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세각막절개도 헤드의 선택을 통한 맞춤식각막절개방식의 라식

        강민호,송유미,강성민,박영숙,최철영,이윤정,이병로.Min Ho Kang. M.D.. Yoo Mi Song. M.D.. Sung Min Kang. M.D.. Young Sook Park. M.D.. Chul Young Choi. M.D.. Yoon Jung Lee. M.D.. Byung Ro Lee. M.D. 대한안과학회 2006 대한안과학회지 Vol.47 No.2

        Purpose: To compare th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s and visual outcomes with M2 130 head (thick flap group) and M2 110 head (thin flap group). Methods: One-hundred-ninety-five eyes of 104 patients who underwent LASIK with the Moria M2 microkeratome and Allegretto-wave las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election of M2 heads was based on preoperative pachymetry and estimated ablation depth.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flap-related complications, mean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y (UCVA), and mean spherical equivalent (MSE)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ults: Mean follow-up was 8.1 months. The number of eyes, preoperative MSE and mean corneal thickness of M2 130 were 115, -4.04±1.63diopter (D) and 549.40±39.16??m, and 85, -6.61±3.43D and 525.16±24.53 ?m, respectively, in the 110 head group. Mean UCVA and MSE at postoperative 1 week, 3 months and 6 months were 1.00±0.18, -0.26±0.49D; 1.07±0.68, -0.40±0.51D; and 1.01±0.22, -0.51±0.50D, respectively, in the 130 head group, and 0.90±0.23, -0.46±1.02D; 0.91±0.23, -0.67±0.79D; 0.85±0.46, -0.75±0.88D, respectively, in the 110 head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flap-related complication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p=0.316).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mean UCVA or MS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except for MSE at the third and sixth postoperative months (p=0.005, 0.013). Conclusions: Proper selection of M2 heads by preoperative pachymetry allowed for an adequate residual stroma bed with good visual outcome. Utilizing one single microkeratome and switching between two heads was advantageous and cost-effective.

      • KCI등재

        Acoustic Species Identification of Korean Myotis Bat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Yoon, Kwang Bae,Rahman, M. Mafizur,Park, Yung Chu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32 No.1

        We investigated structure and intensity of 267 echolocation call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five Korean Myotis species (M. nettereri, M. petax, M. ikonnikovi, M. macrodactylus and M. formosus). All the Myotis species produced typical FM call pattern with similar echolocation call shapes and outer shapes, producing steep, downward frequency-modulated calls. A pulse has two harmonies, which consist of the first harmony with wider bandwidth and the second harmony with narrower bandwidth. The PF of the first harmony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harmony. The typical FM call structure, with two harmonies and wide bandwidth, might be highly related to fast flying and wide screening in the dense forests. In classification of the echolocation calls by DFA, most of calls from the five species could be well correctly classified. All calls of M. nettereri (100% of 17 calls), M. formosus (95.5% of 22 calls) and M. ikonnikovi (85.7% of 70 calls) could be well discriminated from those of the other species, whereas calls of M. petax and M. macrodactylus could be discriminated by 70.4% of 98 calls and 76.7% of 60 calls,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five Korean Myotis species can be well identified by the echolocation calls with high correct classification by DFA.

      • KCI등재

        Acoustic Species Identification of Korean Myotis Bat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Kwang Bae Yoon,M. Mafizur Rahman,Yung Chul Park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16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32 No.1

        We investigated structure and intensity of 267 echolocation call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five Korean Myotis species (M. nettereri, M. petax, M. ikonnikovi, M. macrodactylus and M. formosus). All the Myotis species produced typical FM call pattern with similar echolocation call shapes and outer shapes, producing steep, downward frequency-modulated calls. A pulse has two harmonies, which consist of the first harmony with wider bandwidth and the second harmony with narrower bandwidth. The PF of the first harmony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harmony. The typical FM call structure, with two harmonies and wide bandwidth, might be highly related to fast flying and wide screening in the dense forests. In classification of the echolocation calls by DFA, most of calls from the five species could be well correctly classified. All calls of M. nettereri (100% of 17 calls), M. formosus (95.5% of 22 calls) and M. ikonnikovi (85.7% of 70 calls) could be well discriminated from those of the other species, whereas calls of M. petax and M. macrodactylus could be discriminated by 70.4% of 98 calls and 76.7% of 60 calls,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five Korean Myotis species can be well identified by the echolocation calls with high correct classification by DFA.

      • SCOPUSKCI등재

        Characteriza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Encoded by Zymomonas mobilis Gene Cloned in Escherichia coli

        Shin, Byung Sik,Yoon, Ki Hong,Park, M. Y.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18 No.3

        Zynomonas mobilis의 알코올 탈수소 효소 유전자가 클로닝된 대장균 형질전환체의 세포 추출물로부터 알코올 탈수소 효소를 분리정제하였다. 형질전환된 Escherichia coli(pADS93)가 생산하는 Z. mobilis 유전자 유래의 알코올 탈수소 효소는 분자량이 40,000인 동일한 4개의 subunits로 구성된 tetramer임이 밝혀졌으며 이것은 Z. mobilis 세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알코올 탈수소 효소와 동일하였다. 이 효소의 정반응(ethanol 산화)은 pH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최적의 pH는 10.0이었고 역반응(acetaldehyde 환원)에서는 최적의 pH가 7.5∼8.5이었지만 pH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한편 기질인 ethanol과 NAD에 대한 K_m값은 각각 1.2×10 exp(-1)M과 5.1×10 exp(-5)M로 나타났으며 acetaldehyde에 대한 K_m값은 ethanol에 대한 K_m값보다 매우 낮았다. The structural gene(zadhⅡ) encoding an alcohol dehydrogenase Ⅱ from Zymomonas mobilis was cloned into Escherichia coli in our laboratory(Yoon et al., 1989. Kor. J. Microbiol. Biotechnol.). From E. coli(pADS93) carrying the zadhⅡ gene, the Z. mobilis alcochol dehydrogenase Ⅱ(ZADH-Ⅱ) was purified by sonication, (NH_4)_2SO_4 fractionation, and chromatography. The ZADH-Ⅱ enzyme produced by Z. mobilis cell was also purified to compare to the enzyme produced by E. coli(pADS93). The purified enzyme from cell extract of E. coli(pADS93) was identified to be a tetramer being composed of four identical subunits having molecular weight of 40,000 dalton like that of Z. mobilis. The pH optimum for the reaction oxidizing ethanol to acetaldehyde was 10.0 while the optimum for the reverse reaction was 7.5-8.5. The apparent K_m values for ethanol and NAD^+ were 1.2×10 exp(-1) M and 5.1×10 exp(-5) M, respective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K_m value for acetaldehyde was very lower than that for ethanol.

