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부 F_2 世代에 있어서 莢柄長, 莢長 및 莢當粒數에 관한 遺傳分析

        李秉主,張權烈,金鎭馨 慶尙大學校 1985 論文集 Vol.24 No.1

        This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selection, and aimed at estimating genetic parameters such as, gene action, combining ability and heritability on three agronomic characters in Cowpea (Vigna sinensis Savi.). The six different parents and 15 F_2 hybrids by 6×6 diallel crosses were used as materials, and were plant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Vr-Wr graphic analyses Length of pod stalk was found to be inherited in over dominance. and length of pod and seed numbers per pod were inherited in partial dominance. 2. Components of variance: Estimates of additive components of variances were greater than those of dominance components of variances for length of pod and seed numbers per pod. Negative values of F were estimated for two characters, length of pod and seed numbers per pod. The highest heritability value was found in length of pod, but the value of seed numbers per Pod was the lowest. 3. Combining ability analyses: The mean squares of general combining ability for length of pod and seed numbers per pod were higher than those of specific combining ability. 4. Effects of combining ability: The high GCA effects were expressed by variety TVu1857 in length of pod stalk and seed numbers per pod, variety TVu2885 in length of pod. The high SCA effects were exhibited in the hybrids between TVu1857×J78 and TVu2885×J80 in length of pod stalk and seed numbers per pod, TVu1857×TVu2885 and TVu2734×TVu2885 in length of po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Vu lines could be the useful varieties in cowpea breeding for long pod and high yielding.

      • KCI등재

        가족력에 의한 선천성 치아결손증

        백병주,최웅진,이재영 大韓小兒齒科學會 198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15 No.1

        The term "oligodontia" or "Hypodontia", "Partial anodontia" have been uged to describe varable degrees of reduction in number of teeth. Oligodontia may occur alone or as a result of some syndrome. 13, 15years old female sister were iefered to the department of ped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for ev3luation and replacement of absent teeth. They had no special infectious desease in their childhood. In family hystory, their mother also showed missing teeth. They had no special syndrome of ectodermal disorder except cone shape canine, notched upper central incisor. In panoramic view, multiful missing teeth were showed. For masticatory function, we restored missing area as space maintainer.

      • KCI등재후보

        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 운영을 위한 직무분석 : 교수학습개발센터 멀티미디어 기자재 관리 담당자의 직무를 중심으로

        유병민,김주현,이재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대학 멀티미디어 강의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직무분석을 통하여 현재의 멀티미디어 강의 시설운영 업무와 관련된 구체적 정보를 획득하고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그 개선결과를 멀티미디어 강의시설 운영에 적극 반영하여 운영 업무를 개선하고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멀티미디어 강의시설 운영담당자의 직무파악, 책무?작업?작업요소의 규명, 작업요소의 난이도?중요성?빈도 조사, 새로운 운영업무에 필요한 직무행동조사, 직무모델 설정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직무분석은 최초분석법과 비교확인법을 토대로 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조사, 3차에 걸친 인터뷰를 통해 실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직무모형을 개발하고 구체적인 직무내용들을 분석하였다. 멀티미디어 기자재 관리의 전체 직무는 기자재 관리, 기자재 대출 및 반납, 기자재 고장신고 및 수리에 따른 3개의 책무 아래에 기자재 관리, 기자재 대출, 기자재 반납, 기자재 사용법 문의 및 고장신고, 기자재 자체수리, 기자재 외부수리 의뢰라는 6개의 작업과 각 작업별 3~7개의 작업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직무분석 결과에 따른 직무수행 과정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과 애로사항이 발견되었다. 업무가 전체적으로 통합되지 못하여 전체적 파악과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자들의 가지재 사용법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한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기자재 관리 전문 인력의 부족과 업무책임 결정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도 발견되었다. 직무분석 결과 밝혀진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4가지 개선방향을 제언하고 있다. 첫째, 멀티미디어 강의시설의 기자재 관리를 위해 멀티미디어 강의시설 운영을 위한 웹 시스템 및 웹 사이트를 개발한다. 이를 통해 직무수행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과정과 시간을 줄여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 홍보를 통해 사용자들의 멀티미디어 기자재 활용을 촉진한다. 둘째, 온-오프라인의 멀티미디어 기자재 사용교육을 실시하여 사용자들의 기자재 사용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기자재 관리 업무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멀티미디어 기자재 관리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기존 인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넷째, 멀티미디어 강의시설 운영과 기자재 관리를 위한 관리체계의 조직화 및 일원화를 실시하여 전체적은 운영 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Many universities have been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utilizing new technology, In order to expand the use of multi-media in a class,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began to establish in many universitie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enters is to build job model and job descri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model of and strategies tor managing multi-media facilities by analyzing job analysis related in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Two centers of universities in Seoul were selected for sample because those were established more than 10 years and have a staff position with job title which can help to find the procedures and structure of job, task, and duty. New analysis method and verification method were used to analyze job, duty, and task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 and analyzing theoretical background, Interviews with staff i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were followed. Finally task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research. Four strategies for improving multi-media managing were as followed: 1) Building Web system and site which could save time and resource, in order to manage multi-media equipment effectively 2) Providing workshop for multi-media equipment operation 3) Hiring multi-media specialists 4) Systemizing multi-media facility management.

