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사회복지대학교육과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

        이성기 ( Sung Kee Lee ),원석조 ( Seok Jo Wo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2

        본고는 중국정부가 2006년부터 추진한 일련의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이 중국의 사회복지대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대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실태 및 문제점, 정부의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의 주요 내용을 분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대학교육을 전망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20년대에 시작된 중국의 사회복지대학교육은 신 중국 수립 후 중단되었다가 개혁개방 후인 1989년에 회복되었다. 중국정부가 사회복지대학교육을 되살린 이유는 시장경제로의 전환으로 계획경제시기에는 없었던 사회문제들이 발생하자 이에 대한 연구와 대책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둘째, 사회복지대학교육 회복 후 사회복지전공 또는 사회복지학과를 설치한 대학의 수가 단기간에 크게 증가했으나 수준 낮은 교수진, 너무 적은 학생 수, 열악한 사회복지실습환경, 빈약한 직업시장 등 상당히 심각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셋째, 개혁개방 이후 심화된 경제성장의 부작용과 사회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중국정부는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중시하는 조화사회를 표방했고, 사회주의와 조화사회의 조력자로 사회복지인재 대오를 건설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넷째, 일련의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은 사회복지대학교육 및 사회복지사의 지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교육기관의 증가, 사회복지대학교육의 질적 향상, 사회복지사의 처우개선, 사회복지전공 대학졸업자의 사회복지분야 진출확대 등이 그것이다. 다섯째, 중국정부와 공산당이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그것이 사회복지대학교육의 질적·양적 개선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확실시 되는 만큼 중국 사회복지대학교육의 미래는 밝다.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influence of Chinese government’s policy for developing teams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on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For the purpose, developmental process,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and main contents of government’s policy for developing teams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were reviewed, and future of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was prosp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in China was begun on 1920s, stopped after establishment of the New China, and recovered on 1989 since open policy. The reason of recovery was that the government wanted not only to resolve but also research the new social problems which not existed in planned economy. Second, the number of social work departments or programs of college was rapidly increased in short terms. However, they has serious problems, for example, low quality of professors, few students, bad environments of practicum, and poor job markets. Third, Chinese government announced the harmonious society to resolve the reverse effects of economic growth and social unrest, and chose social workers as assistants of socialism and the harmonious society. Fourth, a series of policies for developing teams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positively influence on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Those are increasement of social workers and social work college, improvement of social work education, better treatment of social workers, and more graduates entering to social work fields. Fifth, the future of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seems to be bright, because Chinese government and Communist Party are driving the policy for developing social workers and the improving effect of social work education is obvious.

      • KCI등재

        탈산업화와 복지국가의 변모: 신제도주의에 대한 평가

        조영훈 ( Young Hoon Cho ),심창학 ( Chang Hack Sh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3

        현재 탈산업화와 복지국가의 변모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신제도주의에 따르면, 대부분의 복지국가들은 변화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사회적 위험들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고 한다. 복지재정에 대한 압박이 증대하는 가운데 기존의 사회보장 프로그램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도가 여전히 높기 때문에 새로운 사회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이 연구들은 탈산업화 압력에 대한 대응방식이 복지유형별로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노동시장내부자에 대한 보호장치가 강력하고 사회보험과 같이 전통적인 사회적 위험을 보장하는 사회프로그램이 발달한 보수주의 복지국가들은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해 가장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탈산업화에 따라 복지국가가 어떤 방향으로, 그리고 얼마나 빨리 재편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지난 20여년 동안 선진산업국가들에서 전통적인 사회프로그램들과 새로운 사회적 위험을 보장하는 사회프로그램들이 어느 정도로 축소 또는 확대되었는지를 검토할 것이며, 이를 통해서 복지국가의 변모에 대한 신제도주의의 진단들에 대해 평가해 볼 것이다. 이 연구의 가정은, 비록 신제도주의의 주장대로 복지체제의 경로의존성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한 대처가 매우 시급한 것으로 인식될 경우 기존 복지체제의 변화가 불가피하며, 그러한 변화가 복지수준을 전반적으로 낮추는 것이 아니라 수급자 집단별로 자원을 재분배하는 선에서 그친다면 복지국가의 재조정에 대한 사회적 저항은 국가의 개입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을 정도로 온건하리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새로운 사회적 위험들에 대한 선진산업국가들의 대응은 제도의 고착성을 강조하는 신제도주의의 주장에 비해서는 급진적일 수 있으며, 복지국가의 재구성은 보수주의 복지국가들이라고 해서 예외일 수는 없는 것이다. It is often said that globalization, de-industrialization, the expansion of service economy, population ageing,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the increase of female employment are the main elements promoting the changes in the Keynesian welfare state. All those elements are considered part of post-industrialization, except for globalization. Those post-industrial elements are said to bring about new social risks not properly covered by the traditional welfare state, and thereby to give a pressure of restructuring upon the welfare state. The neo-institutionalist approach, emphasizing institutional stickiness and path dependency of the welfare state, argues that almost all the Western welfare states have not dealt with the new social risks very well, because old social security programs are still so popular that they cannot afford to introduce new social programs in the age of permanent austerity. It also argues that the way of response to the pressure from the new social risks differs from one welfare type to another. It speculates that the conservative welfare states in the Continental Europe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the new social risks, because they have strong protective measures for labor market insiders and well developed social security programs designed to protect against old social risks. This article aims to show how fast, and to what direction, the current welfare state is recast as a consequence of post-industrialization. This paper is going to examine how much social programs for old risks and new risks are expanded or shrink among advanced industrial economies during the last 20 years. The work of this paper will let us evaluate the arguments of the neo-institutionalist approach.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urrent welfare state cannot avoid restructuring if the response to new social risks feels urgent, and that the popular resistance to the restructuring remains just moderate if the restructuring does not lead to the decline of welfare in general but to redistribution of part of the welfare resources from the current beneficiaries to the new ones. From this perspective, the response of advanced industrial economies to the challenge of new social risks can be more radical than the neo-institutionalist approach presumed, and the conservative welfare type is no exception to the need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welfare state.