      • SCOPUSKCI등재

        In Vitro/In Vivo Development after Thawing of Vitrified Mouse Blastocysts by Culture Condition and Embryo Transfer Method

        김묘경,김은영,이봉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Kim, M.K.,Kim, E.Y.,Yi, B.K.,Yoon, S.H.,Park, S.P.,Chung, K.S.,Lim, J.H.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199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4 No.3

        본 실험은 초자화 동결된 생쥐 배반포기배의 융해 후 배양조건 및 이식방법이 난자의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외수정후, M16배양액에서 4일동안 배양하여 얻어진 생쥐 배반포기배는 EFS40 (40% ethylene glycol, 18% Ficoll, 0.5 M sucrose가 함유된 PBS)으로 초자화동결하였다. 실험 I에서는 융해 후 배양조건에 따른 난자들의 체외/체내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융해된 난자가 M16과 4 mg/ml 소혈청알부민과 20 가지 아미노산이 함유된 m-CR1 (2% BME 아미노산 용액, 1% MEM 아미노산 용액) 및 단층배양이 유도된 난구세포 (10% FBS가 함유된 m-CR1배양액)에서 각각 배양되었을 때, 융해 후 24시간째 체외 생존율은 배양조건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75.6, 83.1, 82.4%). 그러나 체내 발달율에 있어서 임신 15일째 생존 산자율은 39.0, 49.0, 38.1%로서 유사한 성적을 나타냈으나, 전체 착상율에 있어서는 m-CR1 (80.4%)에 배양되었을 때, M16 (51.2%), 난구세포와 공배양시 (57.1%)보다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p<0.05). 실험 II에서는 수정란 이식 방법에 따른 체내 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배반포기배를 융해 후 체외배양없이 곧바로 가임신 2, 3일째 대리모에 이식을 실시하였을 때, 가임신 2일째 대리모에서는 임신징후를 얻지 못하였고, 가임신 3일째 대리모에서는 50.0%의 착상율과 15.4%의 정상산자율을 얻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융해 후, 16시간 배양하여 가임신 3일째 대리모에 이식 (73.5, 57.1%)하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과였다(p<0.05). 실험 III에서는 초자화 동결된 배반포기배의 융해 후 배양시 발달이 늦어진 수정란의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융해한 4일째 초기, 5일째 초기, 5일째 팽창 배반포기배의 체외/체내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가장 높은 체외 생존율은 5일째 팽창 배반포기배 (78.3%)에서 얻었으나, 체내 발달율 (산자율, 착상율)에 있어서는 4일째 초기 배반포기배 (33.3, 66.7%)의 경우가, 5일째 팽창 배반포기배(29.0, 38.7%)의 경우보다 높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배양조건과 수정란 이식방법에 따라 초자화 동결된 배아의 체외/체내 발달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발달이 늦은 배반포기배의 체내 발달율은 체외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짐으로, 5일째 팽창 배반포기배보다 4일째 초기 배반포기배를 동결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in vitro/in vivo survival of vitrified mouse blastocysts was influenced by culture conditions and ET method. Mouse blastocysts were obtain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and cultured for 4 days in M16 medium, and they were vitrified in EFS40 which contained 40% ethlyene glycol, 18% Ficoll and 0.5 mol sucrose in PBS. In experiment I, in vitro and in vivo survival rate of these embryos were evaluated in different culture condition after thawing. When thawed embryos were cultured in M16 medium as a control, m-CR1 medium contained 20 amino acids (2% BME amino acis and 1% 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and 4 mg/ml BSA and cumulus monolayer cell co-cultured condition in mCR1 medium (10% FBS), their in vitro survival at 24 hr after thawing was not affected by culture condition (75.6, 83.1, 82.4%). However, in vivo survival rates of implantation in m-CR1 medium (80.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16 medium (51.2%), co-culture (57.1%) condition,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ve fetuses rates on day 15 gestation (39.0, 49.0, 38.1%). In experiment II, the in vivo development potential of embryos by ET methods was examined. When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to the day 2, 3 pseudopregnant recipient without culture soon after thawing, no pregnant recipient was obtained on the day 2 pseudopregnancy, and 50% of pregnancy rates and 15.4% of live fetus rates were obtained on the day 3 pseudopregnant recipients.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ransferred group (day 3 pseudopregnant recipients) after culture for 16 hr post thawing (73.5, 57.1%) (p<0.05). In experiment III, to elevate usability of delayed embryos in vitro/in vivo survival of vitrified embryos (day 4 early, day 5 early and expanding blastocyst) were examined. in vivo survival rates (live fetus, total implantation) were higher in day 4 early blastocysts (33.3, 66.7%) than in day 5 expanding blastocysts (29.0, 38.7%), although the highest in vitro survival rates were obtained in the day 5 expanding brastocysts (78.3%).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 vitro/in vivo survival rates of vitrified embryos could be improve by the culture condition and ET method and that the in vivo development rates of delayed embryos were decreased with longer culture duration in vitro. It means that more effective cryopreservation was obtained in day 4 early blastocysts than in day 5 expanding blastocysts.

