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치과기공사의 교육 평가 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원,김기백,남상용,정재관,조미,정수하,김재홍 대한치과기공학회 2018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40 No.4

        목적: 본 연구는 실무 현장과 교육 현장의 조사를 통한 종합적인 의견을 수렴하여 합리적인 치과기공사 양성 및 배출을 위한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3회에 걸쳐 설문조사가 진행되었으며, 1차는 개방형 문항으로 조사되었고, 2차, 3차는 폐쇄형 문항으로 조사되었다. 델파이 조사를 위한 조사 인원 선정을 100명(정책집단: 20명, 교육집단: 20명, 임상가 집단: 60명)으로 지정하였다. 1차 개방형 조사결과를 토대로 2차 설문문항을 작성하였으며, 2차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3차 설문문항을 작성 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Ver. 21.0를 활용하여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을 활용한 연구 결과에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현 교육체계의 문제점은 임상현장과의 차이와 실무능력저하, 국가시험위주의 교육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으며, 현행 평가제도의 문제점은 임상현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점, 실무능력이 미 반영된 실기평가로 지적되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치과기공사의 교육과정과 평가제도는 현실적인 내용을 고려하면서 임상 실무와의 연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한국인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골수 이형성 증후군과 HLA 연관성

        윤정숙,김원,한경자,김용구,임지,민우성,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1

        배경:주조직 적합항원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 MHC)는 쥐에서 처음 이식 항원으로 발견된 이래 이식 면역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 유전자로서 감염, 종양, 자가면역 질환 등의 발생에 관여한다. 사람에서 자가 면역 질환과 HLA 연관성이 증명되어 있으나, 백혈병에서 HLA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드물며 대상군 수가 유의한 결론을 얻기에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과 골수 이형성 증후군(MDS) 환자를 대상으로 HLA class I, II 항원 및 2-유전자좌 일배체형 빈도를 구하고, 이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AML 및 MDS군과 연관된 HLA 항원 및 일배체형이 있는지 살펴보고, AML군은 FAB 분류와 면역 표현형 분류에 따른 아군으로 분류하여 각 아군과 연관된 HLA 항원 및 일배체형을 관찰함으로써 AML 및 MDS군과 HLA의 연관성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1991년 1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성모병원에 내원하여 NIH standard microlymphocytotoxicity를 이용한 혈청학적 방법으로 HLA class I, II 항원 형별 검사를 실시한 415례의 AML과 62례의 MDS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질환군과 FAB, 면역 표현형 아군에서 HLA 항원 빈도와 유전자 빈도를 구하고, 항원 빈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Haldane’s method에 따라 상대 위험도(RR)를 구한 뒤 chi-square 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AML, MDS 각 질환군과 아군에서 square root법을 이용하여 HLA A-B, C-B, B-DR 2-유전자좌 일배체형 빈도를 구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chi-square 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1) Cw8이 AML, MDS 질환군에서 RR이 0.10, 0.22로 매우 감소하여 이들 질환과 강한 연관성 정도를 나타냈다(p<0.001). 2) Blank 유전자 빈도의 증가가 AML, MDS 질환군의 각 HLA locus에서 관찰되었으며, 특히 이 분석 결과는 DR locus에서 현저하여, AML과 MDS군에서 DR-blank 빈도는 11.6%, 7.0%로 매우 증가하였다. 3)AML군과 A2-B61, Cw8-B61, B62-DR11 일배체형 연관성과, MDS군과 Cw3-B51, B62-DR14, B35-DR9 일배체형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4)FAB 분류별 아군에서 AML-M3와 A33 항원 연관성과 AML-M1과 A2-B51 일배체형 연관성이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01). 5) AML 면역 표현형 아군에서 HLA-A29, B56 항원과 panmyeloid 면역 표현형인 CD33, CD15와의 연관성이 관찰되었고, A2-B48, Cw7-B44 일배체형과 myeloid 면역 표현형인 CD34, CD33, CD11c와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결론:AML과 MDS는 HLA와 연관성 있는 질환이며, AML과 MDS군의 발생 및 AML군에서 백혈병 세포의 분화 단계를 예측하기 위해 본 연구 자료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has been widely studied in the field of transplantation immunology, since initially defined as transplantation antigen in mouse in 1936. Although associations have been demonstrated between many autoimmune diseases and HLA in human, the studies of HLA association with human leukemia are rare, and have too small sample size to get a significant result. We tried to invesgate the association of AML and MDS with HLA, and the association of FAB, immunological subgroup with HLA in AML group by using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HLA role in the development of AML and MDS, and find any HLA antigens or haplotypes which can predict the development of AML or MD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15 patients with AML and 62 patients with MDS who admitted in St. Mary's hospital between 1991. 1. and 1998. 7., and were typed for HLA class I, II antigens by using serological method of NIH standard microlymphocytotoxicity. We calculated the HLA antigen, gene and 2-locus haplotype frequencies in AML and MDS group and FAB, immunological subgroup, calculated relative risk by Haldane's method by comparing HLA antigen frequencies in disease group with those in normal control population. The Chi-Square method or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ies in the antigen and haplogtype distributions in the control vs disease population. Results: 1)The frequencies of Cw8 were severely decreased in AML and MDS population with relative risk of 0.10, 0.22, and revealed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p-values less than 0.001, suggesting strong Cw8 association with AML and MDS. This means Cw8 may be a gene which resists to the development of AML and MDS, or may be linked to other recessive gene, Cw8 may be a gene which encodes increased immune responses to exogenous antigens such as leukemia virus, or may be linked to other immune response gene, otherwise, Cw8 may be an antigen which has a key role in immune surveillance to the development of AML or MDS. 2) Blank gene frequencies were increased in AML and MDS group, and this phenomenon was prominent in DR locus, showing 11.6% and 7.0% of DR-blank gene frequencies in AML and MDS. This suggests increased HLA homozygosity or increased undetected antigens due to loss or modification of HLA alleles in AML and MDS. 3) The associations of A2-B61, Cw8-B61, B62-DR11 haplotypes with AML, and A30-B14, Cw3-B51, B62-DR14, B35-DR9 haplotypes with MDS were observed. 4) According to FAB classification in AML, highly significant HLA-A33 antigen association with AML-M3 and A2-B51 haplotype association with AML-M1 were observed. 5) According to immunological classification in AML, HLA-A29, B56 each antigen association with CD33, CD15, panmyeloid immunophenotypes and A2-B48, Cw7-B44 each haplotype association with CD34, CD33, CD11c, myeloid immunophenotypes were observed. Conclusion:AML and MDS is a disease associated with HLA, and this study will be valuable in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AML and MDS, differentiation stages of leukemic cells in AML.

