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병호 가야금산조의 발전과정 연구 : 전승자별 가락을 중심으로

        김시연(Kim, Si Yeon) 국립국악원 2022 국악원논문집 Vol.45 No.-

        김병호 가야금산조는 어린 나이에 제2세대인 명인들과 함께 수학하며 스승의 가락에 본인의 가락을 더한 약 35분 정도의 김창조계 가야금산조이다. 본 연구자는 김병호 가야금산조의 연주 가락이 전승자별로 달라 60년대 음원과 전승자 의 가락을 확인하며 분석하여 발전과정을 알아내었고 다음과 같다. 진양조는 65장단에서 72장단, 73장단으로 변화되었으며 67년 음원을 통하여 78장단을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의 제자의 논문으로 79장단까지 확대된 가락임을 알 수 있었다. 중모리는 31장단과 33장단이 음원과 악복 일치하며 전승자가 선호하는 가락을 33장단으로 확대된 가락이 나타났다. 중중모리는 Ⅰ(18장단)과 Ⅱ(26장단)으로 전승되고 있었으며 전승자별로 선호하는 가락에 따라 연주되는 가락이 차이가 나타난다. 엇모리는 최근에 공개된 ‘로버트 가피아스’ 음원에서 29장단으로 연주되어 그 전 ‘2008년 이재숙의 여섯바탕전’ 가락과는 많은 차이가 있는 악장이다. 하지만 강문득 제자 선영숙의 29장단과 일치하여 숨은 가락임을 알 수 있다. 빠른 악장인 자진모리, 휘모리, 단모리는 전승자별로 가락 수가 상이한데 연주법인 쌍튀김, 말발굽의 수를 달리하여 가락의 차이로 발전시켰다. 이 결과 김병호 가야금산조의 전승자별 가락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악장에서 전승자별로 발전되어 차이가 나는 가락이 나타나고 있다. 김병호 가야금산조는 시대적 맥락과 더불어 특징적 가락의 연주법을 간직한 채 발전해 나가길 빈다. Kim Byeong-ho gayageum sanjo (improvisational music played by gayageum solo with drum accompaniment) is a 35-minute gayageum sanjo that belongs to jeonnamjje (southwestern regional style), affiliated to the Kim Chang-jo School . At the young age of the third generation, Kim Byeong-ho learned his teacher s music studying with the masters of the second generation and added his own melody to develop into Kim Byeong-ho School . After that, he has passed down the melody to his representative disciples like Yang Yeon-seop and Kang Mun-deuk.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im Byeong-ho gayageum sanjo, comparing the melodies of the recording materials in the 1960s and those of the successors. This study deals with hidden melodies of Kim Byeong-ho gayageum sanjo , looking at the research materials on Kim Byeong-ho gayageum sanjo , and the scores received directly from Kim Byeong-ho, and the scores of his disciples, based on the sound source recorded by an overseas ethnomusicologist. There are 79 hidden melodies in jinyangjo , 28 in jungjungmori , and 29 in eotmori. Kim Byeong-ho sanjo used to be 27 minute long without having many melodies added to his teacher’s melodies; and the current playing time is about 35 minutes. It is said that the transfer process of Kim Byeong-ho according to the literature was 10 years; he made his disciples practice for 7 hours a day and evaluated them whether their practice was good or not.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following study of the whole melodies by each successor to find hidden melodies, and further sanjo will continue to develop by adding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creative melodies of the predecessor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m Byeong-ho sanjo even as the times evolve.

