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연구 40년의 역사: 중소벤처기업정책 및 중소벤처기업의 전략적 경영

        서원석,이상명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3

        Marking the 4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Studies,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shed light on the historical trend of 40 year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research through the papers published in th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an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future small and medium business research. In particular, we will focus on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policies and strategic management aspect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es to analyze the contents of published papers related to the subject and contribute to finding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policies and strategic management sector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covered in th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from 1979 to 2019, the analysis was divided by time and item based 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ers, etc., and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a total of 1,056 research papers, research papers on small and medium venture enterprise policy and strategic management showed a ratio of about 14% and 11% of the total research. Secon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the proportion of policy research on funds and start-ups and ventures was high in the field of small and medium venture enterprise policy, and the research on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was carried out the most in the area of strategic management. Third, qualitative research was more prominent until the 1980s, but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began to increase after the 1990s, and since then,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 Fourth, over the past 40 years, Hanyang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etc. were the institutions that presented research papers most actively in the area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policy and strategic management, and the research institute's participation was somewhat insufficient.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link between research on policy research and strategic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matter. Second, more diversity should be pursu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public and private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small and medium venture enterprises in academic societies. 본 논문은 중소기업학회 창립 40주년을 맞이하여중소기업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통해 중소기업연구 40년의 역사적 흐름을 조명하고미래 중소기업연구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중소벤처기업정책 및중소벤처기업의 전략적 경영 측면에 집중하여 해당 주제와 관련해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1979년부터 2019년까지 중소기업연구에서 다룬 중소벤처기업정책 및 중소벤처기업의전략적 경영 부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자 등을 기준으로시기별, 항목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1,056편의 연구논문 중 중소벤처기업정책 및 전략적 경영을 주제로 한 연구논문은전체 연구 중 약 14%, 11%의 비율을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 측면에서 중소벤처기업정책부문에서는 자금 및 창업·벤처 관련 정책 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전략적 경영 부문에서는국제화 전략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셋째, 1980년대에까지는 질적연구가더 큰 비중을 보였으나, 1990년대 이후 양적연구의 비율이 증가하기 시작해 이후로는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지난 40년간 중소벤처기업정책 및 전략적경영 부문에서 연구논문을 가장 활발히 발표한 기관은 한양대학교, 경북대학교, 건국대학교등이었으며 연구소의 연구 참여는 다소 미흡했다. “중소기업연구”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 측면에서 중소벤처기업의 정책 연구와 전략적 경영에 대한 연구 간 연계성을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방법 측면에서 보다 다양성을 추구하여야 한다. 셋째, 중소벤처기업과 관련된 공공 및 민간 연구소의 학회 참여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특별섹션 논문 : 중소기업의 생산성 경영시스템이 생산성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동차부품산업을 중심으로

        박우종 ( Woo Jong Park ),박광호 ( Kwang Ho Park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1 中小企業硏究 Vol.33 No.2

