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imple and robust route toward flexible CIGS photovoltaic devices on polymer substrates: Atomic level microstructural analysis and local opto-electronic investigation

        Kim, Kihwan,Kim, Juran,Gang, Myeng Gil,Kim, Se-Ho,Song, Soomin,Cho, Yunae,Shin, Donghyeop,Eo, Young-Joo,Jeong, Inyoung,Ahn, Seung Kyu,Cho, Ara,Kim, Jayeong,Yoon, Seokhyun,Choi, Pyuck-Pa,Jo, William,Ki Elsevier 2019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195 No.-

        <P><B>Abstract</B></P> <P>In this work, 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Cu(In,Ga)Se<SUB>2</SUB>; CIGS) absorbers were grown on polyimide (PI)/molybdenum substrates by a three-stage co-evaporation process at various temperatures, film formation was systemically studied using various advanced characterization methods such a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icro-Raman spectroscopy, Kelvin probe force microscopy, and atom probe tomography. The CIGS films on PI were found to exhibit considerable physical and electrical variations with respect to the process temperature of three-stage co-evaporation. In particular, when the process temperature reached 400 °C, the CIGS absorber on PI began to exhibit controlled microstructure and intergrain properties. By adjusting the microstructure and intergrain properties of the absorber films by means of the process temperature of three-stage co-evaporation, flexible CIGS solar cells on PI with an efficiency of 16.7% (with anti-refection coating) were achieved.</P> <P><B>Highlights</B></P> <P> <UL> <LI> CIGS absorber films were grown on flexible polyimide/molybdenum substrates. </LI> <LI> Low-temperature three-stage process (≤440 °C) with extrinsic Na addition was used to CIGS growth. </LI> <LI> CIGS film evolution was systemically observed using advanced material characterization techniques. </LI> <LI> Highly efficient CIGS cells on flexible polyimide substrates were realized while maintaining process manufacturability.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KCI등재
      • 이산사건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무선 LAN MAC simulator 구현

        주영혜,안치훈,박세현,김준년 중앙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0 정보통신연구소논문집 Vol.2 No.2

        최근 무선 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무선 랜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뮬레이션의 가장 중요한 기능적인 면은 시뮬레이션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IEEE 802.11 표준문서에 기초한 정확한 구현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IEEE 802.11 표준문서에 기초한 무선랜 시뮬레이션, WLANSim의 구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WLANSim의 소개, 상세한 설명과 WLANSim을 이용하여 실제로 CSMA/CA에 서 충돌발생을 측정한 결과도 실었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제안된 시뮬레이션 WLANSim은 IEEE 802.11 표준문서를 따르고 그에 따라 구현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With the ever increasing use of wireless LAN, the simulator that could measure the performance of wireless LAN is getting much attention these days.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 aspect of the simulator is the exact implementation of IEEE 802.11 standard which decides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results. This paper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of the wireless LAN simulator named WLANSim based on the IEEE 802.11 standard. It contains the introduction and the detail description of WLANSim and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measurements of the collision occurrenc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proposed WLANSim is implementing and following procedures described in IEEE 802.11 standard.

      • 급성기 뇌졸중 환자 자살 사고

        김세주,김영신,최낙경,서동향,이병철,이만홍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2

        연구목적: 일반적으로 자살과 자살 사고의 가장 주된 위험 인자는 우울증,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과적 질환의 동반 유무이다. 그러나 정신과적 질환 외에 신체적 질환의 동반 유무 또한 자살 및 자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신체 질환과 마찬가지로 뇌졸증 환자들에 있어 자살율이 증가한다는 몇몇의 보고들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자살 사고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살 사고의 발현율을 조사하고, 자살 사고 유무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인 및 신경과적, 정신과적 임상 양상에 있어서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9년 7월부터 2000년 6월까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뇌졸중 센터에 입원한 77명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Beck Suicidal Ideation Scale(BSIS)을 이용하여 자살 사고를 평가하였고, 우울 증상과 불안 증상은 각각 Beck Depression Inventory(BDI)와 Beck Anxiety Inventory(BAI)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체계의 정도는 사회적 지지체계 척도(Social Support Scale)를 사용하였으며, 뇌졸중 후 신경학적 장애의 정도는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NIHSS)와 Barthel's Index를 사용하였다. 결과: 약 35%의 뇌졸중 환자들이 심한 자살 사고를 보고하였다. 심한 자살 사고군에서 심하지 않은 자살 사고군에 비해 BDI, BAI 그리고 사회적 지지체계 척도 점수가 높은 반면, Barthel's index와 NIHSS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심한 자살 사고를 지닌 뇌졸중 환자의 대부분은 우울 증상이나 불안 증상을 가지고 있었으나, 일부의 환자들은 우울 증상이나 불안 증상 없이 자살 사고를 보고하였다. 결론: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많은 수가 정신과적 평가와 개입이 필요한 자살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모든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불안 및 우울 증상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방법을 통한 자살 사고의 평가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res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of suicide. Also, suicidal risk is known to be increased in patients who have serious medical illnesses. Like in patients with other medicalillness, some authors reported that suicidal risk is increased in patients with stroke. But there have been no reports with korean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suicidal ideation of patients in the acute stage of stroke, an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ymptoms betwee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suicidal ideation. Method: Seventy seven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at the Hallym Stroke Center from July of 1999 to June of 200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eck Suicidal Ideation Scale(BSIS) was used to evaluate suicidal ideation.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Beck Anxiety Inventory(BAI) for depression and aniety, and Social Support Scale(SSS) for social support system of the stroke patients were used. Neurologic disabilities were rated wit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NIHSS) and Barthel's Index. Results: Thirty five percent(N=27) of the stroke patients reported severe suicidal ideation. Scores of BDI, BAI and SSS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severe suicidal ideation than their counterpar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arthel's index score and NIHSS between two groups. Most patients with severe suicidal ideation had depressive or anxiety symptoms. But patients without depressive or anxiety symptoms also reported severe suicidal ideation. Conclusions: Thirty five percent of stroke patients in acute stage of their illness have severe suicidal ideation that requires careful psychiatric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clusion of routine assessment of suicidal ideation in these patients is recommended.

