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urgical technique for single-port laparoscopy in huge ovarian tumors: SW Kim`s technique and comparison to laparotomy

        ( Jeong Sook Kim ),( In Ok Lee ),( Kyung Jin Eoh ),( Young Shin Chung ),( Inha Lee ),( Jung-yun Lee ),( Eun Ji Nam ),( Sunghoon Kim ),( Young Tae Kim ),( Sang W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0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method to remove huge ovarian tumors (≥15 cm) intact with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and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with those of laparotom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SPLS (n=21) with SW Kim`s technique using a specially designed 30×30-cm2-sized 3XL LapBag or laparotomy (n=22) for a huge ovarian tumor from December 2008 to May 2016. Perioperative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In 19/21 (90.5%) patients, SPLS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any tumor spillage or conversion to multi-port laparoscopy or laparo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tumor diameter and total operation time, between both group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than for the laparotomy group (median, 2 [1 to 5] vs. 4 [3 to 17] days; P<0.001). The number of postoperative general diet build-up days was also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median, 1 [1 to 4] vs. 3 [2 to 16] days; P<0.001).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score was lower in the SPLS group (median, 2.0 [0 to 8] vs. 4.0 [0 to 8]; P=0.045). Patient-controlled anesthesia was used less in the SPLS group (61.9% vs. 100%). Conclusion SPLS was successful in removing most large ovarian tumors without rupture and showed quicker recovery and less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in comparison to laparotom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could be a feasible solution to removing huge ovarian tumors.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후보

        백서 척수후근절로부터 슈반세포의 효과적인 체외 배양법

        김성민,이종호,김남열,안강민,최원재,최시호,차미주,이주영,황순정,장정원,명훈,최진영,서병무,정필훈,김명진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4

        Schwann cells(SC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tract with nerous to mutually support growth and replication for the peripheral nerve regentation. Recently, ading SCs to the lumen of guidance channel is widely tried to improve regeneration or to make regeneration possible over otherwise irreparable gaps. however, it is not easy to isolate and multiplicate SCs as much as enough to help the axonal regeneration. For the allogeneic SCs source for tubular nerve guidance, we developed a little bit improved technique of harvesting and multiplicating SCs. by culturing dispersed dorsal root ganglia in specially designed medium with growth factors and serial processing, we repeatedlly generate relatively homogenous SC cultures. Our technique was compared with other methods of literature using immunostaining methods such as GFAP, S100, BDNF and the total SC count assessment at different time interval after primary culture.

      • KCI등재

        Formulation of a reference coordinate system of threedimensional head & neck images : Part Ⅱ. Reproducibitity Ⅱ부 수평기준면과 정중사상면의 재현성