      • KCI등재

        통속의 정치학

        김경연(Kim, Kyuug-yeon)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이 글은 1960년대 후반 김승옥의 문학을 ‘통속의 정치학’이라는 문제설정 속에서 다시 읽어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통속(通俗)’이란 문학적 퇴행을 지시하는 부정적 의미에 국한되지 않으며, 자기세계로의 낭만적 칩거가 아닌 ‘적나라한 생활/현실과의 접속’을 포괄하는 의미가 된다. 다시 말해 김승옥 소설의 ‘통속’을 미학적 변화나 하락을 예상하거나 감수하면서도 ‘리얼리즘’에 대한 욕구를 일정하게 관철하고자 한 모험적 시도로 다시 읽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1960년대 후반 오락적 주간지와 월간지에 실렸던 김승옥의 소설 ?60년대식?, ?야행(夜行)?, ?보통여자?를 텍스트로 삼았다. 이 글은 김승옥의 통속으로의 전향을 해석하는 종래의 시각(생활의 문제, 독자층의 변화 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거나 문학적 후퇴를 옹호하려기보다 그의 후기소설을 다층적 맥락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김승옥에게 ‘통속/리얼리즘’으로의 전향을 자극한 60년대 후반의 시대상을 탐사하였으며, 다음으로 ‘만보(漫步)’, ‘성(사적 욕망)’, 그리고 ‘여성’의 시좌(視座)를 통해서 김승옥이 ‘국가의 시대’와 ‘주간지 시대’가 절합된 1960년대 후반의 분열을 읽어내는 양상과 그 의미를 추적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reconsider Kim Seung-Oak"s literary works with a focus on the theme of “conventional politics.” Here, “convention” (通俗) is not limited to a negative definition of cultural regression or thoughtless conservatism of practice. It is rather deemed to be a “connection with explicit life/reality” and not a romantic seclusion in one’s own world. In other words, the paper attempts to reinterpret Kim Seung-Oak"s work while steadily observing the desire for “realism” of “conventions” in it, despite its expected aesthetic changes and decline. For this purpose, the author selected two of Kim’s novels from the 1960s, Nocturnal Travel (夜行), and Average Woman, which were published in weekly and monthly entertainment magazines. This article seeks to observe Kim’s late-period novels from multiple perspectives rather than to deny the current viewpoint about Kim Seung-Oak’s conversion to social conventions (due to his life problems and change in reader group). Nor does it argue for his literary degeneration as some previous studies have. The initial step for the review is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the late 1960s that elicited an end to Kim’s “methodological skepticism” and his conversion to conventions/realism. The next part attempts look into the way Kim interprets the division of the late 1960s, when “the era of the nation” and “the era of the weekly magazine” had been articulated, and the meaning behind his interpretations. This is done by examining his “weekly-magazine like (conventional) manner,” and thus the social standpoints (視座) of “stroll” (漫步), “lust” (private desire), and the “female.”