      • 원예작물 조직배양묘의 급속대량증식 및 순화체계 개발과 실용화시험 1

        정병룡,박중춘,설인준,민영봉,이영만,윤용철,강호종,장사문,이상옥,양찬석,손영걸,박봉식,신순선,김시론,최우진,이은주,김정숙,조미숙,변정희,이형정,임동희,이민주 경상대학교 시설원예연구소 1998 施設園藝硏究 Vol.5 No.-

        Ⅰ. 제목 원예작물조직배양의 급속대량증식 및 순화체계개발과 실용화 시험 Ⅱ. 연구개발의 목적과 중요성 1. 연구개발의 목적 가.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의 최적환경설정과 제어장치 개발 1)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의 특성과 최적환경조건 및 환경조절 제어기술 2) 조직배양실과 환경조절장치 개발 3) 컴퓨터 제어 시스템 개발 4) 광 공급장치 개발 5) 광독립자가영양배양 장치의 실용화 실험 나. 광독립자가영양배양 조건하에서 배양체의 생육에 미치는 광도, CO_2농도, DIF, 일장등의 개별 및 상호작용 효과 규명 1)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의 광도와 CO_2 농도 영향 2)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의 CO_2 농도와 환기회수의 영향 3)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의 주·야간 온도차(DIF)와 광도의 영향 4)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의 명·암 주기와 환기회수의 영향 5)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의 광도, 주·야간 온도차(DIF) 및 일장의 상호작용 6) 발근단계에서 영양체계가 배양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7) 발근단계에서 영양체계 및 순화방법이 배양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8) 광독립자가영양배양시 배양기내의 지지물 및 이온농도의 영향 9) 광독립자가영양배양시 배양기 종류와 환기회수의 영향 다. 광독립 자가영양배양시설의 설계와 활용실증 시험 1) 농가 보급형 자가영양배양시설의 표준설계 2) 농가 실용화를 위한 실증시험 라. 농가보급을 위한 표준배양시설의 경제성 분석 1) 조직배양법과 농가수용 기술 2) 조직배양농장의 시설규모와 투자액 3) 조직배양사업의 수익과 비용 추정 4) 조직배양사업의 수익성 분석 5) 조직배양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2. 연구개발의 중요성 가. 조직배양에 의한 대량번식 기술은 지금까지 광범위한 식물번식에 적용되어 오고 있고 학교, 연구소, 지도소, 농가 등 많은 곳에서 조직배양실을 갖추고 생산기술의 연구에 임하고 있으나 조직배양의 농업생산성과 직결되는 배양가능작물의 범위와 배양묘의 생장속도 및 성묘 획득율은 대단히 부진하며 성묘의 가격은 매우 높은 실정이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나. 그러나 기존 농가가 직면하고 잇는 문제점은 높은 생산비용으로 이는 주로 대량증식 기간동안의 생장율 저조, 발근불량 및 순화과정의 유식물체 생존율저하 등에 기인되고 있다. 다. 이는 조직배양방법의 비효율성과 첨단 신기술의 미수용과 연관이 있고, 특히 기외 육성의 초기단계인 순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고사율은 성묘율에 큭; 영향을 미치므로 개선되어야 한다. 라. 배양과정 중에 배양기의 환경을 조절해 줌으모서 기내생장은 물론 기외 이식된 후 더 빠르고 강한 세력으로 자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즉 배양배지내 존재하는 탄수화물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기존의 타가영양(heterotrophic)방식에서 식물 자체의 광합성에 의하여 발육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어해 주는 광독립자가영향(photoautotrophic)방식 또는 탄수화물과 자가영양이 혼합된 광혼합여양(photomixotrophic)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마. 배양기내의 타가영양상태의 유모를 온실 또는 기외 포장에 이식하였을 때 순화과정에서 갑자기 받게되는 자가영양상태로의 전환은 이들의 생존율을 저하시킨다. 이는 유묘들이 자란 배양기내의 인공배지에 포함된 영양성분과 생물환경이 외부의 자연환경과 매우 달라 유묘들이 심한 환경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다. 바. 생력화의 부재와 첨단장비의 미도입으로 인건비가 생산비 중에 차지하는 몫이 큰데 이것도 광독립영양배양법의 도입으로 개선될 수 있다. 사. 조직배양묘 생산농가의 생산효율이 매우 낮고, 이로 인해 막대한 외화를 낭비하면서 매년 대부분의 종묘를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자가영양배양의 기술개발로 이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아. 이를 위해 조직배양묘 급속대량증식을 위한 광독립영양배양장치 개발과 광독립자가영양배양 조건하에서의 최대 배양묘 생산 조건의 규명이 필요하다. 자. 또한 농가도입을 위한 광독립영양배양의 표준설계와 실용화시험 및 표준시설에 대한 경제성 분석이 필요하다. Ⅲ. 연구개발과 내용 및 범위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Ⅳ.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1. 연구개발 결과 가. 서론 1) 조직배양에 의한 식물세포조직 또는 기관 등의 대량증식 과정을 요약하고 특히 배양기내의 CO_2농도 및 광환경과 배지의 물리적 환경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2) 본 연구에서는 광독립자기영양배양의 최적 환경설정과 환경제어장치를 개발하고 자가영양배양 조건하에서 식물배양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으 구명하기 위하여 광도, CO_2농도, 주야간 온도차, 상대습도, 명암기의 주기 등에 대하여 주요작물을 대상으로 배양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광독립 자가영양배양방법을 농가에 보급하기 위하여 시설의 설계, 농가실용화를 위한 실증시험, 표준시설에 대한 경제성 분석 등이 실시되었다. 나.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의 최적환경설정과 제어장치 개발 1)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의 특성과 최적 환경조건 및 환경조절 제어기술 자가영양배양의 특성을 검토한 최적 환경조건의 제어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배양단계별 환경특성과 조절범위를 검토하였다. 환경설정범위는 광원은 cool- white 형광등과 LED광, 광량은 70-140μ mol·m^-2·s^-1, 명/암기는 주기조절, 온도범위±오차는 20-27℃±1℃, 상대습도는 85-99%, CO_2농도는 450 - 2,000ppm범위로 하고, 조절방법은 환기회수 1h^-1, 배지의 당농도는 0-30g/ℓ^-1, 공기유동은 ON-OFF 방식으로 하였다. 그리고 순화과정에서 자가영양배양묘의 효과와 몇 가지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하여 순화장치 개발을 위한 참고자료로 하였다. 그 내용은 배양기 내외의 환경요인으로 CO_2농도, 공기와 수분포텔셜, 광 등이었다. 그리고 타가영양번식, 자가영양번식, 증산작용 등이 순화시 광합성 및 배양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묘의 순화중 환경스트레스 요인으로 수분, 식물조직, 광합성, 저온 등이 미치는 영향이 고찰되었다. 또한 배양묘의 적절한 순화방법이 검토되었다. 2) 광독립자가영양배양실과 환경조절장치 및 컴퓨터제어 시스템 개발 광독립영양배양방법 도입을 위하여 조직배양실과 환경조절설비를 고안제작하고 최적환경 조성기술 및 제어장치를 개발하였다. 