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세종,김세종,김민지,손동원 한국가구학회 2021 한국가구학회지 Vol.32 No.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crease the combustibility of wood for the promotion of wood use, which is emerging as a wa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s materials, red pine, Japanese larch, and Korean pine, which are major conifers us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phosphorus-based flame retardant was injected into the test specimens. Then, the peak heat release rate (PHRR) and total heat release (THR) were measured through the cone calorimeter test.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minimum amount of flame retardant absorption was 139 kg/m3 for incombustible material and 178 kg/m3 for semi-noncombustible material based on the regression curve between total heat release and the amount of flame retardant absorption.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性情論」에 나타난 유가 초기의 性情 개념 연구
김세종 중국인문학회 2022 中國人文科學 Vol.- No.81
이 논문은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 「性情論」에 드러나는 性과 情의 의미를 고찰하여 유가 초기의 성정 개념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상박초간』「성정론」은 『곽점초간』「성자명출」과 내용상 매우 유사하다. 두 문헌의 성립 연대는 대략 기원전 4세기 후반에서 기원전 221년 사이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맹자로부터 순자에 이어지는 사상적 가교가 되는 문헌이다. 논문의 주된 논의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정론」의 기초 개념은 天→命→性→情→道의 순서로 구성된다. 특히 天과 命은 공자에서 비롯된 유가의 전통적인 인식에 가깝고, 性에 대해서는 성의 선함을 긍정하는 등 맹자의 性論을 계승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소, 기러기, 인간의 性에는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여 性의 차이성을 보이는가 하면, 사물의 차이성에 대비하여 性의 동일성을 주장하는데 이는 性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되고 있는 정황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성정론」의 情字는 ‘있는 그대로의 실정’이라는 뜻이 확대되어 ‘감정’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는 있는 그대로의 실정이 곧 감정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성정론」은 仁이나 義 등의 기존 가치들에 대해서도 감정에 근본하는 것으로 여기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셋째, 「성정론」은 悅字로 표현된 기쁨의 정서가 사람의 행위를 유발하는 강력한 동기가 되며, 또한 이는 德이라는 내면적 가치와 매우 밀접한 관계임을 보여준다. 또한 德과 가르침[敎]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학문의 내용이 詩書禮樂에 해당하며, 이것이 人道의 내용이 됨을 밝혔다. 논의 결과 『상박초간』「성정론」은 맹자의 성선설을 계승하면서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보여주었고, 情은 ‘감정’의 의미로 사용되어 감정을 본격적으로 철학적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의의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맹자에 비해 상당히 진일보된 사유라고 할 수 있겠다.
비용.수익 리스크 기반 태양광사업 발전차액지원 기준가격 산정 프로세스 모델
김세종,구교진,Kim, Se-Jong,Koo, Kyo-Ji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0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1 No.1
정부의 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확대정책과는 달리 08년 발전차액지원 기준가격이 인하된 이후 태양광사업의 추진 건수가 대폭 감소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세계적 금융위기에 따른 재원조달의 어려움이 근본적 원인이기도 하지만, 현행 발전 차액지원 기준가격체계가 적정하지 못한데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지와 형식별로 여러 대안을 설정하고, 비용 및 수익의 변동 리스크를 반영하는 기준가격 산정모델(Cost & Benefit Risk Based Purchase Price Process Model : CBRP3 Model)을 제안한다. 발전설비 대안별로 투자비와 발전량의 변동데이터를 산출하여 재무템플릿에 입력한 후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대안별 발전원가의 확률분포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준가격체계를 도출한다. 도출된 기준가격체계와 현행 발전차액지원 기준가격체계를 비교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3차원 지형공간정보 기반 지붕형 태양광 어레이 배치 최적화 연구
김세종,구교진,Kim, Se-Jong,Koo, Kyo-Ji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6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renewable energy support policy such as the renewable energy utilization building certificate and enlarging the compulsory ratio of investment on the public building, the rooftop photovoltaic projects are expanding rapidly.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rooftop photovoltaic projects to analyze the shading effect of the adjacent structures or own facilities. But, the photovoltaic arrangements are planned by the experience of the designers or simple graphic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the process model for optimizing of rooftop photovoltaic arrangement based on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