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흉선의 증식 및 흉선종의 조직학적 고찰과 임상적 의의

        주종은,석동수 인제대학교 1989 仁濟醫學 Vol.10 No.2

        최근 8년간 부산백병원에서 흉선절제술에 의해 절제된 31예의 흉선에서 조직학적인 진단과 임상적 증세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The study was done on 31 cases of thymus which were resected due to mediastinal mass and or myasthenia gravis, from june 1979 to june 1987 in Pusan Paik Hospita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re were 9 cases of thymoma, 17 cases of follicular hyperplasia, 1 case of thymic cost and 4 cases of normal histology. 2) There were 8 males and 23 females. Four out of 9 cases of thymoma were male of above 40 years of age, and 14 out of 17 cases of thymic hyperplasia were female of under 50 years of age. 3) Myasthenia gravis was observed in 5 out of 9 cases of thymoma and in all cases of thymic hyperplasia and normal thymus. 4) There were moderate varieties of size and shape of lymph follicles in the thymus of follicular hyperplasia accompanying mild and focal infiltration of plasma cells and eosinophils. 5) There was a focal infiltration to the adjacent tissue observed grossly in 5 out of 9 cases of thymoma. But there was no histologically malignant cells observed. 6) There were 2 positive cases of 9 thymoma stained with EMA by PAP method which indicated epithelial nature of the thymoma.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복식 자궁적출술의 비교 연구

        김종혁,이상수,김천복,김대연,김용만,김영탁,목정은,남주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목적 :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수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 수술적 지표 및 재발률에 대하여 기존의 개복 수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8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저자들은 임상적 병기 I기인 79명의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골반 및 부대동맥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총 79명의 환자 중, 수술적 병기 I기와 II기로 판명된 74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같은 기간 동안에 개복수술을 시행한 환자중 복강경 수술군과 병기가 같은 168예를 선정하였다. 결과 : 평균 수술 기간, 수혈량은 양군에서 비슷하였으며, 평균 재원 기간은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수술전후 및 만성 합병증의 발생은 개복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획득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더 많았다. 복강경 수술군에서 1예, 개복 수술군에서는 2예에서 재발하였고, 2년 무병 생존률은 복강경 수술군과 개복 수술군에서 각각 97.5%와 98.6%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자궁내막암 치료로서 복강경 수술은 기존의 개복술을 대신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 방법이다. 개복 수술과 비교해 볼 때, 재발 및 생존율 면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향후 전향적이고 더 오랜 추적기간을 갖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outcomes of laparoscopic surgery and to compare surgical parameters and recurrence rate of these with those of conventional abdominal surgery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Methods : From August 1997 to November 2003, we have performed 79 cases of LAV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with or without lymph node dissection. Laparoscopic approach was adapted in patients with FIGO clinical stage I by imaging study. Of the 79 patients, 74 patients who were proved to be surgical stage I and II were enrolled in this comparative study. As a control group, We selected 168 cases for the laparotomy group of the same stages. Results : The mean duration of surgery, the amount of blood transfusion and hemoglobin chamges were similar in both the laparoscory and the convertional alparotomy group.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patients treated by laparoscopic surgery (10.2 vs. 15.5 days). The number of lymph node obtain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paroscopy group. Two 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were 97.5% in laparoscopy group and 98.6% in laparotomy group (p=0.763). Conclusion : Laparoscop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early stage endometrial cancer is safe and effective altematives in terms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Overal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however long term risk for recurrence and survival has yet to be defined.

