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숙아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과 요구도

        박지윤 ( Ji Yun Park ),방경숙 ( Kyung Sook Bang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3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고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추후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미숙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 지식의 평균 정답률은 59.3%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2세 미만의 일반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발달지식에 관해 연구한 Cho, Jung과 Kim (2006)의 연구에서 평균 정답률이 70.0%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지식수준이 좀 더 낮으며, Sim, Byon, Park, Park과 Kim (2007)의 연구에서 0~36개월 일반 영아 어머니의 발달 지식 정확도가 50% 내외로 측정된 결과와 비슷한 수준이다. 미숙아의 양육에 대한 어머니 지식의 평균 정답률은 77.8%로 발달지식 보다는 높은 양육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e 등(2004)의 연구에서 나타난 일반 신생아 어머니의 평균 양육지식정도가 70.12점으로 나타난 결과와 임신기 부모의 양육지식에 관해 연구한 Jang (2006)의 연구에서 어머니의 평균 양육지식 점수가 69.69점이었던 것 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이다. 이를 통해 미숙아 어머니의 지식은 양육에 대한 측면보다도 발달에 대한 측면이 더욱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m 등(2007)은 현재 발달수준에 적절한 보호와 자극이 제공되면 최적의 발달을 이룰 수 있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발달 지체나 결손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하면서 어머니에게 영아의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도록 돕는 부모교육의 실시가 시급하다고 하였다. 특히 일반 만삭아들에 비해 발달에 취약한 미숙아들의 어머니는 미숙아의 발달지연을 최소화하고 발달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 일반 어머니들보다 더욱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만 이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교육의 기회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교육 요구도 조사결과 운동발달에서 미세운동에 관해 알고 싶어 하는 어머니들이 많았다.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와 저체중 출생아에서 미세운동 지연과 같은 경미한 운동장애가 나타날 위험이 높으며 학업성취에서도 미세운동 속도에 문제를 갖게 된다는 결과(Bracewell & Marlow, 2002)에서 알 수 있듯이 미숙아일수록 미세운동 발달이 중요한데, 어머니들은 눈에 쉽게 보이는 운동 발달 시기는 잘 알고 있지만 발달적 변화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미세한 발달까지는 정확히 모르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세부적인 발달에 대한 지식이 미숙아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하여 이를 예방하고 중재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발달 및 양육지식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는 인터넷이 52.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두 번째는 병원이었다. 이는 Rikhy 등(2010)이 52%의 부모들이 아동발달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보고한 내용과 유사하다. 국내 연구에서는 미숙아 어머니들이 지인들이나 미숙아 부모들로부터 육아정보를 구하고 주로 인터넷에서 발달 정보를 구한다고 하였다(Park & Lee, 2007). 전문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병원이 지식을 얻는 주된 경로가 아닌 점은 병원에서는 아기의 임상적인 질병 상태나 건강에 관한 사항에 대한 정보를 주로 제공하게 되는데, 실제 퇴원 후 아기를 양육하면서는 여러 가지 양육 관련 정보와 추후 발달에 관한 정보를 궁금해 하면서 병원을 통해 전문가의 정보를 얻기 보다는 인터넷이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자료를 구하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현대사회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포털사이트나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서도 미숙아 부모 모임을 통해 서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지지를 받고 있지만(Lee, 2007), 인터넷을 통한 정보는 전문가에 의해 검증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문가에 의해 제공되는 신뢰성 있는 정보와 어머니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지지적 관리가 더 중요할 것이다(Kim, 2005). 입원기간동안 병원에서는 전문가를 통해 부모가 필요로 하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요구도를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퇴원 후에도 추후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양육 및 발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다양한 중재제공의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전문가에 의한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및 중재는 주로 병원 또는 보건소에서 가능하겠지만, Ju (2008)의 연구에서 대부분의 미숙아 어머니들이 발달선별검사와 육아상담을 위해 보건소에 내원하기를 거부하였다고 한 것처럼 어머니들이 병원에 발달 및 양육에 대한 교육과 추후 관리를 받기 위해 내원 하기가 힘들다면 미숙아 발달 및 발달선별검사에 대한 교육을 받은 간호사 또는 전문가가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미숙아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더 접근성이 높은 인터넷을 활용하도록 할 경우, 퇴원 후 24시간 비디오 컨퍼런스를 통해 전문가의 상담을 제공한 경우 부모는 가정에서 아기를 양육하는데 자신감을 얻었으며 이는 부모가 도움이 필요할 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낸 연구(Lindberg, Axelsson, & Ohrling, 2009)와 같이 인터넷에서 비디오와 같은 영상을 통한 전문가의 상담을 부모의 요구에 맞추어 제공하는 것은 만족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등 현대의 어머니 요구에 적합한 다양한 경로를 통한 정보의 제공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6명(21.9%)이라는 적은 수의 어머니만이 아기가 성장하면서 발달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발달 문제를 겪게 될지에 대해 전혀 모른다고 답한 어머니도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들(Khan et al., 2006; Latal., 2009)에서 미숙아 발달 지연율에 대한 보고에 비해 미숙아 어머니들의 아기의 발달 문제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가 가정에서 아기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임을 고려할 때 미숙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과 인식은 아기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하고 미숙아를 올바르게 양육하기 위해서는 미숙아가 퇴원하기 전부터 미숙아 발달에 대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병원에서 전문가에 의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미숙아 양육과 관련된 어머니의 교육 요구도는 발달 증진 방법에 대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로 이상증상확인이었다. 