      • KCI등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사회복지직 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 방법 접근

        김창희 ( Chang Hee Kim ),이정희 ( Jung Hee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사회복지직 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로, 그들의 실천 경험을 분석하고 직업정체성 강화와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제언을 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자들은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에는 10명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참여했으며, 자료는 심층 면담을 통해 구성했다. 자료 분석 결과, 170개의 개념, 4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3개의 범주를 구성했으며,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서의 직무 수행 경험과 정체성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인과적 조건은 ‘안정과 발전으로서의 사회복지직’, ‘이상과 현실의 괴리’로 나타났고 현상은 ‘관성에 의존한 일처리’, ‘현상유지 차원에서 버텨내기’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업무소진’, ‘부정적 자기상’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방탄직으로서의 사회복지직’, ‘국가복지만능주의’, ‘형식주의’로 나타났다. 결과는 ‘인간 재발견’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 고르기와 유형분석을 했다. 핵심범주는 실천의 ‘무정부 상태에서 벗어나 구조적 한계 속에서 새로운 길 모색’으로 나타났다. 유형은 ‘실천 환경 재조직형’, ‘자력 탈출형’, ‘현실 만족형’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사회복지 가치차원에서의 업무를 지지하고 수평적 민 관 협력을 제고하기 위한 제언으로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승진체계를 개선하며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보호시스템을 마련해야 함을 제언했다. This study is about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government social welfare workers, and has studied practical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based on their oral statements. We approached grounded theory method. Ten government social welfare workers participated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Results as follows: In opencoding 170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have been composed. And the study reviewed the practical experiences and identity development as government social workers of the participants. In axial coding, casual conditions are social welfare in terms of stabilization and development,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Phenomenon showed as dependence on inertia at work, enduring to maintain. contextual conditions showed as work exhaustion, negative self image. Intervening conditions are social worker as bullet-proof job, government welfare omnipotence and formalism. Resulted as human rediscovering. In selective coding selection of core category and analysis of types have been conducted. Core category showed as ``break away from anarchy and find new ways in structural limitations``. Types are re-organizing experimental environment type, self escape type and reality satisfaction type. Finally, In purpose to support social welfare values and improve the horizontal equity of civil and government relations, the paper is suggesting to provide chances to recharge, revise promotion systems and making of protection system joined with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사회정의론에 기반한 사회복지철학이론의 탐색 :롤스와 샌델 비교