      •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handicap

        김은주,김동일,박경숙,최종근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3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는 그 동안 국가에서 시행하는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과정에 포함되지 못했던 장애학생들도 그들 각자의 장애특성에 맞는 검사 수정 및 조정 방법을 통해 이러한 평가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지난 2002년에는 일반 평가 과정에 장애학생들이 동등하게 참여하고 평가 방법 및 절차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ㆍ기본학습능력을 평가하여 장애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였다. 2003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에 장애학생을 참여시키며,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대규모 평가과정에서 장애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근거자료를 확보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과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수교사, 일반교사, 장애학생과 그의 학부모, 졸업생 등 5개 집단 총 2,644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결과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 수는 2,196명으로서 83.1%의 응답률을 보였다. 응답자 중 특수교사들이 89.4%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졸업생은 72.6%로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대한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 장애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결과들은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항목 별 무 응답자는 제외하였고 각 집단의 응답결과 중 장애영역별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일반교사의 경우 초등과 중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리고 장애특성상 여러 가지 경사 조정을 적용하게 되는 시각장애학생을 위해 국가수준의 평가과정에서 적용하고 있는 시간연장 조건(맹: 1.5배, 저시력: 20분 연장)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2001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와 「2002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의 국어ㆍ수학(중3 및 고1용) 평가지를 이용하여 고1, 고2 시각 장애학생 197명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가 실시되는 전과정에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초등 6학년, 중학 3학년, 고등 1학년 장애학생 총 707명을 동등하게 참여시켜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고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을 조사하였다.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는 2004년도 분석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크게 3가지 연구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대한 필요성에 있어 응답자 대부분이 균등한 교육기회의 보장과 통합교육의 강조, 일반학생들과 장애학생들간의 성취수준 비교, 직접 평가를 통한 질 높은 교육과정의 제공 등을 이유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 다음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들의 학습에 대한 자기점검의 기회,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 교수제공에 필요한 정보 제공, 평가를 통한 장애학생의 동기유발강화, 진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개별화 프로그램 작성에 유용 등을 이유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나, 중증장애 학생들에 대한 평가체제의 미비, 학습과의 연계성 부족 등의 부정적인 견해도 나타나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에 다른 문제들에 있어 학사일정의 중복과 평가로 인한 교사의 수업결손, 평가방법의 미숙과 시간 배정의 문제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이나 시간변인의 조정 등을 통해 개선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외에도 평가실시와 관련된 필요한 지원이나 건의사항에 있어 관리자와 교사 모두 장애의 특성과 수준에 따른 적합한 평가문항의 개발, 평가대상 및 절차의 구체화, 의견 수렴을 통한 인식 공유, 중증 장애 학생을 위한 평가방법의 모색, 평가 시 인적 지원, 문항 수 감축과 평가시간의 확대, 일정에 대한 사전 통보 등이 문제점들로 지적되어 이에 대한 대비 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분석 결과이다.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1차 평가에서는 기존의 시간 연장 조건(맹학생은 1.5배 시간연장, 저시력학생은 20분 시간연장)을 그대로 적용하고, 2차 평가에서는 최대 시간 연장이라는 조건(맹학생은 1.5배 시간연장 이상, 저시력학생은 20분 시간연장 이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1차와 2차의 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2차 평가의 경우 1차 평가보다 전반적으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보였고, 이를 환언하면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검사 시간을 연장할 경우 일반학생들과의 학업성취수준의 편차를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평가에 적합한 시간량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추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실시 및 실시 과정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이다. 「2003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가 10월 23일 실시되어 평가 결과는 2004년도 연구에서 분석할 예정이며, 평가가 실시되었던 48개 특수학교의 학교관리자, 평가감독교사 및 평가관리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실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학교관리자나 특수교사 모두 장애학생의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참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이 평가가 '자기 점검의 기회',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 '평가를 통한 효율적인 학습지도 가능', '일반학생들과의 객관적 비교를 통한 학생의 현재 학업성취도 파악'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용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하지만, 학사일정이 중복되거나 평가로 인한 교사의 수업 결손 등을 이유로 평가 실시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장애학생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평가 문항의 개발 및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되, 일반학생과 함께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해야 할 것이다. 평가 대상은 학생의 배치 상태와 상관 없이 모든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학생 중 초6, 중3, 고1과 고3으로 한다. 평가 교과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교과로 하고 장애학생의 특성상 교과 외 읽기ㆍ쓰기ㆍ셈하기와 정보활용능력, 사회성 능력, 기초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지기주도학습능력 등에 대한 평가도 실시한다. 학생의 성취도 평가, 교육과정의 적절성 판단, 교육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그리고 교육효과 점검에 평가의 활용 목적을 두어야 한다. 