발달에 대한 교육 요구의 세부 항목으로는 성장, 미세운동, 언어발달시기, 발달검사시기, 교정연령에 따른 정상발달에 대한 교육 등 다양하였다. 교육 요구도 항목에서 추가로 기타 항목에 어머니들이 답한 내용에는 ‘시기에 맞는 운동발달’, ‘양육 시 발달의 정상적인 시기별 특징’, ‘아기를 양육하는데 있어 우리 아기에게 맞는 발달 상황’ 이라는 답변들이 있었다. 또한 미숙아 양육과 발달, 운동발달, 발달검사 및 치료의 세부항목에 관하여 모두 알고 싶다고 답한 어머니들도 있었다. 이를 통해 발달에 대한 미숙아 어머니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숙아를 양육하는 데 있어 수유나 목욕과 같은 기본적인 양육 지식에 대한 정보는 많지만 발달증진에 관한 정보는 쉽게 구할 수 없어 발달에 관한 어머니들의 요구가 많은 것이라 생각되며, 발달에 대한 지식 중에서도 발달 시기 또는 교정연령에 따른 발달에 대한 교육 요구가 많으므로 어머니의 요구도와 아기의 발달 시기에 따른 정보의 제공과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발달이 언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와 같은 발달 과정이나 원리에 기초한 교육을 시행하는 것은 영아의 발달을 도울 수 있으므로(Sim et al., 2007), 연령별 정상 발달에 대한 교육은 어머니의 교육 요구도를 충족시킴과 더불어 추후 미숙아 발달을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될 것이다. Tak (2007)과 Park (2011)의 연구에서는 고위험 신생아의 교육 요구는 이상증상 확인과 관리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고 하였고 다음은 성장발달 순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이상증상 확인에 대한 교육 요구도 높았지만, 발달증진 방법에 대한 교육 요구가 더 높았다. Kim(2001)은 미숙아 어머니가 가장 염려하고 있는 아기상태는 모든 월령에서 ‘신체 및 지능의 정상적 발달 여부’ 라고 한 바 있다. 이처럼 미숙아 어머니는 정상적 발달에 대한 걱정이 많은 만큼 관심과 요구도도 높았는데, 이전에는 아기의 현재 질병이나 이상증상에 대한 교육 요구가 더 높았으나 점차 발달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면서 본 연구에서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생각된다. Park과 Lee (2007)는 퇴원 후 미숙아 양육에 대한 지침이나 정보가 부재한 상황에서 미숙아를 양육해야 하는 부모들의 고충은 매우 크며 따라서 미숙아 발달에 적용할 수 있는 주요 발달 지침과 위험 조짐 등에 대한 정보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발달 지연에 대한 불필요한 불안과 걱정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현재 병원에서도 퇴원교육을 포함한 양육 및 발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미숙아의 추후 발달이나 발달 단계에 초점을 맞춘 교육은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발달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추후 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 된다. 미국에서는 1983년부터 시행한 개별화 장애아동 교육(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를 통해 신체, 인지, 의사소통, 사회 정서, 적응에 장애가 있거나 발달 지연이 있는 3세 이하의 모든 아동과 그 가족이 조기 중재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해 발달 장애의 합병증이 많은 미숙아는 긍정적인 성장 발달의 결과를 보고하였다(McCormick et al., 2006). 또한 발달 중재 프로그램은 병원 입원기간 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부모에게 도움이 되므로(Saigal & Doyle, 2008), 우리나라에서도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정기적인 건강진단과 방문건강관리 사업을 통한 미숙아 관리 외에 병원에서 의료진이 연결되어 장기적인 건강관리와 조기 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을 일관성 있게 시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 소재 S대학병원과 시립 B병원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모든 미숙아 어머니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더 다양한 지역에서 많은 대상자를 확보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지식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도구로써 도구의 보완이 더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과 양육에 대한 지식과 요구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임상에서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미숙아 어머니의 특성 및 요구도에 따른 교육과 정보의 제공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미숙아 관리 프로토콜 개발은 미숙아 어머니가 아기를 잘 발달할 수 있도록 양육하고 적응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간호 실무에서 이와 관련된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her`s knowledge of premature development and rearing and their education need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premature mother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as 73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Knowledge on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 and rearing was measured by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previous research. The education needs about development and rearing were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using SPSS 20.0. Results: The score of knowledge on development was 59.3 out of 100. The category of knowledge on language development was rated the highest, and motor development category was the lowest. The score of knowledge on rearing was 77.8 out of 100. The knowledge on bathing category was rated the highest and defecation category was the lowest. The growth education needs for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was the highest education needs of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The method for developmental improvement was the highest education needs of premature infant rearing.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remature infant mothers have less knowledge on premature development than premature rearing, also mothers were interested in development and there were many needs on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

