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원위 요골 골절에서 제한적 배측절개를 이용한 치료
오범석,최윤락,고일현,오원택,김남후,강호정 대한수부외과학회 2018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16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 involving sigmoid notch fracture, who were treated by limited dorsal approach retrospectively. Methods: Between June 2003 and December 2013, 743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Among them, 16 patients received conventional treatment, with additional limited dorsal approach. The fracture patterns involved sigmoid notch with dorsal lunate fossa depression, as well as distally displaced dorsal rim fragment. Radiologic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dorsal tilt, radial inclination, and radial shortening.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grip strength, motion range of the wrist joint, arm disabilities, shoulder & hand (DASH)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Results: The average radial inclination was 21°, with 5.6° of volar tilt and 0.1 mm of radial shortening.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ere 42.6° of flexion, 56.5° of extension, 23.4° of radial tilt, and 24.8° of ulnar tilt. The average grip strength was 81.3% of the opposite side. The average VAS and DASH scores were 1.1 and 21.3,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e case of sigmoid notch fracture involving dorsal lunate fossa depression fractures and distally displaced dorsal rim fractures, we were able to reduce and fix the fragment conveniently using limited dorsal approach. 목적: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관절 내 원위 요골 골절에 환자 중 제한적 배측 접근 술식으로 치료한 16례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3년 6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743명의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중 16례에서 기존의 술식에 추가적으로 제한적 배측 접근 술식을 시행하였으며, 골절양상은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배측 월상골와 함몰 골절, 후방벽의 골편이 원위로 이동한 경우였다. 수술 후 요골 경사와 수장측 경사, 척골변이 등을 측정하여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관절운동범위 및 악력, VAS score와 DASH score를 사용하여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요골 경사는 평균 21도 수장측 경사는 5.6도, 척골 변이는 0.1 mm였다. 관절운동범위는 굴곡 및 신전은 평균 42.6도, 56.5도였으며, 요측 및 척측 변위는 평균 23.4도, 24.8도였다. 악력은 술 후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81.3%였다. VAS score는 평균 1.1점, DASH score는 평균 21.3점이었다. 결론: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배측 월상골와 함몰 골절, 후방벽의 골편이 원위로 이동한 경우 등에서 제한적 배측 접근 술식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골편의 정복과 고정을 할 수 있었다.
경주용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형상에서의 열 응력 및 구조 해석에 관한 융합 연구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In this study, the model A with the existing shape used at racing car and the model B with light weight were designed. The structural analysis with thermal deformation and stress were carried out. Model A shows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is lower than model B. The cooling performance due to the shape of the disk without any other cooling conditions can be shown to be better for model A. Model A was seen to be superior in durability as the thermal stress reduced by almost twice as much as model B. The part where the greatest stress occurred appeared to be the hole jointed with the hub regardless of its shape. The analysis results at this study are seen to be useful at designing the shape of the actual vehicle brake disc.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at grasping the strength of the brake disk for racing car practically. By utiliz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brake disk for racing car, this study is seen as the convergence study that the aesthetic design and analysis are applied. 본 연구에서는 경주용 자동차에서 기존에 사용 중인 형상을 가진 모델 A와 경량화를 한 모델 B를 설계하고 열 변형과 열응력을 동반한 구조해석을 하였다. Model A가 Model B에 비하여 최고온도가 낮음을 보인다. 다른 냉각 조건이 주어지지 않고 디스크의 형상에 따른 냉각성능은 Model A가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Model A가 Model B에 비하여 거의 2배 이상으로 그 열응력이 낮아져 내구성면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응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부분은 형상에 관계없이 허브와 접합되는 구멍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해석결과는 실제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의 형상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고 보인다. 본 연구에서 얻은 해석 결과는 실제적으로 경주용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의 강도를 파악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경주용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의 해석 결과를 이용함으로서, 본 연구가 미적인 설계 및 해석이 적용된 융합 연구라고 보여진다.
