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동기 복조 DS/CDMA 역방향 링크에서 채널 추정 및 다중 사용자 검파를 이용한 성능 개선
홍대기,윤석현,홍대식,강창언 한국전자파학회 200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2 No.5
In this paper, we propose maximum likelihood (ML) decision feedback channel estimation (DFCE) for M-ary orthogonal modulation in 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DS/CDMA) systems. The proposed DFCE uses the maximum combiner output in a RAKE receiver as decision feedback information, enabling M-ary orthogonal signals to be demodulated coherently and a RAKE receiver to use a em maximal ration combining (MRC) scheme.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FCE in the multiuser environment is severely degraded due to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MAI). To overcome this problem, a multistage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PIC) scheme is combined with the proposed DFCE for multiuser environments. Accurate knowledge of the channel coefficient estimated by the proposed DFCE is used to regenerate the signal of each user for the multistage PIC schem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simulations, the performance of coherent demodulation using the proposed system is significantly improved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noncoherent demodulation.
한국인 여성에서 자궁근종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 - 후향적 연구 -
홍대기,정민지,김보섭,이정미,조영래,이택후,전상식,Hong, D.G.,Chung, M.J.,Kim, B.S.,Lee, J.M.,Cho, Y.L.,Lee, T.H.,Chun, S.S.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isk factors related to uterine leiomyoma in Korean women and to compar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western studi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All the cases of uterine leiomyoma (n=244) were diagnosed surgically or sonographically between Jannuary 1998 and December 2004. Total of 269 controls not having uterine leiomyom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visite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routine gynecologic check-up or treatment of their gynecologic or obstetric diseases other than uterine leiomyom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view of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s and analyzed with $x^2$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In multivariate analysis, patient's age (OR 1.070; 95% CI 1.041~1.099), number of artificial abortion (OR 1.182; 95% CI 1.018~1.374) and alcohol drinking (OR 1.865; 95% CI 1.231~2.824)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uterine leiomyoma. The duration of lactation was the only factor which had negative correlation (OR 0.985; 95% CI 0.972~0.998). BMI, parity, age at menarche, the duration and interval of menstruation, caffeine consumption and marital status did not show any correlations. Conclusion: In this study, patient's age, number of artificial abortion, and alcohol drinking were the risk factors of uterine leiomyoma in Korean women and the result was similar to that of western studies. Though we couldn't find out the specific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uterine leiomyoma in this study, but it has a great meaning to be the first trial in Korean women. The role of information bias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and further multicentered, randomized, controlled prospective studies will be needed to know the possible risk factors among Korean women.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여성에서 자궁근종 발생과 관련된 인자를 찾고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1998년 l월부터 2004년 12월 사이에 경북대학교병원을 정기 검사 및 산부인과 질환을 가진 환자로 치료를 위해 방문한 환자 중 외과적 또는 초음파검사상 자궁근종이 진단된 244명과 자궁근종이 없는 269명을 대조군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는 의료기록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통계분석은 $x^2$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다변량분석상 나이, 인공유산 횟수, 음주는 자궁근종 발생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수유기간에 따라서는 그와 반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BMI, 분만력, 초경 나이, 월경기간 및 간격, 카페인 섭취, 결혼 상태는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이번 연구는 한국인 여성에서 자궁근종 발생에 관련된 인자에 대한 첫 후향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지만, 한국인 여성에서의 구체적인 발생인자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한국인 여성에서의 자궁근종의 발생인자에 대한 향후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공간정보 및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현
홍대기,송병선,이남용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최근 문화산업은 세계화, 컨버전스, OSMU(One Source Multi use)의 확산 등 환경 변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감성, 체험 등 문화적 창의성이 국가 발전을 위한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화된 문화콘텐츠는 자료의 축적, 보존, 관리 수준으로서 그 정체성 및 활용성 저하가 심화되고 있어, 문화의 공간화 및 공간의 문화화를 통한 상생 모델화가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산업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창조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는 기반으로 시공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공 문화콘텐츠를 자유롭게 검색하고 원하는 대로 가공 또는 재생산하여 전시, 유통할 수 있는 문화공간(Culture Space)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Culture) 및 공간(Space)의 융합 형태를 통하여 시공간의 디지털 정보를 담고 있는 문화콘텐츠에 개인이 자유롭게 확대 재생산 및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정보와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