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w-dose Methotrexate Therapy for Intravenous Immunoglobulin-resistant Kawasaki Disease

        이택진,전진경,김기환,김동수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08 Yonsei medical journal Vol.49 No.5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ow-dose oral methotrexate (MTX) as a treatment for patients with Kawasaki disease (KD) which was resistant to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Patients and Methods: The patients who had persistent or recrudescent fever after treatment with IVIG were subsequently treated with low-dose oral MTX [10mg/body surface area (BSA)] once weekly. Results: Seventeen patients developed persistent or recrudescent fever after treatment of KD with IVIG and were consequently given MTX. The proportion of children with coronary artery lesions (CALs) was 76%. The median value of maximum body temperatur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in 24 hours of MTX therapy (38.6℃ vs. 37.0℃, p<0.001). The median CRP (C- reactive protein) lev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1 week after administering the first dose of MTX (8.9mg/dL vs. 1.2mg/dL, p<0.001). The median duration of fever before MTX treatment was shorter in CALs (-) group than in CALs (+) group (7 days vs. 10 days, p=0.023). No adverse effects of MTX were observed. Conclusion: MTX treatment for IVIG-resistant KD resulted in quick resolution of fever and rapid improvement of inflammation markers without causing any adverse effects. MTX therapy should further be assessed in a multicenter, placebo-blinded trial to evaluate whether it also improves coronary artery outcome.

      • KCI등재후보

        단일기관에서 조사한 신생아 및 소아 칸디다혈증의 역학적 특성

        이택진,전진경,김동수 대한감염학회 2007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9 No.5

        Purpose:We evaluated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candidemia in neonates and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charts of hospitalized neonates and children with positive blood cultures for Candida species from September 1, 2000 through August 31, 2006. Results:Among 39 total neonates and children with candidemia, the median age was 4 months (interquartile range, 1-28) and overall mortality was 33%. Candida species included: Candida albicans (56%), Candida parapsilosis (23%) and Candida glabrata (15%). There was a tendency of proportional increase of candidemia due to non-albicans species (13% in 2001 vs 91% in 2006; P=0.01). Compared with children older than 1 month of age, the proportion of C. parapsil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eonates with candidemia (58% vs 7%; P=0.001). C. albicans was isolated more commonly from those who had undergone surgical intervention before candidemia (55% vs 18%; P<0.05). C. parapsilosis was isolated more commonly from premature neonates (78% vs 27%; P=0.015). C. glabrata was isolated more commonly from those who had neutropenia before candidemia (67% vs 12%; P=0.011). Conclusion:Candidemia by C. albicans was more commonly in surgical patients; by C. parapsilosis in premature neonates; by C. glabrata in neutropenic patients. 목 적:최근 신생아 및 소아 칸디다혈증의 위험인자에 따른 원인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0년 9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던 만 15세 미만의 소아들 중 혈액배양검사에서 칸디다균속이 동정된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혈액배양검사에서 칸디다가 동정된 환아는 모두 39명이었으며, 이들의 연령 중앙값은 4개월, 남녀비는 2:1이었고 사망률은 33%였다. 원인균으로는 Candida albicans가 22예(56%), Candida parapsilosis가 9예(23%), Candida glabrata가 6예(15%), 그리고 Candida tropicalis, Candida famata가 각각 1예씩(3%) 분리되었고, Non-albicans 칸디다들에 의한 칸디다혈증의 비율은 2001년 13%에서 2006년 91%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P=0.01). 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가 12명이었고, 이 중 58%에서 칸디다혈증의 원인균으로 C. parapsilosis가 동정되어 1개월 이상의 소아의 경우(7%)보다 유의하게 흔히 검출되었다(P=0.001). C. albicans가 분리되었던 환아 22명 중 55%에서 칸디다혈증 발병 전 2주 이내에 외과적 시술을 시행받은 경력이 있어 다른 균주들의 경우(18%)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5). C. parapsilosis가 분리되었던 환아 9명 중 78%가 미숙아로 출생하여 다른 균주들의 경우(27%)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15). C. glabrata가 분리되었던 환아 6명 중 67%에서 칸디다혈증 발병 전 2주 이내에 호중구감소증이 있어 다른 칸디다균들의 경우(12%)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11). 결 론:신생아 및 소아 칸디다혈증에서 C. albicans는 외과적 시술을 받은 환아들에서 많이 분리되었으며, C. parapsilosis는 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 특히 미숙아에서, C. glabrata는 호중구감소증 환아들에서 많이 분리되었다.