평가 시기는 9월~12월 사이 일반학생들과 같은 시기에 하는 것이 적절하며, 평가 결과의 정보 중 각 학생의 성취 수준은 물론 평가와 함께 조사되는 학생의 과목별 흥미도와 선호도도 공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생의 장애인 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장애유형 및 정도를 고려해서 검사조정 방법을 다르게 제공하되 검사 조정한 사실을 공개해야 하며, 평소 이러한 검사조정 방법에 익숙할 수 있도록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거나 수업 중의 조정과 일치하도록 배려해야 한다. 또한 학생의 IEP에 검사조정의 필요성 여부와 검사조정 유형에 대해 기재하고, 검사조정 형태는 장애학생 본인이나 부모의 참여 하에 IEP팀에서 결정해야 한다. 평가 과정에서 장애학생에 대해 검사조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학생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시험에 보다 적극적이고 열심히 시험에 임하거나 좌절감을 덜 느끼게 하며, 시험을 치르는 전략에 변화를 가져오는 등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국가와 학교는 장애학생의 장애유형이나 장애 정도에 적합한 검사조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영역별로 이상적인 검사조정 형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시간연장에 대해 긍정적인 편이지만, 현재의 조건보다 확대된 조건을 있고, 기존에 없던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시간연장도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시각장애학생의 경우 점자정보단말기와 같은 새로운 기자재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어 각 장애영역별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새로운 검사조정 방법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평가 시 대독이나 대필, 수화 응답, 불필요한 자극제거처럼 독립된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검사조정방법이 제기되고 있을 뿐 아니라 독립된 공간 자체를 요구하고 있어 학생이 원하는 경우 독립된 공간에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할 수 있는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기존의 검사조정 방법이 수정되거나 추가 지원 내용들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검토와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지적장애가 없어 일반학생 대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학생의 경우라도 장애 자체로 인한 학력 결손을 감안하여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은 이 평가에 참여시키되 나머지 장애학생에 대해서는 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거나 대안적 평가를 실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증화 되어가는 특수학교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할 때 학생의 장애유형뿐 아니라 장애 정도에 따른 평가 방법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도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처럼 체계적인 행정상의 지원을 받아 실시함으로써 평가과정이 사전에 학교 일정에 포함되고, 평가관리 및 감독 교사들의 업무 추진에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전반적인 계획 및 추진 과정에서 장애학생에 대한 참여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문항 개발과정에 특수교육 전문가가 참여하여 가능하면 보편적인 설계방법으로 문항을 개발하여 점역이나 검사도구 조정의 어려움을 방지하고 별도의 검토 과정 및 이중적인 예산낭비를 줄여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resent study followed the previous KISE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002 :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with appropriate test modification or accommodations. In 2002, we conducted the preliminary study to measure the 'maximum'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rying to find out the 'appropriate' testing modification/accommodations methods or procedures, which guarantee the 'fair'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high-stakes tests without influence of their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3rd grade students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the instruments were the 'Basic Learning Skill Test' and the `Academic Screen Test for Underachievers at Middle School Level'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1. The present study tried to build up or get ready for the appropriate and continuous system for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In pursuit of this purpose, we had som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lly' participate in the 2003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irst of all, 2,644 respondents(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students with disabilities, graduates, and the students' parents) answered their recognition on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relation to time extension was analyzed. Alth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ing the validity of various test accommodations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and testing accommodations option to time extension. Thus, we mainly analyzed the validity of current time extension practices(1.5 times of standard for the blind, 20 minutes extension per session for the weak-sighted) for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The subjects(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were 197(middle school students 86, high school students 111). The instruments were verbal and math tests of 2001 & 2002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e standardized their test scores using the norm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n, we compared the gain scores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tial effect Third, for 750 students with disabilities(6th, 9th, 10th grade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participating in 2003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achievement correlates were analyzed.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nd the 'appropriate' accommodations for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were discussed.