        Kim, Nam-Kug,Park, Jae-Woo,Chang, Young-Il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horizontal and midsagittal planes, and to suggest a stable coordinate system for three-dimensional (3D) cephalometric analysis. Eighteen CT scans were taken and the coordinate system was established using 7 reference points marked by a volume model, with no more than 4 points on the same plane. The 3D landmarks were selected on V works (Cybermed Inc., Seoul, Korea), then exported to V surgery (Cybermed Inc., Seoul, Korea) to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s. All the landmarks were taken twice with a lapse of 2 weeks. The horizontal and midsagittal planes were constructed and its reproducibility was evalu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s. But, FH planes were more reproducible than other horizontal planes. FH plan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planes constructed with 3 out of 4 points. The angle of infersection made by 2 FH planes, composed of both Po and one Or showed less than 1° difference. This was identical when 2 FH planes were composed of both Or and one Po. But, the latter cases showed a significantly smaller error. The reproducibility of the midsagittal plane was reliable with an error range of 0.61 to 1.93° except for 5 establishments (FMS-Nc, Na-Rh, Na-ANS, Rh-ANS, and FR-PNS). The 3D coordinate system may be constructed with 3 planes; the horizontal plane constructed by both Po and right Or; the midsagitt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ncluding the midpoint of the Foramen Spinosum and Nc; and coron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and midsagittal planes, including point clinodale, or sella, or PNS. 본연구는 삼차원 두부 영상을 위치시키기 위한 좌표계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하기 위해, CT data에서 기존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쓰이는 점들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평, 수직평면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18명의 CT자료를 채득하였으며, 모든 환자는 서울대학교 병원 진단방사선과에서 촬영하였다. (Somatom Plus 4: Siemens, Eriange, Germany). V works for surgery 4.0 (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3차원 좌측표를 선정하고, 계측점을 선택하였다. 좌표축을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 7개의 점(reference point)을 4·4·2 pixel size의 voxel로 따로 표시하였다. 계측점을 선정한 후 V surgery (Cybermed Inc., Seoul, Korea)에서 각 점의 좌표값을 추출하였다. 각각의 점들은 2회 반복 선정한 후 점들을 조합하여 수평, 수직평면의 재현성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수평 기준면의 재현도는 S-CI평면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잇각은 FH평면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FH평면은 Po과 Or중 어느 3점을 선택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사한 재현도를 보였다. FH1과 FH2의 사잇각과 FH3과 FH4의 사잇각은 1° 이하의 적은 오차를 보이며, FH3과 FH4의 사잇각이 통계적으로 더 작은 차이를 보였다. 정중시상면의 재현도는 FMS-Nc, Na-Rh, Na-ANS, Rh-ANS, FR-PNS를 기준으로 설정한 경우를 제외하면, 0.61~1.93° 의 양호한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공간에서 정의되는 평면의 재현도는 평면을 정의하는 점 자체의 식별오차뿐 아니라, 각 점의 위치관게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안정적인 3차원 기준좌표계를 구성하려면 양측 Po과 편측 Or으로 구성되는 평면을 수평기준면으로, 수평면에 수직이고, Foramen Spinosum의 중점과 Nc를 포함하는 평면을 수직기준면으로, 수평면과 수직면에 수직이고, clinoidale나 sella, PNS를 지나는 평면을 전두면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을 이용한 치험례 : CASE REPORT

        김종식,김은정,김현정,남순현,김영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1

        치아 매복이란 여러 가지 이유로 구강 점막이나 악골내에서 치아가 맹출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악 중절치 매복의 원인은 치아종, 과잉치, 공간의 상실, 선행유치의 만기잔존 또는 조기상실, 선행유치의 외상으로 인한 치관이나 치근의 기형, 치배의 이소위치 등이 있다.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경우, 측절치가 빠르게 근심으로 이동하여 공간을 상실하고, 정중선의 변이가 발생하며, 낭종을 형성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매복치의 조기 진단과 그에 따른 적절한 처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매복의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각화조직에 의해 매복이 초래된 경우 외과적인 노출만으로도 맹출을 유도할 수 있지만, 외과적인 노출후에 일정기간의 관찰에도 맹출이 되지 않는다거나, 치아의 맹출 방향이 자가 교정될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변위되어 있는 경우, 매복의 위치가 너무 심부에 있는 경우에는 교정적 견인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증례는 매복된 상악 중절치 중 일정기간의 주기적 관찰후 맹출이 기대되지 않았기에, 교정적으로 견인하여 치료하였으며, 치료후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 tooth impaction means a state that a tooth does not erupt out of oral mucosa or alveolar bone for many reasons. The reasons for an impac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re an odontoma, supernumerary tooth, space loss, prolonged remaining or early loss of a preceding deciduous tooth, abnormalities of crown or root caused by trauma of a deciduous tooth and an ectopic position of a tooth germ. In the case of the impacted maxillary incisor, a rapid mesial movement of a lateral incisor leads a space loss and a midline deviation can be happened. Furthermore, it can cause a cyst. When we treated a patient with an impacted central incisor early, we could see a better prognosis. It means an early diagnosis and an exact treatment are very important. Generally if the impaction is not severe or it is caused by a keratinized covering tissue, a surgical exposure can induce an eruption easily but an orthodontic force is recommended when an eruption does not happen after a surgical method, when the eruption path is too transpositioned to be corrected spontaneously and when an impacted tooth is located so deeply. In the treatment using an orthodontic force, careful considerations about a root length, pulp, and a periodontal tissue can improve the periodontal and esthetic prognosis for the long follow-up results. This case is using an orthodontic traction following a periodic observation and in no expectation of spontaneous eruption. After treatment of this case, I have got some knowledges, so I report this case.