먼저 기초시험용 배양실을 고안 제작하여 환경조절장치를 설비하고 온도, 습도, 광, 바람의 인위적 조절을 시도하여 환경조절 반응자료를 획득하였다. 환경조절 반응자료를 근거로 보급형의 배양실 구조를 재설계하고, 배양실 환경조절용 기계장치의 최적 설비사양을 정립하였다. 환경계측 및 제어가 가능한 센서, 인터페이스, 동력 배전반을 고안제작하고 컴퓨터와 연결하여 환경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보급형 배양실은 3가지 형태로 개발하였다. 대형 실험실 또는 소농가용으로 4실형 모델, 소규모 실험실용으로 1조 2실형모델, 실용생산 또는 전업 농가용으로 대형 Room형 모델로 하였다. 나) 각 모델별로 환경조절기능을 갖도록 실내구조를 설계하였고, 설비사양을 도표화하여 생산업체에 기술이전이 가능하게 하였다. 다) 환경제어 항목은 온도(난방, 냉방), 습도, CO_2, 광 및 풍속으로 하였고 광과 풍속은 3단 조절로 고정하여 제어되도록 하고, 기타 환경은 다음의 제어기법을 응용하여 제어하였다. 라) 제어기법은 ON-OFF, PWM 출력 PID 및 PWM 출력 Fuzzy제어를 도입하였으며, 각 제어기법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각 환경제어계의 수식모형을 수립하고, 디지털 프랜트 모형으로 변환하여 환경제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ON-OFF제어의 사역, PID제어의 게인 및 Fuzzy제어의 퍼지변수 수치화 범위에 대한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마) 각 제어기법의 현장적용 결과, 어떠한 환경제어에서도 Fuzzy, PID, ON-OFF순의 제어 정확도를 나타내었고, 3가지 기법 모두 실용화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Fuzzy제어는 현장경험에 의한 퍼지변수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실용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온도, 습도, CO_2농도의 제어오차는 각각 ±1.2℃, ±4.4%RH 및 ±53ppm으로 나타났다. 바) 제어기법 도입시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거은 첫째, 환경조절기의 동작지연과 최소동작시간, 계측장치의 시정수 및 지연시간을 감안한 제어주기 결정, 둘째, 온도제어에서 난방기와 냉방기 중 단일 기종만 이용, 셋째, 습도나 CO_2농도제어에서와 같이 한번이라도 목표치보다 실제값이 높게 되면 실제값을 목표치이하로 낮추기 어려우므로 항상 실제값이 제어목표치 이하로 유지 되도록 하는 것 등이었다. 사) 모니터 화면을 주시하면서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는 컴퓨터 환경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주요 기능은 자동제어, 수동제어, 설정치 입력, 자료관리 및 장치와 센서의 초기설정으로 하였고, 환경의 제어기법은 Fuzzy제어기법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시험결과 활용상의 문제점은 거의 없었다. 아) 조직배양실내 균질의 광 공급을 위한 광공급장치를 개발하였다. 3단 조명과 반사거울을 이용한 형광등 광공급장치, 광섬유를 이용하여 배양기내 유묘의 상부 및 측면 조광이 가능한 광공급장치, 고휘도 LED 조명판을 이용한 광공급장치 및 형광등과 역V형 거울을 이용한 광공급장치 등이었다. 광섬유와 LED에 의한 장치는 광도가 낮아 측면광으로서의 보조광으로 활용할 수 있었고, 금후 광량 증가를 위한 검토가 필요하였다. 자) 이상의 기초시험부터 실용화시험까지 수행한 연구결과에서 조직배양실과 부대시설 및 환경제어장치들은 기업의 상품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자료와 기술을 도출하였다 3) 광독립 자가영양배양장치의 실용화 실험 앞에서 얻어진 광독립자가영양배양 시설과 환경설정조건을 이용하여 거베라, 스타티스, 호접란, 딸기, 토마토, 상추 등에 대하여 성묘율 및 생육효과시험을 실시하였다.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은 sucrose, 비타민,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140μ mol·m^-2·s^-1의 강광과 1,000ppm의 CO_2환경에서 시간당 1회의 공기순환조건을 부여하였고, 타가영양배양은 30g·ℓ^-1에 비타민과 생장조절제를 첨가하고 배양환경은 일반 관행조건인 70μ mol·m^-2·s^-1의 광에 CO_2는 membrane filter를 부착하지 않아 공기순환을 0.01회/시간으로 제한 하였다. 그리고 혼합영양배양은 15g·ℓ^-1의 sucrose 첨가에 filter를 부착하여 대기중 CO_2농도 340ppm을 시간당 1회 순환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 조건은 타가영양배양과 동일하게 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공시작물의 시험성적을 보면 성묘율은 타가영양배양에 비하여 광독립영양배양 효과가 뚜렷하였다. 특히, 거베라, 스타티스, 상추등은 광독립영양배양이 82.0 - 96.6% 범위에 있는 반하여 타가영양배양은 64.0 - 78.1% 범위에 있어 매우 낮았으며, 혼합영양배양는 72.5 - 87.5%로서 그 중간의 성묘율을 보였다. 그리고 호접란의 경우는 모든 시험구에서 성묘율이 높이 90%이상을 보였고 특히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은 100%의 성묘율을 보여 타가영양과 혼합영양의 90.6%, 96.6%에 비하여 성묘율이 높았다. 생효과분석을 위해 조사된 몇 가지 형질들의 성적에서는 시험구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 광독립영양배양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즉 건물중 또는 생체중 증가정도에서 스타티스, 호접란, 딸기, 토마토, 상추 등은 자가여양에 비해 타가영양이 낮은 생육을 보였고, 혼합영양배양은 작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그 중간이었다. 반면에 거베라의 경우는 타가영양이 생체중 증가율이 가장 높았고, 자가영양과가 혼합영양은 타가영양에 비하여 각각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이 대부분의 작물에서 성묘율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으나 작물 또는 조사형질 그리고 배양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모형의 환경에서 배양시험을 선행하고 또한 농가보급을 위한 실증시허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다. 광독립자가영양배양 조건하에서 배양체의 생육에 미치는 광도, CO_2농도, DIF, 일장등의 개별 및 상호작용 효과 규명 경상대학교에 설치된 4개의 조직배양연구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양실은 컴퓨터에 의해서 설정된 환경(광도, 온도, 일장, CO_2 농도, 상대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거베라(Gerbera hydrida Hort. cv. Ansofie), 카네이션(Dianthus caryophyllus cv. Scarlet Bell), 딸기(Fragari × ananaas Duch. cv. Houkouwase), 스타티스(Limonium spp. cv. Misty Blue) 및 국화(Denderanthema grandiflorum cv. Heejung)를 공시식물로 이용했다. 실험에 사용된 배양기는 4.0 × 10^-4 m^3 유리 마요네즈병 또는 3.7 × 10^-4 m^3의 Magenta GA7 배양기였고 뚜껑에 직경 10 mm의 구멍을 1개 뚫어 통기성의 filter를 붙여 배양기의 환기회수(NAEH)를 2.0 또는 2.8 h^-1로 각각 높였다. MS배지(당, 비타민 무첨가)를 이용하고, 지지물로는 agar(8.0 kg·m^-3) 등을 이용하였다. 