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성 횡격막 파열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조석기,이응배,석양기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1

        Background: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is not common, but it requires swiftly performing an emergency op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s for mortality after surgically treating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Material and Method: From Jan 2001 to Dec. 2008, we experienced 37 cases of multiple traumas with diaphragmatic injuries that were confirmed by surgical procedures. We evaluated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type of injury, the associated injuries, the preoperative vital signs, the ISS, the time until surgery and the rupture size. Result: There were 30 patients with blunt trauma and 7 patients with penetrating trauma. Thirty-four patients had associated injuries and the mean ISS was 20.8.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11 patients and hospital mortalities occurred in 6 patients. The prognostic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postoperative mortalities were the preoperative intubation state, the patient who exhibited hypotension and a high ISS. Conclusion: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is just one part of multiple traumas. The postoperative mortalities might depend on not only on the diaphragmatic rupture itself, but also on the severity of the associated injuries.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10;43:47-52) 배경: 외상성 횡격막 파열은 흔하지는 않지만 응급을 요하는 손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외상성 횡격막 파열의 원인, 동반된 손상의 종류, 진단 방법, 수술 후 예후 인자 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 응급실을 통해서 내원한 외상 환자들 중에서 수술을 통해서 외상성 횡격막 파열로 진단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상의 종류, 동반된 손상, 술 전 활력 징후, Injury Severity Score (ISS), 진단 방법 및 수술까지 걸린 시간, 수술 시 접근 방법, 파열 부위 및 파열 정도, 파열된 횡격막을 통한 장기의 이탈 정도 등이 수술 후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둔상에 의한 경우가 30명(81.1%), 관통상에 의한 경우가 7명(18.9%)이었다. 34명(91.9%)에서 횡격막 파열 이외에 동반된 손상이 있었으며, ISS는 평균 20.8이었다. 술 후 합병증은 총 11명(29.7%)에서 발생하였으며, 술 후 사망은 6명(16.2%)에서 발생하였다. 술 후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술 전 기관 삽입, 술 전 저혈압, 20점 이상의 ISS 등이 있었다. 결론: 외상성 횡격막 파열은 다발성 손상의 한 부분으로 발생하는 손상이며, 수술 후 예후는 횡격막 손상 자체보다는 동반된 손상 정도에 따라 결정되었다.

      • KCI등재

        절제된 비소세포암에서 FDG 섭취비와 Glut-1 발현 정도를 이용한 종격동 림프선 전이 여부 예측

        조석기,이응배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5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FDG uptake ratio of mediastinal node and primary tumors using integrated PET/CT imaging combined with Glut-1 expression of the primary tumor in order to predict the N2 status more accurately in NSCLC patients. Material and Method: Patients who underwent integrated PET/CT scanning with a detectable mSUV for both primary tumors and mediastinal lymph nodes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The FDG uptake ratio between the mediastinal node and the primary tumor was calculated. Result: The average mSUV of primary tumors and mediastinal nodes were, respectively, 7.4±2.2 and 4.2±2.2 in N2-positive patients and 7.6±3.7 and 2.8±6.9 in N2-negative patients. The mean FDG uptake ratio of mediastinal node to primary tumor were 0.58±0.23 for malignant N2 lymph nodes and 0.45±0.20 for benign lymph nodes (p<0.05). Models which combined Glut-1 expression with an FDG ratio have better diagnostic power than models that use the FDG uptake ratio alone. Conclusion: In some patients with a previous history of pulmonary tuberculosis or other inflammatory lung diseases, an FDG uptake ratio combined with Glut-1 expression may be useful in diagnosing mediastinal node metastasis more exactly. 배경: 이 연구는 비소세포암 환자에서 종격동 임파선 전이 여부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PET/CT에서 종격동 임파선과 폐종괴의 FDG 섭취비와 폐종괴의 Glut-1 발현 정도를 이용하여 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PET/CT에서 폐종괴와 종격동 임파선에서 측정할 수 있는 정도의 FDG섭취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FDG 섭취비는 종격동 임파선의 섭취를 폐종괴의 섭취로 나누어 구하였다. 폐종괴의 Glut-1 발현은 발현 면적으로 나타내었다. 결과: 폐종괴와 종격동 임파선의 mSUV값은 악성군에서 각각 7.4±2.2와 4.2±2.2, 양성군에서 각각 7.6±3.7와 2.8±6.9였다. FDG의 섭취비는 악성군과 양성군에서 각각 0.58±0.23과 0.45±0.20 (p<0.05)였다. FDG 섭취비와 Glut-1 발현 정도를 결합한 모델 중에서 {p/(1−p)}=ratio+glut+ratio×glut의 식으로 표시된 모델이 FDG 섭취비만을 이용한 모델 보다 정확히 종격동 임파선의 악성 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 염증성 폐질환의 병력이 있는 일부 폐암 환자에서 Glut-1 발현 정도를 고려한 FDG 섭취비를 분석한 모델은 종격동 임파선의 악성 정도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시 고위험군 환자에서 대동맥내 풍선 펌프의 유용성