        유태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2

        Korean society was changed rapidly and is expected to experience chabges in the future. In preparation for this change, the government referred to completion of Welfare state. In order for social welfare intervening in human life to expand into a welfare state, a universal system, universal norms that can justify the system are required, and these normative standard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present but also future values. For this, social welfare philosophical approach and discussion are essential. Nevertheless, in Korean society, it is still insufficient. Traditionally, there are deontological justice and teleological justice in the classification of philosophical studies, Rawls. J. and Sandel. M are the best known scholars in Korean society. Both scholars have implications in social welfare in common that they refer to the social welfare system as alternative to utilitarian norms. In addition, the two theories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premise of individual and society, the justification of intervention, and the limit of the theory, which will show how a philosophical basis is appropriate for Korean society. In order to complete the welfare state in the Korean society, which is experiencing various conflicts such as generation and local conflict, it seems that a universal normative basis is needed for members of society to achieve social consensus. 한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으며, 앞으로 변화를 경험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여 현 정부는 복지국가의 완성을 언급하였다. 인간의 삶에 개입하는 사회복지가 보편적인 제도인 복지국가로 확장되기 위해서는 제도를 정당화할 수 있는 보편적인 규범 기준이 필요하며, 이 규범적 기준은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가치까지 내포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철학적 접근과 논의는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 이러한 접근과 논의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철학적 연구의 분류에는 전통적으로 의무론적 정의론과 목적론적 정의론이 존재하며, 롤스와 샌델은 두 분류로써 한국 사회에 가장 잘 알려진 학자이다. 두 학자는 현대 사회의 주류 철학인 공리주의의 대안으로써 사회복지제도를 자신의 이론에 언급했다는 공통점에서 사회복지적 측면에서 함의를 가진다. 그러면서도 개인과 사회에 대한 전제와 개입의 정당화, 이론의 한계에서 분명히 구분된다는 점에서 이 두 이론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 사회의 현재 상황에서 복지국가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어떤 사회복지이론이 적절한가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세대, 지역 갈등 등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복지국가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판단기준을 가진 구성원이 사회적 합의를 이룰 수 있는 보편적인 규범적 기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이러한 추상적인 철학이론을 사회복지제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복지법인 제도신설 배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진우 ( Jin Woo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3 사회복지정책 Vol.40 No.4

        본 연구는 이제까지 학술논의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1958년 보건사회부가 법제실(현 법제처)로 보낸 사회복지사업법안의 내용을 포함하여 사회복지법인 제도신설의 배경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 민법상의 재단법인으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해 오던 방식에서 왜 특수법인인 사회복지법인 제도를 굳이 만들어야 했는지, 그렇게 신설하고자 했던 사회복지법인의 성격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50년대~1970년대 사회복지법인 관련 자료를 찾고자 보건복지부 도서관 및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자료실 소장자료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복지법인 제도 신설 배경은 기 논의되었던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외원기관의 지원축소’나 ‘사회복지관련법률의 체계화’라기 보다는 사회복지시설과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보건사회부의 지배 및 지원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그 논거는 아래와 같다. 첫째,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외원기관의 지원이 축소되던 시점이 아니라 오히려 지원이 확대되던 시점에서 사회복지법인 제도가 검토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사회복지법인 제도 신설을 공식적으로 검토했던 1958년도에는 사회복지서비스 관련 법률이 제정된 바가 없기 때문에 이를 체계화하기 위한 논거로서 사회복지법인 제도 신설은 타당하지 않다는 점이다. 한편, 당시 제정 추진되었던 법안에서 그리고 1970년 제정법률에서도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규정도 부재하였으며 재원조달도 공동모금회나 법인 설립당시의 조성재산에 의존하고 있어 공적 전달체계로서의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행정적인 위계체계 정립 및 민간재원 동원에의 합법적 통로를 확보하는 성격을 띤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troduction background of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1970. This is to speculate why new social welfare foundation which was newly introduced in 1970 substituted non-profit foundation based on the Civil Law.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they did not deal with social welfare foundation directly, but explain the introduction of social welfare foundation indirectly through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Social Welfare Service Law in 1970. The previous research set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on the Law early 1960s and argues that the system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gradual decrease of aid amount due to the withdrawal of foreign-aid agency can be embodied as the background. However, this study shows different contents. Firstly, there needs to consider earlier effort and trial of Ministry of Social Affairs to establish the Social Welfare Service Law in 1958 not in middle 1960s which was newly revealed. Secondly, including this historical change, it is inevitable to consider different baseline of time related with other discussions. As the result, the background can be understood as the effort of Ministry of Social Affairs to control social welfare foundation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overall for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ve uniform and efficiency.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평가의 현실과 개선방안 : 장애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이선우,최상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2 사회복지정책 Vol.15 No.-