광원으로서는 3파장 cool-white 형광등을 이용하였다. 필요에 따라 환경조건(기온, 광도, 상대습도, 일장, 주야간 온도, 배지의 종류, 이온의 농도 등)을 변화시켜 배양 식물의 생육반응(생체중, 건물중, 초장, 근장, 엽수, 엽면적, 엽록소 농도 등)을 조사하였다. 1)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의 광도와 CO_2 농도 영향 거베라, 카네이션 및 스타티스는 광합성유효광자속(PPF)가 높아질수록 생체중, 건물중, 건문율 및 엽면적 등의 전반적인 생육이 유의성 있게 촉진된 반면 초장은 유의성 있게 작아졌으며, 딸기는 초장도 길어졌다. CO_2 농도가 높아질수록 거베라, 카네이션 및 스타티스의 생체중, 건물중, 건물율, 초장 등이 유의성 있게 커졌으나 딸기에서는 초장과 엽면적이 작아졌다. 2)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의 CO_2 농도와 환기회수의 영향 거베라, 딸기, 카네이션 및 스타티스는 CO_2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배양기의 환기회수가 높을 수록 생체중, 건물중, 초장, 엽면적 등이 유의성 있게 커졌다. 3)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 주·야간온도차(DIF)와 광도의 영향 카네이션의 경우 초장은 -DIF 처리구에서, 절간장은 + DIF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길어졌고 엽면적은 작아졌으며 엽록소농도는 0 DIF에서 컸다. 광도가 높아질수록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등이 유의성 있게 커졌다. 거베라의 생체중, 초장 및 경장은 0 DIF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컸다. 건물중, 최대근장, 엽면적 및 총엽록소농도는 - DIF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컸다. 초장과 경장은 + DIF 처리구에서 억제되었다. 광도가 높아질수록 생체중, 건물중, 엽수 및 엽면적이 유의성 있게 커졌다. 초장과 경장은 광도가 낮은 처리구에서 높은 처리구에서보다 유의성 있게 컸다. 딸기는 생체중, 건물중, T/R 건물비, 경장, 초장, 엽면적 및 총엽록소농도는 0 DIF에서 건물율은 - DIF에서 유의성 있게 컸다. 광도가 높을수록 생체중, 건물중, 경장, 초장 및 엽면적이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건물율, T/R건물비 및 총엽록소농도는 유의성 있게 작아졌다. 스타티스는 DIF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광도가 높을수록 생체중, 건물중 및 초장은 유의성 있게 커졌다. 4)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 명·암기 주기와 환기회수의 영향 카네이션과 스타티스는 명기 8시간 암기 4시간 처리구에서 생체중, 건물중, 초장 및 엽수 등이 컸다. 환기회수가 높은 구에서 생체중, 건물중, 초장 및 엽면적은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T/R 건물비는 유의성 있게 줄어들었다. 딸기는 명기 16시간과 암기 8시간 처리구에서 생체중, 초장 및 엽수가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건물율은 유의성 있게 작았다. 환기회수가 높은 구에서 생체중, 건물중, 건물율, 초장 및 엽면적은 유의성 있게 커졌다. 5) 광독립자가영양배양에서 광도, 주·야간 온도차(DIF) 및 일장의 상호작용 카네이션은 + DIF에서 T/R 건물비 및 초장이 유의성 있게 컸다.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 처리구에서 생체중, 건물중, 초장, 엽수, 엽면적 총 총엽록소농도가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T/R 건물비는 유의성 있게 줄었다. 광도가 높아질수록 생체중, 건물중 및 T/R 건물비가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총엽록소농도는 유의성 있게 작아졌다. 스타티스는 +DIF에서 건물중, 초장 및 엽면적이 유의성 있게 커졌다. 명기 16시간과 암기 8시간 처리구에서 엽수 및 총엽록소농도가 유의성 있게 커졌다. 광도에 의한 효과는 총엽력소농도에서만 광도가 낮을수록 유의성 있게 커졌다. 딸기는 +DIF에서 엽수가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초장 및 총엽록소농도는 유의성 있게 줄어들었다. 명기 16시간과 암기 8시간 처리구에서 T/R건물비 및 초장이 유의성 있게 커졌다. 광도가 높아질수록 건물중 및 엽수가 커진 반면 T/R 건물비, 초장 및 총엽력소농도는 유의성 있게 줄었다. 6) 발근단계에서 영양체계가 배양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카네이션은 생체중, 건물중, 최대근장 및 엽면적은 광독립자가영양배양구에서 유의성 있게 커졌다. 건물율, T/R 건물비, 초장, 신초수, 엽수 및 총엽록소농도는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광혼합영야배양에서 유리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줄기가 가늘고 절간이 긴 반면 자가영양배양네는 뿌리가 길고 뿌리수도 많았으며 절간이 짧았다. 딸기는 생체중, 건물중, T/R 건물비, 초장, 엽수 연면적 및 총엽록소농도는 자가영양배양구에서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건물율 및 최대근장은 유의성 있게 작아졌다. 고아혼합영양배양에서의 딸기는 잔뿌리보다는 원뿌리가 발달되었다. 자가영양배양에서는 줄기가 약간 붉은 색을 띄고 잔뿌리가 발달되면서 뿌리가 말리는 경향을 보였다. 7) 발근단계에서 영양체계 및 순화방법이 배양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카네이션은 자가영양배양법에서 자란 식물체일수록 생체중, 건물중, 초장, 최대근장 및 엽면적이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건물율, T/R 건물비 및 신초수는 유의성 있게 작아졌다. 엽수 및 총엽록소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차광률이 낮을수록 생체중, 건물중, 건물율, 근장 및 엽면적이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T/R 건물비와 초장은 유의성 있게 작아졌다. 신초수, 엽수 및 총엽록소농도는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차광률이 높아질수록 휘어서 자라는 경향이 높았으며 자가영양배양법에 의해 순화된 식물은 광혼합영야배양법 의해 자란 식물보다 절간이 짧고 식물체의 휘엄짐이 적었다. 딸기는 자가영양배양법에서 자란 식물체일수록 생체충, 건물율, T/R 건물비, 초장, 및 엽면적이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최대근장은 유의성 있게 작아졌다. 신초수, 엽수 및 총엽록소농도는 기내 배양시 영양체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순화시 차광률이 낮을수록 건물중과 건물을 유의성 있게 커진 반면 T/R 건물비, 초장 및 엽면적은 유의성 있게 작아졌다. 엽수는 차광 25%일 때 유의성 있게 커졌다. 생체중, 최대근장 신초수 및 총엽력소농도는 차광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8) 광독립자가영양배양시 배양기냉의 지지물 및 이온농도의 영향 스타티스는 상토인 토실이를 사용한 처리구에서 초장 및 근장이 agar와 perlite를 사용한 처리구에서보다 유의성 있게 길었다. 딸기의 초장과 근장, T/R율은 토실이 상토에서 배양시 유의성 있게 컸으며 생체중과 건물중도 agar에 비해 양호하였다. 스타티스 소식물체의 1/2MS 배지에 인산을 0.7075 mep·1^-1 추가로 첨가해준 배지에서 엽수, 엽면적 및 신초수가 유의성 있게 컸으며, MS배지에 인산을 1.415 mep·1^-1 추가로 첨가해준 배지에서 초장, 생체중 및 건물중이 유의성 있게 컸다. 