        조석기,장우익,임청,이철,이재익,김용락,함병문,김기봉,Cho, Suk-Ki,Jang, Woo-Ik,Lim, Cheong,Lee, Cheul,Lee, Jae-Ik,Kim, Yong-Lak,Ham, Byung-Moon,Kim, Ki-Bo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2

        배경 : 심폐바이패스를 하지 않고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Off-pump Coranary Artery Bypns, OPCAB)은 심장 뒤쪽에 위치한 혈관 문합을 위해서 심첨부를 앞쪽으로 들어 올리는 등 심장의 위치를 변화시켰을 때, 심박출량 감소, 체동맥 혈압 감소, 국소적인 심근 허혈을 심화시켜 심장 기능이 떨어지게 되며 이런 변화는 고위험군 환자에서 심장 뒤쪽에 위치한 혈관문합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군 환자에서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시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 사용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서 시행한 OPCAB 300례 중 심장 뒤쪽 혈관의 문합이 필요하였던 18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189명 중 수술 전, 중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을 시행 받았던 환자 74례(I군, 64례는 수술 전 삽입, 10례는 수술 중 삽입)와 시행 받지 않았던 환자 115 례(II군) 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의 적응증으로 심한 좌주 관상동맥 질환( 75% 폐색)이 39례, 지속적인 정맥 내 니트로글리세린과 헤파린의 주입같은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협심증이 40례, 심박출률이 35% 미만인 좌심실 기능부전이 14례, 최근 4주이내에 급성 심근경색이 있었던 심근 경색후 협심증이7례, 불안정형 협심증이 56례 등이 있었다. 결과 : 평균 원위부 문합수는 I 군이 3.5 0.9, II 군이 3.4 0.9 로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I군에서는 수술 사망은 1명, II 군에서는 2명 있었다. 두 환자군 사이에서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입원기간 등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I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었다. 두 환자군 사이에서 술 후 부정맥, 수술 중, 후 심근경색, 술 후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의 발생에는 차이가 없었다. 술 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사용한 시간은 평균 6.7$\pm$9.5 이었으며 대동맥내 풍선펌프와 연관된 합병증은 1명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 저위험군 환자의 수술 성적과 비교를 통하여 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한 고위험군 환자에서 수술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증명하였고 고위험군 환자에서 대동맥내 풍선펌프의 사용은 심장 뒤쪽 혈관 문합을 포함한 OPCAB을 가능케 함을 밝혔다.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preoperative placement of intraaortic balloon pump(IABP) in reducing operative risk and facilitating posterior vessel OPCAB in high risk patients with left main disease( 75% stenosis), intractable resting angina, postinfarction angina, or left ventricular dysfunction(ejection fraction 35%). Material and Method : One hundred eighty- nine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multi-vessel OPCAB including posterior vessel revascularization were studi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I(n=74) that received preoperative or intraoperative IABP and group II(n=115) that did not receive IABP. In group I, there were 39 patients with left main disease, 40 patients with intractable resting angina, 14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nd 7 patients with postinfarction angina. Ten patients received intraoperative IABP support due to hemodynamic instability during OPCAB. Result : There was one operative mortality in group I and two mortalities in group II. The average number of distal anastomoses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 I and group II(3.5$\pm$0.9 vs 3.4$\pm$0.9, p=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posterior vessel anastomosis per pati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ventilator support time, length of hospital stay, and morbid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one case of IABP-related complication in group I. Conclusion : IABP facilitates posterior vessel OPCAB in high risk patients, with comparable surgical results to low risk patients

      • KCI등재

        폐로 전이된 양성 전이성 근종

        조석기,유경민,전상훈,성숙환,정진행,이재호,김용범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4