      • 리튬이 도핑된 막을 이용한 실리콘-실리콘 접합

        정지원,주병권,최우범,정성재,이남양,최두진,오명환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7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8 No.1

        Silicon-to-silicon anodic bonding was accomplished using lithium doped interlayer. Lithium doped interlayers were deposited on silicon substrates by electron beam evaporation, which has a fast deposition rate compared with sputtering method. Silicon-to-silicon bonding occurs in the range of temperatures from 250℃ to 300℃ with the applied voltages from 70V_(DC) to 100V_(DC). The bonding strength obtained from tensile test was about 5MPa under the condition of 80V_(DC) in 300℃. The surface morphology of lithium doped interlayer was studied with the atomic force microscopy (AFM). Finally,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SIMS)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lithium ions in bonding mechanism.

      • 정전 열 접합을 이용한 Multi-Substrate Bonding

        이덕중,주병권,최우범,한정인,조경익,이광배,장진,오명환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7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8 No.1

        We performed silicon-to-glass bonding using silicon direct bonding followed by anodic bonding(SDAB). Initial bonding between glass and silicon was caused by the hydrophilic surfaces of silicon and glass ensemble using silicon direct bonding(SDB) method. We found that the bonded specimen using SDAB process had higher strength than one using anodic bonding process only. We performed multiple layer bonding by SDAB, which is glass- silicon -glass as sandwich structure. In the silicon wafer, the (1mm x 2mm x 500μm)-sized cavity was formed by the anisotropic etching of the silicon substrate in EPW(Ethylendiamin-Pyrocatechol-Water). And, the cavity was sealed with glass wafers by SDAB method.