      • 이동형 생체계측을 위한 임베디드 컴퓨팅

        홍주현,진계환,박경순,조명찬,박길선,차은종,이태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2

        연구목적: 초소형 정밀 기계 기술로 제작된 2차원 가속도 센서와 916 MH2 단거리 고주파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응용하여 인체의 운동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분류하는 기법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인체의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미국 버클리대에서 제작한 무선 센서를 등 산용 조끼의 전면상단에 부착해서, 대상자의 흉골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거나 눕거나 하는 동작 및 그 역동작이 일어날 때,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4가지 종류의 파형 현화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무선센서 네트웍을 통해 획득하였다. 결과: 획득한 신호를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과 지원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하여, 2차주성분까지를 도표화하고 클러스터링 함으로써,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함을 말 수 있었다 결론: 소형 센서들이 작동되는 임베디드 컴퓨팅 환경에서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인체의 4가지 동작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분류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였다. Purpose: New monitoring and classifying method of human motion contort was pro- posed by using 2-axial MEMS accelerometer and 916 MHz short-range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Materials and Methods: The wireless sensor of MICA mote was attached to a woman mountain vest and located close to the subject's sternum. During four types of sub-ject's motion, that is, sit-to-stand, stand-to-sit, sit-to-tying, and tying-to-sit, waveform changes of the accelerometer data were acquired by wireless sensor network. Results: The acquired signal was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Support Vector Machine(SVM) technique. By clustering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s, four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types of motion, were clearly segment-ed. Conclusion: Human motion context during daily life could be monitored and classified automatically by using small sensors in embedded computing environment

      • SCOPUSSCIEKCI등재

        뇌 경막하 축농

        송준석,하은주,이종수,이승재,박효일 대한신경외과학회 1992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1 No.12

        Subdural empyema is relatively uncommon condition. characterized by purulent collection in the subdural space. Having presented a fulminating clinical course with very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it is conconsidered as a neurosurgical emergency. In recent years, the mortality of subdural empyema has significantly diminished due to rapid diagnosis, aggressive antibiotic therapy and timely surgical intervention. The condition remains a diagnostic challenge ; CT scanning cannot be relied upon although the use of intravenous contrast and more modem scanner has improved the diagnostic yield. MRI offers earlier and more accurate diagnosis of computed tomographically suspected lesion. We report cases of subdural empyemas. which were diagnosed with MR and operaton. We treated one case successfully and the other postoperative case unsuccessfully owing to a delayed diagnosis.

      •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依한 炭素/炭素 複合材料의 高密度化

        도은성,주혁종 忠南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0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5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actor conditions and some structural charactersistics of the substrates on densification of C/C Composites by Chcmical Vapor Deposition, using Isothermal process and propylene as a carbon source ga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of the reactor, the rate of deposition was also increased, but above some temperature the pyrolytic carbon deposition occured more on the surface of substrates than on the inside of pores. The deposition rate was changed increasingly as the concentration of the source gas diluted with nitrogen was increased, but above some concentration the low density-sooty carbon was formed in the reactor. The effect of the flow rate of diluted gas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centration. The total mass gain was grown up according as the reaction time used on CVD was grown up, but the mass gain ratio was become smaller. The results affected only by the initial density or initial porosity of the substrates were uncertain. The optimum conditions in this system were as follows: temperature of reactor :800℃ concentration of carbon source gas :20%vol. flow rate of carbon source gas :13.2cc/min