        사회복지시설평가는 1998년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으로 의무화되면서 2001년까지 정부로부터 재정을 지원받는 대부분의 사회복지시설, 즉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및 아동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여성복지시설, 부랑인시설, 정신요양시설, 자활후견기관 등에 대한 평가가 실시되었다. 사회복지시설평가는 짧은 시간에 사회복지시설을 급속하게 개선시킨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사회복지시설의 본연의 업무보다 서류 작성에 치중하게 한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시 사회복지관 실무자들이 시설평가에 심하게 반발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사회복지시설평가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세계적인 경향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회피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시설평가의 여러 가지 장점을 살리고, 그 문제점을 보완하여 사회복지시설평가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최대로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평가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평가과정, 평가도구, 평가결과의 활용의 문제점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이 문제들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사회복지시설평가지표를 세부적인 시설종류에 따라 일부 세분화하며, 현재 그 내용에서 시설 평가 중심에서 프로그램평가 중심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평가위원간 신뢰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설평가원을 설립해야 한다. 셋째, 평가결과, 하위시설에는 교육 등으로 운영개선을 지원하고, 상위시설에는 총액예산제와 감사 감면 등의 보상을 제공해야 한다. The evaluation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have been performed on most of them which received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s, including social services centers, welfare services centers for disabled people,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children, aged people, disabled people, women, homeless people, and mentally ill people, and support institutions for self-help since the 1998 act of social welfare work has made the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mandatory. The evaluation is considered as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it has improve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very rapidly within a short time period as well as it has put on too much focus on preparing documents rather than providing services. Recently, social workers at social services centers in Seoul opposed seriously against the evaluation. However, the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s inevitable because it is related to a global tendency of using resources effici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s to make the evaluation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s much as possible by reducing the problems of the evaluation while maintaining its advantages. This study categorized the problems of the evaluation into problems of evaluating process, evaluation index, and use of evaluation results. To reduc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below: First, the evaluation index should be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institutions, and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should move toward program evaluation from institution evaluation. Second, a permanent agency fo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fundementally solve the problems of reliability. Third, lowly-evaluated institutions should be supported by educating their employees to improve their management, while highly-evaluated institutions should be rewarded with the total budget and the exemption of regular audits for a certain period.

      • KCI등재

        중국반환 이후 홍콩 사회복지의 변화

        이혜경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3 사회복지정책 Vol.16 No.-

        홍콩은 1898년 중국으로부터 영국에 99년간 조차되어 중국과는 다른 자본주의의 길을 걸어 왔다. 1997년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홍콩특별행정구역은 기존의 자본주의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홍콩의 사회복지 체계의 내용 및 특징을 살펴보고 중국반환 이후 홍콩의 사회복지적 대응이 어떠하였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홍콩 사회복지의 특징은 첫째, 유교적, 가부장적, 중국적 전통에 기반하고 있고 둘째, 사회복지의 성격이 잔여적이고 셋째, 사회보험이 거의 도입되지 않은 채 사회복지의 범위가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로 한정되어 있으며 넷째, 서구 선교단체나 자선단체에 의한 민간복지가 발달하였다. 한편 홍콩의 중국 반환이후 사회복지에 있어 큰 구조적 변화는 없었으나 실업률의 증가로 인해 공공부조 수급자가 확대되었고, 가족해체의 증가로 인해 가족복지서비스가 강화되었으며,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퇴직공제기금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업보조제 도입 등의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한국 사회복지에 제시해 줄 수 있으며 또한 동아시아 국가의 사회복지제도 비교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Hong Kong had been keeping the capitalist system during the British regime for 99 years. In 1997 Hong Kong was returned to China and has become a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China, which keeps the established capitalist system. In these changing situations,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and analyzing the social welfare responses to the social problems in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Hong Kong are as follow: First, the nature of the social welfare is based on the Confucian, patriarchal and Chinese culture. Second, the ideological perspective of the social welfare is residual. Third, the social insurance schemes are rarely introduced and the range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are restricted to the public assistance and the social welfare services. Fourth, the private welfare by missionary agencies and NGOs has developed to meet social needs. There are no fundamental changes in the social welfare system but there are some developments to respond to social problems in HKSAR: the recipients of the public assistance are increasing due to the unemployment, the family welfare services are reinforced by the family disintegration, and the Mandatory Provident Fund(MPF) for the elderly is recently introduced.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전문성 경로와 대안적 정향