      • KCI등재후보

        교합면 우식병소의 다양한 진단법에 관한 비교연구

        김재곤,김영진,김영신,백병주 大韓小兒齒科學會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4

        교합면의 열구는 우식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이며, 특히 초기우식병소는 건전해 보이는 법랑질 하방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주위 건전 법랑질과 잘 구별되지 않아서 주기적인 검사에도 불구하고 우식의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초기 우식을 조기에 진단할 경우 불소도포, 식이조절, 치태조절 능력개선 그리고 타액분비 촉진 등의 방법으로 그 병리적 과정을 차단하고, 조기에 치료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조기 진단은 중요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발거된 치아에서 교합면 우식을 검출하기 위해 두가지 전통적인 진단법인 시진, 방사선 검사법에 대하여 레이저 형광측정법을 이용한 새로운 우식진단기구인 Diagnodent (Biberach , Germany)의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서 교합면 초기 우식 병소에 대한 가장 신뢰성 있는 진단 방법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Diagnodent는 건전치에서 7.8, 초기우식에서 25.4, 법랑질 우식에서는 30.5 그리고 상아질 우식에서는 53.8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2. 염료를 이용한 치아조직표본검사와 스피어만과 피어슨 상관계수에서 Diagnodent(0.736, 0.619)와 시진(0.664, 0.666)에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고 방사선 촬영검사(0.333, 0.335)에서 가장 낮은 상관성을 나타냈다(P<0.01, 전체). 3. 교합면 우식진단의 정확도는 Diagnodent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았고 방사선 검사가 34%로 가장 낮았다. 4. 초기 우식의 경우, Diagnodent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았고 법랑질 우식의 경우, 시신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으며 Diagnodent의 특이도가 가장 높았다. 상아질 우식의 경우, Diagnodent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았으며 시진의 민감도가 가장 낮았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nventional visual examination, radiography and a new laser fluorescence method, KaVo Diagnodent, for the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lesions. One hundred sound human premolars and molars which had no restorations or interproximal cavities were tested by three methods. Tooth lesions depth was assessed at histologic examination using Caries detector dy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Diagnodent show 7.8 in sound tooth, 25.4 in initial caries, 30.5 in enamel caries, and 53.8 in dentin caries with average score 2. Spearman and Pearson relation coefficient was high between tooth-specimen test with dye and Diagnodent(0.736, 0.619), visual examination(0.664, 0.666), and was low between tooth-specimen test with dye and radiographic examination(P<0.01, total) 3. Accuracy of occlusal caries was highest on Diagnodent(65%) and lowest on radiographic examination(35%) 4. In initial cari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iagnodent method was the highest. In enamel caries, the sensitivity of visual examination was the highest and specificity of Diagnodent method was the highest. In dentinal cari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iagnodent method was the highest and sensitivity of visual examination was the lowest.

      • KCI등재

        변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맹출 유도

        김재곤,정진우,백병주,양연미,이용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3

        매복치아란 어떤 원인에 의해 적절한 맹출 시기를 넘어서까지 맹출 되지 않고 구강점막하나 악골 내에 묻혀 있는 치아를 말하여, 매복치의 일반적인 발생 빈도는 상, 하악 제 3대구치, 상악 견치, 상, 하악 소구치, 그리고 상악 중절치의 순서로 나타난다. 매복 원인으로는 (1) 폐쇄적인 원인 (과잉치, 치아종, 치배의 이소위치) (2) 외상성 원인 (연조직 치유에 의한 폐쇄, 만곡치, 정지된 치근 발육, 급성 외상성 함입)을 생각할 수 있다. 외과적인 노출 후에 교정 장치를 이용한 치아맹출 방법에 있어 첫째로 치열궁내에서 치아를 위해 적절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며, 외과적 노출에 있어 작은 어태치먼트를 수용하는데 충분한 법랑질 표면을 제공, 오염될 우려 없이 접착 술식이 가능할 수 있도록 지혈에 충분할 만큼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어태치먼트를 치아에 부탁, 정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결찰 선재와 고무줄(elastic)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한다. 본 증례들은 상악 중절치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들로 방사선사진상 상악 중절치의 변위 매복을 발견하였으며, 외과적 노출과 교정력을 통하여 본래 위치로 유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어 맹출 유도의 방법 제시에 도움이 되고자 보고하는 바이다. Impaction is generally defined as the lack of eruption of a tooth after the normal age for the eruption. An impacted tooth may appear blocked by another tooth, bone, or soft tissues, but cause of tooth impaction is often unknown. The clinician should consider the various treatment options available :(a) No treatment and observation, (b)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c) auto transplantation (d) extraction. These cases were about the patients with delayed erup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e surgically exposed impacted tooth and guided it into normal position by the orthodontic traction. Especially, in case 1. #21 was ectopic impacted state with root dilaceration. It is required to examine further root development and alignment of dentition serially.