항공기의 형상에 따른 표면에서의 유동해석에 관한 융합 연구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7
In this study, the velocity distribution and pressure of the flow with the shape of the aircraft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its flight performance. In order to compare the flow rate and its pressure applied on the surface of airplane each other, models A and B have the blunt and sharp shapes as the distinctive shapes of airplan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lower the maximum speed of the flow around the airplane, the less resistance the navigation produces, the less fuel consumption, which is more efficient for the sharp model B than the blunt model 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wing area and the head part of the body should be designed to withstand the pressure greater than the body. It is shown that the sharp model B can withstand more pressure due to flow than the blunt model A.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의 형상에 따른 유동의 속도 분포와 압력을 해석하여 그 비행 성능을 조사하였다. 비행기에 표면에 부하되는 유동 속도와 그 압력을 서로 비교하기 위하여 뚜렷한 형상의 항공기들로서, Model A와 B는 뭉툭하고 날카로운 형상을 지니고 있다. 비행기 주위에 흐르는 유동의 최대속도가 적을수록 운행의 저항이 덜 발생하여 연료 소모가 줄어든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으며 이는 뭉툭한 model A보다 날카로운 model B 가 더 효율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로서는 날개 부위와 본체의 헤드 부분을 몸체보다 큰 압력을 견딜 수 있게 설계해야 하며 뭉툭한 형태인 Model A로 설계하였을 때보다 Model B인 날카로운 형태로 하면 유동에 의한 압력을 보다 더 버틸 수 있다고 보인다.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따른 열응력 해석에 관한 융합 연구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7
In this study, thermal stress analysis by shape of piston head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hape of a durable piston. As the result, the farther the temperature is from the part where the temperature is applied, the lower the temperature can be see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iston head, the heated area became different. So, it could be seen that it affected the piston column part and the skirt part. This study showed that three models produced the least stress from the center of the piston head in the same way. Model A showed the smallest stress resulting in the yield compared to the other two models. Model B is a plate type piston head with a concave shape of the piston head, indicating that it is the model that has the least effect on the surrounding area at the center of the piston head. Model C showed the greatest stress resulting from the y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lso thought to be useful for designing the shape of durable pistons. By utilizing the thermal stress analysis due to piston head shape, this study is thought to conform with the aesthetic design. 본 연구에서는 피스톤 헤드의 형상별 열응력해석을 진행하여 내구성이 있는 피스톤의 형상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온도가 가해지는 부분에서부터 거리가 멀수록 낮은 온도를 볼 수 있다.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따라 열을 받는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피스톤 기둥 부분과 스커트부에 영향을 끼치게 된 점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모델이 동일하게 피스톤 헤드의 중심부에서 가장 적은 응력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del A는 다른 두 모델에 비해 항복이 발생하는 응력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Model B는 접시형 피스톤헤드로서 피스톤 헤드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피스톤 헤드 중심부에서는 주변 부분에 영향을 가장 덜 끼치는 모델임을 알 수 있었다. Model C는 항복이 발생하게 되는 응력이 가장 크게 보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내구성이 있는 피스톤의 형상 설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따른 열응력 해석을 적용함으로서, 본 연구가 미적인 융합에 부합된다고 사료된다.
오범석,박재일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Kanban은 과잉생산을 억제하는 도구로 Toyota 생산현장에서 구현한 생산 통제방법이 다. Kanban은 반드시 필요한 양만을 필요한 시기에 생산하도록 하여 과잉 생산을 억제하고, 재공재고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여 눈으로 보는관리와 작업지시의 도구로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Kanban System을 적용하기 위한 조건들 과 Kanban에 대한 설계 및 사용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또한 Kanban System의 효율적인 설계와 운용을 위하여 물리적인 Simulator를 구현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생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 Kanban의 설계와 운영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쇽업소버 오리피스 유형별 유동해석을 하였다. 좋은 차의 기준에서 중요한 승차감을 위해서는 쇽업소버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해석 절차로서, 실제 쇽업소버의 실린더가 전진될 때의 속력을 유동 속도로 설정하여 쇽업소버의 모델 A, B, C들에 대한 유동 해석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유동해석을 통해 각 모델의 오리피스 근처에서 유동흐름을 고찰하여 쇽업소버의 성능을 알아보았다. 전반적으로 모델 A가 유속이 가장 빨랐으며 유동변화 또한 가장 컸다. 모델 B가 유속이 가장 느렸으며 오리피스의 개수가 같은 모델 B, C의 유속 형상들은 비슷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느 쇽업소버 오리피스 모델이 실린더 내에서의 유동을 원활히 하여 승차감을 상승시키는지를 알 수 있다. 쇽업소버 오리피스의 유형별 유동해석에 대한 본 해석 결과는 디자인 분야에 융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고 보인다. In this study, the flow analyses by type of shock absorber orifice were carried out. A shock absorber is indispensable for the ride comfort that is important at the standard of a good car. As the analysis procedure, the actual speed of the shock absorber was set as the flow rate when the cylinder was advanced. And the flow analysis results on models A, B and C of shock absorber model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the examination on the flow orifice in the vicinity of each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flow, the performance of shock absorber were recognized. On the whole, model A had the fastest flow rate and also had the largest flow rate. Model B had the slowest flow rate and the flow rate features of models B and C with the same number of orifices were similar.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ee which shock absorber orifice model facilitates the flow inside the cylinder and increases the ride comfort. It is seen that this analysis result on the flow analyses by type of shock absorber orifice can be applied by converging with the field of design.