온실용 다용도 액비를 사용한 처리구에서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9) 광독립자가영양배양시 배양기의 종류와 환기회수의 영향 딸기는 배양기 종류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filter의 수가 증가할 수록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엽수와 건물율은 filter를 1개 부착했을 때 유의성 있게 컸다. Duchefa box에서 배양시킨 카네이션은 모두 유리화 현상을 보였다. 딸기와 마찬가지로 배양기 종류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filter의 수가 증가할 수록 지상부 건물중과 총건물중이 증가하였다. 스타티스 배양소식물체는 배양기 종류에 의한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filter의 수가 증가할수록 생체중, 건물중 및 엽면적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그 중 Duchefa box에 filter를 2개 부착한 처리구에서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라. 농가보급형 광독립영양배양실과 순화실 활용 실증시험 1) 농가보급형 자가영양배양시설의 표준설계 가) 조직배양묘 생산농가가 이용할 수 있는 광독립영양배양시설의 표준설계도서를 작성하였다. 나) 설계도서의 작성은 조직배양동, 순화실, 육성온실로 구분하였고 순화실의 규모는 터널형(T형), 침버형(C형), 그리고 순화배양 겸용형(AC형)으로 세분하였고, 순화실의 종류를 기준으로 표준설계도서를 별도로 작성하였다. 다) 설계도서의 내용은 설계도, 시방서, 공사비내역서, 육성온실의 구조안전도 해석으로 하였다. 라) 본 보고서에 기술된 설계내용은 축소된 도면과 주요내용을 요약하였으며 자세한 내용과 원도는 별도의 「농가보급형 식물조직배양시설의 설계도서」에 기술하여 별책으로 출판하였다. 2) 농가실용화를 위한 실증시험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의 도입을 위해서는 적절한 배양시설과 배양기술이 필요하다. 앞에서 설계된 3가지 표준모델에서 터널형(T형) 시설을 기준으로 농가적응시험을 자가영양배양과 측면광공급 시험, 그리고 순화적응 시험으로 구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광독립자가영양배양시험에 이용한 공시재료는 거베라, 스타티스, 호접란, 딸기, 상추, 감자 등 6종이었다. 이들 작물에서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의 기내 성묘생존율은 83.3%-100% 범윙서 평균 95.2%이었고, 타가영양배양은 66.7-91.2%범위에서 76.3%의 평균 값을 보였다. 혼합영양배양은 평균성묘율이 85.0%로서 이들 작물은 72.0-94.3%의 범위에 있었다. 생육상태조사는 초장, 엽과 뿌리생육, 생체중 및 건물 중 등의 양적 형질과 엽색 등을 조사한바 작물과 조사형질에 따라 성적이 동일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대체로 엽수는 타가영양이 많은 경향이었고 초장, 엽신장, 뿌리생육, 엽색 등은 자가영양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생체중과 건물중에서는 작물에 따라 증가율이 서로 달랐다. 이상의 시험조사 과정에서 양적인 증가는 배양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나 건강한 묘라 할 수 있는 질적 형질은 광독립자가영양배양이 타가영양배양에 비하여 우세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나) 조직배양의 측면광 공급을 위한 광원으로 LED Light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LED광은 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내 배양체에 온도장해가 없으며 또한 측면에서 광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시험에 사용된 LED광원 황색, 녹색, 적색등 3종이있고, 이들의 광량은 각각 1.9, 2.2, 94.0μmol·m^-2·s^-1 이었다. 공시작물은 거베라, 상추, 감자 등으로 하였다. CO_2가 공급될 경우 sucrose가 첨가되지 않은 시험구인 자가영양상태에서도 생육이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이상 LED를 위한 측면광공급용 조직배양환경은 금후 광량증가를 위한 장치개발과 배양기의 적절한 배치를 위해 LED Light의 배열방법 등이 검퇴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다) 자가영양상태에서 배양된 묘가 순화과정에서 어는 정도 적응효과가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순화실험을 실시하였다. 공시작물로는 거베라, 스타티스, 호접란, 상추 등 4종으로 하였다. 대부분의 작물에서 광독립자가영양조건에서 배양된 묘가 순화력이 높았으며 타가영양상태에서 배양된 묘는 낮았고 혼합배양의 경우는 그 중간정도였다. 이상이 결과에서 자가영양환경은 기내배양 뿐만 아니라 순화과정에서도 생육효과가 인정되어 양질의 묘를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건전묘 획득과 성묘율 향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광독립자가영양배양시설 뿐만 아니라 적정한 환경조건이 부여될 수 있는 전용순화실의 도입이 필요하였다. 마. 원예작물조직배양사업의 경제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농가보급형 조직배양농장을 대상으로 배양실과 순화·육성실의 적정시설규모와 투자액을 결정하고 수익과 비용을 추정하여 조직배양사업의 수익성과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자가영양배양기술의 개발과 이의 농가보급을 위한 실증시험결과에 대한 경제적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관행의 타가영양배양기술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원예작물 조직배양사업은 배양시설이 완전 가동될 경우 매출액이익률은 32.6%, 총자본수익률은 27.7%로 사업의 수익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부투자수익률은 22.10%로 조직배양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이 높은 유망한 업종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자가영양배양기술은 배양과정에서의 성묘를 향상으로 타가영양배양기술에 비해 수익성을 높이고 묘의 평균생산비를 절감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배양시설 가동률이 70%수준 이상으로 유지되지 못할 경우 자산의 비효율적 운용으로 경영성과가 악화되고 묘의 평균생산비가 상승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원예작물 조직배양농장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고 평균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묘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공급할 수 있는 기술체계확립과 더불어 적정수준의 가동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주문생산체계를 우선적으로 확립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In vitro and in vivo antifungal activities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against Magnaporthe oryzae, the causal agent of rice blast