        김영종 ( Young Jong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4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전문성 추구의 경과를 제도적 측면에서 파악해보고, 이를 통해 대안적 정향을 제시해보려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전문직과 전문성에 대한 포괄적 개념을 구성하는 것, 우리나라 사회복지전문직을 구성하는 두 주체인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조직(법인/시설)이 갖추어온 전문성의 제도적 규제 경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는 사회복지사업의 전문적 주체가 어떤 양상으로 제도화 경로를 밟아왔는지, 그 대안적 정향은 무엇인지의 함의를 도출한다. 제도적 규제에 관한 자료는 주로 기초 법적 규제로서의ㆍ사회복지사업법ㆍ과 사회복지서비스 관련법들에 포함된 사회복지전문직 관련 조항들로 구성했다. 분석의 결과,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전문성은 사회복지조직과 사회복지사라는 이중적 경로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 가운데서도 초기 사회복지전문직의 형성과 법적 제도화는 조직 차원의 경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밝힌다.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직화는 후에 그로부터 파생되었으며, 주로 전문직 구성에 필요한 통제적 파워 요건의 법적 제도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음이 확인된다. 분석에서는 또한 현재 사회복지사가 확보하는 전문적 정체성은 ‘고유성’보다는 ‘범용성’에 가깝다는 사실도 밝힌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문직의 새로운 정향(定向)으로 다음을 제안한다. 첫째, 조직적 혹은 성찰적 전문성과 같은 새로운 전문직주의의 개념을 적극 수용해야 한다. 둘째,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 전문직주의의 내용 속성을 주도하는 대학 교육의 변혁이 일차적으로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화 프로젝트는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으므로, 보다 적극적으로 추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정체성을 법적 규제에 관한 자료에 의존해서 파악한 것에 있다. 제도화의 과정적 측면에 대한 설명은 후속 연구들을 통해 보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about the institut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profession in Korea. Analysis has been done on 「Social Services Act」 and the other related Acts that include those basic legal regulations for social welfare workers as well a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purpose is to find what are the institutional paths followed by the principal agents in Korea to build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ctiv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al welfare profession has followed dual professionalization paths, and that legal institutionalization has initialized from the path of professionaliz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is study also finds that social welfare workers’ professionalization project has been pursued to strengthen control powers through legalization process, and that the present institutional status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Korea has been identified more as ‘inclusiveness’ than as ‘exclusivenes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new concepts of organizational and/or reflective professionalism should be adopted. Second, needed ahead is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al welfare college education for progressing to the new paradigm of professionalism. Third, as it has sufficient values itself, the social welfare workers’ professionalization project should be actively pursu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lie in the data dependency on the final aspects. Further follow-up studies would be valued to examine the process aspects of social welfare workers’ professionalization project in Korea.