        Benign metastasizing leiomyoma (BML) is a rare entity, characterized by the occurrence of multiple smooth musclenodules in the lung with histologically benign leiomyoma. Both the uterine and pulmonary tumors have been foundto express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which suggest that the pulmonary lesions represented metastasesfrom leiomyoma. We experienced a 41-year-old female patient with BML and report here with the literature review. 양성 전이성 근종은 조직학적으로는 양성 종양의 소견을 보이는 자궁근종에서 폐로 전이되어, 임상적으로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지닌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자궁근종으로 자궁 절제술을 계획하고 있는 환자에서 다발성 폐 결절이 발견되어, 폐절제술과 자궁절제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조직병리 검사에서 폐 결절에서 호르몬 수용체 존재를 확인하여 양성 전이성 근종으로 확진할 수 있었으며,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치료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 KCI등재

        Fistulas between the Esophagus and Adjacent Vital Organs in Esophageal Cancer

        조석기 대한흉부외과학회 202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53 No.4

        Esophageal fistulas may occur in an advanced stage or as a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treatment. They can be divided into esophageal-respiratory and esophageal-aorta fistulas. The diagnosis is confirmed with fluoroscopy using dilute barium oral contrast, followed by thin-section computed tomography, which defines the precise lo- cation and extent of the fistula. Flexible esophagoscopy and bronchoscopy are required for confirmation and anatomic assessment of the suspected fistula an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treatment planning. Contamination is traditionally controlled by surgical exclusion, along with a jejunal feeding tube. Currently, fully covered self-expanding metal stents are the primary treatment option.

      • SCOPUSKCI등재

        우심실 보조장치 하의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수술 -2례 보고-

        조석기,김기봉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11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고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은 심 비대와 좌심실 기능저하가 동반된 협증심 환자에서는 심장 뒤쪽에 위치한 관상동맥에 대한 접근이 어렵고 수술 중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시행하기에 어려운 경우가 많다. 우심실 보조장치 하의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은 대동맥의 삽관을 피하고, 심폐바이패스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며, 심장 뒤쪽에 위치한 혈관의 문합시에도 안정된 혈역학적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어 고위험군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좌심실 기능저하와 심 비대가 동반된 환자에서 우심실 보조장치 하의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2례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어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Cuff Technique for Small-Diameter Vascular Grafts in the Systemic Arterial Circulation of the Rat

        조석기,송인학 대한흉부외과학회 201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51 No.6

        This study determined the feasibility of the cuff technique for small-caliber vascular grafts in a rat model. A graft was implanted with the cuff technique or suture technique in a 1-cm segment of the abdominal aorta in 12 rats. The mean aortic clamp time was 29 minutes with the cuff technique and 44 minutes with the suture technique; the cuff technique was significantly shorter. Abdominal angiography at 1 week after implantation showed no significant stenosis in 9 rats, focal stenosis of the mid-portion of the graft in 1 rat with each technique, and total occlusion of the graft in 1 rat with the suture technique. We have successfully used the cuff technique for anastomosis for small-caliber vascular grafts in an animal model.

      • SCOPUSKCI등재

        원발성 폐암 환자에서의 기관지 소매 절제술의 장기 성적

        조석기,성기익,이철,이재익,김주현,김영태,성숙환,Cho, Suk-Ki,Sung, Ki-Ick,Lee, Cheul,Lee, Jae-Ik,Kim, Joo-Hyun,Kim, Young-Tae,Sung, Sook-Wha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2

