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d(O)-촉매를 이용한 알릴 고리 카보네이트의 제거 및 분자간 축합반응 연구

        강석구,박동철,박찬희,홍륭기 성균관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5 論文集 Vol.46 No.1

        The alkyl substituted allylic cyclic carbonates 1a-d undergo elimination by using a catalytic amount of Pd(0) complex to form dienols 2 a-b. However, on treatment of the unsubstituted or phenyl substituted allylic cyclic carbonates 1e and 1f with Palladium(0) catalyst, deprotonation-elimination of π-allyl Palladium complex followed by condensation with the other π-allyl Palladium complex provided the coupled products 3a and 3b, respectively.

      • 갑상선 유두상 암종과 유두상 증식에 대한 S-100 단백 및 EMA 발현에 대한 연구

        강대영,김경희,최정목,송규상,강동욱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7 충남의대잡지 Vol.24 No.2

        The diagnosis of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is readily achieved based on a defined aggregate of histopathologic features. A papillary architecture is an imporant but not pivotal component of the diagnosis. The classic nuclear features are the essential diagnostic element. However, both papillary architecture and nuclear features may be encountered in other conditions and produce problems in histopahologic interpretation. A papillary architecture may be found within a follicular or an oncocytic neoplasm of within the nodules of hyperplastic nodular goiter. Moreover, there may be scattered cells within several thyroid lesions that display some of the nuclear characteristics of papillary carcinoma. The distinction of these lesions from papillary carcinoma is important for differential diagnosis. Thus, the availability of supportive diagnosic evidence would be helpful. Immunoreactivity for S-100 and epithelial membrace antigen was investigated in 16 papillary thyroid carcinomas(PTC), including three examples of the follicular variant, 16 cases of papillary hyperplasis, 8 follicular adenomas, and 6 follicular carcinomas. The degree of reaction was rated on a four point scale: +++, most cells(>51%) have positive staining; ++, 11-50% of cells have positive staining; +, less than 10% of cells have positive staining; -, no positive staining is pres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the papillary carcinomas showed intense nuclear and cytoplasmic expression of S-100 (+++; 7 cases, ++; 9 cases), and EMA was expressed(++; 7 cases, ++; 6 cases, +; 3 cases). 2) In the cases of papillary hperplasia, papillary foci were generally negative for S-100 and EMA(12/16 ; -). In some areas, they were focal, of weak intensity, and showed preferential apical cytoplasmic location of oncocytic change. 3) Four of eight follicular adenomas expressed S-100(++;2 cases, +; 2 cases), whereas four were completely negative. EMA was also expressed(++; 2 cases, +; 3 cases). 4) Follicular carcinoma showed variable expression of S100 and EMA Five of six follicular carcinomas expressed S-100(++; 2 cases, +; 3 cases), whereas one was negative. EMA was also expressed(++; 2 cases, +; 1 case). In conclusion, in the distinction of papilary carcinoma from papillary hyperplasia, we would recommend an initial histological appraisal,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S100 and EMA in difficult cases.

      • KCI등재

        IN VITRO STUDY ON APICAL SEAL AND SEM MORPHOLOGY IN CANALS FILLED WITH RESIN-BASED ROOT CANAL SEALER AND SELF-ETCHING PRIMER

        강삼희,박동성,유현미,오태석 대한치과보존학회 200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5 No.4