        국내 중소 제조 기업은 장기적인 저 생산성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요소투입 주도형에서 생산성 주도형으로 성장 전략을 혁신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중소기업이 생산성 주도 성장을 하기 위해 생산성 경영시스템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기업구조를 혁신해야 한다. 본 논문은 한국생산성본부가 개발한 생산성 경영시스템 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생산성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핵심적인 역량을 규명하고자 한다. 6개의 범주, 19개의 핵심프로세스와 생산성 경영성과로 구성되어 있는 생산성 경영시스템 진단 모델은 심사원이 현장 실사를 통해 중소기업의 생산성 성과를 진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논문은 자동차부품 중소기업 50개를 직접 현장 진단 한 연구 결과이다. 실증 연구결과 자동차 부품 중소기업의 생산성 경영시스템의 수준은 243점으로 중소기업 평균 295점 보다 낮게 나타났다. 리더십은 전체적인 범주에 모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생산성 경영성과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으나, 현장진단 결과 우수 중소기업은 끊임없는 생산성향상 활동으로 생산시스템의 탁월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진단 이후 중소기업의 86%가 리더십 범주에 해당하는 과제를 선정하여 실행하고 있는 것에서 시사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중소기업이 생산성주도의 혁신을 하기 위하여 어떠한 핵심프로세스에 집중하고, 개선해야 하는지를 제시해주고 있다. In the wak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 equation that sounds convincing is that competitiveness of SMEs is that of Korean enterprises. Still, in terms of productivity, Korea lags behind the U.S. and Japan by 1/2 and 1/3, respectively. Further, productivity in SMEs amounts to 32.4% of that in of large enterprises. As for contributions to TFP (total factor productivity), the U.S. and Japan are higher than Korea by 5.7 and 2.4 times, respectively. Those figures suggest that domestic productivity is characterized by growth still dependent on traditional factor inputs. Given the fact, Korean manufacturers should be transformed to productivity-led from input-led growth structures. As a fundamental cause, there is a substantial consensus that Korean companies hardly have established advanced business management systems driving productivity-led growth. The gover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s supporti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focus on continuous changes in corporate struc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management systems and productivity-led growth. The present study categorized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s into four aspects: leadership, productivity development, value realization (customer and market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cess oper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to identify the most salient property of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s, that is, to find out the "core processes significantly influencing productivity performance." Briefly put, the present thesis is to investigate core competencies influencing productivity performance in SMEs by means of an empirical study. Based on SME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s to build a productivity system as set out in the Article 30 in the Industrial Development Act, 50 SMEs in the field of the auto parts industry were chosen from January to June in 2010 to diagnose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s. As part of the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diagnosis, six core process categories and 19 core processe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ir influences on productivity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direct on-site surveys. First, auto part SMEs have lower level of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s compared to the electricity and electronics sector. The diagnostic score of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s in auto part SMEs was 243 on average, which corresponds to approximately 80% of the previous average score (295) in electricity and electronics SMEs. Categorically, leadership and process categories showed over 100-point differences, and auto part SMEs were found low in strategic accessibility and process complexity. The distribution of categorical scores indicates that production operation (299), quality control (297) and strengthening customer relations (285) are relatively higher and that employee`s learning growth (171), knowledge and information management (179) and strategic planning (182) earned lower marks. The diagnostic finding confirms that business operation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argets customer relations, production operation and quality control. Second, the analysis found that leadership influences every category. Based on the proposed study model, leadership was found to affect productivity, customer market, measurement analysis, human resource and process. Further, the verification of the consequence hypothesis on productivity management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estimation in the structural equation found that leadership is significant in overall categories, which agrees with the hypothesis. The field diagnosis of firms confirmed that top management i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is unequivocally concerned about productivity improvement actions and core workforce operations. Unlike general expectations, it was reconfirmed that top management pays less attention to customers and process control than to leadership that efficiently drives such factors. Third, no significant factor was found influencing productivity management performance. This warrants further analysis with more extensive samples in the future. In the field diagnosis, the interviews with a number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ound that productivity management performance requires consistent action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at the management level, and that such actions contribute to excellence in the production system. Based on the diagnosis of the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financial goals and maturity in the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were set to propose innovation challenges to achieve such goals. The selected innovation challenges were divided into each type of challenges SMEs would pursue and the win-win ones parent companies wished to improve. 86% of SMEs wanted to build a leadership-associated management system such as business goal setting and development, performance system establishment, business administration planning and vision strategy system implementation. Such challenges selected, as seen from the analysis abovementioned, can be translated as significant influences of leadership on every category. The win-win challenges on the side of parent companies were entirely related to product quality, delivery and cost improvement. Although both sides wanted to achieve goals, their solutions indicated that suppliers and parent companies would take different approaches. Parent companies of suppliers were grouped and final results were reported to the parent companies including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suppliers: First, structural adjustment in products and logistics is required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suppliers. For seamless demand and supply flows, parent companies tend to segment suppliers into dual or triple parts, leaving suppliers less competitive in production and supply. In sum, supply module units should be kept with 2 exclusive suppliers, who are to achieve cost competitiveness, while parent companies can keep quality and demand and supply uninterrupted. Second, technical support from parent companies is required for early quality stabilization of new developments. Auto parts suppliers earn revenues through OEM development, and stabilization in early stages of development controls revenues. As such, development engineers need to provide technical support for each supplier in early stages of development, and some effort needs be made to find common ground between parent companies and suppliers on key issues. Particularly, suppliers often have a hard time coping with incompatible gauges, measuring tools and work processes with parent companies in early stages of development. Third, consistent and further support for suppliers is neede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caused overall support programs for suppliers to grind to a halt, hence support programs for suppliers should be resumed and sustained. In addition, support programs must include funds to help suppliers. Suppliers in the auto parts industry have fragile financial structures, and they must buy raw materials with cash while their revenues depend on conventional payment terms and conditions. For that reason, auto part suppliers are faced with vulnerable cash flows and highly disagreeable ratio of net profits to net sale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Hence, a fund to help suppliers with urgent cash flow problems is a must.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SMEs in the auto parts industry. Future studies need extended sample sizes of SMEs to analyze overall flow and further to delve into key processes necessary for SMEs to grow into middle-sized compani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implicate what processes need focusing on to improve productivity through auto parts SMEs. This paper suggests which core process SMEs should concentrate on and make improvements on in order to make productivity-driven innovation.