        배경 : 기관지 소매 절제술은 종양이 기관지 근위부를 침범한 경우 전폐 절제술 후 폐기능의 감소가 커서 시행할 수 없는 경우에 폐실질을 보존함으로써 폐기능을 유지 할 수 있는 술식이다. 하지만 수술 수기의 난해함과 술 후 위험한 합병증 때문에 전폐절제술의 대 안으로만 여겨져 왔으나, 최근 많은 보고들은 다른 절제술에 비해 낮은 사망률과 낮은 morbidity를 보이고 있어 하나의 표준치료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관지 소매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술 후 합병증의 발생률과 생존율을 분석하여 폐암 환자에 대한 기관지 소매 절제술의 타당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부터 1998년 까지 서울 대학교 병원 흉부외과에서 기관지 소매 절제술을 시행받은 원발성 폐암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남녀의 비는 40 : 5이었고 평균 연령은 57.4$\pm$9.7(23 ~72) 세였다. 수술 후 조직검사상 세포형태는 편평상피암이 35명, 선암이 7명, 선편평상피암이 1명이었으며 기타 2명이었다. 수술부위는 우상엽이 24명, 좌상엽이 11명, 좌하엽이 3명, 우하엽이 1명, 우중엽과 우하엽이 3명, 우중엽과 우상엽이 2명, 좌 전엽이 1명이었다. 수술 후 병기는 stage Ib가 11례, stage IIa가 3례, IIb가 16례, stage IIIa가 13례, IIIb 2례였다. 결과 : 조기 합병증으로 무기폐의 소견을 보인 경우가 9례, 7일 이상의 공기유출이 있었던 경우가 7례, 14일 이상의 늑막 삼출이 7례, 폐렴이 2례, 유미흉이 1례, 문합부 파열이 1례에서 있었다. hospital mortality는 3례 있었으며 후기 합병증의 대부분은 문합부위 협착에 의한 폐 허탈이었으며, 총15명에서 외래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이 중 7례에서 문합부위에 섬유화, granuloma, 허혈등에 의한 폐쇄가 관찰되었고 1례에서는 내시경으로 치료를 시행하였고 1례에서는 조직검사상 재발이 확인되어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외래 추적 중 사망한 환자는 21례였으며, 흉곽내 국소 재발(동측 폐, 동측 종격동 임파선 전이)이 9례, 원격전이가 12례 있었다. 장기생존환자 42명의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5.5$\pm$29 개월이며 병기별로는 I 기 환자 11명은 모두 생존 중이며, II기 환자 19명의 3년 생존율은 63% 환자 13명의 3년생존율은 21%였으며 N stage에 따른 3년 생존율은 N0는100%, Nl은 63%, N2는 28%였다. 각 병기별 median survival time은 II기 59개월, IIIa기 16개월, Nl, N2는 각각 55개월, 22개월이었다. 결론 : 기관지 소매 절제술은 사망률이나 합병증의 발생률이 다른 술식보다 더 높지 않으며, 기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하여 폐기능이 나빠 전폐절제술을 견딜수 없는 일부 국한된 환자에서만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관지 근위부에 위치한 폐암에서 적극적으로 시행될 것으로 본다. Background : Bronchial sleeve resection for centrally located primary lung cancer is a lung-parenchyma-sparing operation in patients whose predict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is expected to diminished markedly. Because of its potential bronchial anastomotic complications, it is considered to be an alternative to pneumonectomy. However, since sleeve lobectomy yielded survival results equal to at least those of pneumonectomy, as well as better functional results, it became and accepted standard procedure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who have anatomically suitable tumors, regardless of lung function. In this study, from analyzing of occurrence rat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survival rate, we wish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sleeve resection for primary lung cancer. Material and Method :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8, 45 bronchial sleeve resections were carried out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included 40 men and 5 women, whose ages ranged from 23 to 72 years with mean age of 57 years. Histologic type was squamous cell carcinoma in 35 patients, adenocarcinoma in 7, and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in 1 patients. Right upper lobectomy was peformed in 24 patients, left upper lobectomy in 11, left lower lobectomy in 3, right lower lobectomy in 1, right middle lobecomy and right lower lobectomy in 3, right upper lobectomy and right middle lobecomy in 2, and left pneumonectomy in 1 patient. Postoperative stage was Ib in 11, IIa in 3, IIb in 16, IIIa in 13, and IIIb in 2 patients. Resul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s follows; atelectasis in 9, persistent air leakage for more than 7 days was in 7 patients, prolonged pleural effusion for more than 2 weeks in 7, pneumonia in 2, chylothorax in 1, and disruption of anastomosis in 1. Hospital mortality was in 3 patients. During follow-up period, bronchial stricture at anastomotic site were found in 7 patients under bronchoscopy, Average follow-up duration of survivals(n=42) was 35.5$\pm$29 months. All of stage I patients were survived, and 3 year survival rate of stage II and III patients were 63%, 21%, respectively. According to Nstage, all of N0 patients were survived and 3 year survival rates of Nl and N2 were 63% and 28% respectively.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is sleeve resection, which is technically demanding,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centrally located lung cancer, because ttlis lung-saving operation is safer than pneumonectomy and is equally cu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