        Gutta-percha와 근관sealer를 사용한 근관 충전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성공률이 높은 방법이지만, 현재 사용되는 모든 근관sealer는 미세누출을 나타낸다. 따라서 더 효과적인 근관 폐쇄를 이루기 위한 재료 및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중 상아질 접착제는 근관 충전재와 함께 사용되어 미세누출을 감소시키지만, 근관 내에 사용하기에 술식이 복잡하고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gutta-percha와 레진계 근관 sealer로 충전한 근관에서 self-etching primer를 미리 도포한 경우와 도포하지 않은 경우의 치근단 미세누출을 비교하고, self-etching primer를 도포함에 있어 근관 내에 적용하는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을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근관sealer와 상아질 계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이 결과를 미세 누출과 관련시켜보고자 하였다. 36개의 발거된 사람의 단근치에서 치관부를 절단, 제거하고 ProFile로 근관 형성한 후, 무작위로 선택하여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에서는 주사기와 30게이지 주사 바늘로 self-etching primer를 근관 내에 적용하였고, 2군에서는 self-etching primer를 paper point에 적셔 근관 내에 적용하였다. 3군에서는 self-etching primer를 적용하지 않았다. 1, 2, 3군의 치아를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사용하여 continuous wave 충전법으로 충전한 후 치근단공 주위 3mm를 제외한 치근면에 nail polish를 2회 도포하였고, 4군(음성 대조군)은 치근면 전체에 도포하였다. 1군과 2군에서 각각 2개의 치아는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위해 준비하였다. 모든 치아를 Methylene Blue 수용액에 48시간동안 침적, 수세한 후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양분하여, 10배의 실물확대현미경 하에서 치근단 색소 침투를 관찰하였다. Self-etching primer를 도포한 군과 도포하지않은 군 사이에는 평균 미세누출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사바늘로 적용한 군과 paper point로 적용한 군 사이에도 평균 미세누출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아질과 근관sealer계면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일부분에서 긴밀한 접착 관계를 나타내었고, 다른 부분에서는 간극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올인원 접착제의 미세누출에 관한 정량적 분석

        강용희,신수일,신동훈 大韓齒科保存學會 2004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9 No.1

        All-in-one adhesives were recently developed for reducing the techique sensitivity and chair time, but lots of concerns were made on bondability, longevity, and microleakag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icroleakage and marginal quality of all-in-one adhesives using electrochemical method and SEM analysis quantitatively. After making Class V cavities, they were bulk filled with Heliomolar(#A1) after surface treatment with three adhesives: Adper Prompt (Group A), One up Bond F (Group O), Xeno Ⅲ(Group 'X), Electrical con-ductivity(microamphere, ㎂) was checked two times: before and after cavity filling. Percentage of leaky margin was estimated from SEM image (× 1,000).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ANOVA and Paired T test for electrical conductivity,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test for marginal quality, Spearman's rho test for checking of relationship between 2 method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microleakage between adhesive systems and every specimen showed some of microleakage after filling. 2. Microleakage was reduced about 70% with composite resin filling. 3. Marginal quality was the best in group A, decreasing among groups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O, followed by group 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A and group X(p=0.015), and between group O and group X(p=0.019) 4.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leakage measured by electrochemical method and margin-al quality measured by SEM analysis. With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microleakage groups by electrical conductivity.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gin quality was seen among groups. It was believed teat these dissimilar results might be induced because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microleakage needs various methods for accuracy.

