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 형성 저하증으로 인한 종격동의 우측 편위가 심한 환자에서의 승모판막 성형술 -1예 보고-

        석양기,이종태,김규태,조준용,김근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

        폐 형성 저하증은 폐 무발생의 한 분류이다. 폐 무발생은 대부분 출생시 진단되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심혈관계 기형과 같은 다른 기형이 흔히 동반된다. 소아기에 사망할 수도 있지만, 정상적인 성장을 하는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수술 전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종격동의 심한 우측 편위와 우측 폐 실질의 허탈이 관찰되었던 폐 형성 저하증이 있는 젊은 여자에서 우측 측방 개흉술을 통한 승모판막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 KCI등재

        외상성 흉부 하행 대동맥 파열에서 원위부 관류 없이 시행한 겸자 봉합술

        석양기,조준용,이종태,김근직,박일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8

        배경: 외상성 대동맥 파열은 사망률이 매우 높은 치명적인 손상이며, 환자의 경과는 동반된 손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적절한 수술 시기와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 및 방법: 겸자 봉합술로 수술한 15명의 외상성 흉부 하행 대동맥 파열 환자를 대상으로 동반 손상 여부, 수술 후 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사망률은 6.68% (1예)로 환자는 수술 중 사망하였으며, 지연 혈복강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평균 수술 시간 및 대동맥 겸자 시간은 231±53.1분, 13.1±5.3분이었다. 1예에서 수술 후 10일째, 장 폐쇄 증상을 호소하여 시행한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기계적 장 폐쇄가 발견되어 구획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외상성 대동맥 파열은 여러 방법으로 수술할 수 있지만, 그중 겸자 봉합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완전 절제된 IB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수술 후 재발의 위험 인자

        석양기,이응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0

        배경: IB기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완전 절제이나, 수술 후 재발이 생기면 생존율이 떨어진다. 최근 IB기 비소세포폐암의 완전 절제 후 시행하는 보조 요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적절한 보조 요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재발의 위험 인자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 및 방법: 11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환자의 성별, 나이, 수술 방법, 조직학적 유형, 분화의 정도, 종양의 크기, 장측 흉막 침범 유무 등과 재발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생존율과 무재발률은 Kaplan-Meier 방법으로 구하였으며, log rank test로 단변량 분석을,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3년 생존율 및 무재발률은 각각 87.0%, 79.4%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분화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도 저분화의 경우가 예후가 좋지 않았다. 결론: 완전 절제된 IB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저분화도가 재발과 연관된 인자이므로 수술 후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후복강에서 폐로 전이된 혈관 주위 세포종 -1예 보고-

        석양기,이응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6

        혈관 주위 세포종은 주위 세포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혈관 종양으로, 주로 하지나 후복강에 생기며, 완전 절제가 치료 원칙이다. 혈관 주위 세포종은 악성 가능성이 있는 종양으로 재발 및 전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치료 후에도 주의 깊은 추적 관찰을 요한다. 저자들은 10년 전 좌측 후복강의 혈관 주위 세포종으로 완전 절제를 시행한 환자에서 발생한 폐로 전이된 혈관 주위 세포종을 수술적 절제하였다.

      • KCI등재

        TGFBI Promoter Methylation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석양기,이원기,박재용,김동선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9 Molecules and cells Vol.42 No.2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is the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s worldwide and has high rates of metastasis.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inducible protein (TGFBI) is an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 involved in tumour growth and metastasis. However, the exact role of TGFBI in NSCLC remains controversial. Gene silencing via DNA methylation of the promoter region is common in lung tumorigenesis and could thus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biomarkers. We analysed the methylation status of the TGFBI promoter in 138 NSCLC specimens via methylation-specific PCR and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GFBI methylation and patient survival. TGFBI promoter methylation was detected in 25 (18.1%) of the tumours and was demonstrated to be associated with gene silencing. We observed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GFBI methylation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showed that TGFBI methyla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outcomes in adenocarcinoma cases (adjusted hazard ratio = 2.88, 95% confidence interval = 1.19–6.99, P = 0.019), but not in squamous cell cases. Our findings suggest that methylation in the TGFBI promoter may be associated with pathogenesis of NSCLC and can be used as a predictive marker for lung adenocarcinoma prognosis. Further large-scal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 P-75 Polymorphisms in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related genes and survival of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이소연,석양기,강효경,최진은,최선하,유승수,이신엽,이재희,차승익,김창호,박재용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6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1 No.-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enables tumor epithelial cells to lose their cell polarity and cell-cell adhesive interactions and junctions, allowing the cells to escape from the primary tumo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NPs in EMT-related genes and the survival outcomes of patients with surgically resected NSCLC. A total of 88 SNPs in EMT-related genes were evaluated in 376 NSCLC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surgery. A replication study was performed in an independent cohort of 428 patients. Fourteen SNPs which were associated with survival outcomes in discovery set were selected for validation. Among those, two SNPs ( rs1711972A>C and rs784621G>A)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survival outcom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scovery set. In combined analysis, patients with the rs1711972 AC+CC genotype had a significantly better OS and DFS compared with those with AA genotype (aHR for OS, 0.67; 95% CI 0.51-0.88; P = 0.004 and aHR for DFS, 0.77; 95% CI 0.62-0.95; P = 0.01). Patients with the rs784621 AA genotype had a significantly worse OS compared with those with GG+GA genotype (aHR for OS, 2.65; 95% CI 1.63-4.31; P =8.1 x 10-5). A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the reporter gene for the C allele of rs1711972 compared with the A allele was observed (P = 0.01), and the rs784621A allele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HEYL promoter activity than the rs784621G allele (P = 3.7 x 10-3) in luciferase assays. FOXF2 rs1711972A>C and HEYL rs784621G>A influence survival outcomes of patients with surgically resected NSCLC.

