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동환,최규정,윤재량,황종학,백진호 한국스포츠과학원 2000 체육과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하여 운동을 보다 규칙적이고 목표 지향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처방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1997년에 개발된 자전거 에르고미터(신동환 등, 1997)를 이용했고 퍼스널 컴퓨터와의 데이터 연결은 IC(integrated circuit)카드를 이용했다. IC카드를 이용하여 운동한 기록(운동날짜, 운동시간, 소모 칼로리)을 컴퓨터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운동처방 프로그램(김재호 등, 1994)을 동작시켜 운동처방 데이터를 만들어 낸다. 처방된 데이터를 IC카드에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자전거 에르고미터가 읽어와 이것에 의해 운동을 하게 된다. IC 카드를 이용한 운동모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 방법은 비만인 사람이 체중을 감량하기 위한 체중감량 모드가 있고, 두번째 방법은 체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체력증진 모드가 있다. IC카드 운동모드는 모두 심박수를 기준으로 자동부하 방식을 택했으며 체중감량모드는 운동소비 칼로리를, 체력증진모드는 운동시간을 운동목표로 하여, 운동소비 칼로리나 운동시간이 목표치에 도달했을 때 운동을 마치게 했다.
시청각 장애인의 방송시청 편의성 증대를 위한 오디오 핑거프린팅 기술과 스마트 기기의 활용
신동환,김정수,김창원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6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3 No.3
This research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broadcast content consumption of thevision and hearing impaired people. And it is to propose technical alternatives to complement orreplace currently used dedicated hardware based solutions such as set-top-box receivers or func-tion embedded digital TV for the convenient consumption of subtitle contents or screen commen-tary contents. Many public efforts and financial investments have been done to enhance theaccessibility of those people, and as a consequence of this, amount of dedicated broadcast contenthas been increased gradually. However, in spite of the increase of dedicated contents, the provisionof receiving device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without government’s intensive budgetary invest-ment, it is not easy to provide convenient accessibility of the broadcast contents for the vision andhearing impaired people.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suggests service technology to usepersonal smart device(smart phone, tablet etc.) as the receiving hardware, by applying audio fin-gerprinting technology to detect, recognize and compare the digital DNA of broadcast contents, andproviding synchronization of text subtitles and screen commentary audio narrations onto the ded-icated smart devices. By means of this solution, it is possible for the vision and hearing impairedpeople to consume broadcast contents without set-top-box, to secure private watching circum-stances easily, with very low cost.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들과 시각 장애인들의 방송콘텐츠 소비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함이며 시청각 장애인용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 중인 방송 수신기 및 일체형 디지털TV등 전용 하드웨어 기반의 시청방법을 보완하거나 또는 대체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장애인들의 방송시청 접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차원의 재원 및 노력 투자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어서 청각장애인들의 시청을 돕기 위한 자막 방송 및 시각 장애인들의 시청 지원을 위한 화면해설 방송 콘텐츠들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텐츠 송출의 지속적인 증가에 비해, 시청각 장애인들이 이를 소비하기 위한 방송수신환경(전용 수신장치 보급)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며, 대대적인 정부예산의 투자가 있기 전까지는 전체 장애인들의 방송시청 접근권은 여전히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의 90%가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및 태블릿 기기)를 주 HW기기로 활용하여, 방영되는 방송의 오디오 핑거프린팅 정보를 통해 방송을 인식하고, 시청각 장애인에게 필요한 자막정보 및 화면해설 정보를 동기화 시킴으로서, 이를 스마트기기의 스크린 혹은 이어폰을 통해 소비하게 하는 서비스 기술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전용 수신기가 없는 환경에서도 시청각 장애인들의 콘텐츠 소비가 가능하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시 시청환경에서도 자신만의 시청 보조 환경 확보가 가능하게 하는 등, 시청각 장애인들의 방송시청 편의성을최대한으로 제공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신동환,이성훈,Choong-Pyo Jeong,권오석,박태상,진성호,반동훈,양승한 한국정밀공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 No.
The transfer from engine drive vehicles to electric vehicle has been proceeding due to fuel exhaustion, higher fuel costs, and environmental restrictions. This trend has also led to a transition in brake system from the hydraulic brake system to the electric brake system, which uses electric power. This electric brake system has led to an enhancement of safety and eco-friendliness due to a reduction braking distance, a rapid-response property, and the elimination of braking oil. However, one of the big problems to solve for practical usages is the need of a high power motor to enable braking forces as strong as those of hydraulic brake syst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 efficiency electro mechanical brakes with a proper reinforcement mechanism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describe a wedge structure that has a self-reinforcing effect; we propose a proper actuating direction for a movable wedge to obtain greater clamping efficiency and braking efficiency, which will mean a better relation of the motor force as the input to the braking force as the output. Further, we propose the method to keep the most braking efficiency and clamping efficiency without reference to the variations of frictional coeffic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