      • KCI등재

        천궁의 GABAА-Benzodiazepine 수용체 복합체와의 상호작용

        강지현,이동웅,하정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3 No.2

        요약천궁(Cnidium Officinale)는 미나리과 다년생초본식물로서 대뇌 억제 및 진정 작용이 있다는 여러 문헌 등을 참고하여 볼 때 천궁은 항불안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천궁을 사용하여 실험 동물에서 천궁의 항불안 작용을 검색하고 그 작용기전의 일부를 밝히고자 천궁을 극성 및 비극성 용매로 추출하여 분획을 만들고 이들 분획의 GABA-benzodiazepine 수용체 복합체 결합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천궁 표준추출물 경구투여는 생쥐의 elevated plus maze 검사에서 그 효과는 diazepam 1 mg/kg 투여 후 실시한 elevated plus maze 검사 결과보다 낮았으나, 개방통로에로의 진입회수 및 개방통로에서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불안해소작용을 나타내었다. 또 천궁의 표준추출물은 benzodiazepine 수용체 길항제인 [3H]Ro15-1788 결합을 억제함으로써 수용체 활성물질의 존재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행동검사상의 불안해소작용 및 benzodiazepine 수용체 활성도를 나타내는 구성성분을 추적하고자 천궁의 표준추출물의 분획화를 실시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얻은 각 분획들을 사용하여 수용체 활성도를 검색한 결과, 모든 분획에서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나 그 중 chloroform분획의 활성도가 crude한 추출물인 methanol 추출물이나 다른분획에 비하여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냄을 관찰하였다.천궁의 chloroform분획은 [3H]flunitrazepam의 흰쥐대뇌피질조직에 있는 benzodiazepine 수용체에 대한 결합반응을 억제시켰으며, 이러한 억제도는 GABA 및 chloride 존재에 의해 더욱 항진되는 positive GABA shift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천궁의 chloroform분획내에는 benzodiazepine 수용체에 대해 효현제 활성을 지니는 물질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으며, 이는 천궁의 항불안작용의 중요한 한 기전으로 생각된다. C. Officinale is a medicinal plant which has been known to have anxiolytic and sedative activity. A survey of the relevant literature has indicated that the putative anxiolytic activity of C. Officinale has not been scientifically investigat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anxiolytic property and interaction with benzodiazepine receptor of C. Officinale. The putative anxiolytic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C. Officinale was performed in mice using an elevated plus maze paradigm. Chronic oral administration of C. Officinale showed anxiolytic action in mice. The interaction of C. Officinale with benzodiazepine receptor was investigated using rat cortices. Methanol extract of C. Officinale inhibited the binding of [3H] Ro 15-1788, a selective benzodiazepine receptor antagonist to benzodiazepine receptor of rat cortices. Chlorform fraction of m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binding activity to benzodiazepine receptor than crude extract by methanol. GABA significantly enhanced the potency of C. Officinale in inhibiting [3H] flunitrazepam, a selective benzodiazepine receptor agonist, binding to benzodiazepine receptor.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substance or substances with neurochemical properties characteristic of a benzodiazepine receptor agonist may contribute to the anxiolytic property of C. Officinale.

      • 상완골 과 상부 골절에서의 이중 긴장 대 기법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강호정,김홍희,심동준,한수봉,강응식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이중 긴장 대 기법을 이용한 상완골 과 상부 골절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0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상완골 원 위부 골절로 치료한 환자 중 이중 긴장 대 기법을 시행한 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원인으로서는 실족에 의한 단순 손상이 11예, 교통사고에 의한 손상이 2예, 직접 타격에 의한 손상이 1예가 있었다. AO/ASIF 분류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A2가 2예, A3이 1예,. C1이 6예, C2가 3예, C3이 2예였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5예, 여자가 9예였고, 평균 나이는 51.6 세 (최소 15세, 최대 88세)였다. 분쇄 골절이 심한 4예에서 주두 절골 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고정기간은 평균 20.6일 이었고, 경화를 보인 시기는 술 후 평균 10.1주 였다. 65세 이상의 5예에 있어서는 술 전에 골 밀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대퇴경부의 평균 T-score가 -3.65였고 요추부의 평균 T-score가 -2.97이였다. 평균 추 시 기간은 평균 16.4개월(최소 12개월, 최대 29개월) 이였다. 평가는 최종 외래 내원시 주관절의 운동 범위, 통증 유무,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최종 추후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운동범위는 Excellent군이 8예, Good군이 4예, Fair군이 2예 였으며, Poor군은 없었다. 10예에서는 술 후 통증이 전혀 없었으며, 4예에서는 가끔씩 통증을 호소하였다. 합병증으로는 1예에서 주두에 K-강선 삽입부위의 피부자극에 의한 통증으로 술 후 6개월째 조기 제거를 시행하였다. 척골신경 전방 전위 술을 8예에서 시행 하였으며, 시행하지 않은 6예 중에 2예에서 척골신경 자극증상이 있었다. 그 중 1예에서는 술 후 8개월째 척골신경 전방 전위 술을 시행 받았으나, 다른 1예에서는 대중적 치료로 증세가 호전되었다. 1예에서 K-강선 삽입부위에 부분적 피부괴사 소견이 보였으나 핀 제거 술 및 창상 치료 후 치유되었다. 결 론 : 이중 긴장 대 기법을 이용한 상완골 과 상부 골절의 치료가 수술이 간단하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정복 시 골막의 박리 손상을 줄일 수 있어 골편의 탈활(devitalization)이 적으며, 골절부의 압축력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젊은 환자의 단순 과 상부 골절에서 과도한 술기를 피하고 조기 관절 운동을 하기위한 경우나, 술 전 골 밀도 검사상 골 다공 증을 동반한 분쇄가 심한 노령 환자의 과상부 및 과간 골절의 치료에 있어 이중 긴장 대 기법은 상완골 상부 골절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 of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humans treated with double tension band osteosynthesi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October 1992 to September 2001, 14 patients with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humerus were treated by method of double tension band osteosynthesis. eleven fractures were the results of slipped down injury and two traffic accidents and one direct trauma. All fractur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O fracture classification (A2; 2. A3; 1. C1; 6, C2; 3. C3; 2). There were 6 males and 9 females with average age of 51.6 age of 51.6 years (range 15 to 88). Olecranon osteotomy was performed in 4 patients with severe comminuted fractures. Postoperative immobiliza-tions were required for an average of 20.6 days and consolidations were noted after an average of 10.1 weeks. Before operation, bone marrow density studies were performed in five fractures above 65 years. Average T-score of the patients were -3.65 on femur neck and -2.97 on lumbar spine. All patients were re-examined after an average of 16.4 months. RESULTS : Union and consolidation was achieved in all 14 patients judged their results as excellent and four as good. Ten patients had no pain and four had only occasional discomfort. Early removal of K-wires was performed in one patient because irritation of one side K-wires were develop. Sensory change of the ulnar nerve was noted in two patients. Anterior transposition of ulnar nerve was performed in one patient and the other was improved spontaneously. Skin necrosis was developed in one patient but was healed after pin removal and conservative care. CONCLUSION : The advantages of double tension band wiring are an easier and faster procedure, less periosteal and muscle damage, and more symmetrical compression than double plating. Therefore, in the commiuted osteoporotic fracture with poor tolerance for internal fixation with the plate or the simple supracondylar fractures in young age, double tension band osteosynthesis can provide sufficient and secure stability to allow early functional exercise.