      • 대학 전산 정책의 방향설정 및 추진계획에 관한 연구

        홍상은,이병수,조충호,이상정,주경수,안종근,황순기 순천향대학교 1994 논문집 Vol.17 No.1

        It has been rapidly given to the importance of the embodiment of the efficient computer systems in university education. Since the recent trend of the adoption of the openess policy in university education systems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realiz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efficient computer systems which is very essential to promote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many areas of university education. So it is greatly needed that our Soonchunhyang university must have the following principles for the embodiment of the efficient computer systems. (1) It is required that the appropriate computer education and the good quality of research environment must be given. (2) The establishment of the synthetic computer network system for efficient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s is needed. (3)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computer system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future performance. (4) It is also needed to improve the organization and the administration systems of the university computer center. (5) It is requir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area network(LAN) systems in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and the LAN must be connected to other outer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mputer systems. And we propose the following requir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vienent computer systems in our university and we have been greatly though about the significant change of the environment in university computer system. [1] The subject of the basic computer must become as the required subject for the all students in the curriulum. [2] The new computer systems both in hardware and software must be introduced. [3] It is needed to the change of the present name of the university computer center into the university information and computer center. And its organizations must be furthur developed [4] The training center for the university emploee is also needed. [5] The establishment of the database systems for the automtion of the university administation is needed. [6] It is strongly requir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area network system in the Soonchunhang university to connect the Bitnet and the Internet through the Hankook communication. [7] The computerization for the central library is needed. The indepent local area network system for the library is also needed to establish the own database system. Finally we hope that the LAN will be connected to the national wide library computer system.

      • 外國 大學敎育의 理念과 敎育課程의 變遷課程에서 본 韓國 大學의 敎育理念과 敎育過程

        李鍾淑,朱榮淑,鄭光,李恩奉 덕성여자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1988 敎育硏究 Vol.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dea and curriculum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nations - Europe, America, Japan's cases. In the periods of 1960s and the first half of 1970s, popularization phenomenon of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changing political, econimical condi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was occured internationally. Because of this, traditional idea and method of higher education was changed. In Korea, this phenomenon appeared in the end of 1970s and the beginning of 1980s. In the reforming of higher education. each nation got a little different position, But, ultimately it was derived from the struggle between the traditional idea of the higher education as an elite education system and the idea of equalitarianism with the need of the society. This gave some viewpoints to the direc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The higher education systems should find their identities as a universities, i. e, the ideal of the educated person should be the essential part of the higher education rather than the technological training or of her services. The educated person through the university education should have comprehensive thought ratter than trained skill. Because, only the educated man with comprehensive thought can use technology as an instrument for the progress of peace and the welfare of mankind.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을 위한 검사 조정과 학업성취 수준 분석

        최종근,김동일,김은주 국립특수교육원 2005 특수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에 앞서, 이들 장애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검사 조정 방안을 모색하고 이들의 기초학습 및 기본학습 능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전국규모의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일반학생 520명과 전국 29개 특수학교 중등부 3학년 학생(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144명의 성취수준과 부진학생 비율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장애학생의 기초학습 부진학생 비율은 일반학생의 3-5% 내외에 비해 훨씬 많은 30-50% 안팎에 이르고, 기본학습부진학생(보충학습 대상자) 비율도 일반학생의 10% 내외에 비해 훨씬 많은 60-70% 안팎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정책적인 측면에서 장애학생들의 기초학습 기능 및 학업성취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질 제고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asic learning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SWD) with those of general education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change of request for test modification or accommodations(TA) of SWD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4 9th-grade SWD(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from 29 special schools nation-wide, and 520 9th-grade general education students from a school from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SWD could choose any kind of TA among presentation, response, timing or scheduling, and setting/others.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 Compared to general 3-5%, 30-50% of SWD were categorized as defecting basic learning skill, and compared to general 10%, 60-70% of SWD were categorized as underachievers(in reading, writhing, and math). (b) SWD requested unexpectedly various test accommodations. (c) In order to attain the "appropriate" TA, a well-designed research on impacts of TA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DHA의 lipoxygenation에 의한 17-H(P)DHA 의 제조 및 LC/MS/MS를 이용한 구조분석

        이은실,이은주,강종성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2007 藥學論文集 Vol.22 No.-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eicosapentaenoic acid (EPA) are essential fatty acids and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brain, nerve system and retina. Recently, novel hydroxy compounds generated from DHA and EPA showing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were reported. In this study, hydroperoxy compound of DHA was prepared by incubating 15-lipoxygenase (15-LOX) and DHA, and was purified and analyzed by HPLC. The purified compound (MW 360) with the absorption maximum of 238 nm was identified as 17-hydroperoxy DHA (17-HPDHA). 17-HPDHA was reduced to a hydroxy compound by sodium borohydride and identified as 17-hydroxy DHA (HDHA) by LC/MS/MS. This method could afford to gain the commercially unavailable precursor of biologically active medi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