      • KCI등재

        외과적 노출술을 이용한 매복된 하악 제 1 대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김은정,김난진,조호진,김현정,김영진,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하악 제 1대구치 매복의 발생 빈도는 전체 인구의 0.01%로 드물게 나타난다. 매복의 원인으로는 맹출 공간의 부족, 과잉치, 치성 종양이나 낭과 같은 맹출로상의 장애물, 유전적 요인, 내분비 질환, 외상 등이 있다. 하악 제 1대구치의 매복으로 인해 하안면 고경의 감소, 낭의 형성, 치관 주위염, 인접치의 치근 흡수, 부정 교합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술, 발거 등이 있다. 다음의 두 증례는 하악 제 1대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게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하여 원심 경사 매복된 하악 제 1대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유도한 증례들이다. Impac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 is relatively rare and its overall frequency has been reported to be 0.01%. The etiology of impaction are lack of eruption space, physical obstacles such as supernumerary teeth, odontomas or odontogenic tumors, hereditary factors, functional disturbances of endocrine glands and traumas. Impac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 can result in a short lower facial height, formation of a follicular cyst, pericoronal inflammation, resorption of the roots of neighboring teeth and malocclusion. The treatment options available for impacted teeth include surgical exposure, orthodontic forced eruption, surgical repositioning and surgical removal of unerupted molar. This report presents two cases of distally tilted and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s which were treated by surgical exposure. In these cases, we could observe spontaneous eruption of the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s after surgical exposure.

      • KCI등재

        유치 및 초기 영구치아의 치수 신경분포

        김영진,남순현,김현정,이재문,이인정 大韓小兒齒科學會 199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3 No.2

        유치 및 초기 영구치의 치수신경분포 및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정치료를 위해 발치한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정상 탈락기의 유치,맹출중인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맹출이 완료되어 교합하고 있는 1소구치를 대상으로 neurofilament protein(NEP)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에서도 영구치와 유사한 신경총의 존재와 신경분포 형태가 관찰되었으나,영구치에 비해 그 신경분포 밀도가 낮았으며 분지형성 또한 미약하게 나타났고,전상아질로 진입하는 섬유의 수가 적었다. 정상탈락기의 유치에서는 신경의 변성으로 소포(vesicle),단절(fragmentation)등이 관찰되었으며,그 신경분포가 현저히 감소되어 나타났고,총상의 형태도 소실되었다.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에서 치수내의 신경은 말단가지의 숫자가 적고,치수 조상아 세포 경계에 도달하였으며,비교적 가는 신경 섬유가 많았다. 교합하고 있는 제 1소구치에서 치수내의 신경은 말단이 조상아층으로 진출하고,어떤 신경섬유는 전상아질층까지 진입하였으며,비교적 굵은신경 섬유의 분포가 많아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dental pulp of early extracted primary teeth,normal exfoliated teeth,partially-erupted,nonfunctional,premolars,and erupted,functional,premolars.Numbers of sample were 10 teeth in each group.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dental pulp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for detection of neurofilament protein(NF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arly extracted primary teeth exhibited patterns of innervation similar to those observed for young permanent teeth.The plexiform arrangement of fibers was not evident in the primary teeth.Most nerves appear to terminate about the odontoblasts. As primary teeth began to undergo root resorption,degenerative changes such as vesicles and fragmentation appear in nerves.The quantity of neural tissue also decreased.In teeth in which the roots were almost completely resorbed only a small number of nerves remain. There w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erminal branches in the pulp of the partiallyerupted,nonfunctional,premolars and those present reached the pulpo-odontoblastic border. The nerve terminals in the pulp of the erupted,functional,premolars were traced to the dentinal tubule and a few nerve fibers formed loops in the predentin.