      • 이상혈색소의 α-chain 분리방법에 관한 연구

        김선주,김창세 순천향대학교 1992 논문집 Vol.14 No.4

        On the separation of an abnormal hemoglobin, α-chain anomaly, I have studied by various methods including the electrophoresis of agar gel, vertical starch gel and Supersepraphore Ⅲ polyacetate membrane, and isoelectric focusing of polyacrylamide gel, Sephadex G-75 gel and column, density gradient of sorbitol. Among these methods the best screening of abnormal hemoglobin was an agar gel electrophoresis(Kim-Shim's methods) I thought. For the identification of abnormal chain the Supersepraphore Ⅲ polyacetate electrophoresis was a most good method because it has a simple procedure and less time consuming. For the separation of an α-chain anomaly, it was at first performed by a column electrofocusing. It was a good procedure, I thought, because it was removed the minor component of hemoglobins.

      • 중등 특수학급 운영 개선 방안

        김주영,이미선,이유훈,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1 연구보고서 Vol.-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등 특수학급 운영의 개선 방안과 그에 따를 정책 과제를 제시하는데목적을 두고 중등 특수학급의 개념과 특성, 우리나라 특수학급의 설치 배경과 현황을 상세히 기술하였으며, 특수학급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등 특수학급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특수학급의 운영을 어렵게 하는 요소들을 분류하고 각 요소별 문제들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과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 학교 사회 인식의 개선 방안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개선:시·도 교육청 단위에서의 연수기회를 늘리고, 연수 내용을 교사와 관리자의 요구에 맞게 조정하며, 일반학교에서의 실제 적용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실제들을 제시해야 한다. 학생과 부모의 인식 개선:학생과 부모는 전문적인 연수보다는 지속적인 자극과 접촉 및 참여 기회 등을 제공함으로써 감정적으로 다가설 수 있도록 체화(體化) 시키는 과정들을 마련해야 한다. 정책 과제:일반학교 관리자 및 교사의 연수기회를 확대 강화하여야 한다. 일반학생의 장애인 이해와 남을 배려하고 함께 살아가는 인성 함양을 위한 교과별 장애인 관련 단윈을 개발해야 한다. 일반학생과 부모들의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취학 업무의 개선 방안 특수학급 설치 비율의 불균형 해소:중등 특수학급의 특성을 고려한 운영 정책을 펴 나가야한다.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 지역에서는 장애 유형별 특수학급을 설치하고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는 모든 학교에 특수학급을 두어 단 한 명의 학생이라도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지정ㆍ배치 과정의 현실적 개선:장애학생의 진단ㆍ평가에 필요한전문교사집단의 인적 자원과 각종 검사도구 및 시사ㆍ설비, 인터넷망, 사도 교육청과의 직접적인 연계, 지역사회 협력 네트웍 등의 물적 자원 등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특수학교 중심의 '특수교육지원센터'나 지역사회 '장애인복지전문기관' 등을 활용한 실제적 진단ㆍ평가를 하도록 모색해야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지정·배치의 원칙:특수학급 교사는 일단 학교 내 특수교육 대상자를 선별(screening)한 후 선점 및 배치 신청을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 진단평가는 초등학교학생 중심으로 실시한다. 초등학교에서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된 학생들은 상급학교의 특수학급 입급을 희망할 경우 별도의 선정과정 없이 지정ㆍ배치를 받도록 한다.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된 학생들이 상급학교로 진학할 때는 반드시 전학년까지의 특수교육 수행자료를 첨부하여 제출하도록 한다.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 처음으로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받고자 하는 학생들은, 중학교는 초등학교 6학년 말(중학교 배정 시기), 고등학교는 중학교3학년 말(고등학교 지원 시기) 지역 교육청 및 시·도 교육청에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지정ㆍ배치 신청을 한다. 정책 과제:특수교육 대상자 진단ㆍ평가 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여야 한다. 장애학생들의 타 학교 전학 또는 상급학교 진학에 필요한 최소한의 특수교육 수행자료를 규정하여 구비하도록 하여야 한다. 특수학급 운영 환경의 개선 방안 물리적 여건의 개선:일반학교 내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시·도 특수교육 담당 행정가를지원하고 독려해야 한다. 일반학교 내 장애학생 관련 편의시설과 유초ㆍ중고등학교별 특수학급의 시설 및 교구 설비에 관한 명확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학교 순회교육의 개선:특수교육진흥법시행령 제13조의2 제2항을 삭제하고 농촌 등 학교의규모가 작고 원거리에 흩어져 있는 지역은 반드시 모든 학교에 특수학급을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 개선:보조교사,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 담당교사, 순회교육교사 등을 특수학급에 함께 배치하여 업무를 상호 분담하고 통합교육 지원 이외의 특수학급 교사의일반학급 수업 지원을 한정하여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의 처우 개선:특수교육 경력에 대한 승진 가산점 부여의 존폐에 대해 신중히대처해야 한다. 특수교육 교사 양성체제가 일반교사와 이원화되어 있는 현 상황을 둔 채로특수학급 교사의 승진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단기적 방안은 찾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장기간에 걸친 단계적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정책 과제:특수학급의 시설 설비 기준을 규정하고 일반학교에 설치하여야 할 장애학생편의시설의 종류와 규격, 기준 등을 마련하여야 한다. 보조교사의 안정적인 배치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특수교육 경력에 대한 승진가산점 부여 제도와 특수학급 교사의 근본적인 승진차별구조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와 개선책을 제시해야 한단. 특수학급 운영 지원의 개선 방안 장학 및 행정 지원 개선:각급 교육청의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 행정 지침서를 개발해야 한다. 신임 특수교육 업무 담당 전문직을 위한 직무연수를 의무화해야 한다. 교육청별로 특수학급 교사 연구회를 조직하고 지원해야 한다. 재정 지원 개선:특수학급 운영에 필요한 제경비를 '학교 운영비'에서 지출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액으로 교부하고 있는 '학교 운영비'와는 별도로 그동안 목적성예산으로 시·도마다 특수학급에 지원해 온 '특수학급 운영비'를 당분간 계속 지원해야 한다.특수학급 교사들의 '학교 운영비' 등 예산 운영에 대한 이해를 높여아 한다. 