      • KCI등재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기 위한 세제지원제도의 한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성욱 ( Sung Ook Park ),김영훈 ( Young Hoon Kim ),김영생 ( Young Saing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中小企業硏究 Vol.37 No.4

        청년층은 취업이 어려운 반면 중소기업은 고급인력과 청년층의 인력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인력수급 불일치(mismatch)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기 위한 세제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행 세법상 고용촉진 지원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기 위한 세제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최저임금 인상률을 반영하여 임금인상을 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세액공제를 신설할 필요성이 있다. 최저임금의 인상은 이미 최저임금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받고 있는 기존 근로자에게도 추가적인 임금인상의 기회가 될 수 있으며,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임금인상은 청년층이 중소기업 취업을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인 낮은 임금에서 발생하문제를 완화하여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최저임금인상에 따른 중소기업의 부담을 세액공제제도로서 일정 부분 완화해 준다면 중소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감소하여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도 일자리가 창출될 가능성이 증대될 것이다. 둘째, 중소기업 고용증가 인원에 대한 사회보험료 세액공제에 대한 중복적용을 허용해 줄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는 고용증가에 따른 사회보험료 부담을 직접적으로 완화해 주는 조세지원은 없으며, 중소기업 고용증가 인원에 대한 사회보험료 부담 증가액에 대해서 세액공제를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보험료 세액공제제도 또한 고용창출투자 세액공제와의 중복적용이 배제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적용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중소기업 고용증가 인원에 대한 사회보험료 부담 증가액에 대한 세액공제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와의 중복적용을 허용해 줄 필요성이 있다. 셋째, 현행 세법규정 중에 기존의 조세지원 목적 이외에 추가적으로 청년층을 위한 일자리창출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가 있다면 고용수준과 연계한 적용요건을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수도권과 밀억제권 밖으로 이전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세액감면, 법인의 공장 및 본사를 수도권 밖으로 이전하는 경우 법인세 등 감면조항에 적용요건으로서 청년 근로자의 수의 증가를 연계한다면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청년층의 고용증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is an employment mismatch where the youth suffer from unemployment and SMEs face shortage in job applicants. This study suggests a tax incentive to increase youth employment in SMEs. We examine the tax issues related to supporting youth employment in SMEs and provide tax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we recommend tax deduction on SMEs that increase wages in line with increases in the minimum wage. Minimum wage increases would also benefit workers paid above the minimum wage and constant wage increases may address the greatest concern of the youth in working for SMEs-low wages. Reducing the SMEs`` burden on higher wages through tax credit can lead to more youth employment in SMEs.Second, we recommend special tax deduction on social insurance premiums due to increased employment. Korea does not offer tax deduction for social insurance premiums due to increased employment but offers tax deduction for social insurance premiums due to increased employment for SMEs. However, due to overlap with tax deduction on increased employment it will not likely be effective. Therefore, a special tax deduction on social insurance premium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ax deduction on increased employment. Third, we recommend adding employment related conditions to other existing tax incentives. For example, tax deductions for SMEs moving out of the overcrowded Seoul Metropolitan Area could add conditions on youth employment, thereby increasing youth employment in rural areas.

      • KCI등재

        독일 중소기업 금융시장의 은행권역별 관계금융 사례

        조병선 ( Byung Sun Cho ),동학림 ( Hak Lim Dong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中小企業硏究 Vol.36 No.2

