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기 암환자에서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의 구성요소와 혈장 내독소와의 연관성

        정회현(Hoe Hyun Jung),윤호민(Ho-Min Yoon),최윤선(Youn Seon Choi),이준영(June Young Lee),연종은(Jong Eun Yeo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1

        연구배경: 말기 암환자의 대부분은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하며 주로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이 선행되어 다발성 장기부전(Multiple Organ Failure: MODS)을 미리 시사하게 된다. 내독소는 다발성 장기부전과 쇼크를 발생시키고 여러 사이토카인과 급성 반응기 물질(acute phase reactant)의 분비를 자극한다. 이 연구에서는 말기 암환자에서 전신성 염증 정도에 따른 혈장 내독소와 염증인자들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일개대학병원에서 2009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호스피스병동에 입원 또는 외래 방문환자 중 총 59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다발성 장기부전을 시사하는 전신적 염증 반응 증후군의 정의에 따른 각 요소의 개수에 따른 혈장 내독소와 염증인자(Lymphocyte, ESR, CRP)들의 상관관계와 전신적 염증 반응 증후군의 존재여부에 따른 혈장 내독소와 염증인자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말기암 환자의 전신적 염증반응증후군의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Lymphocyte (r=−0.332, P<0.01), CRP(r=0.300, P<0.05)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ymphocyte, ESR, CRP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혈장 내독소는 말기 암환자의 전신적 염증상태에서 혈장농도가 올라가긴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다른 염증인자(Lymphocyte, ESR, CRP)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말기 암환자의 전신적 염증상태의 중증도에 따라서 염증인자 중 Lymphocyte, CRP는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각 염증인자들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혈장 내독소는 말기 암환자의 전신적 염증상태를 반영하기에는 미흡하였고 다른 염증인자들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Background: Most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died of multiple organ failure (MOF) preceding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Serum endotoxin known as the cause of multiple organ failure and shock, stimulates the secretion of various cytokines and acute phase reactants.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dotoxin and inflammation indices by the degree of the systemic inflammation of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Fifty-nine out of sixty-six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referred to palliative care center,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09 were analyz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lasma endotoxin and inflammation indices in the degree of the systemic inflammation. Results: As increasing the number of SIRS components, CRP were increased (r=.300, P<0.05) whereas lymphocyte was decreased(r=−.332, P<0.01). The plasma endotoxin and ESR do not demonstrate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SIRS components. Conclusion: Lymphocyte, and CRP correlate with the degree of systemic inflammatory condition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However, the plasma endotoxin concentration does not show the correlation with the states of systemic inflammation as well as with other inflammation indices.