      • Hyperthermic intrathoracic chemotherapy with cisplatin for the ovary cancer with pleural metastasis

        전수연,석양기,이윤희,정근오,이윤순,조영래,홍대기 대한산부인과학회 2016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2 No.-

        목적: Demonstrate a new instrument, technique or procedure. 방법: Intrathoracic metastasis of ovarian cancer shows bad prognosis regardless of treatment modalities. Recent development of surgical techniques and new treatment concept of direct infusion of chemoagents with hyperthermia could help for the treatment of disseminated diseases in ovary cancer. Us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and intracavitary chemotherapy with hyperthermia, we tried an hyperthermic intrathoracic chemotherapy for a case of stage IV high grade serous ovarian cancer with pleural metastasis. There was no high grade complication related with the procedure. The patient is alive without disease at 32 months after the initial treatment.

      • KCI등재

        Hyperthermic intrathoracic chemotherapy with cisplatin for ovarian cancer with pleural metastasis

        전수연,석양기,Tomoyasu Kato,전다솜,이윤희,정근오,이윤순,조영래,홍대기 대한산부인과학회 201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0 No.3

        Intrathoracic metastasis of ovarian cancer has poor prognosis regardless of treatment modality. Recent development of surgical techniques and the new concept of direct infusion of chemotherapeutic agents with hyperthermia could help with the treatment of disseminated diseases in ovarian cancer. Us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and intracavitary chemotherapy with hyperthermia, we tried hyperthermic intrathoracic chemotherapy for a case of stage IV high-grade serous ovarian cancer with pleural metastasis. There was no high-grade complication related to the procedure. The patient is alive without disease at 32 months after initial treatment.

      • KCI등재

        외상성 횡격막 파열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조석기,이응배,석양기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1

        Background: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is not common, but it requires swiftly performing an emergency op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s for mortality after surgically treating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Material and Method: From Jan 2001 to Dec. 2008, we experienced 37 cases of multiple traumas with diaphragmatic injuries that were confirmed by surgical procedures. We evaluated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type of injury, the associated injuries, the preoperative vital signs, the ISS, the time until surgery and the rupture size. Result: There were 30 patients with blunt trauma and 7 patients with penetrating trauma. Thirty-four patients had associated injuries and the mean ISS was 20.8.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11 patients and hospital mortalities occurred in 6 patients. The prognostic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postoperative mortalities were the preoperative intubation state, the patient who exhibited hypotension and a high ISS. Conclusion: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is just one part of multiple traumas. The postoperative mortalities might depend on not only on the diaphragmatic rupture itself, but also on the severity of the associated injuries.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10;43:47-52) 배경: 외상성 횡격막 파열은 흔하지는 않지만 응급을 요하는 손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외상성 횡격막 파열의 원인, 동반된 손상의 종류, 진단 방법, 수술 후 예후 인자 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 응급실을 통해서 내원한 외상 환자들 중에서 수술을 통해서 외상성 횡격막 파열로 진단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상의 종류, 동반된 손상, 술 전 활력 징후, Injury Severity Score (ISS), 진단 방법 및 수술까지 걸린 시간, 수술 시 접근 방법, 파열 부위 및 파열 정도, 파열된 횡격막을 통한 장기의 이탈 정도 등이 수술 후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둔상에 의한 경우가 30명(81.1%), 관통상에 의한 경우가 7명(18.9%)이었다. 34명(91.9%)에서 횡격막 파열 이외에 동반된 손상이 있었으며, ISS는 평균 20.8이었다. 술 후 합병증은 총 11명(29.7%)에서 발생하였으며, 술 후 사망은 6명(16.2%)에서 발생하였다. 술 후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술 전 기관 삽입, 술 전 저혈압, 20점 이상의 ISS 등이 있었다. 결론: 외상성 횡격막 파열은 다발성 손상의 한 부분으로 발생하는 손상이며, 수술 후 예후는 횡격막 손상 자체보다는 동반된 손상 정도에 따라 결정되었다.

      • KCI등재

        Traumatic Right Pulmonary Artery Rupture after Accidentally Being Stepped on the Chest

        손신아,배재민,오탁혁,도영우,석양기,조준용 대한흉부외과학회 201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52 No.5

        Traumatic pulmonary artery rupture is a rare, life-threatening injury. Currently, no strict guidelines for its management exist. Herein, we report a successful surgical repair of a right pulmonary artery rupture caused by being stepped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