        글로벌 경제위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독일의 중소기업은 안정적인 경영활동을 전개하면서 건실한 성장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그 주된 배경 가운데 하나로 금융부문의 중소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을 들 수 있다. KfW 산하 중소기업은행은 주거래은행을 통한 온랜딩 방식을 활용하여 장기저리의 정책자금을 공급함으로써 혁신형기업의 창업과 중소기업의 R&D 및 설비투자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관계금융 역량을 갖춘 저축은행과 협동조합은행은 경기 상황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고 자금을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중소기업의 든든한 후원자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우리의 중소기업은 자금조달에 상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고, 경기가 어려워지면 자금난이 가중되는 현상을 보인다.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애로를 해소하고 경영안정 및 경쟁력제고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관계금융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금융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고, 독일의 관계금융 사례를 살펴본 다음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과 우리 실정에 적합한 관계금융 도입 및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독일의 관계금융 사례를 통해서는 다음 몇 가지 특성과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공공성을 중시하는 지역금융기관이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관계금융 방식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주거래은행관계를 통해서 은행과 기업이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기업의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은행은 기업의 금융수요를 적기에 충족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중소기업 대출시장에서 은행간 경쟁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금융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저축은행과 협동조합은행이 ``지역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수공업자와 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관계금융에 입각한 현장밀착형 금융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정당한 대가를 받는다``는 은행들의 합리적인 경쟁전략도 중소기업시장에서 관계금융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온랜딩 방식을 활용한 정책자금 공급 시스템도 주거래은행과 중소기업의 관계금융 심화를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계금융이 갖는 특성과 이의 실행을 위한 조건 그리고 독일의 관계금융 사례에서 발견한 시사점 등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관계금융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제약요인들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중소기업에 대한 안정적인 자금공급과 이를 통한 경영안정 및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서는 관계금융의 도입 및 활성화는 중요하다. 관계금융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풍토 조성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만들어 가는데 있어서 다음 몇 가지 사항들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관계금융에 강점이 있는 은행 위주로 기관의 특성에 적합한 형태의 관계금융을 도입해서 시행하고, 조직이 갖는 특성상 관계금융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은행에 대하여는 그들이 갖는 강점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을 지원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성장잠재력이 큰 창업초기 기업과 혁신형 기업을 관계금융의 영역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정책자금 운용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관계금융 영역에서 역량을 갖추고 지역 중소기업 육성과 지역경제 발전에 공헌해 나갈 지역은행의 기반을 강화하고, 지방은행의 관계금융 역량을 확충해 나갈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다. 끝으로, 중소기업 금융시장에서 관계금융 관행을 정착해 나가는데 필요한 은행과 중소기업 사이의 건전한 경쟁 및 거래 문화를 구축해 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Unlike in other countries, German SMEs have shown steady growth during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9 and 2010. This remarkable performance is attributable to the uniqueness of German financial system which is well known as so-called relationship banking. Savings banks and cooperative banks play a key role in relationship banking by providing undisrupted liquidity to SMEs regardless of the economic cycle. Through its on-lending program, KfW also provides promotional loans to SMEs so as to particularly support young start-ups and innovation companies, which do not have access to bank loans otherwise. On the contrary, SMEs in Korea are reported to be suffering from chronic difficulties in their financing. In addition, things are getting worse when economy is in its downturn as banks tend to conduct pro-cyclical lending. Now, much attention is given to ``relationship banking`` as a solution to resolve these problems.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we have interviewed many different types of German banks and tried to figure out the way to introduce ``relationship banking`` to Korean financial market. Through the interview with German banks, we have found a few points worth to notice. First, local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place more weight on public interest than on private profit are playing major roles in SME lending. Second, under German house banking system, SMEs spontaneously render various proprietary information to their banks and in return the banks provide sufficient liquidity to SMEs when needed. Third, competition among banks in SME lending market is constrained. Savings banks and cooperative banks are supposed to do business within their area of establishment, so-called ``principle of locality.`` Lastly, KfW risk-sharing program allows start-ups or innovation companies to build up long term relationship with banks since credit risk of those companies are too high to be absorbed by banks alone. Keeping in mind our findings from German banking industry, we suggest a few items to be considerable in order to successfully introduce relationship banking to Korean financial market, and thus support SMEs suffering from difficulties in their funding. First, relationship banking is supposed to be pursued by the banks which have comparative advantages in that area. The other banks can also promote SMEs by sharpening their financial product and services of their own competitiveness. Secondly, role of policy agencies such as KOFC and SBC is very crucial. They need to be more aggressive in sharing the credit risk of SMEs with lending banks in order for small start-ups and innovation companies to have access to banks and establish long term relationship. Thirdly, regional banking needs to be reinforced either by establishing new regional banks or by enhancing their capacity. Lastly, sound practice of competing fairly among banks and confidence between banks and SMEs need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우리나라 중소기업지원정책의 효과에 대한 메타연구