      • KCI등재

        쥐와 개의 척수 손상 모델에서 신경영양인자의 변화 및 의미

        송인수,양준영,이준규,주용범,차수민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1

        Study Design : Experimental,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variable factors after an acute spinal cord injury(SCI) in rats and dogs simultaneousl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No study has examined the variations of several factors in a SCI model in different species. Materials and Methods : In rats, a laminectomy was performed at the T10 level and the injured spinal cord was extracted. In Beagle dogs, the laminectomy level was T10 and T11. The motor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a modified Tarlov’s scale. A RT2 profiler PCR array was used to examine each factor (inflammatory cytokines, factors-related with apoptosis, neurotrophic factors, factors-related with extraceullar matrix). Results : IL-2, TNF, TNFRSF11B increased with time and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species, but TNFSF13B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DNF decreased with time in both species, and GDNF was significantly lower in dogs. NGFβ, CTNF and its receptor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two species. MMP1 increased in both species but MMP7 decreased in rats and increased in dogs with time,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ecies. Conclusion : The change in inflammatory cytokines and extracellular matrix correlates with each factor in the combined patterns. Moreover, during the first week after SCI, inflammatory cytokines, apoptosis, neutrophic factors, and extracellular matrix factors may show a partia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imals, which means that an animal model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articular experimental plan. Key Words : Spinal cord injury, Inflammatory cytokines, Factors-related with apoptosis, Neurotrophic factors, Factors-related with extraceullar matrix 연구방법: 실험적, 전향적 연구목적: 급성 척수 손상 후 다양한 인자의 변화가 쥐와 개에서 어떻게 일어나는 지 동시에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다른 종(種)간의 급성 척수 손상 후 다양한 신경 인자(염증 사이토카인, 세포 사멸과 연관된 인자, 신경영양인자, 세포외 기질과 연관된인자) 들의 변화를 비교하는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대상 및 방법: 쥐의 10번째 흉추 위치에서 추궁 절제를 시행 후, 인위적 척수 손상을 유발하였고 개에서는 10번째와 11번째 흉추에서 추궁 절제, 척수손상을 유발하였다. 운동학적 평가는 변형된 Tarlov’s scale을 이용하였다. 염증 사이토카인(IL-2, TNF, TNFRSF11B, TNFSF13B), 세포 사멸과 연관된인자(JUN, NFKβ1), 신경영양인자(BDNF, GDNF, NGFβ, NGFRAP1, CNTF, CNTFR), 세포외 기질과 연관된 인자(CSPG2, MMP1, MMP7) 분석에 RT2profiler PCR array를 이용하였다. 결과: IL-2, TNF, TNFRSF11B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두 종간에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나 TNFSF13B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보였다. BDNF는 두 종 모두 시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고 GDNF는 개에서는 확연히 감소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NGFβ,CNTF와 그 수용체들은 종간의 뚜렷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MMP1은 두 종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나 MMP7은 쥐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고 개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두 종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신경영양인자를 중심으로 염증 사이토카인과 세포외 기질 인자의 변화는 상호 작용하는 것이며, 척수 손상 후 급성기 중 일주일까지 염증, 세포사멸, 신경영양인자, 그리고 세포외 기질의 연구에 실험 동물간에 일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어 향후 실험 계획 중 동물 모델의 선정 자료로 활용할 수있을 것이다. 색인 단어: 척수 손상, 염증 사이토카인, 세포 사멸 인자, 신경영양인자, 세포외 기질 인자약칭 제목: 척수 손상 후의 신경인자들의 변화

      • KCI등재

        비단벌레(Crysochroa fulgidissima) 에탄올추출물의 NO 증강 및 염증인자억제활성

        안미영,김순자,정혜경,서윤정,박해철,이영보,김미애,Ahn, Mi-Young,Kim, Soon-Ja,Jeong, Hye-Kyoung,Seo, Yun-Jung,Park, Hae-Cheol,Lee, Young-Bo,Kim, Mi-Aa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3

        비단벌레(C. fulgidissima)는 동아시아에서 중풍을 치료하는 약으로 한국에서는 살충, 지양제로서 사용한 기록이 있다. 본 연구는 비단벌레의 에탄올 추출물의 내피세포에서의 산화질소(NO) 증강효과와 내피성 산화질소 합성효소(eNOS)의 양적 증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단벌레 에탄올 추출물은 양성대조약물 sodium nitroprusside에 비해 65.9%의 NO 증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NOS에 대해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염증성부착인자인 ICAM-1과 VCAM-1 수치와 염증매개인자 프로스타글란딘 $E_2$를 조사하여 비단벌레 에탄올 추출물의 염증억제 기전을 조사한 결과, HUVEC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매개인자와 염증성부착인자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혈관성 내피성장인자(VEGF)의 낮은 수치를 HUVEC 세포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에탄올 추출물을 HPLC로 부분정제 후 GC-MS와 MALDI-TOF 분석을 통하여 일부 칸다리딘 성분 함유함을 확인하였다 Crysochroa fulgidissima (Bidan-beole, Spanish fly) is traditionally used as a crude drug and insecticide in the East Asia and Korea, respective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C. fulgidissima on the NO production activity. The C. fulgidissima extract was a potent inducer of NO production in CPAE cells and a stimulator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is extract by determining the level of ICAM-1, VCAM-1, and prostaglandin $E_2$ from HUVEC cells. Although C. fulgidissima extract was a potent inducer of NO production in the CPAE cells, it showed weak inhibitory effects o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production in HUVEC cells. HPLC and GC-MS analysis of the ethanol extract of C. fulgidissima revealed the presence of cantharidin.