학교의 지원 개선:교사 스스로 적극적인 태도를 길러 일반교사와 잦은 교류를 통한 원만한인간관계 형성에 주력함은 물론,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적용 가능한 특수교육 직무연수를 확대 실시하여야 한다. 정책 과제:교육청 특수교육 담당 장학관(사)을 위한 장학 행정 지침서를 개발하고 정기 직무연수를 실시해야 한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에서 특수학급 운영비를 목적성 경비로 확보해야 한다. 학교 관리자의 장애학생 교육 및 특수학급 운영 지원에 관한 최소한의 지침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직무연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의 자질과 역할의 개선 방안 특수학급 교사의 자질 개선:특수학급 교사들이 자격이나 이력(경력)과 같이 누구나 객관적으르 확인하고 인정할 수 있는 공적 자질도 잘 갖추어야 하지만, 보다 더 근본적인 것은 일반교사에게서 기대하기 힘든 인성과 태도가 요구된다.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개선: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은 통합교육 개시의 기초를 정립하고,적합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학교 전체 환경 내에서 장애학생의 활발한 참여를 촉진시키며, 일반 학급 내에서 장애학생의 구성원 자격을 확보시키며, 일반 학급에서 장애학생의 적극적 수업참여를 촉진하며,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에게 구체적 상호작용 방법을 교수하며, 일반학급 교사와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특수학급의 설치 목적인 장애학생의통합교육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활동에 모아져야 한다. 특수학급 운영 형태의 개선 방안 우리나라의 중등 특수학급 운영 형태는 대부분 시간제로, 특수학급교사의 의지나 관리자의요구, 학교의 형편에 따라 더 많은 형태들이 존재한다. 무엇보다 특수학급의 운영 형태는 학교와학생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연한 특수학급 운영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보다 적절한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일반학생이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데 도움을 준다. 정책 과제: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특수학급 운영 형태를 개발해야 한다. 협력 수업과통합학급 교사 지원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교육과정의 수정:교육과정의 수정이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활발히 연구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수정은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고려하되 장애학생의 특별한교육적 요구에 적절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수정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필요가있다. 교육과정의 수정은 융통성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중등 특수학급 학생을 지도하는데 요구되는 교수 방법이나 수정된 교육과정의 적용에 관한 다양한 연수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중등 특수학급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육과정 수정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평가:수업에 도움이 되는 요소와 방해가 되는 요소를 밝히기 위해 교실환경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준거지향적 평가, 교육과정중심 평가, 수행평가 등 학습수행 평가가이루어져야 한다.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의 개선:학교 관리자들의 재량활동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하고, 재량활동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원활한활동을 위해 지역사회 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의 능력에 맞는 적절한 특별활동에 참여시켜야 한다. 치료교육활동의 개선:중등 특수학급 학생의 장애 상태와 주요 문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학급 학생은 일반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특수학급 학생들의 치료교육에는 일반학생들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 부모와 지역사회 인적자원을 활용한다. 보다 전문적인 치료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특수학급에치료교육 교사를 배치해야 한다. 특수학급 학생의 치료교육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관련기관(인근 복지관, 치료센터)과의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이 연계체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직업 및 전환교육의 개선:성공적인 전환교육을 위해서는 관계기관이나 관련 인사아의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부모의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장애학생의 진로 지도를 위한 기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장애학생이 직업과 관련된 적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실제 노동 현장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근로 현장과 연계 교육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장애학생의 직업진로지도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충원되어야 한다. 직업훈련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산학협동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개별화교육계획 개선:특수학급에서 개별학교육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교사는 교과 내용의 수정, 교수방법의 수정,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 평가의 개별화 등의 운영을 잘 해낼 수 있어야 한다. 정책 과제: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일반교육과정의 교과별 수정 자료 등을 개발 보급하여야한다. 중등 특수학급 학생들의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지침을 개발하여야 한다. 특수학급의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수집하여 보급해야 한다.