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창기,박상준,조민구,김영중,김소연,김윤권,정준오,안석진,김은실,서승오,김지훈,최원제,이윤영,박형기,최규영,김현근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TB) in combat and auxiliary police, living in a group, in Korea where the incidence rate of active TB in a general population is higher than in Western countries. Materials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tuberculosis patients diagnosed at National Police Hospital from January 2002 through December 2004. Results:In 2002-2004, a total of 156 cases of tuberculosis were identified wit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ge of 20.6 (±1.0) years. Of these, 134 (85.9%) patients were registered as new cases, 11 (7.1%) as relapse, 2 (1.3%) as failure, 5 (3.1%) as treatment-after-default cases whereas 4 (2.6 %) patients were not included in any categories. Average annual new TB rate and smear-positive TB rate were 86.5/10^(5) and 17.4/10^(5) person-years, respectively. In 12 of 31 smear-positive cases, time from onset of symptoms to diagnosis was more than 30 days. Two multidrug-resistance TB cases were identified and two suspected outbreak episodes of TB had occurred during 3 years. Conclusion: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rate of new cases of TB between the general population aged 20 to 29 years and combat and auxiliary police in Korea. 배경 : 국내 결핵의 발생은 감소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후진국형 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집단생활을 하는 젊은이들에서 발생하는 결핵의 유행이 간헐적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전경대원의 결핵 발병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3년간 경찰병원에서 결핵 진료를 받은 전경대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연도별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결핵 신환율, 진단 지연, 집단발병, 다제내성결핵을 조사하였다. 결과 : 연도별 결핵 신환자 수(10만명당 발생추정치)는 2002년 50명(83.6명), 2003년 42명(83.7명), 2004년 42명(93.5명)이었고 도말양성 폐결핵 신환자 수는 2002년 10명(16.7명), 2003년 11명(21.9명), 2004년 6명(13.4명)이었다. 3년간 도말양성 폐결핵 환자는 31명이 있었고 그 중 12명은 호흡기 증상 발생 30일이 지나서 진단을 받았다. 다제내성 결핵은 2명이 있었으며 결핵의 집단발병이 의심되는 사례는 2차례 있었다. 결론 : 전경대원과 20-29세 연령군 일반인의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 폐결핵 발생률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정형준,이훈재,김은실,이진수,정문현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3
Background :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URIs) are common benign illnesses that a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economic burden, adverse effects of medication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These effects have been evaluated chiefly at the tertiary health c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cribing habits, including antibiotic use, for the management of URIs among the primary care physicians. Methods : Between July and August 2006, 23 medical students visited 122 clinics of primary care physicians for the management of simulated common cold. They were instructed to present symptoms that simulated common cold; clear rhinorrhea and nasal stuffiness that lasted for 3 days, and neither was accompanied with fever nor myalgia. Results : The physicians' specialties were as follows: 43 were general internists; 40, otolaryngologists; 23, general practitioners; 15, family practitioners; and 1, pediatrician. The mean number of prescribed oral medications was 4.71 (S.D.±0.951). Glucocorticoids were prescribed in 10 (8.2%) clinics. Antibiotics were prescribed in 50 (41.0%) clinics - cephalosporins in 17, amoxicillin-clavulanate in 16, amoxicillin in 8, fluoroquinolones in 5, macrolides in 3,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in 1 clinic.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es of antibiotic prescription among the specialties. Injections were recommended in 32 (26.4%) clinics. With the exception of chest X-ray recommended in 1 clinic, no laboratory or radiologic evaluation was performed. Conclusion : The antibiotic prescription rate observed in this study is lower than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Since diagnostic tests are seldom performed, diagnostic ambiguity might be a key cause for the overuse of antibiotics in the management of URI. The reasons for the high rates of prescription of parenteral medications need to be evaluated. 목적 : 상기도 감염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 개개인으로 보면 중요하지 않은 병이나 국가 전체로 보면 비용, 부작용, 항균제 내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문제가 되는 병이다. 이런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로 3차 병원에서만 되므로, 3차 병원에 도착하기 전까지 받은 치료 내역이 연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의약분업 후로는 의원에서 감기 처방에 대한 조사가 없어 현재 진료 상황을 알 수가 없다. 이에 의약분업 이후, 1차 의료에 종사하는 의원들을 대상으로 코감기에 관련된 진단의 다양성, 주사제의 사용, 항균제 사용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6년 7월과 8월에 걸쳐 서울, 경기, 인천에 개업하고 있는 일반의, 내과의, 이비인후과의, 가정의를 대상으로 122개 의원을 조사 하였다. 23명의 의과대학생들이 코감기 환자로 모의를 하여 개원의들의 진찰을 받은 후, 진단과 처방을 분석하였다. 코감기 증상은, 3일간 지속한 콧물과 코막힘을 주소로 했고, 발열과 오한은 없었으며, 목아픔과 기침은 약간 있는 정도로 하였다. 결과 : 조사한 의원에서 코감기에 사용한 경구 약제 수는 평균 4.71 (SD±0.951), 과별 차이는 없었다(P=0.99 by chi-square test). 부신피질호르몬은 10개(8.2%) 의원에서 처방하였다. 항균제는 50개(41.0%) 의원에서 처방하였으며, 세팔로스포린 17건, Augmentin 16건, amoxicillin (7) 또는 bacampicillin (1) 8건, 퀴놀론 5건, macrolide 3건,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1건이 었다. 과별로는 내과 34.9%, 이비인후과 52.5%, 가정의학과 33.3%, 일반외과 39.1%, 소아과 0%였고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P=0.41 by chi-square test). 주사를 권한 경우는 32 (26.4%)예였다. X-선 검사를 권유받은 1건 외에는 검사를 권유받지 않았다. 결론 : 이전 보고보다는 감기에서 항균제 사용률은 낮았으며, 진단을 하기 위한 검사가 적어 진단의 불분명을 극복하기 위한 것도 항균제 남용의 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주사제 처방률도 높은 듯하며 이는 빨리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때 병원을 바꾸는 환자들의 행위에 대한 반응일 가능성이 있으며, 항균제 사용 역시 빠른 증상 호전을 위한 것이어서, 환자의 행동 양상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Effects of Back-Reflection in WDM-PONs Based on Seed Light Injection