      • KCI등재

        한국무용의 참여가 여성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염증반응인자 및 노인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전찬복(Jun, Chan-Bok),정상열(Jung, Sang-Yeul),조강옥(Cho, Kang-Ok)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3

        본 연구는 한국무용의 참여가 노인들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염증반응인자 및 노인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노인건강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으로써의 한국무용의 유용성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12주 동안 주 3회, 1회 60분 동안 실시한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노인들과 참여하지 않은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무용 참여 전과 후에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염증반응인자 및 노인활동체력을 반복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한국무용참여는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 중 허리둘레 (F=4.701, p=.031), 수축기혈압 (F=3.839, p=.047), HDL-cholesterol (F=5.570, p=.020)에서 시기와 그룹 간의 유의한 상호효과와 함께 그룹에 의한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냈고, 염증반응 인자는 C-reactive protein (F=4.450, p=.045)와 백혈구 (F=5.923, p=.017)의 수준이 시기에 의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노인활동체력 변인들의 변화는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하지근력(F=29.709, p<.001), 상지근력 (F=23.082, p<.001), 근지구력 (F= 7.724, p=.009), 유연성 (F=3.955, p=.035), 민첩성(F=13.552, p<.001)의 수준이 그룹과 시기간의 유의한 상호효과를 나타냈고 하지근력 (F=37.190, p<.001), 상지근력 (F=43.634, p<.001), 균형성 (F=5.515, p=.021), 근지구력 (F=20.533, p<.001)은 그룹에 의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으며 심폐지구력 (F=3.756, p=.045), 하지근력 (F=13.921, p<.001), 상지근력 (F=43.634, p<.001), 유연성(F=12.540, p<.001)은 시기에 의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12주의 한국무용은 여성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노인활동체력의 개선에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danc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lood inflammatory markers, and senior fitness (dance group, n=23 vs., control group, n=24) in elderly wome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waist circumference F=4.701, p=.031), HDL-cholesterol level (F=5.570, p=.045), and systolic blood pressure (F=4.339, p=.047) as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the dance group were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according to time and the type of group with significant main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p in waist circumference (F=6.979, p=.016), systolic blood pressure (F=6.712, p=.015), HDL-cholesterol (F=7.511, p<.001). Regarding the blood inflammatory markers, the level of C-reactive protein ( F=4.450, p=.045) and the white blood cell count (F=5.923, p=.017) both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ver time in the dance group. In a senior fitness,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body ( F=29.709, p<.001) and of the upper body (F=23.082, p<.001), the level of muscular endurance (F=7.724, p=.009), flexibility (F=3.955, p=.035), and that of agility (F=13.552, p<.001) all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according the time and the type of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a Korean dance program can reduce metabolic syndrome risk by improving fitness levels in elderly women.