      • Pd(0)과 Ni(Ⅱ)촉매하의 Grignard시약에 의한 광학활성 고리카보네이트의 알릴화 연구

        강석구,조동규,박찬희 성균관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3 論文集 Vol.44 No.2

        NiCl_2(dppe)또는 Pd(PPh_3)_4를 촉매로 하여 Grgnard시약과 광학 활성 알릴고리 카보네이트를 반응시켜 높은 위치 선택성과 입체선택성이 있는 알킬화된 (E)-allylic alcohol을 얻었다. Reaction of chiral allylic cyclic carbonates with Grignard reagents in the presence of NiCl_2(dppe) or Pd(PPh_3)_4 as a catalyst afforded the alkylated (E)--allylic alcohols with high regio-and diastereoselectivity.

      • 1차원 MWPC를 이용한 디지탈 사진촬영장치의 개발(Ⅲ)

        강희동,조진호,박정병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5 연차보고서 Vol.1995 No.-

        Digital Radiography 장치로 응용하기 위한 1차원 MWPC를 이용하여 X-선 위치검출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위치검출 방법은 병렬판독법으로 얻으며 스캐닝장치를 이용해 X-선 영상을 얻는다. 제작한 검출기의 위치분해능은 0.8㎜이고, 동시성 선택회로를 고안하여 위치분해능을 0.4㎜로 향상시켰다. 실제 얻은 디지탈 값에서 각 채널에 대한 보정인자를 곱함으로써 영상의 균일성을 증가시켰다. 디지탈 X-선 영상은 0.4㎜의 scanning 간격으로 각종 피사체에 대하여 320×320 화소의 영상을 얻었다. X-ray position detecto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detector was applied to digital radiography system. One-dimensional MWPC(Multiwire Propotional Chamber) is the main component of this system. The way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incident x-ray is the parallel readout method. Digital image data are acquired by using fan beam x-ray and a scanning system.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detector is 0.8㎜. Spatial resolution was improved by a factor of two(0.4㎜) with help of the coincidence selection circuit. Uniformity was improved by converting data with calibration factor for each channel. With help of scanning system which has 0.4㎜ scanning pitch, x-ray digital images of 320×320 pixels were obtained for a fish and a chicken's foot. Bone image is appeared clearly in these i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