      • 환자, 간호사, 의사가 지각하는 교육요구도와 교육제공정도에 관한 연구

        박인숙,문영숙,조미경,최은숙,이경숙,정길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4 충남의대잡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planning of education of patients by exploring and comparing patients', nurses' and docto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degree of providing education. 66 hospitalized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d 44 nurses, 42 doctors assigned for the direct care were sampled in 1 university hospital in Taejon from August 30, 1993 to September 30, 1993. For the comparing patients', nurses' and doctors' perecp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degree of providing education, the researcher used Kims' Educational need scale which is composed of 20 item Likert type 5 point scal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rcentile score, SPS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Comparision of total Mean score patients', nurses' and docto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need ordering nurses(M=4.0465), patients (M=3.9803), doctors (M=3.8309).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total Mean score i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2. Comparision of total Mean score patients' educational need, patients' percetion of nurses' and doctors' degree of providing education, patients' educational need is scored 3.9803, patients' perception of nurse is scored 2.3431, patients' perception of doctor is scored 2.5022.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s' educational need and medical teams' degree of providing education i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P<.001). 3. Comparision of total mean score nurses' educational need is scored 4.0465, nurses' perception of nurses' degree of providing education is scored 2.9920, patients' perception of nurses' degree of providing education is scored 2.3431. The difference of between the nurses' educational need and nurses' perception of nurses' degree of providing education i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P<.001) 4. Comparision of total mean score doctors' educational need is scored 3.8309, doctors' perception of doctors' degree of providing eduation is scored 3.1726, patients' perception of doctors' degree of providing education is scored 2.5022. The difference of between the doctors' educational need and doctors' perception of doctors' degree of providing education i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P<.001).