        Yoon, M.Y.,Kim, Y.S.,Ryu, S.Y.,Choi, G.J.,Choi, Y.H.,Jang, K.S.,Cha, B.,Han, S.S.,Kim, J.C. Academic Press 2011 Pesticid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Vol.101 No.2

        Blast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ungal disease of rice due to its wide distribution and destructiveness under favorable conditions. Development of new 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benign agents against the causal pathogen, Magnaporthe oryzae, is of great interest. In the course of a search for natural antifungal compounds in medicinal plants, we found that the methanol extract of Angelica gigas roots showed a potent control efficacy against rice blast caused by M. oryzae. We isolated antifungal coumarins from the extract, and they were identified as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Antifungal activities of these compounds, along with kasugamycin, were tested on M. oryzae in vivo and in vitro. In an in vivo assay, the three compounds effective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rice blast at concentrations more than 100μg/mL. Coumarins showed relatively weak inhibitory effect on fungal mycelial growth when compared to kasugamycin. However, they strongly inhibited M. oryzae spore germination, which was not observed in kasugamycin treatments. This is the first report demonstrating that decursinol angelate can provide control against rice blast and that the two coumarins inhibit M. oryzae spore germination. In addition, the wettable powder formulation of the crude extract of A. gigas prohibited the development of blast symptoms on rice plants more effectively than liquid concentrate formulation of kasugamin, a commercial fungicide. Based on our study, we propose that coumarin compounds as well as the A. gigas root crude extract can be used as natural, benign fungicides for controlling rice blast.