      • KCI등재

        10주간의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오수일,황예선,유민주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e middle-aged women's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and inflammatory factors[WBC(White Blood Cell), GGT(γ-glutamyl Transferase), UA(Uric Acid)] for 10 weeks. [METHOD]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a metabolic syndrome group(23 persons) and a normal group(17 persons) according to the statu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40 middle-aged women who were currently obese or on the boundary of obesity.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erobic exercise using stationary bikes and resistance exercise including sit-ups, leg lifting, push-ups, sitting down and up, lifting the heel, etc for 10 weeks, 3 times a week, 70 minutes (warm-up; 5 minutes, main exercise; 60 minutes, cool-down; 5 minutes).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hown in all items (Glucose, W/H, blood pressure, TG, HDL-C). And with regard to difference between periods, significant difference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DL-C was shown. In case of inflammatory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hown in WBC, GGT, and UA.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of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and inflammatory factors showed that Glucose and TG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WBC in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had influence of 12% and 20.4% respectively. [CONCLUSION] Owing to the combined exercise performed for 10 weeks, positive results were shown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DL-C among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but it was impossible to find meaningful results in inflammatory factors. However, all of WBC, GGT, and UA showed a decreasing trend.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a positive effect can be expected if exercise is performed for a long time.. [목적] 본 연구는 10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중년 여성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염증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현재 비만이거나 비만 경계에 있는 중년여성 40명 중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라 대사증후군 집단(23명)과 정상 집단(17명)으로 구성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고정식 바이크를 이용한 유산소운동과 윗몸일으키기, 다리들어올리기, 팔굽혀펴기, 앉았다 일어나기, 발뒤꿈치 들기 등을 적용한 저항운동을 본 운동으로 하여 10주간, 주 3회, 70분(준비운동; 5분, 본운동; 60분, 정리운동;5분) 실시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결과, 대사증후군 집단과 정상집단 간 모든 항목(Glucose, W/H, 혈압, TG, HDL-C)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기 간 차이에서는 수축기혈압과 HDL-C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염증인자에서는 WBC, GGT, UA 항목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염증인자의 상관과 회귀 결과에서는 대사증후군 집단에서 Glucose와 WBC, TG와 WBC에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각12%와 20.4%의 영향력을 나타냈다. [결론] 10주간의 복합운동 실시로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중 수축기 혈압과 HDL-C에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나 염증인자에서는 의미 있는 결과를 볼 수 없었다. 하지만, WBC, GGT, UA 모두 감소 경향을 나타내 장기간 운동의 실시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SCIEKCI등재

        염증성 치은 상피와 치낭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 및 실험적 치아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호,배창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2

        동소 mRNA 보합결합법과 면역조직 화학적 염색법을 이용하여 정상 치은 상피와 염증성 치은 상피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을 관찰하여 치은 상피의 염증에 있어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역할을 연구하고, 타액에 노출되지 않는 치낭 조직에 있어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소 mRNA 보합결합법상 정상 치은 상피에서 EGFR mRNA는 거의 기저세포층에 국한되어 나타났으며, 극세포층은 약양성을 보였고 과립층과 각화층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2. 면역조직 화학적 염색법상 정상 치은 상피에서 EGFR 단백은 거의 각화층과 과립층에국한되어 나타났으며, 극세포층은 약양성을 보였고 기저세포층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3. 동소 mRNA 보합결합법상 염증성 치은 상피에서 EGFR mRNA는 각화층을 제외한 전층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하였다. 4. 면역조직 화학적 염색법상 염증성 치은 상피에서 EGFR 단백은 기저세포층에서 각화층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하였다. 5. 치낭 조직에서는 동소 mRNA 보합결합법과 면역조직 화학적 염색법 모두에서 Malassez 상피세포 잔존물에 강하게 염색이 되었고, 그 외의 주위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염증성 치은 상피에서 EGFR의 과발현과 치낭 조직의 Malassez 상피세포 잔존물에서 다량의 EGFR이 존재하는 것으로 미루어, 이는 구강 환경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에 대하여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반응으로 여겨진다. Epidermal growth factor(EGF), a single chain polypeptide of 53 amino acids with a molecular weight of 6,045 Da, was first isolated from the male mouse submandibular glands. EGF stimulates cellula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several tissues and accelerates the rate of wound healing. EGF is bound to the specific receptor(EGFR) on the cell membrane of its target cell. EGFR is a transmembrane glycoprotein with a molecular weight of 170,000 Da and is detectable on a large variety of cell types.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EGFR in the normal and inflamed human gingival epithelium to study the role of FGFR in the inflammation of the gingival epithelium, and the expression of EGFR in the dental follicle by using in situ mRNA hybridiza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ression of EGFR mRNA in the normal gingival epithelium on in situ mRNA hybridization was mainly localized on the basal cell layer, and the spinous layer was weakly positive. The granular and cornified layers ere negative. 2. The expression of EGFR protein in the normal gingival epithelium on immunohistochemistry was localized on the cornified and granular layers, and the spinous layer was weakly positive. The basal cell layer was completely negative. 3. The expression of EGFR mRNA in the inflamed gingival epithelium on in situ mRNA hybridization was evenly and homogeneously distributed in the whole layers of the gingival epithelium except the cornified layer. The staining intensity appeared to increase progressively from the basal cell layer to the cornified layer. 4. The expression of EGFR protein in the inflamed gingival epithelium on immunohistochemistry was evenly and homogeneously distributed in the whole layers of the gingival epithelium. The staining intensity appeared to increase progressively from the cornified layer to the basal cell layer. 5. Strong positive reaction was seen in the epithelial cell rests of Malassez, whereas only background staining was seen in other cells of the dental follicle. In conclusion, the up-regulation of EGFR in the inflamed gingival epithelium and the high amounts of EGFR in the epithelial cell rests of Malassez in the dental follicle can be regarded as responses to the possible damages to the oral environment to maintain the homeostatic conditions.

