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ender 모형을 활용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은숙,Choi, Eun-Sook 한국응급구조학회 2007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1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ly basic data for a health promoting program and to elevate the level of it by examining whether EMT-P Stud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related to health percetion, health concept, health status, self-esteem,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perceived barriers of action, perceived self-efficacy, activity-related affect, social support, preference, prior related behavior, and a plan for action. Method: Subjects were 116 EMT-P Students in K city. Data collection method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prjor related behavior(28.8%). Altogether prjor related behavior, health status, perceived barriers of action, a plan for action were proven to account for 44.6%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EMT-P Students.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prjor related behavior, health status, perceived barriers of action, a plan for ac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EMT-P Students' health promoting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아리랑 세계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은숙 한국민요학회 2017 한국민요학 Vol.51 No.-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for critical review of the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of Arirang by examining its aspects of development and features. The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of Arirang has begun along with its registration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also had great expectations as new Korean wave content after K-pop, and its genre spread out to various forms of cultural contents le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efforts have been made with album recordings and performances to win the hearts of the world by integrating with world-renowned musicians and various genres of music. This is how globalization of Arirang entered the new phase of creative Arirang or world music with a hybrid character. Meanwhile, local governments are also putting up the globalization of Arirang as some kind of a slogan, which seems to be part of a competition to dominate Arirang in advanc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ore ways to emphasize the different identities and distinctive factors of different regions. This kind of criticism and academic discourse must serve as an actual inspection of this Arirang globalization project. With regard to this fact, the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of Arirang by local governments is now showing efforts to build mutual solidarity and network with the world by breaking away from the regional competition. In particular, this discourse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s no longer just one-way publicity of Arirang or excessive nationalism, but aims at cultural exchange of culture. Such discourse about the globalization of Arirang requires in-depth review of how Arirang’s identity has been established, inspection of strategies to globalize Arirang, and critical discussions about the future direc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discussions about what and how to globalize in Arirang within the globalization discourse is actually in effect. The current direction for the globalization of Arirang has been discussed hastily, not being able to be properly inspected. Meanwhile, the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of Arirang has thus far focused on the strategic aspect. It was characterized by finding traces, depending on power, and turning it into luxury art. These three strategies contributed to the global recognition of Arirang and promotion of national pride through Arirang.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those strategies may drive Arirang away from everyday life and turn it into an object of admiration, thereby alienating the actual subject of transmission or narrow the scope of enjoyment. In this sense, the discourse around Arirang education in Korea and the world must be discuss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because education broadens the scope of enjoyment while also expanding the subject of transmission as well. Discussions regarding this began to be raised by individuals or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societies. Continuous and systematic discussions are expected to be led. The discourse on Arirang has played a key rol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Arirang, not only historically but also in terms of the present. This is because of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Arirang, as well as the fact that our expectations and desires are very much reflected on Arirang. The Arirang code is now closely related to globaliz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inspect our own aim in the globalization of Arirang. 본 논문은 아리랑 세계화 담론의 전개와 특징적 양상을 살펴 비판적 점검의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아리랑 세계화에 대한 문제의식은 그 이전부터 있어왔지만, 관련 담론의 증폭은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와 관련되어 있다. 이후 아리랑은 정부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콘텐츠 양식으로 장르 전이를 이루어 나갔다. 특히 세계 유명 음악인과 다양한 음악양식과의 결합을 통해 세계인의 공감을 얻어내기 위한 노력이 앨범과 공연으로 나타났다. 그러면서 아리랑의 세계화는 점차 창작아리랑, 혹은 혼성적 성격을 지닌 새로운 월드뮤직의 장으로 접어들었다. 한편 각 지자체 또한 아리랑 세계화를 구호처럼 내세우고 있다. 이는 아리랑 선점 경쟁의 일환으로 보인다. 각 지역의 정체성과 차별성을 살린 방안이 더 생산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관련한 비평과 학술적 담론이 아리랑의 세계화 사업에 실질적인 점검의 기능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지자체 아리랑 세계화 담론은 지역 선점 경쟁에서 벗어나 상호연대 및 세계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노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아리랑의 일방적 홍보나 과잉된 민족주의에서 탈피하여 문화상호교류의 방향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상의 아리랑 세계화 관련 담론은 아리랑의 정체성 정립과정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 아리랑 세계화 전략에 대한 점검, 그리고 앞으로의 방향성에 있어 비판적 논의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지금까지 아리랑 세계화 담론은 전략적 측면에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 그 특징은 흔적 찾기, 권위에 기대기, 고급화를 지향한 예술화였다. 이 세 가지 전략은 세계 속에 아리랑을 인정받고, 아리랑을 통한 민족적 자긍심 고취라는 측면에 기여한 바가 있다. 그러나 아리랑을 삶에서 벗어나게 하고, 동경의 대상이 되게 함으로써 실제 전승주체를 소외시키거나 향유의 폭을 좁힐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국내외 아리랑 교육은 앞으로 더 적극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교육은 향유의 폭을 넓히면서도 전승주체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리랑 담론은 아리랑의 의미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역사적으로도 그렇고 현재도 마찬가지이다. 아리랑에 대한 우리의 기대와 욕망이 그만큼 많이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현재 아리랑 코드는 세계화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아리랑 세계화에 담긴 우리 스스로의 지향이 무엇인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동학가사의 ‘꿈’ 모티프 차용 양상과 의미