      • KCI등재

        점액낭종의 외과적 처치

        김재곤,김영진,김미라,백병주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2

        점액낭종은 타액선의 분비도관이 외상, 타석, 반흔조직등에 의해 폐쇄되거나 파열되어 점액이 조직내로 유출 및 저류되어 발생하는 가성의 낭종으로, 이 중 하마종은 구강저에서 발생하는 점액낭종에 사용하는 용어이다. 염증에 이환되지 않았다면 대부분이 무통의 양상을 나타내며 심부에 위치할수록 정상색조를 띄게된다. 점액낭종의 치료는 주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소타액선을 포함한 완전절제를 시행하며, 병소의 크기가 큰 경우 부분절제를 시행하기도 한다. 하마종의 치료는 조대술과 완전절제술이 있으며, 조대술은 잦은 재발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으나 치료가 성공적으로 시행되었을 경우, 환자에게 타액선이 제거되는 불편감을 덜 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하순과 구강저에 발생한 점액낭종과 하마종을 완전절제술과 조대술로 치료하고 그 경과를 관찰한 바 술 후 재발이 관찰되지 않았고, 정상기능을 회복하였다. 향후 치료부위의 재발여부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하마종의 치료시 조대술이 적절히 이용되었을 때 환아의 불필요한 타액선 절제를 피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점액낭종의 치료시, 병력과 임상적 특징을 바탕으로 한 정확한 감별진단과 적절한 치료법의 선택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주요어 : 점액낭종, 하마종, 조대술, 완전절제술

      • KCI등재후보

        소아의 악골내 발생한 낭종의 외과적 처치

        김재곤,김영진,김미라,백병주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1

        악골의 낭종은 크게 치성과 비치성으로 구분되며 치성낭은 치성기관이나 그 잔존 세포성분과 관련되어 주로 골내에서 발생한다. 비치성낭종은 과거에는 태아의 발육중 상피의 봉입이나 융합선을 따라 존재하는 상피잔사가 증식하여 낭성변형을 일으킨다는 설이 유력하였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태아의 발육 동안 상피의 봉입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함치성낭은 미맹출 치아와 관련되어 발생하고 상피의 전암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제거하도록 하며 조대술이나 적출술이 이용될 수 있고 간혹 원인치의 발거가 추천된다. 비구개낭은 가장 일반적인 비치성낭으로 상악 중절치 사이에 경계가 명확한 방사선 투과상으로 나타난다. 적출술과 조대술로 치료할 수 있으며 전암 가능성이나 재발은 드물다. 본 증례에서는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아동의 악골내 발생한 낭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함치성낭의 환아에서, 원인 치아를 보존하고 완전 적출술로 병소를 제거한 후 경과를 관찰한 바 영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이 이루어졌다. 2.비구개낭을 치료시, 인접치아의 생활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법의 선택으로 불필요한 근관치료를 피할 수 있다. 3.향후 비구개낭의 환아의 관련치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리 사료된다. 4.악골내 방사선 투과성의 병소를 치료시, 정확한 감별진단과 적절한 치료법의 선택이 중요하다. The Dentigerous cyst is reported to be one of the most common lesions of the jaw. It is derived from reduced enamel epithelium that surrounds the crown of an unerupted tooth. Dentigerous cysts usually remains asymptomatic and presents as well-circumscribed radiolucencies surrounding the crown of a tooth. Most dentigerous cysts are treated by surgical enucleation or marsupialization of the cyst to allow eruption of the permanent tooth. The nasopalatine duct cysts derived trom the islands epithelium remaining after closure of the embryonic nasopalatine duct. The cyst presents as a well-circumscribed oval or heart-shaped radiolucency located in the midline of the anterior maxilla between the roots of the central incisors. Treatments is by surgical enycleation, employing a paltal approach. This report present two cases. One case was diagnosed with dentigerous cyst and treated by enucleation. 12Months later, affected second premolar was erupted normally. The other case was diagnosed with nasopalation duct cyst.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enucleated cyst confirmed a nasopalatine duct cyst.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follow up peri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