      • KCI등재

        북한의 대내외 정세평가 : 2011년 신년공동사설 분석

        김연수(KIM Yeon-su)(金蓮洙) 신아시아연구소 2011 신아세아 Vol.18 No.4

        지난해 김정은 승계체제 공식 등장 이후 북한은 체제안정을 유지하면서 김정은 승계체제 안착을 위한 대내외 여건조성에 주력해 왔다. 올해 북한정세에서 김정은 승계체제의 안착국면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자원공급 한계로 경제 활력 회복에는 적잖은 한계를 보이고 있고 체제 구심력 회복도 쉽지 않으나, 김정은 승계체제의 정치적 안정성은 북한군 수뇌부 지지를 중심으로 증대되고 있다. 북한은 그 승계체제에 대한 중국의 확고한 전략적 지원과 러시아의 전략적 협력태도를 이끌어냈다. 대미관계에서도 고위급회담 개최를 통해서 관계개선에 대한 원칙적 합의에 이르렀다. 북한은 대남 멸적의식을 강조하며 비대칭전력 증강과 대남 군사훈련에 적극적 행태를 보이면서도 대남관계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간헐적 대남 강경태도 시현이 있었으나 대화공세를 이어 오며 남북 비핵화회담 개최 및 남한의 소위 '5. 24' 대북 제재 조치의 부분적 완화태도를 이끌어냈다. 앞으로도 김정일 사망에도 불구하고 김정은 승계체제 안정화 차원의 이러한 올해 북한의 대내외 정책기조가 지속될 것이다. '강성국가' 원년 즈음 각종 정치행사 등 후계체제 정통성 고취행태와 김정은 승계체제 중심 권력 엘리트변화 양상의 심화가 예상된다. 북한은 주민들의 실생활 개선을 위한 경공업부문의 생산 정상화에 집중하고, 사상교양 강화 등으로 체제 원심력 확산을 제어하고자 할 것이다. 북핵문제의 협상국면과 평화협정 프로세스 유도로 외부의 대북경제지원과 대미관계 정상화의 계기를 만들어나가고자 할 것이다. 대중 동맹 결속 강화로 경제협력, 인적교류, 군사협력 등의 확대 노력도 전개할 것이다. 대남 관계에서는 대남 적대성에 기초한 군사적 대응능력을 강화하는 한편 평화공세로 남북고위급회담 개최를 유인하여 김정은 승계체제의 안정화에 유리한 남북관계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할 것이다. 향후 북한의 대내외 정책구사의 초점이 김정은 승계체제의 안정화에 맞춰지면서 주체와 선군노선의 계승성을 주장하는 김정은 승계체제는 중·장기 진로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 보면 유사(類似)수령유일지도체제의 성격을 띠면서 안정된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 North Korea has been engrossed in creating a friendly environment for stabilization of the Kim Jong-eun's new regime since he had been designated as its 3rd hereditary successor in Pyongyang in last September 2010. The eminent features of North Korean hereditary succession politics of this year is that the Kim's hereditary succession regime has been stabilized very rapidly owing to improv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for its survival in 2011. The core leader group of North Korean People's Army openly took a pledge to dedicate their loyalty to new leader Kim Jong-eun through the several main national festivities. Additionally, Pyongyang attained Beijing's firmly strategic acceptance and assistance to the new North Korean regime and Russia's strategic support to the Kim's hereditary succession regime. Pyongyang reached mutual consent for the sake of improvement of the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through the resumed high-level governmental talks between washington and Pyongyang. As for inter-Korean relations, North Korea succeeded in softening Seoul's antagonistic attitude against Pyongyang by means of its continuous demand for reopening governmental talks between two Koreas. Notwithstanding Kim Jong-il's death, these kinds of environmental changes contributed to maintain the new North Korean regime's stability. Meanwhile, North Korea's internal and external policy is also going to be concentrated on stabilizing the new Kim's regime in the near future. That's why North Korea's policy attitude in the near term will be similar to Pyongyang's that of this year. In this context, we can all agre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new Kim's regime is going to make an approach to the higher stage of its stabilization.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한국 근대기 미술 유학을 통한 ‘동양화’의 추구

        김소연(Kim So-yeo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4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7 No.-

        In line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idea of art education in the modern period, changes in the traditional painters were from not only inside but also from their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In the latter perspective, painters’ external experiences changed from touring to a more specific purpose of studying abroad. Such a phenomenon became more noticeable around the hosting of Joseon Art Exhibition where the transition to the Oriental painting settled officially. As more painters went to Japan for study, painting styles were directly passed down through the student-instructor relationships, affecting a huge impact on Joseon traditional painting restructure. Around 1920, Joseon students entered some famous hwasuks (small-scale private painting school) including Dyenshindo whasuk. This article focused on Dyenshindo hwasuk and a main painter Yeongil Lee of the modern colored painters to look at his study in Japan and roles in the domestic colored painting. Based on Changwhan Kim’s research on Japanese paintings in Takinogawa in the countryside of Tokyo, this article traced his path from the training period, to return to Korea to work as the first Joseon newspaper illustrator. Other than hwasuks, art schools and art institutions were possible places to learn Japanese paintings. This study also noted main color painters including Hanbok Lee, a governmentsponsored student at the Tokyo Art School, Eunho Kim and Wuseok Choi for their study-abroad period, painting style experiments right after their overseas study, and diverse theme changes by using new materials. In addition, this article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case examples after the 1930s when the scope of art study abroad expanded in terms of the number of engaged students and regions. Including the art area, the entire academic areas had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going to Japan for study and schools and art institutions with lower admission thresholds opened up their doors, forming a favorable environment for study in Japan. In line with the trend in the Japanese local painters, some Joseon painters such as Geunbae Choi, studied Western paintings along with Japanese paintings and pursue multiple experiences in diverse organizations including hwasuks, art schools, etc. As second generational students studying in Japan appeared, Eunho Kim’s experience in Japan was applied to his students completing a certain period of study, leading to their study in Japan, in turn. Also, study destinations were expanded outside Tokyo or study period grew longer. One good example examined herein is Maljo Jeong who graduated from the Kyoto Municipal Painting School and settled in Kyoto. Especially This article, in order to understand better the trend of the color painters, introduced the color-printed pictorial with some of the works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of which the original was lost and only black-and-white illustrations are passed down.