Jung-Hyung Moon,Ki-Man Choi,Sil-Gu Mun,Chang-Hee Lee IEEE 2007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s Vol.19 No.21-24
<P>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k-reflection in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s having an injected seed light for color-free operation of an optical network unit. The back-reflection-induced penalty is reduced as the linewidth of the seed light is increased. The wavelength-locked Fabry-Perot laser diode to an injected spectrum-sliced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light shows a high robustness on the back-reflections, while a coherent seed light exhibits a high-reflection-induced penalty. We also estimate the maximum allowable fiber loss according to the linewidth of the seed light.</P>
대장선종 및 선암에서 비방사성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을 이용한 p53 변이 검출
박실무(Sil Moo Park),장세경(Sae Kyung Chang),문철(Cheol Moon),김정욱(Jeong Wook Kim),허철행(Cheol Heang Heo),유경금(Kyung Kum Yoo),김형준(Hyung Jun Kim),도재혁(Jae Hyuk Do) 대한소화기학회 199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1 No.1
Background/Aims: The p53 gene is a tumor suppressor gene that inhibits carcinogenesis. In colonic neoplasms, p53 mutation was reported in many studies, but conventional PCR-SSCP protocol using radioisotopic PCR primer or nucleotides to generate radioactive PCR products is cumbersome to handle. In a previous study, we reported a rapid and safe method for detecting p53 mutation using PCR products by modified cold SSCP (mini-SSCP) method to detect the p53 mutation in gastric cancers, In this study, we applied this method to detect p53 rnutation in colon polyps and cancers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53 mutation and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Methods: We investigated p53 mutation in adenomas and carcinomas of the large bowel by modified cold SSCP and silver sequencing. The cases studied included 28 adenomas and 40 colorectal carcinomas. Results: p53 mutation was noted in 25% of twenty-eight adenomas and in 58% of forty carcinomas. In colorectal adenomas p53 mutation was not related with pathologic type of adenomas but related with adenoma size. In colorectal carcinomas p53 mutation was not related with relevant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including disease stage and tumor differentiation. In using silver sequencing, the most frequent site of p53 mutation was exon 5 and the most frequent abnormality of DNA sequencing was insertion in colonic neoplasm.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p53 mut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late stage of adenoma-cancer sequence and is related with tumor size. (Korean J Gestroenterol 1998; 31: 47-57)
산전에 투여한 Ambroxol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예방 효과
이태형,신손문,김경아,고민환,이은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6 No.1
미숙아의 여러 가지 합병증 중에서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가장 빈도가 높고 사망률도 높은 질병이다. 이제까지 많은 저자들이 자궁내 성장기 동안에 폐 표면 활성제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약제로 corticosteroid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나, 산모와 태아감염에 중요한 위험 요인이 되어 이 약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steroid의 부작용 때문에 태아의 폐를 성숙시킬 수 있는 ambroxol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에 저자들은 출생 전 산모에게 투여한 ambroxol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 빈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였던 36주 이전의 조산이 예견된 산모에게 ambroxol(Mucosolvan, Boehringer Ingelheim) 1,000mg을 5% glucose 용액에 녹여 2시간 이상 정주하며 3일에서 5일간 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생리 식염수를 정주하였다. 조기 분만의 원인이나 대상 환아 평균 재태 연령, 남녀비, 출생 체중과 I. 5분 Apgar 점수가 7점 미만인 미숙아의 수에는 양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21명 중 13명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하였고 ambroxol 사용군에서는 21명 중 6명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하여 두 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출생 후 산소 치료와 인공 환기를 필요로 했던 경우는 대조군에서는 각각 18. 12명이었고 ambroxol 사용군에서는 각각 9.8명이었다. 산소치료를 요구된 시간은 ambroxol 군에서 낮았으나 인공 환기가 필요하였던 시간은 ambroxol 군에서 더 길었다. 그 외 미숙아에게 나타난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는 ambroxol 사용군과 대조군을 비교해보면 두 군이 같거나 ambroxol 군이 더 적었다. ambroxol 투여전과 후의 산모의 혈액학적, 생화학적 검사에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ambroxol 사용군에서 산모가 호소하는 부작용으로는 경미한 오심이 3례 있었으나, 구토, 두통이나 현기증, 알레르기 반응 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 출생 전 산모에게 투여한 ambroxol 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 빈도를 감소시킨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산모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ntenatal ambroxol administration to mothers who were in danger of imminent preterm delivery in preventing the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Forty-two preterm newborn infants who were delivered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7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1 in ambroxol-treated group and 21 in control group. Six cases of th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ere developed from 21 ambroxol-treated infants, but 13 cases of RDS, from 21 control infants. This result indicat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occurrence of RDS by antenatal administration of ambroxol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of adverse effects of ambroxol in mother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hematolog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ambroxol-treated group. In conclusion, when premature delivery is expected, the administration of ambroxol before delivery enhances lung maturation in premature newborn infants and prevents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out significant advers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