      • KCI등재

        유명산의 식물상 및 산림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김흥식,김인수,홍금희,김남영,박광서,김정유,박완근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2003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9 No.-

        2002년 3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유명산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산림군락구조를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이 98과 331속 570종 1아종 81변종 4품종 2교잡종으로 총 658종류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0과 14속 13종 2변종 1교잡종 총 16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9과 10속 11종 총 11종류, 귀화식물은 12과 22속 28종 총 28종류로 나타났다. 산림군락은 신갈나무-철쭉군목,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소나무-산거울군락, 잣나무-주름조개풀군락, 물푸레나무-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 싸리-신갈나무군락으로 전체 1군목, 1군단, 6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Yumyeong from March, 2002 to October, 2003. As a result of that, the vascular plants were 98 families, 331 genera, 570 species. 1 subspecies, 81 varieties, 4 formae, 2 hybrid, 658 taxa in all. Korean endemic plants were 10 families, 14 genera, 13 species, 2 variaties, 1 hybrid. 16 taxa in all ;,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9 families, 10 genera. 11 species, 11 taxa in all ; naturalized plants were 12 families, 22 genera, 28 species, 28 taxa in all.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 6 communities :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 - 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Carex humilis var.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B. Oplismenus undulatifolius - Pinus koraiensis Community C. Fraxinius rhynchophyll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D. Cornus controvers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E. Quercus variabil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F. Lespedeza bicolor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 An introduction to the recently excavated Chunggang Medical Records and research on their medical value

        Kim, Nam-Il,Yun, Seng-Yick,Hong, Sae-Young,Ahn, Sang-Woo,Cha, Wung-Seok Kyung Hee Oriental Medicine Research Center 2007 Oriental pharmacy and experimental medicine Vol.7 No.2

        This study is a report on recently discovered medical records based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1900s. First, the contents of the records and their significance are described in detail. Next, a simple example of the research follows, in order to explain the medic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he records contain and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this historical document can contribute to future medical and historical studies. The documents dealt with in this study, the Chunggang Medical Records, are medical records compiled by a Korean doctor of oriental medicine by the name of Younghun Kim who practiced in the center of Seoul for a period of over 60 years. The records, which eventually amounted to over 1,500 books, were made known to the academic world when the descendents recently donated them to Kyunghee University. The reason these medical records attract so much attention from academic circles, even though they are the work of one individual, is that they contain abundant information on general public medical health at the time,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Kim Younghun was a well known figure among Oriental Medicine doctors in Korea. The medical records start in 1915 and continue until Kim Younhun's death in 1974, though they have some damaged or missing parts. Kim's medical records are a gold mine not only for scholars studying the medical history of the early 1900s, but also for doctors trying to emulate the techniques embedded in a great predecessor's medical practice.

      • 항갑상선제로 치료한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관해예측인자

        남일송,윤여일,김선규,김용현,이주영,목지오,윤석기,김철희,김영선,변동원,서교일,유명희 순천향의학연구소 2001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7 No.2

        Background: Most cases of Graves' disease have been treated by antithyroid drugs in Korea. The major drawbacks of antithyroid drugs are the relative high rate of relapse and the inconvinience of long term therapy. Measurement of TBII and TRH stimulation test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reliable tests predicting relapse, but the predictive power is not high enough to use in clinical situ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good prognostic indicators in Graves' disease patient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antithyroid drug therapy. Subjects and methods : We restrospectively evaluated 96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who showed normal TRH test at the end of antithyroid drug therapy and were followed for more than one year. Serum T3, T4, T3/T4 ratio, TBII, Anti-TPO Ab and TGAb levels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at the end of therapy. Two to three months after withdrawal of antithyroid medication, serum TSH and free T3 responses to TRH were examined. These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relapse group and the remission group. Results : Among the 96 patients, 22 patients(22.9%) relapsed(Group Ⅱ) and 74 patients(77.1%) remained in remmision(Group Ⅰ).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relapse and the remission group in clinical parameters, serum T3, T4, TSH, T3/T4 ratio, TBⅡ and Anti-TPO Ab determin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Serum TSH and free T3 levels measured after TRH stimulation were also similar in both groups. Serum TGAb levels determined at the end of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mission group(p<0.05). Relapse following the discontinuation of therapy occured within 24 months in 72.7% of the relapsed cases. After 24 months, relapse rate was reduced significantl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serum TGAb levels could be a favorable prognostic indicator for the long term remission of Graves' disease treated with antithyroid drugs, and may suggest that Hashimoto's thyroiditis is combined with Graves' disease in thos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