      • KCI등재

        북한의 대내․대남정책 평가

        김연수(金蓮洙, KIM Yeon-su)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0 신아세아 Vol.17 No.2

        North Korea has continued its hard-line domestic and South Korea policy since later in 2008.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s health problem has triggered succession politics in Pyongyang since the middle of 2008. The determinant factor that has decided North Korea’s internal and external policy since then is the politics of succession. The Success of succession politics in North Korea depends on both ideological and pragmatical legitimacy. Ideological legitimacy is more important in political process of succession to establish the succession system in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The essential issue of ideological legitimacy is to succeed Kim Jong-il’s nuclear capability-Military-First policy which contains fundamentally hard-line and belligerent stance in dealing with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In other words, the successor to Kim Jong-il inevitably has to continue socialist economic system and confrontational stance against Seoul. In this context, the future of post-Kim Jong-il era is very gloomy. The appearance of three generations of hereditary succession is the symptom of the demise of the Kim’s crumbling dynasty. Therefore, Seoul has to maintain a strategic North Korea policy stance in order to prepare for emergency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achieve reunification of two Koreas in the end. 지난 2년 동안 북한의 대내 ․대남정책을 결정해온 것은 북한의 후계계승 정치였다. 북한의 대내 선군노선과 동원정치 강화, 그리고 대남강경정책의 결정배경에는 김정일 후계계승의정통성 구축이라고 하는 북한의 대내 정치수요가 자리잡고 있었다. 김정일의 건강이상으로다급해진 조기 후계체제 구축 필요는 조급한 후계자의 정통성 구축 등 후계계승의 정치과정을 재촉했다. 그 결과로 북한당국은 대내적으로는 정치군사적 강경자세를 취해왔으며, 대남정책에 있어서도 강경을 기조로 하는 이중적 대남정책의 특이성을 보여왔다. 이러한 북한의안팎의 강경정책 기조는 후계계승 정치과정의 정통성 구축 노력에 적잖은 부담을 가중시킨것으로 평가된다. 대내정책과 대남정책 차원 모두에서 후계계승의 정치는 중대한 ‘신뢰의 위기’에 봉착해 있다. 때문에 지금 북한은 포스트 김정일체제의 후계계승의 정치적 과정이 대내 ․대남정책 모두에서 앞으로 더 큰 ‘신뢰의 위기’의 악화로 나아가게 될 것인지를 가늠할수 있는 주요한 시험대에 서 있으나, 핵 보유의 선군노선과 ‘우리식 사회주의 고수’가 김정일 후계체제 대내외정책 추진방향의 기조로 자리잡혀가고 있는 상황이다. 3대 세습체제의등장은 북한체제의 조종을 알려는 전령이다. 한 체제의 등장과 소멸이 역사성을 갖는 것이라 면 더욱 그러하다. 북한체제의 종말적 상황에 대비한 정책적 대응능력을 보다 내실 있게 마련해야한다. 한국의 통일주도 능력을 키워나가야 한다.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생애사 연구: 김교사 이야기