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교사를 순회 배치해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운영에 관한 전산화 프로그램 등을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trategies and policy issues for improving the special classes management of secondary schools in Korea. A review of related-literature was presented to provide (1)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and (2)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of secondary special classe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with people involved in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about the current status in and needs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analysis, the study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in and problems with secodary special classes and suggested strategies and policy issue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detail strategies and policy issu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s toward special classes have to be improved.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teacher training at the level of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ust be expanded. Also, efforts for improving the awarenes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have to be made in another direction. Second, improvement in procedures related to enter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must be made. The disproportionate ratio of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in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to be made balanced. Principles for assessing and plac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to be established, and the procedures of the assessment and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to be improved realistically. Third, environment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have to be improved.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and educational equipments and materials in special classes must be improved. Special class teachers' work have be reduced, and special class teachers must be given better treatment. Fourth,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have to be supported. Administrative support and supervision for special classes must be strengthened and stable support for the budget of special classes be guaranteed, special class teachers must have knowledge about the management of the budget for special classes, and all the staff members in secondary schools have active interests in and support for special classes. Fifth, the quality and roles of special class teachers must be improved. Better personality and attitudes are demanded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roles of special class teachers have to be focused on appropriately integr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o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Sixth, the management forms of special classes have to be diversified. The management types of special classes appropriate to the current status in Korea must be developed and in-service training in supporting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using cooperative teaching has to be provided for special class teachers. Finally,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have to be improved. Principles and methods for adapting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and the evaluation of curriculum be carried out thoroughly. Optional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rapeutic education activitie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nsition education have to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ppropriate to the conditions of schools and communities. Also, strategies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IEP have to be provided.

      • KCI등재

        An analysis on supporting programs of procuring goods for export in Korea

        Kim,Jae Seung,Park,Se Hoon,Choi,Young Joo 한국무역상무학회 2010 貿易商務硏究 Vol.48 No.-

        To promote the nation's exports, in Korea several government led programs are alive for procuring and manufacturing goods for export. The trade supporting programs are consisted of Trade Financing Program, Trade Tax Program, and Trade Insurance. The programs are summarized ; First, Trade Financing Program is available to exporters of procuring raw materials and finished goods for export. It is extended with exceptionally low interests from the Korean commercial banks. Second, Trade Tax Program provides whole or part of customs drawback to exporters. customs drawback is` made when exporters meet requirements of Customs for export. Third, Trade Insurance Program cover risks of uncertainty which is beyond the exporters' capacity at low insurance premium It is suggested that the exporters have deep knowledge of these three programs to their ends. Especially Trade Financing Program and Trade Insurance Program can be a combined work for the financially weak SMEs. Further, there are rooms for these programs to develop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E expor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