      • KCI등재

        복합운동과 작약 음료 섭취가 중년여성들의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어경태,김찬회,김지원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4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복합운동군 6명, 복합운동 및 작약음료섭취군 6명, 통제군 5명으로 무선 배정하여 주 3회 1일 60분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중년여성의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규칙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과 작약음료섭취 여부에 따른 집단간 염증인자의 변화 에서는 피브리노겐의 그룹별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지만, 시기, 시기×집단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례수가 적어 외생 변수가 많았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사례수를 늘려 후속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middle 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wer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There were 6 women for the group of complex exercise. There were 6 women for the group of complex exercise and intake of peony beverage. There were 5 women for controlled group.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 in which the subjects exercise 60 minutes a day for three times a week, on the physical structure, inflammation factors and metabolic syndrome of middle aged women. The result is as shown in the follow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01) for fibrinogen of each group in the change of inflammation factors due to regular complex exercise program and intake of peony beverage.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iod, period x the effect of groups’ interaction. It is believed that there could be polluted variables, as the number of subjects for this study is not enough. So there should be a study that has more subjects to make it more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운동자극 동영상 시청이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시 혈관 염증인자 및 혈중 피로변인에 미치는 영향

        김상수,주성범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운동자극 동영상 시청이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시 혈관 염증인자 및 혈중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30대 성인 남성 8명에게 웨이트트레이닝 운동 적용상황에서 운동자극 동영상 시청군과 통제군으로 나누어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혈액샘플링을 통해 혈관 염증인자 변인 albumin, CRP, WBC, fibrinogen으로 하였으며, 혈중 피로변인은 혈청 LDH, CPK, 혈중 암모니아로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혈관 염증인자에서는 운동자극 동영상 시청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혈중 피로변인의 변화에서는 혈중 암모니아에서 운동자극 동영상 시청에 따른 유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운동자극 동영상 시청이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시 혈중 피로변인 중 혈중 암모니아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stimulation video during weight training on inflammatory factors and blood fatigue factor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8 male of 20 to 30 year old, and the experiments were repeated in the exercise stimulation video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nflammatory factors and blood fatigue factors measured in all the subjects at rest, immediately after weight training, recovery 10 m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ercise stimulation video group was significantly effects blood amoina. Consequently, the exercise stimulation video during weight training will be effectively appeared to decreasing blood fatigue factors such as blood amoina.