      • KCI등재후보

        단일기관에서 조사한 신생아 및 소아 칸디다혈증의 역학적 특성

        이택진,전진경,김동수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5

        목적 : 최근 신생아 및 소아 칸디다혈증의 위험인자에 따른 원인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9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던 만 15세 미만의 소아들 중 혈액배양검사에서 칸디다균속이 동정된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혈액배양검사에서 칸디다가 동정된 환아는 모두 39명이었으며, 이들의 연령 중앙값은 4개월, 남녀비는 2:1이었고 사망률은 33%였다. 원인균으로는 Candida albicans가 22예(56%), Candida parapsilosis가 9예(23%), Candida glatbrata가 6예(15%), 그리고 Candida tropioalis, Candida famata가 각각 1예씩(3%) 분리되었고, Non-albicans 칸디다들에 의한 칸디다혈증의 비율은 2001년 13%에서 2006년 91%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P=0.01). 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가 12명이었고, 이 중 58%에서 칸디다혈증의 원인균으로 C. parapsilosis가 동정되어 1개월 이상의 소아의 경우(7%)보다 유의하게 흔히 검출되었다(P=0.001). C. albicans가 분리되었던 환아 22명 중 55%에서 칸디다혈증 발병 전 2주 이내에 외과적 시술을 시행받은 경력이 있 어 다른 균주들의 경우(18%)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5). C. parapsilosis가 분리되었던 환아 9명 중 78%가 미숙아로 출생하여 다른 균주들의 경우(27%)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15). C. glabrata가 분리되었던 환아 6명 중 67%에서 칸디다혈증 발병 전 2주 이내에 호중구감소증이 있어 다른 칸디다균들의 경우(12%)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11). 결론 : 신생아 및 소아 칸디다혈증에서 C. albicans는 외과적 시술을 받은 환아들에서 많이 분리되었으며, C. parapsilosis는 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 특히 미숙아에서, C. glabrata는 호중구감소증 환아들에서 많이 분리되었다. Purpose : We evaluated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candidemia in neonates and childre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charts of hospitalized neonates and children with positive blood cultures for Candida species from September 1, 2000 through August 31, 2006. Results : Among 39 total neonates and children with candidemia, the median age was 4 months (interquartile range, 1-28) and overall mortality was 33%. Candida species included : Candida albicans (56%), Candida parapsilosis (23%) and Candida glabrata (15%). There was a tendency of proportional increase of candidemia due to non-albicans species (13% in 2001 vs 91% in 2006; P=0.01). Compared with children older than 1 month of age, the proportion of C. parapsil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eonates with candidemia (58% vs 7%; P=0.001). C. albicans was isolated more commonly from those who had undergone surgical intervention before candidemia (55% vs 18%; P<0.05). C. parapsilosis was isolated more commonly from premature neonates (78% vs 27%; P=0.015). C. glabrata was isolated more commonly from those who had neutropenia before candidemia (67% vs 12%; P=0.011). Conclusions : Candidemia by C. albicans was more commonly in surgical patients; by C. parapsilosis in premature neonates; by C. glabrata in neutropenic patients.

      • KCI등재

        소아에서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택진,김동수,신동환,Lee, Taek Jin,Kim, Dong Soo,Shin, Dong Hwa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

        목 적 : 소아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 폐 손상 후 급성적으로 폐포-모세혈관의 손상이 심하게 진행하는 질환군으로 이에 대한 임상 및 연구 자료들이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연자들은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소아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에 대한 발생 양상, 임상 경과, 예후 및 사망 원인들을 분석하여 향후 이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2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10년간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으로 진단되었거나 의심되었던 환아 45명 중 1994년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에서 제안한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33례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과 치료에 대한 후향적 자료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33명의 연령별 발병 빈도는 1세 미만에서 가장 많았으며(7례, 21.2%) 4세 미만의 환아의 수는 20례로 전체의 60.6%를 차지하였다. 반면 연령별 사망률은 1세 미만에서 57.1%로 가장 낮아 전체 사망률 78.8%(26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료성적이 좋았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남아가 20명이고 여아가 13명으로 남녀비는 약 6 : 4였고 각각의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계절별 발병 빈도는 봄철(3-5월)에 12례(36.4%)로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5월에 7례로(21.2%) 가장 높았다. 유발요인으로는 폐렴, 패혈증, 흡인성 사고 등의 순이었으며, 골수 이식 수혜자 1례를 포함하여 면역 결핍 상태의 환아들이 전체의 18.2%(6례)를 차지하였는데 이들 모두가 사망하였다. 내원 당시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grade 4 이상의 소견을 보인 환아들 중 88.9%(8/9)가 사망하였으나 흉부 방사선 소견에 따른 사망률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진단 시 호흡 부전만 보인 군의 사망률 33.3%(1/3)에 비해 타 장기의 기능 부전이 동반된 군의 사망률이 83.3%(25/30)로 증가되었지만 두 군 사이의 사망률의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생존군과 사망군의 비교에서는 진단후 7일째 헤마토크리트, 동맥혈 산소 분압,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 $PaO_2/FiO_2$, 그리고 호기말 양압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 론 :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의 사망률에는 호흡 부전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생존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연구되고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an acute form of severe alveolar-capillary injury evolving after a direct or indirect lung insult is thought to be a common cause of respiratory failure though not many clinical studies on the subject have been made yet. Methods :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2001,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n 33 children who fulfilled the definition of the ARDS recommended by the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 in 1994. Results : A total of 33 patients(20 boys and 13 girls) were selected. Their age ranged from 4 months to 12 years with seven children younger than 1 year.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78.8%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ased on age or sex. Concerning seasonal variation, incidence of the ARDS increased in spring, especially in May(21.2%). Pneumonia(66.7%)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 risk factor of the ARDS followed by sepsis(24.2%) and aspiration(3.0%). In immune compromised children(six cases), including a recipient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the mortality rate was 100%. Compared with children with multiple organ failure recording a 83.3% mortality rate, those with isolated respiratory failure, showed a lower mortality rate of 33.3%, although stastistically insignificant. Between survivor and non-survivor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hematocrit, $PaO_2$, $PaCO_2$, PEEP, and $PaO_2/FiO_2$ on the seventh day after the onset of the ARDS. Conclusion : According to our study, respiratory failure proved to have a great effect on mortality rate in the ARDS. More aggressive intervention and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should be done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 KCI등재후보