      • General Introduction of American Ginseng Indigenous in USA and Canada

        Park,Chung-Heon,Bang,Kyung-Hwan,Park,Chun-Geun,Sung,Jung-Sook,Song,Won-Seob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 Plant Resources Vol.6 No.3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is herbaceous perennial plants indigenous to North American forests. This is highly valued as medicinal herbs with a long history of collection from wild populations since 1716. Wild American ginseng distributed from Quebec in Canada to northern Florida in USA. A heavy concentration is found in the Appalachian mountains, although wild American ginseng is considered endangered. The price paid for field cultivated ginseng has dropped dramatically in the past 10 years, while the price for wild or woods cultivated ginseng has rised significantly. The price curve for ginseng resembles a roller coaster, reflecting not only supply and demand but many other factors.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American ginseng compared to Korean ginseng.

      • KCI등재

        인공 치아우식 발생 모델에서 디지털 방사선 공제술을 이용한 인접면 치아우식증의 진단

        박정훈,최용석,황의환,이기자,최삼진,박영호,김경숙,진현석,홍경원,오범석,박헌국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9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9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evaluating the diagnostic ability of dental caries detection using digital subtraction in the artificial caries activity model. Materials and Methods : Digital radiographies of five teeth with 8 proximal surfaces were obtained by CCD sensor (Kodak RVG 6100 using a size #2). The digital radiographic images and subtraction images from artificial proximal caries were examined and interpreted. In this study, we proposed novel caries detection method which could diagnose the dental proximal caries from single digital radiographic image. Results : In artificial caries activity model, the range of lesional depth was 572-1,374 μm and the range of lesional area was 36.95-138.52mm². The lesional depth and the are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emineralization time (p<0.001). Furthermore, the proximal caries detection using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showed high detection rate compared to the proximal caries examination using simple digital radiograph. Conclusion :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from single radiographic image of artificial caries was highly efficient in the detection of dental caries compared to the data from simple digital radiograph.

      • KCI등재

        방사선사진의 인덱스-순서 분석을 통한 치아경조직의 탈염화 검출

        박동현,박영호,김경숙,박정훈,이기자,최삼진,최용석,황의환,박헌국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9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9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adiographic technique for detecting the demineralization which is known as indication of dental caries. Materials and Methods : This technique was based on the comparing of multiple radiographs which was irradiated by multiple X-ray spectra. For the meaningful comparing, the multiple radiographs were reconstructed to the dosimetrically consistent images using a standard material. The difference of resulting images of same target with multiple spectra represents the difference of response of material as regards the spectra. Results : We have found about 10% of demineralization of dental hard tissues particularly in the proximal region through the analyzing of differences. Conclusion : Most intriguing thing in this investigation was that the method to analyze difference shows us to an anatomic structure of dental hard tissues even if absolute values of optical density were excluded during the procedures.

      • 뇌실외 배액술 관리에 대한 이해 및 업무수행 실태

        김정숙,윤미선,송소이,이지은,문경선,고지운,임분남,김경희,박경숙 중앙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1 중앙간호논문집 Vol.5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aging realities of EVD and provide a descriptive survey with the attempt to obtain basic data need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EVD management. For that purpose, 220 questionnaire copies were distributed to those nurses who were working with intensive care units at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semi-general hospitals in Seoul, Kyongki-de and local areas. Of 158 returned questionnaire copies, 139 were used for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term of academic seminars of Neurosurgery Nursing Committee and KICA (Korea Intensive Care Association), ranging from Oct. 26 through 27. 2000. The tools utiliz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consisting of 21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level of work performance, standard management guidelines, etc.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vague, chi -square test using the SPSS 10.0 program Findings were revealed, as follows: For managing the prevention of EVD infection, aseptic technique was found to be of the most importance (48.9%),'the technique should be carried out at an operation room'(92.8%), but it was actually performed at intensive care units (over 51.5%). 'The term of antibiotics use should be less than 7 days' (81.8%), while it was actually executed for less than 7 days (49.5%). 'The proper time of quittance from it should be within less than 7 days'(74.1%) but actual quittance was executed only by 51.1%. 'Set exchange is needed' by 54.0% but actual exchange was implemented merely by 28.1%. 'The subject of management should be nurses' was reflected by 40% but actually 52.0%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hating analysed the understanding of the management of EV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necessity for set exchange by hospitals, in the time of quittance of a catheter, and in ablution items by work experience. The result of hating analysed the work performance levels of EVD managem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ministration facilities of medicine by the classification of hospitals, especially the use of antibiotics and the quitting time of a catheter by the classification of intensive care units, and in the use of antibiotics and ablution items by the standard management guidelines.