      • KCI등재

        중년여성의 운동 형태에 따른 염증인자와 혈관내피 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

        어경태,조인혜,곽동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중년여성 18명을 대상으로 저항성 운동군 A그룹 6명(1RM 40-60%), 유산소 운동군 B그룹 6명(VO2max 60-70%), 유연성 운동군 C그룹(10~60 sec/sets) 6명으로 무선 배정하여 12주간 주 3회(월, 수, 금) 1일 50~60분의 운동 형 태에 따른 신체구성과 염증인자, 혈관내피 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염증인자의 변화에서는 CRP 및 IL-6의 시기의 주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둘째, 혈관내피 성장인자의 변화에서는 VEGF의 시기의 주효과 및 시기×그룹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운동 형 태에 따른 염증인자와 혈관내피 성장인자에 관한 다양한 각도의 연구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ype of exercise on inflammatory factor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middle aged women, we recruited 18 people middle–aged women and they divided into 3 groups (N=6, resistance exercise group, 40-60% of 1RM, N=6 aerobic exercise group, 60-70% of VO2max, N=6, flexibility exercise group, 10-60 sec/sets). The data were compared to the effect of exercise between 50 ~ 60 minutes per a day, 3 day times per week on the body composition, inflammatory fac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vascular compliance in middle aged women. First, in regards to inflammatory factors between group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identified in the effects of CRP and IL-6 in terms of time (T). Second, regarding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between groups based on the type of exercise,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found in the effects of VEGF’s time (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TxG). In conclusion, All types of exercise could partially improve inflammatory factors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 KCI등재

        비만아동의 최대운동후 부교감신경계 활성도와 심혈관계 질환 위험 인자 및 염증지표와의 관련성

        변재경,정수정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3 운동과학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6학년(11세~13세) 학생을 대상으로 비만집단(n=21), 일반집단(n=19) 그리고 주 4회, 2년 이상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운동집단(n=20)의 부교감신경계 활성도 및 심혈관계 질환 위험 인자, 염증지표와 비만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 부교감신경계 활성 지표인 HRR이 아동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 인자 및 염증지표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든 피검자들은 Bruc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GXT 검사를 시행하였다. 회복시심박수(HRR)는 운동부하검사 직후 운동 시 도달한 최고 심박수에서 회복시 1분, 2분 또는 3분 동안의 심박수를 뺀값으로 정의하였다. 회복단계를 위한 프로토콜은 트레드밀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최대운동 후 30 초간 가볍게 걷기를 시행하였다. 비만집단은 일반 및 운동집단에 비해 부교감신경계 활성도가 저조하고 심폐체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심혈관계 질환위험인자 및 염증지표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아동에게 있어서 비만이 이러한 요인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부교감신경계 활성도(HRR)와 심혈관계 질환 위험 인자 및 염증지표와의 상호관련성이 나타난 것은 부교감신경 활성지표인 회복시심박수가 아동의 심장질환에 대한 위험도를 조기에 발견하기위한 지표로 활용 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ich influence the obesity has upon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 which relationship HRR as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index has with children`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inflammatory markers, and which influence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has upon relationship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inflammatory marker, in obesity group(OG:10.6±.5, n=21), general group(NG:10.8±8, n=19), and exercise group(EG:11.1 ±.8, n=20). All subjects were carried out GXT(graded exercise test) by using Bruce protocol. HRR immediately after exercise stress testing defined as the decrease in heart rate from peak exercise to 1, 2 and 3 minutes into recovery(peak heart rate minus 1, 2 and 3 minutes heart rate of recovery) was determined. The protocol for recovery stage includes a 30-second lightly walk after peak exercise as the treadmill decelerates to a complete stop.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findings:the obesity group was indicated to be lower in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 and in the CRF compared to the NG and EG. In light of having been shown to be high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inflammatory markers, the children`s obesity is judged to have negative influence upon these factors. Also, what the correlation was indicated between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HRR)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 inflammatory markers through this study could be confirmed that the heart rate recovery, which is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index, can be utilized as a marker for early discovering children`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