        학교신체검사에서 발견된 항인지질 항체 양성 낭창성 신염 1례

        이택진,최민숙,이영목,김지홍,김병길,정현주,Lee Taek-Jin,Choi Min Sook,Lee Young-Mock,Kim Ji-Hong,Kim Pyung-Kil,Jeong Hyeon-J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1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5 No.2

        저자들은 전신성 홍반성 낭창의 특이적인 증상 없이 학교 신체검사중 우연히 발견된 현미경적 혈뇨를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혈액응고검사(prothrombin time, partial thromboplastin time)와 루푸스 항응고인자 (lupus anticoagulant, LA), cardiolipin에 대한 항체(anticardiolipin antibody, aCL) 검사에서 항인지질증후군으로 진단된 10세 여자 환아에서 신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확진한 낭창성 신염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ntiphospholipid syndrome is a thrombotic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association of arterial and venous thrombosis with the antibodies directed toward phospholipids. The presence of these antibodie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SLE) has been shown to be related to several clinical and analytical alterations. We experienced one case of lupus nephritis with positive antiphospholipid antibodies in a 10-year-old girl whose chief complaint was persistent microscopic hematuria.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1 ;5 : 219-24)

      • KCI등재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소아청소년 접촉자 조사 결과: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단일 기관의 경험

        이택진,김은경,정혜철 대한소아감염학회 2015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2 No.2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data collected during tuberculosis (TB) contact investigations and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se investigations.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for child contacts of patients with culture-positive pulmonary TB aged 19 years or older between August 2012 and July 2014. Results: A total of 116 child contacts were identified for 79 patients with culture-positive pulmonary TB. Of 116 contacts identified, 22% were incompletely screened. Of 90 contacts who completed screening, 42% had negative tuberculin skin test (TST) results, 58% had positive results, and 1% had active pulmonary TB at the time of investigation. Of 50 contacts with TB patients with a negative smear, 50% had positive TST results. Age ≥5 years (OR 8.3; 95% CI 2.3-30) and male gender (OR 3.9; 95% CI 1.5-9.9)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ing incompletely screened. Conclusions: Improvement is needed in the process of contact investigations to ensure that contacts of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B are identified and appropriately screened. 목적: 본 연구는 결핵 접촉자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고자 계획되었다. 방법: 2012년 8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만 19세 이상의 배양검사 양성인 폐결핵 환자의 소아청소년 접촉자들의 진료기록을 검토하였다. 결과: 배양검사 양성인 폐결핵 환자 79명과 그들의 소아청소년 접촉자 116명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접촉자 116명 중 22%는 접촉자 검진을 중단하였다. 접촉자 검진을 완료한 90명 중 TST 음성이 42%이고TST 양성이 58%였으며, 검진 기간 중 1%가 활동성 폐결핵으로 진단되었다. 항산균 도말 검사 음성 결핵 환자들의 접촉자 50명의 TST 양성률은 50%였다. 5세 이상의 연령(OR 8.3; 95% CI 2.3-30)과 남성(OR 3.9; 95% CI 1.5-9.9)이 접촉자 검진 중단과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결론: 활동성 폐결핵 환자들의 접촉자들을 확인하고 올바르게 검진하기 위해서 접촉자 검진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원자로용기 압력-온도 한계곡선의 평가

        이택진,박윤원,이진호,최재붕,김영진,Lee, Taek-Jin,Park, Yun-Won,Lee, Jin-Ho,Choe, Jae-Bung,Kim, Yeong-Jin 대한기계학회 200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5 No.10

        In order to operate an RPV safely it is necessary to keep the pressure-temperature (P-T) limit during the heatup and cooldown process. While the ASME Code provides the P-T limit curve for safe operation, this limit curve has been prepared under conservative assumptions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conservative assumptions involved in the P-T limit curve specified in the ASME Code Sec. XI were investigated. Three different parameters the crack depth the cladding thickness and the cooling rate, were reviewed based on 3-D finite element analyses. Also the constraint effect on P-T limit curve generation was investigated based on J- T approach. It was shown that the crack depth and the constraint effect change the safe region in P-T limit curve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prepare a more precise P-T limit curve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to obtain P-T limit for safe operation of an RP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