      • SCISCIESCOPUSKCI등재

        Aluminizing and Boroaluminizing Treatments of Mar-M247 and Their Effect on Hot Corrosion Resistance in Na₂SO₄-NaCl Molten Salt

        Cho, J.H.,Kim, T.W.,Son, K.S.,Yoon, J.H.,Kim, H.S.,Leisk, G.G.,Mitton, D.B.,Latanision, R.M. 대한금속재료학회 2003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9 No.3

        The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s of Mar-M247 superalloy on hot corrosion resistance was examined in Na₂SO₄-NaCl molten salt. The Mar-M247 was aluminized and boroaluminized by pack cementation in Ar and underwent a cyclic hot corrosion test in Na₂SO₄-NaCl molten salt. The XRD results showed that a Ni2Al3 phase was formed between the aluminized layer and the substrate when the surface modification temperature was below 1273 K. However, a NiAl phase formed when the temperature was above 1273 K. The intensity of the XRD peak in the NiAl phase increased after post heat treatment. Hot corrosion resistance increased for the specimens containing NiAl rather than Ni₂Al₃ phase. The ductile NiAl phase suppressed the potential for crack initiation during thermal cycling. Post heat treatment increased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aluminized layer for Mar-M247, which underwent surface modification at 1273 K and above. In the boroaluminized Mar-M247 specimens, corrosion resistance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blocking of outward diffusion of Cr by boron and decreased cohesion between the oxide scale and the aluminized layer during thermal cycling.

      • Fabrication of highly permeable thin-film nanocomposite forward osmosis membranes <i>via</i> the design of novel freestanding robust nanofiber substrates

        Obaid, M.,Kang, Yesol,Wang, Sungrok,Yoon, Myung-Han,Kim, Chang-Min,Song, Jun-ho,Kim, In S.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8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Vol.6 No.25

        <P>Although forward osmosis (FO)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a sustainable solution for the water and energy shortage, it has not been commercialized yet due to a few factors.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IC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rriers preventing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y. To overcome the ICP obstacle, novel high-performance thin-film nanocomposite (TFN) membrane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I>via</I>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robust freestanding graphene oxide (GO) incorporate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nanofiber substrates. Compared to the pristine PVDF nanofiber substrate, the incorporation of GO (ranging from 0.1-15 wt%) significantly alters the chemical structure, porosity, wettability,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ubstrate, leading to an enhancement in the TFN membrane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FN5 (containing 5% GO) membrane possesses the lowest structural parameter of 85.5 μm (one of the best values in the literature), indicating a low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ICP) effect, resulting in a remarkably heightened water permeability (<I>A</I>; 2.96 L m<SUP>−2</SUP> h<SUP>−1</SUP> bar<SUP>−1</SUP>, enhanced by 167% compared to TFC). As a result, the membrane achieved the highest FO water flux at all draw solution concentrations (0.5-2 M NaCl), and the maximum FO water flux was 80.9 L m<SUP>−2</SUP> h<SUP>−1</SUP> (LMH) with a comparable specific salt flux (<I>J</I>s/<I>J</I>v) of 0.41 g L<SUP>−1</SUP> in the active layer facing the deionized feed water (AL-FS) when 2 M NaCl was applied as a draw solution. Interestingly, TFN5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material, with outstanding flexibility and strength over that of the TFC membrane. Furthermore, it showed high stability and durability during long-term FO operation. More importantly, the interaction mechanism between PVDF and GO was proposed schematically. Overall, the obtained results show highly efficient and promising TFN membranes that may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aforementioned FO membranes.</P>

      • KCI등재

        Degradation behaviors and failure analysis of Ni-BaTiO<sub>3</sub>base-metal electrode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under highly accelerated life test

        Kim, J.,Yoon, D.,Jeon, M.,Kang, D.,Kim, J.,Lee, H. Elsevier 2010 Current Applied Physics Vol.10 No.5

        The degradation in insulation resistance under highly accelerated test condition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micro-structural and micro-chemical changes in dielectric layer of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The ceramic capacitors were prepared by using BaTiO<SUB>3</SUB>powder with different size of 0.52 μm, 0.55 μm, and 0.58 μm. As the particle size of BaTiO<SUB>3</SUB>powder was increased, the capacitance and the dissipation factor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highly accelerated test conducted at 150 <SUP>o</SUP>, 75 V, and 20 h, failure in insulation resistance was increased with the particle size and the calculated FITs (failure in term) were 1.10 at 0.52 μm, 2.11 at 0.55 μm, and 6.69 at 0.58 μm, respectively. The failure was examin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hich was attributed to the oxidation of Ni inner electrode that could create oxygen vacancies and increase electric conduction of the ceramic capaci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