ableksh@konyang.ac.kr)****** 교신저자,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onyang Univ., Email: ableksh@konyang.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