      • KCI등재

        사회복지비영리조직의 자율규제(self-regulation)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순영 ( Soon Young Moo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비영리조직의 책임성 강화를 위한 규제의 지평을 확대하기 위하여 자율규제(self-regulation)방안들을 검토하여 보았다. 사회복지비영리조직은 공익에 종사하면서도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규제방식도 이들 집단의 자율성과 자발성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규제에 대한 집단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면 규제의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다. 따라서 민간의 자율성을 고려한 규제 방식인 자율규제(self-regulation) 유형을 통하여 사회복지비영리조직들의 규제 형태를 분석하고 향후 실현 가능한 자율규제 발전 유형과 이를 위한 과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Gugerty, Mary Kay. Sidel, M. and Bies, A. L(2010)의 비영리부문의 자율규제 유형구분과 정부개입의 정도를 기준으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논문, 법률 및 입법자료, 비영리단체의 간행물, 정책보고서, 정부 간행물, 신문, 비영리단체 발간물 등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사회복지비영리조직의 자율규제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정부의 자율규제강제(유형 I)``, ``정부의 자율규제 촉진(유형Ⅱ)``, ``자율규제 유형(유형 Ⅲ)`` 중에서 우리나라 사회복지비영리조직에서는 ``유형 I``이 가장 발달하였다. 그러나 이 유형은 규제 담당 인력의 부족과 사회복지현장에 대한 지식의 부족, 사회복지비영리조직들의 규제회피 등으로 규제의 실효성이 높지 않았다. 둘째, 법률로 인정한 민간협회나 제3자 기관이 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심사하는 형태로 규제가 실행되는 ``유형Ⅱ``는 아직 발달하지 못하였다. 법률이 인정한 전국적인 조직 ``사회복지협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법률상 사회복지에 대한 조사 연구와 각종 사회복지사업의 조성으로 역할이 한정되고 감시와 평가 기능은 배제되어 규제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유형 Ⅲ- 우리나라 사회복지비영리조직에는 회원위주로 승인하여 운영되는 기부자 주도 프로그램, 민간협회를 통한 민간기관들의 자발적인 인증 자격프로그램, 민간협회에 의한 집합적인 자율규제, 자발적 윤리강령- 중에 그 어떤 형태도 발전하지 못하였고,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사회적 환경도 전혀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현재로서는 규제에 대한 사회복지비영리조직들의 순응도를 높이면서 규제 비용을 줄이고 가장 실현가능성이 높은 형태는 ``정부의 자율규제 촉진(유형 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 point. First, review the concepts and the types of self-regulation and typology of non profit organizations in western countries. Second, analyze the type of the Korean Nonprofit Social Service Sector`s self-regulations. Third, problems and limitations associated with self regulation in Korea are examined, and the topics for development of the applicable self-regulation are also discu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Government Enforced Self-regulation(typeⅠ), Government Stimulated Self-regulation(typeⅡ), and Self-regulation(typeⅢ), the type I has been dominated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Due to the lack of manpower needed for regulation and knowledge on social service field along with evasion from regulation by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however, the type I has been found to be less efficient. Second, the typeⅡ, which regulates in the form of screening the association of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third party whether they are eligible by law, is in the less developmental stage. Although the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has been established and operating by the law, its role is limited to research projects. Since monitoring and evaluation functions have been excluded, it does not act as a regulatory body. Third, in Korea, the typeⅢ, which includes donor-led programs or clubs,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programs-voluntary clubs, collective self regulation, and voluntary standards/code of conduct, has not been developed, and even social environment for the type Ⅲ has not been formed yet. By judging from these findings, typeⅡ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feasible ways to increase the level of adaptation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o regulation while decreasing the cost of regulation.

      • KCI등재

        기부영역 선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 사회복지영역과 비사회복지영역 및 비기부 집단의 비교

        강철희 ( Chul Hee Kang ),변은지 ( An Gie Byun ),구지윤 ( Ji Youn Ku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1

        본 연구는 나눔문화 확산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주제인 일반시민의 기부영역 선택행동을 탐색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 재단 기부문화연구소가 격년으로 전국민을 대상(시민 1,016명)으로 실시하고 있는 조사 자료 『Giving Korea』2008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부선택 분야를 대상 영역 중심의 네 범주(사회복지영역 비사회복지영역-사회복지 및 비사회복지영역 모두·비기부)로 구분하여 기부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기부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사회·행동적 요인(사회기관에 대한 신뢰, 나눔사회화, 자원봉사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서는 다항로짓회귀분석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을 사용하였다. 우도비 검증 결과, 심리사회·행동적 요인 중 사회기관에 대한 신뢰와 나눔사 회화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종교(개신교), 연평균가구소득, 직업(자영업과 화이트칼라)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행동적 요인 중 자원봉사활동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제한적인 수준 (marginal level)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전까지 발표된 기부참여 여부 혹은 기부 노력 수준 등에 관한 분석을 넘어 국내에서는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던 주제인 기부자의 기부영역 선택에 관심을 두고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관련하여 실증적으로 새롭게 탐색했다는데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에 집중하는 기부자들의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 기관의 자원개발과정에서 중요한 표적 인구집단이 될 수 있는 이들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oice behavior of Korean citizens on giving target areas, which is an interesting topic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giving culture. Using Giving Korea 2008 data constructed from the biennial survey of the entire nation(1,016 citizens) by the Beautiful Foundation, this study classifies giving areas into four categories (only social welfare area, only non-social welfare area, comprehensive giving- giving to both areas, non-giving) and analyzes factors influencing their choice in giving. It examines the effects of citizens` 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education, relig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household income) and socio-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s (trust toward social institutions, socialization of giving,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analysis, this study employ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 of likelihood ratio test shows that trust toward social institutions and socialization of giving among socio-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hoice behavior in selecting an giving area. Among demographic factors, age, marital status, religion(protestant), household income, occupation (self-employed and white colla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itizens` choice behavior. Volunteering experience in socio-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s shows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marginal level. It is a first study on citizens`` choice behavior related to giving areas; it guides a new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choice behavior on the target areas of giving. It also has a practical implication in guiding fund-raising strategi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identifying attributes of donors concentrating on social welfare area. It broadens and promotes the understanding regarding such donor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whom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hould continuously care for and cultiv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