        김희연 ( Hee Yeon Kim ),김은숙 ( Eun Sook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어린이집(민간, 국공립, 직장)에서 10년 동안 보육교사로살았던 한 교사의 이야기이다. 보육교사 초임에서 경력교사로 발전하는 과정을 거쳐 육아휴직으로 교사로서의 생을 마감한 30대 여성의 10년간의 삶을 시간을 축으로 한 변화와 연속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일기, 수첩, 계획안, 메모, 편지, 통화상담 기록표, 교사와의 인터뷰 전사본, 연구자간 대화 전사본과 회상을 바탕으로 자서전 텍스트를 구성하였고, 의미 있는 주제를 도출하고 핵심사건을 추출하고 주제 간의 유기적인 관계가 드러날 수 있도록 텍스트 재구성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근무했던 각 기관에서의 생활 경험은 ``원장님이 시키는 대로 해내는 여성``, ``학습공장의 직공``, ``잘 가르쳐 보려는 교수자``, ``부모-위탁체-회사라는 갑의 계약직을``, ``부담스러운 기혼 고경력 교사``로 표현되었고, 각 기관에서의 삶은 기관의 속성에 따라 운영 기제와 관련된 주요 경험내용 주제와 개인적 직무 인식과 관련된 주요 경험내용 주제로 조직되어 서술되었다. 유아교육 재개념화의 관점에서 보육교사의 직업 생애가 함의하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life history of a nursery school teacher, Ms. Kim, who has worked at private, national/public, and workplace day care centers for 10 years. It was described in time-frames focusing on the change and continuity of experiences as a nursery teacher. Life history text was primarily constructed based on her diaries, her notebooks and memos, her schedulers, the letters she received, the transcription of teacher interviews, the transcription of dialogues with the co-authors, and memory. And then the texts were repetitively reconstructed in order to draw meaningful themes, extract key life-events, and represent interwoven relationship among the themes. As a result, Ms. Kim`s life history was depicted, in accordance with each of the five day care centers she worked in, as ``a woman who complies with director`s orders, ``a factory-hand in learning factories``, ``an instructor who tries to teach well``, ``a temporary contract employee of parent/commissioned-company/company employer``, and ``a burdensome being who is married and on high pay-step``. Under each theme, Ms. Kim`s career life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 two pha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mechanism and the ways that her caring/teaching functions. Lastly, it was discussed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life history of a nursery teacher as a typical job symbolizing a female was discussed, enduring strong physical and emotional labor holding low positions in a small-group organization, and grew as an early education teacher with praxis-based identity, but had to be short-lived due to the early education system in Korea.

      • KCI등재

        Distribution of Aquaporins (Water Channels) in the Rat Salivary Glands

        정지연(Ji-Yeon Jung),한창룡(Chang-Ryoung Han),정연진(Yeon-Jin Jeong),오원만(Won-Mann Oh),김미원(Mi-Won Kim1),김선헌(Sun-Hun Kim),김옥준(Ok-Joon Kim),김현진(Huyn-Jin Kim),고정태(Jeong-Tae Koh),최홍란(Hong-Ran Choi),김원재(Won-Jae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3

        침샘은 하루 1.5 l의 침을 분비하며, 일반적으로 침샘에서 수분이동은 능동적 염분 이동에 따른 삼투현상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침샘에서 높은 수분투과성으로 인해 수분통로 단백인 aquaporin (AQP)들이 풍부하게 존재할 수 있다. 지금까지침샘에 4가지 형태의 AQP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침샘에서 정확한 위치와 수분 이동에 대한 각 AQP들의 역할은 아직 확실치 않다. 본 연구는 300 g 정도의 흰쥐를 pentobarbital sodium (50 mg/kg, IP) 마취하에서 carbarchol (10 μg/kg)을 복강 내 투여한 후 AQP들의 역할과 분포를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조사하였다. AQP1은 침샘의 미세혈관의 내피세포와 샘세포와 샘관 주위에 존재하는 근육상피세포에 존재하였다. AQP4는 침샘관의 마지막 부위인 배출관에 존재하였다. AQP5는 주로 장액세포의 바닥가쪽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 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AQP5는 모든 침샘의 사이관과 줄무늬 관에도 존재하였으며 점액세포는 약하게 존재하였다. AQP8은 AQP5처럼 장액세포의 바닥쪽막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침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쪽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AQP5와 AQP8이 장액세포에서 일차 침 형성시 일어나는 수분이동의 주된 통로임을 시사하였다. The salivary glands produce 1.5 l of fluid per day. As in other organs, the general paradigm in the salivary glands is that water movement occurs secondary to osmotic driving forces created by active salt transport. Therefore, high water permeability in salivary glands is expected to need a variety of aquaporin (AQP), a water channel. Although four AQPs have been known to reside in salivary glands, the precise location and roles of AQPs have been not well examined.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AQPs in 3 major salivary glands and their changes after cholinergic stimulation using immunohistochemical study in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300 g under pentobarbital sodium anesthesia. AQP1 was localized in the endothelial cells of all salivary capillary vessels and the myoepithelial cells. AQP4 was demonstrated in the epithelium of the excretory ductal cells of all salivary glands. AQP5 and 8 were abundantly present in the basolateral membrane and apical membranes of the serous acini including intercellular secretory canaliculi, whereas AQP5 was weakly present in mucous acini. In addition, AQP5 was found in the epithelium of the intercalated and striated ducts. Upon stimulation of carbachol (10 μg/kg, I.P). AQP5 and 8 tended to translocate from basolateral membrane to the apical membrane, appearing as clusters of d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P5 and 8 are the candidate molecules responsible for the water movement in salivary acinar cells.