        최은숙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2 No.-

        본고의 목적은 동학가사 가운데 ‘꿈’을 모티프로 한 작품을 대상으로 작품의 존재양상과 ‘꿈’의 역할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작품의 존재 양상을 내용과 형식, 그리고 특성을 중심으로 살핀 후 동학가사의 꿈 모 티프 차용양상과 그 역할을 두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동학가사에서 꿈 모티프를 활용한 작품은 <夢中老少問答歌>, <夢中問答歌>, <夢中歌>, <夢中運動歌>, <春 夢歌>, <夢覺銘心歌>, <夢警歌>, <雲山夢中書>, <夢覺虛中有實歌>, <夢警時和歌>등이다. 이들은 동학의 가르침을 설파하거나 이상세계를 예언하는 내용을 비유와 나열로 표현하거나 몽유구조를 통해 나타내었다. 그리고 꿈 모티프 관련 어구들은 작품의 사설형성 및 향유를 용이하게 하는 관용어구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동학가사에서 꿈은 무의식 상태를 비유하여 이를 경계함으로써 동학에서 말하는 이상세계인 선천(先天) 에의 준비를 촉구하거나, 몽유구조를 통하여 유사경험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선천에 대한 계시의 역할을 하 고 있다. 이를 통해 동학가사에서 꿈 모티프는 창생을 설득하고 종교적 믿음을 연장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기 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고의 논의는 동학가사 자체가 지닌 문학적 특성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 과 몽유 모티프를 수용하고 있는 동학가사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통해 몽유가사의 전체적 조망에 진전을 가 져왔다는 의의를 지닐 수 있다. Donghak's lyrics is about songs of religion. It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religious propaganda. Exceptionally many works on motive of dream have been crea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work patterns, the presence of 'dream' role and its meaning. Dream is a metaphor of the ideal world or shows the ideal world itself. Meanwhile, the dream in Donghak-Lyrics assimilate the state of consciousness or is written in the analogy form of similar experiences. The dream requires more than ready for the ideal world and shows the ideal world at least indirectly to the people. This kinds of dream motif in the Donghak-Lyrics have a role to contribute effectively to persuade people and prolong their religious beliefs. This discussion suggests a new research methodology of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Donghak lyrics. and broadened horizons on the reaserch of the dream motif lyrics.

      • KCI등재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최은숙,홍성기,권혜란,고봉연,이경열,정한호,이명렬,윤성우,박시은,조근자,Choi, Eun-Sook,Hong, Sung-Gi,Kwon, Hay-Rran,Koh, Bong-Yeun,Lee, Kyoung-Youl,Jung, Han-Ho,Lee, Myung-Lyeol,Yun, Seong-Woo,Park, Si-Eun,Cho, Keun-Ja 한국응급구조학회 2017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21 No.2

        Purpose: This study describes current curricula for paramedic students in South Korea and proposes a standardization of the curriculu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8 colleges and universities from March 1 to 31, 2016.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using SPSS 23.0. Results: The proposed standard curriculum was below. Requisite liberal arts consisted of 2 subjects and 6 credits including biomedical ethics, communications and human relationships. Common major subjects were composed of 6 areas, 22 subjects, and 78 credits. The areas of basic medicine consisted of 6 subjects and 16 credits including medical terminology. Introduction to paramedicine consisted of 3 subjects and 7 credits.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consisted of 2 subjects and 9 credits. Particulars to paramedic care consisted of 8 subjects and 31 credits. The law area consisted of 1 subject and 3 credits. Other major areas consisted of 2 subjects and 12 credits including integrated simulation and physician assistance. Common field practice area consisted of 3 to 4 subjects and 9 to 12 credits.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adapt a standardized curriculum for paramedic students in order to ensure competence and to provide high quality emergency medical servic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아리랑 탐구의 한 방향 - 민중적 관심을 중심으로

        최은숙 동남어문학회 2019 동남어문논집 Vol.1 No.47

        본고는 일제강점기에 아리랑을 민중적 관점에서 논의한 학술담론의 현황과 주된 논점에 대해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일제강점기 아리랑에 대한 연구는 주로 아리랑이 민족의 노래로 호명되고 격상되는 과정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래서 아리랑을 본격적인 탐구의 대상으로 삼고 이에 대한 독자적인 논의를 펼친 민중적 시각은 오히려 간과되는 측면이 있었다. 본고는 아리랑을 민중적 관점에서 다룬 학술적 담론을 주목함으로써 아리랑이 지닌 저항의 실제적인 맥락을 확인하였다. 김동환, 김재철, 김태준, 고정옥의 논의가 대표적이다. 특히 김재철과 김태준, 고정옥은 아리랑을 독립적인 장을 통해 논의하였고, 그 정체성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들은 민중적 관점에서 아리랑을 조망함으로써 아리랑의 참요적 성격과 풍자성을 확인해 내었고,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보여주려 했으며, 아리랑이 현재를 담을 수 있는 노래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러면서 독립군아리랑이나 민요시 창작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는 아리랑에서 조선의 정서와 심미적 신비성을 확인하려는 담론과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며, 향토성에 기반을 둔 복원의 대상으로 보는 민요인식과도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This paper reviews and anlayzes the situation and the main issues of academic discussions about Arirang, which were made from the popular point of view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studies on Arir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focused on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Arirang was called a representative Korean folksong and given an iconic status representing the Korean People. For this reason, the popular point of view, from which Arirang was seriously studied and an independent research trend was formed, has not received due atten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academic discourses on Arirang developed from the popular point of view in order to identify real resistant contexts implied by Arirang. Those who analyzed Arirang from the popular point of view revealed its prophetic and satirical characteristics and pointed out that Arirang conveyed the reality of the colonial Chosun and thus could represent the contemporary time. In this regar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reating an Arirang of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folk lyrics was provided. This trend is significant in its difference from the other trends by which Arirang carries the sentiment of Chosun and aesthetic mysticism or is a folksong that needs to be restored base on folk culture. However, the discussions based on the popular viewpoint did not fully reflect or lead the practice and enjoyment of Arirang in real life. These limitations should also be n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