      • SCOPUSKCI등재

        간호실무에서 신봉이론(Espoused theor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문자,김혜숙,이은희,박영숙,조경숙,강현숙,임난영,김주현,이소우,조복희,이명하,지성애,하양숙,손영희,권성복,김희진,추진아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As a nursing practice involves nurses' actions in a specific context of health care, this study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espoused theories in nursing practice within the action science perspectives, Espoused theories are the belief, principles, and rationale expressed by the practitioner as guiding her/his actions in a situation of practice.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and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of nursing action were identified and clustered into 6 categories. The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are as follows: The clinical nurse worked in wholistic and individual nursing, focussed on the patient's needed, comfort and supportive nursing (5 theories of nursing goal) ; excellent skills, knowledge based, assessment and data collection, explaining, educating or a scientific basis(6 theories of nursing intervention): advocacy, value oriented, treatment, account- ability and commitment(4 theories of nursing ethics) ; human respect. partnership, trust(3 theories of patient-nurse relationship) : knowledgable,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s and personally lived experiences. positive perspectives(4 theories of nurse), role of intervention. rewarding peer relationship(3 theories of situations) The above mentioned espoused theories are similar to that of nursing textbooks which students learned through basic nursing education and almost the same as the Acts ofa Nurse in Korean. However, we are doubtful whether nurses actually do as they thin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theories-in-use in order to and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espoused theories and the reality of nursing actions

      • KCI등재

        참여정부 초기의 지방분권화 및 참여복지 정책방향과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과제

        박경숙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3 사회복지정책 Vol.16 No.-

        공공부조나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지난 20년간 사회복지제도확립시기를 거쳐오면서 우리나라는 대상자와 급여의 확대, 재원의 확보에 우선순위를 둔 나머지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선은 적극적으로 추진되지 못하였다. 다행히 참여정부는 지방분권화를 내세우고 참여복지의 내용 안에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를 내놓고 있다. 본 논문은 참여정부 초기의 지방분권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참여복지의 방향이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편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성요소를 공공복지전달체계, 민·관 사회복지서비스 협력체계, 지역사회복지기관간의 연계체계 등 세 가지로 구분한 다음, 각 구성요소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편과제를 알아보았다. 참여복지의 방향이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를 가져오려면 참여정부의 지방분권화와 "참여복지 실현을 위한 사회복지인프라 확대"라는 정책구상간에 상호연관이 지어지고 구체적인 정책과제가 개발되어야 한다. 중앙집권화된 비전문적 사회복지정책집행체제였던 공공복지전달체계는 지방분권화된 전문적 사회복지사무소 개설로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야 하며, 종속적 대행자관계와 제한적 참여의 특징을 가졌던 민·관 사회복지서비스 협력체계는 협조적 동반자형으로 바뀌면서 민간참여를 확대하여야 하고, 공급자 중심의 단절된 연결망 형태였던 지역사뵈복지기관간의 연계체계는 수요자 중심의 통합적 연결망으로 바뀌어야 한다. 사회복지전달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이러한 세 가지 구성요소의 개편이 동시에 진행될 때 사회복지전달체계부문의 지방분권화와 참여확대라는 목표가 서로 상승효과를 발휘하며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Establishment of a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past twenty years of building up the major social welfare programs, the government put a priority in expanding coverage as well as benefits and securing finances so that reconstruction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was left behind. Fortunately,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pursues localization and also deals with the policy agenda for reconstruction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in the policy direction of participatory welfare. This paper starts off by capturing the meaning of localization and participatory welfare affection reconstruction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n it moves to identifying the contents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to three components: a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 partner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a coordination system among the variou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o the local areas. Finally it states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each component and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for its improvement. In order to bring changes in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under the participatory welfare policies, policy directions of localization and the goal of "expansion of social welfare infrastructure" should be related to each other and develop very concrete policy objectives. The traditionally centralized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of unprofessional organizations should be changed to localized system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e obedient vendor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hould be changed to cooperative partnership in order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private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fractured coordination system based on service providers should be changed to the comprehensive coordination system based on consumers. It is only through concurrent improvement of the three components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under the policy direction of localization and participatory welfare that we can reach the goal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 SCOPUSKCI등재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주관성 연구

