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디지털 보존 연구의 동향 분석

        이소연 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3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의 디지털 아카이브와 보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그 간의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최대한 넓은 범위에서의 연구동향을 확인하기 위해 배경 학문을 불문하고 디지털 아카이브나 보존 관련 키워드를 포함하는 연구논문 115건을 수집하였다. 이를 일반 연구, 정책 연구, 기술 연구와 디지털 자원 유형별 연구의 4가지 주제영역별로 범주화하여 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s at reviewing digital archives and preservation research trends from diverse disciplines in order to shed light on what have been accomplished so far as well as what should be done to make progress. A total of 115 research articles have been selected from 2 journals of archival science and 28 jour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mputer science, and others. Selected articles are categorized into four subject areas. For each subject area, research trends are reviewed.

      • KCI등재

        의료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소연,이정원 보건의료산업학회 2018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2 No.4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hypothetical models composed of elements that affect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workers. Methods : From four random hospitals, 3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IBM SPSS, AMOS 22.0. Results :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 This research found tha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ffect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we should implement policies and administration to maximiz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KCI등재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개선전략 연구

        이소연 한국기록관리학회 2015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5 No.1

        The current study aims to propose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Korea. Here, benefits from the system and reasons of underusage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taken from the analysis of interviews and answers to open-ended questions in the system usage survey. Issues related to the nine main functions of the system were also reviewed in the process. With this, the improvement strategies related to the aforementioned issues are categorized as (1) simplification of functionalities, (2) quality assurance of records and metadata, (3) strengthening user assistance and communication, and (4) trust building betwee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records centers of public institutions. 이 연구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개선전략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표준RMS의 활용현황 조사 설문지의 개방형 응답이나 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표준RMS를 도입하여 얻은 이점과 활용하지 않는 이유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인수부터 공개관리까지 표준RMS의 9가지 대기능별로 활용과 관련한 쟁점사항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1) 기본 기능 중심으로 개선, (2) 사용자지원과 소통 강화, (3) 생산기관과 국가기록원 간 신뢰 구축, 그리고 (4) 기록과 메타데이터 품질 확보 등 네 가지 개선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한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청동풍탁(靑銅風鐸)의 제작 기법 연구

        이소연,정광용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2

        The wind chime is a longstanding Jangeomgu (majestic article) found in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basic research on wind chimes is currently inadequate a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time of production, and there are few relics. Therefore, this research morphologically classifies the eight bronze wind chimes decorating the baldachin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wanchoksa Temple, Nonsan. Based on this,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roduction period are scientifically demonstrated. The synthesis of the research results reveals that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nd chimes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wanchoksa Temple, Nonsan differ depending on their location on the baldachin. The four large-sized wind chimes on the lower-baldachin were manufactured by casting a Cu-Sn-Pb alloy, and they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early period of Goryeo. The two medium-sized wind chimes of the upper-baldachin’s northern direction were manufactured through forging a Cu-Sn or Cu-Sn-Pb alloy, and they appear to have a similar structure to the cylindrical wind chimes appearing during the latter period of Goryeo and the Joseon period. The two small-sized wind chimes of the upper-baldachin’s southern direction were manufactured by casting a Cu-Sn-Pb alloy containing Zn, and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loy and the shape of the clapper, they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nufactur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Through the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s and a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it is demonstrated that two wind chimes of the lowerbaldachin were manufactured by casting and slow cooling the alloy with an alloy ratio of Cu:Sn:Pb≒80:15:5.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wind chimes of the upper-baldachin’s northeast direction were manufactured by forging an alloy of Cu-Sn with a similar alloy ratio to that of forged high tin bronze.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prior research on domestic wind chimes confirm that two wind chimes of the lower-baldachin have a similar composition ratio to the wind chime excavated from Wolnamsaji in Gangjin, containing an amount of tin that corresponds with ancient records. Having a similar alloy ratio to forged high tin bronze, the wind chimes of the upper-baldachin’s northeast direction are the only instances among all of the wind chimes that have been examined to date that were manufactured using this forg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llect baseline data to verify and classify the manufacturing period of wind chimes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It is hoped that this data can be utilized for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processes of the wind chimes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wanchoksa Temple, Nonsan. 풍탁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는 불교 장엄구이다. 하지만 풍탁은 제작 시기를 추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유물의 수가 많지 않아 기초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술사적 연구를 참고 하여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보개에 장식되어 있는 청동풍탁 8점을 형태학적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른 제작 기법 및 제작 시기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보개의 위치에 따라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청동풍탁은 형태 및 제작 기법의 특징이 나타났다. 대형인 하부 보개 청동풍탁 4점은 Cu-Sn-Pb 삼원계 합금을 주조 기법으로 제작하였으며, 서산 출토 동제 풍탁과 형태가 매우 흡사하여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확인된다. 중형인 상부 보개 북측 청동풍탁 2점은 Cu-Sn 또 는 Cu-Sn-Pb 합금을 단조 기법으로 제작하였으며, 고려 후기~조선시대에 나타나는 원통형 풍탁과 형태가 유사하다. 소형인 상부 보개 남측 청동풍탁 2점은 미량의 아연(Zn)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Cu-Sn-Pb 삼원계 합금을 주조 기법으로 제작하였으며, 합금 성분 및 치게의 형태 등을 통해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미세조직 관찰 및 성 분 분석을 통해 하부 보개 청동풍탁 2점은 Cu:Sn:Pb≒80:15:5의 합금비를 지닌 삼원계 합금을 주조 후 서냉하여 제 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부 보개 동북측 청동풍탁은 방짜유기와 유사한 합금비인 Cu-Sn 이원계 합금을 소재로 단조 기법으로 제작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국내 풍탁의 선행 연구와 비교·분석한 결과, 하부 보개 동측 청동풍탁 2점은 타명기에 적합한 주석 함유량을 지닌 고려시대에 제작된 강진 월남사지 출토 금동풍탁의 합금 조성비와 유사하게 확인된다. 방짜유기와 유사한 합금 비를 지닌 상부 보개 동북측 청동풍탁은 현재까지 연구된 풍탁 중 유일하게 단조 기법으로 제작된 사례이다. 본 연구를 통해 풍탁의 제작 시기를 형태학적 특징으로 구분하는 데 있어 과학적인 근거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구 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