      • KCI등재후보

        국내 HIV 감염자에 있어서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의 치료효과 및 영향분석

        김명수,신소연,박윤선,김연아,구남수,김준형,김영근,최준용,송영구,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3

        목적 : 전 세계적으로 에이즈 감염자가 4,000만명을 넘고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하루에 2.1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며 2006년까지 누적 감염자가 4,500명을 넘고 있다. 여러 가지 항레트로바이러스제가 개발된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부터 HIV 감염자에 대한 3제 병합요법이 시작되었으나 그 효과에 대한 우리나라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으로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2005년 12월까지 진료한 HIV 감염자 중 1997년 10월이후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제를 투여 받은 환자 가운데 이전의 항레트로바이러스에 대한 치료력이 없으면서, 1년 이상 HIV-RNA 및 CD4+ T 림프구 수의 정기적인 측정인 가능한 1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임상적인 특징과 6개월과 12개월째 HAART에 대한 치료효과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결과 : 세브란스병원에서 2005년 12월까지 451명이 에이즈로 진료를 받았고, 1997년 이후 HAART를 시행받으면서 1년 이상 HIV RNA 및 CD4+ T 림프구수의 정기적인 측정이 가능한 환자는 141명으로 127명(90.1%)이 남자였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30대가 50명(35.5%), 40대가 50명(35.5%)로 가장 많았다. HAART 시작 당시에 28명(19.9%)이 에이즈 정의질환을 동반하고 있었고, 74명(52.5%)은 에이즈 정의질환은 아니지만 기회감염을 동반하고 있었다. 121명(85.8%)의 환자에게 단백분해효소억제제를 기반으로 하는 처방이 이루어졌고, 20명(14.2%)의 환자에게는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억제제를 기반으로 하는 처방이 이루어졌다. 치료 시작 당시 CD4+ T 림프구수는 평균 207/mm³(IQR 73-299)였고, 평균 HIV RNA는 70,800 copies/mL (4.85 log copies/mL)였다. HAART 시행 12개월 후에 평균 CD4+ T 림프구는 143 cells/mm³증가하였고, 96명(68.1%)에서 100 cells/mm³이상의 증가를 나타냈다. 치료반응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12개월 후 100 cells/mm³이상 증가한 군이 초기 CD4+ T 림프구수가 적었다(P=0.01). HIV RNA 바이러스는 치료 당시보다 6개월후에 1.76 log copies/mL만큼 감소하였고, 12개월 후에는 1.88 log copies/mL만큼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HAART 시행 후 HIV RNA는 6개월째 103명(73%)이 400 copies/mL 미만의 결과를 보였고, 12개월 후 90명(63.8%)에서 50 copies/mL 미만으로 측정되지 않는 결과를 나타냈다. HIV RNA를 치료반응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6개월째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12개월 후에는 50 copies/mL 미만인 군이 나이가 더 많은것으로 나타났다(P=0.009). 대상 환자 141명 가운데 초기처방을 중간에 변경한 경우가 57명(40.4%)이었고, 처방 변경의 주된 이유는 약제 부작용과 관련된 것이었다. 결론 : 국내에서 에이즈 감염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HAART의 치료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치료 결과와 유사한 성적을 보였다. 앞으로 대규모의 코호트 연구를 통해 국내 에이즈 환자들의 특성 규명과 이에 알맞은 치료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겠다. Background : Recently, 2.1 persons per day are reported to be HIV infected and totally more than 4,500 HIV infected persons have been officially reported until 2006 in Korea. We started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 for HIV patients from 1997. Data on the efficacy of antiretroviral therapy are limited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HIV infected patients treated with HAART for more than 1 year were included. We studied the therapeutic response of antiretroviral therapy in patients with AIDS and without previous antiretroviral therapy who were treated until Dec 2005 in Severance hospital. Results : More than 450 were diagnosed as HIV infected in Severance hospital. Among these HIV infected patients, 141 patients including 14 females were included. 121 of the 141 patients (85.8%) were treated with PI based regimen, and 20(14.2%) were treated with NNRTI based regimen. The initial mean CD4 T cell count was 207/mm³ (IQR 73-299) and the mean HIV RNA level was 70,800 copies/mL. After 6 months of HAART, 103 patients (73%) had fewer than 400 copies of HIV RNA copies/mL. After 12 months of HAART, 90 patients (63.8%) had fewer than 50 copies of HIV RNA copies/mL. The mean increase in the CD4 T cell count from baseline to 12 months was 143 cells/mm³. After 12 months, 96 patients (68.1%) had increased more than 100 cells/mm³. Conclusion : This report the therapeutic response of HAART in Korea which the prevalence of HIV infection is now increasing. Overall, the outcomes are similar to those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Further large scale prospective cohort study is needed.