        박경숙,송미승,김경희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pattern of nurses' pain management with patients who experience pain. As a research method, the Q methodology, which is useful for an objective view of a highly abstract concept, was applied. The data collecting activity of this study was from August, 21st, 2000 to November, 24th 2000 The Q-population. the previous thesis and a literature review were done. Questions about pain management by the nurse on the patients. caregivers, nursing students, doctors, nurses, and others were asked in documentary work and in-depth interviews. In all. 223 units of the Q-population were formed, and the last 35 units of the Q-population were extracted. The data on the P-sample was collected from 41 nurses who worked in the medical and surgical units of a hospital that belonges to C university in Seoul. The research results were constituted in 3 types. Type I was the 'pattern of judging by objectivity'. The statement on which most of the People highly agreed for those patterns was shown by 'If patients said that they are suffering from pain, we sufficiently performed an assessment about the etiology, location, duration and degree'. For type I, the same pain was found in different locations according to the patients. so the etiology of the pain should be identified first place Since ways of coping are different according to pain etiology, it was thought that it is important to assess sufficiently the pain etiology, location, duration, and degree Therefore. when patients complain of pain, the pain etiology should be identified and assessed; according to the result, pain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systematically. Tyre II was the 'pattern of accepting by subjectivity'. The statement on which most of the people highly agreed for those patterns was shown as 'If patients said that they are suffering from pain, the medical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rapidly and speedily. 'For type h. when the patient complains of pain.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quickly in order to prevent the condition getting worse. and it is thought that activity is a reasonable duty Further, by trying to show empathy after pain is admitted and by understanding and coping rapidly with the pain of patients, an attitude which matched the altruistic morals of nurses is being shown. Type III was the 'pattern of worrying about', and the statement on which most of the people highly agreed for those patterns was shown is 'When there is a pain. to help patients to tolerate the pain to the highest degree. 'In type III, the pain is a subjective expression, so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every individual. Therefore, actually if there is no measurement of pain, it could be exaggerated so nurses should help patients to tolerate it to the utmost. Even if there is a way to remove pain without an analgesic drug, nurses were reluctant to perform pain management as they possibly could.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pain management of nurses was classified in 3 typ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each type were discovered.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an individualized pain management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follow up work performed

      • KCI등재

        서울시내 일부 고등학교 학생들에서 학업성취도가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박혜숙,최경희,이보은 韓國學校保健學會 2001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14 No.2

        Depres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psychologic disorder and dealt as a major public health concern. School students have heavy school work loads and stress from various evaluations representing school performanc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performance and stress on depressive symptoms, we assessed the frequency of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2,717 high school students. From April 2001 to May 2001,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e collected data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potential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Center Epidemiologlc Studies Depression (DES-D) index. Thirty-seven percent of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having high depressive symptoms for a week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than males (OR=1.44, 95% CI 1.22-1.70). In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e found that good perceived school performance (OR=0.43, 95% CI 0.31-0.60)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On the contrary, we also found that stress from school performance (OR=2.03, 95% CI 1.69-2.44) associated with high depressive symptoms. In conclusion, high school students had a relatively high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Students with stress from school performance had the higher risk far depressive symptoms. Key words : Depression, risk factors, prevalence, performance, you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