차량 창문 개폐에 따른 내부에서의 유동 해석으로의 융합적 고찰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In this study, the pleasant driving environment of the driver and passenger in the summer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internal flow analysis of air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windows. The conditions on the entrance of the air conditioner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status of vehicle window were applied to the flow analysi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The automotive air conditioning outlet, the seat and the inside of car were modeled. As the air flow inside the car was analyzed, the air flow configuration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ere examined. In this analysis, the results were taken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ffects of internal ai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window, assum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s insulation. The analysis of each condition shows that these models maintain a pleasant environment. It is seen that this analysis result on the internal flow analysi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window can be applied by converging with the field of design.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창문의 개폐에 따라 공기의 내부 유동 해석을 통하여 여름철에 운전자와 동승자의 쾌적한 운전환경을 고찰하였다. 실제 운전 환경을 고려하여, 자동차 창문 개폐 상태로서의 에어컨 입구 조건들을 유동 해석에 적용하였다. 자동차 에어컨 토출구, 시트 그리고 실내를 모델링하였고, 차 내부에서의 공기유동을 해석하여 공기의 유동형상과 내부의 온도분포를 확인하였다. 본 해석에서는 공기 유입부와 배출구를 정하고 자동차 내부를 단열상태로 가정하고 내부공기와 창문 개폐의 영향만을 고려해서 결과를 보았다. 각 조건들의 해석을 고찰해보면 본 연구 모델들이 쾌적한 환경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차량 창문 개폐에 따른 내부에서의 유동에 대한 본 해석 결과는 디자인 분야에 융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고 보인다.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전복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Model A와 Model B의 중형 세단 차량들의 사이드 도어들을 구조 해석으로 서로 비교한다. 구조해석 결과, 두 모델 모두 전복 사고나 충격 시 하중이 작용되는 부분에서 최대 변형 이 일어났고 2개의 모델 중 Model A가 Model B와 비교하면 충격력을 더 견딜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 응력이 일어났고 Model B가 Model A보다 2.5 배 더 응력이 커진다. 충돌 사고가 일어날 시, 2개의 모델 중 그 최대 응력이 작은 Model A가 Model B와 비교하면 더 큰 충격력을 견딜 수 있다. Model B가 Model A보다 더 큰 변형량을 갖는 것으로 보아 측면 충돌 사고에서는 Model A보다 위험할 것으로 사료된다. 차종별 차량 옆문의 충돌 해석을 적용함으로서 본 논문에서의 연구 결과는 미적인 설계를 적용할 수 있는 융합 연구자료로서 유리하다고 여겨진다. In this study, the side doors of mid-size sedan vehicles of models A and B which are currently prone to rollover accident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the structural analyses.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both models showed the maximum deformation at the point of overturning or impact load, and the model A of the two models was able to withstand greater impact load compared to the model B. In addition, the maximum stress happened at the door edge, and model B was 2.5 times more stressed than model A. In the accident of a crash, model A, which has the smaller maximum stress, is able to withstand greater impact loads than model B. Since model B has a larger deformation than model A, it is considered to be more dangerous than model A in the side impact accident. By applying the impact analysis of automotive side door by the class of vehicle, the study result at this paper is considered to be favorable as the convergent research material which can apply the aesthetic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