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저위험군 발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구 항균제 요법의 임상적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김연숙,이혁,기현균,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김원석,윤성수,이홍기,강원기,박찬형,박근칠,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목적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발열이 발생하는 암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항균제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합병증과 사망률의 발생가능성이 적은 저위험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72시간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구 항균제로 전환하는 요법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2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본원에서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이 발생한 환자들 가운데 기저 암질환이 고형암이거나 림프종이고, 입원당시 패혈증의 증후가 없으며 입원 72시간이내에 해열되고 백혈구수치가 증가 추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72시간 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우 ciprofloxacin 750㎎을 하루 2회씩 투여하여 총 4일간 투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열이 떨어지고 호중구감소증이 회복될 때까지 입원하도록 하였다. 결과 : 총 38명 환자의 40예가 등록이 되었고, 환자들의 기저암 질환은 고형함이 72.5%, 림프종이 27.5%였다. 입원당시 평균 호중구치수는 156/㎕였고, 호중구수치가 100/㎕미만인 경우는 65%였으며,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된 기간의 평균은 2.4일이었다. 40예 중 39예가 항균제의 변형이나 추가 없이 호중구감소증과 발열로부터 회복이 되어 97.5%의 성공율(95% 신뢰구간: 86.8-99.9%)을 보였다. 부작용으로 피부발진이 있었던 경우가 한 예 있었는데, 증상이 경하여 경구 항균제를 지속할 수 있었다. 심와부의 동통으로 복용을 지속할 수 없어서 대상에서 제외된 예가 또 한 예 있었다. 결론 : 항암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을 동반한 환자들 가운데 저위험군 환자들에서 항균제 72시간정주 이후 경구 항균제로의 전환요법은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ral antibiotic therapy following empirical intravenous antibiotics may be effective and safe for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lowrisk for complications. Methods : We conducted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f oral antibiotic therapy in the patients with neutropenia and fever during chemotherapy for cancer. Underlying malignancies were solid tumor or lymphoma with short duration of neurtropenia and the patients had no evidence of clinically or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s. Oral ciprofloxaci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lacked signs of sepsis on admission, had a rising tendency of neutrophil count (ANC >100 /㎕ ) at 72 hours, and were afebrile at 72 hours.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until neutropenia and fever resolved. Results : A total of 40 episodes of 38 patients were enrolled from February 1998 to September 1999. The mean neutrophil counts on admission were 156/㎕ and the mean duration of neutropenia was 2.4 days. The episodes which had neutrophil count below 100 /㎕ were 26 (65%). Treatment was successful in 39 of 40 episodes (97.5% : 95 % confidence interval, 86.8% to 99.9%). Adverse reactions of oral ciprofloxacin were skin rash and epigastric soreness in two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deaths during the study. Conclusions : For low-risk febrile patients with neutropenia during cancer chemotherapy, switch therapy to oral ciprofloxacin at 72 hours following intravenous broad-spectrum antibiotics is effective and sa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