      • 조혈모세포이식 후 초기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백혈구 증가의 의의

        김명신,임지,김용구,한경자,김원,민창기,박종원,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3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8 No.2

        연구배경: 조혈모세포이식 후 초기의 백혈구 수를 비희석 적혈구용 혈법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추적한 결과 이식 후 초기에 백혈구 수가 일시적인 증가를 보이는 것이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식 초기에 나타나는 백혈구의 근원을 밝히고 이러한 일시적인 백혈구 증가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48예의 조혈모세포이식 후 환자를 대상을 비희석적혈구용혈법을 이용하여 이식 후 초기에 백혈구 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백혈구의 일시적인 증가를 보이는 환자는 이식 후 1일에서 7일 사이에 백혈구 수가 이식전 최저치에 비해 50/μL 이상 증가하는 경우로 정의 하였다. 형광동소보합법을 이용하여 이식 후 출현하는 백혈구의 근원을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48예의 환자 중에서 11예의 환자에서 일시적인 백혈구 증가가 관찰되었다. 형광소보합법을 시행한 결과 이 기간에 나타나는 세포는 환자 자신의 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중앙값 85%). HLA 일치 혈연간 이식을 바기 위해 이식 전처치로 전신방사선조사를 받지 않은 중증재생불량성빈혈 환자 5예 모두에서는 일시적인 백혈구 증가가 관찰되었고, 전신방사선조사를 받은 43예의 환자들 중 6예의 환자에서 일시적인 백혈구 증가를 보였다. 이식후 환자들의 임상 경과를 추적한 결과, 이들 6예 중 단 한 예만이 이식 후 생존하였다. 이식 전처치로 전신 방사선조사를 받은 환자를 대상을 살펴보면, 이식 후 초기에 일시적인 백혈구 증가를 보이는 환자의 이식 후 사망률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83.3% vs. 21.6%, p<0.001). 결론: 전신방사선조사를 받은 환자들에서 조혈모세포이식 후 초기에 일시적인 백혈구 증가가 나타나는 소견은 이식 후 사망의 예측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We found that the total leukocyte count increased transiently in early post-transplant period by a new accurate leukocyte counting method using undiluted erythrocyte lysing technique.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origin of leukocytes and clarified the significance of transient increase of leukocytes. Methods: Forty-eight patients who underwent stem cell transplantation (SCT) were included. Total leukocyte counts were performed using undiluted erythrocyte lysing technique. The transient increase of leukocytes was defined as a elevation in the leukocyte count greater than 50/μL when compared to the previous baseline level from the post-transplant day 1 to 7.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rigin of the cells in patients with a sex-mismatched graft. Results: Among the 48 patients, 11 showed a transient increase of leukocytes. The majority of cells that appeared during this period were originated from recipient (median 85%). All of the severe aplastic anemia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SCT and did not receive total body irradiation (TBI) showed transient increase (n=5).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 other six patients with transient increase of leukocytes received TBI. Among these six patients, only one survived after the transplant. The mortality rate of the patients with transient increase of leukocytes was higher than without transient increase (83.3% vs. 21.6%, P<0.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ient increase of leukocytes in the early post-transplant period can be a risk factor for an increase in post-transplant mortality in patients who received TBI.

      • Axillary Sampling as an Alternative Option for Complete Nodal Response in Triple Negative and HER2 Type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박찬섭,이지연,정진,김완욱,채이수,김혜정,김원,박지영,박지영,이수정,김미영,양정덕,이준석,박호용 한국유방암학회 2020 Journal of Breast Disease Vol.8 No.2

        Purpose: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breast cancer, neoadjuvant chemotherapy is widely used. It has a distinct advantage in the downstaging of the primary tumor and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reatment response. With its increasing usage, concerns over the appropriate management of the axilla have emerged. In this study, we compared oncological outcomes of conventional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LND) over axillary sampling (AS) with radiotherapy (RT) in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included female patients with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TNBC) and HER2 type breast cancer who underwent breast and axillary surgery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between May 2011 to December 2016. A total of 89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eligible for analysis. We defined AS as removal of at least four axillary lymph nodes located near the sentinel lymph nodes without full exposure of the axillary vein, long thoracic nerve, and thoracodorsal nerve.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7.00 months. The disease-free survival was 69.66 months in the AS with RT group and 69.02 months in the ALND group (p=0.280). The invasive disease-free survival was 75.16 months in the AS with RT group and 78.44 months in the ALND group (p=0.218). Conclusion: AS with radiotherapy might be a feasible surgical option in patients with TNBC and HER2 type breast cancer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