        정근주,원이중 한국중소기업학회 2023 中小企業硏究 Vol.45 No.2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effectiveness by classifying the government's SME(small to medium‐sized enterprise) policy analysis research literature list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from 2002 to 2021 by policy target, policy tool, and policy performance. If most of the existing SME policy studies were analyzes focusing on specific policies, regions, or industries, this study divides 317 papers into 6 policy performances(management performance, economic performance, technological performance, employment performance, and establishment induction performance, policy satisfaction) and evaluates them.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effect of SME policies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an over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first, in studies targe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proportion of positive research is high, but policies for detailed targets such as small businesses are evaluated as having low effectiveness. In the case of policies confined to industries rather than regions, the proportion of studies with positive evaluations was higher. Second, the research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policy tools. In the case of support limited participation, informatization, surety, and package policies, the proportion of positive evaluation was high, but the government-led management support policy has mixed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because it does not meet the needs of companies. Finally, SME policy performanc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economic performance. In conclusion, policies aimed at clear targets, such as small business policies and management support, but which are ineffective or do not fit the needs of companies, should be reformed to suit the market environment. In addition, policies that are sure to be effective, such as industry-tailored policies, surety, certification, and informatization, must be actively supported. In addition, since SME policies have a very high effect on the overall macro economy, SME policies should move forwar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industrial ecosystem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not just beneficiaries. 본 연구는 2002년~2021년 동안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재된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 분석 연구 문헌을 정책 대상·수단·성과 별로 구분하여 정책 실효성을 분석 및 정리했다. 기존 중소기업 정책 연구의 대부분이 특정한 정책, 지역 또는 산업에 초점을 맞춘 분석이었다면, 본 연구는 317개의 논문을 각각의 대상 수단 외에도 6개의 정책성과(경영성과, 경제성과, 기술성과, 고용성과, 창업성과, 만족도)로 나누어 평가함으로써 통합적인 관점에서 중소기업정책의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문헌들을 개관해본 결과, 첫 번째로 중소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정책의 효과가 대상을 특정한 정책에 비해 실효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지역보다 산업에 국한된 정책의 경우 긍정적인 평가의 연구 비중이 높았다. 두 번째로 정책수단은 크게 재무지원과 비재무 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재무지원에서 자금지원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비재무지원인 정부 주도로 지원되는 정책이 기업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복합적인 평가 비중이 높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 정책성과는 정책목표에 맞춰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중소기업 정책이 단기적으로는 복합적일 수 있지만, 기업에서 산업, 경제로 확대될수록 파급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경제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역할은 더욱 확대될 것이므로 수요(needs)에 맞지 않는 정책들은 시장환경에 맞게 개편되어야 하며, 산업 맞춤형 정책, 보증, 인증, 정보화와 같이 효과성이 확실한 정책들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또한 중소기업정책은 거시경제 전반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중소기업정책이 수혜기업에만 머물지 않고 기술혁신을 통해 전반적인 산업 생태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소기업 정책패러다임의 전환에 관한 연구

        한정화 한국중소기업학회 2017 中小企業硏究 Vol.39 No.4

        This paper discusses the change of fundamental assumptions and perceptions that have based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Korean SME policy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and to make the opportunities for revitalization of Korean society. For more than the past two decades, Korean government has made much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SME but could not accomplish the desirable outcome mainly because of lacking of institutional innovation to change the social structure that has allowed the practice of unfair trade among the companies, particularly between large corporations and SMEs. As a result of such prolonged customary practice, the SMEs have been considered as inferior and fragile sector, and recognized as low priority in finding job opportunity by the young generation. Currently, Korea is faced with the task of making breakthrough to resolve the problems of economic growth without job opportunities, slowdown of income growth, and dual structure of economy. Focusing on reforming the unfair economic structure and trade practice, the government should ensur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support for SMEs and development of viable ecosystem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SM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closed ecosystem overly skewed to the Chaebol, Korean conglomerate, through banning unfair internal trade among affiliated firms which has blockaded the entry of SMEs into the market. Fair Trade Commission should play the proper role to straighten the unfair trade practices which have been prevalent in the market. To make more dynamic startup ecosystem, the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probability of realizing the reward for the innovative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 and expand the M&A opportunities through providing tax incentives. Private sector should play more active roles in investing and growing the opportunity-motivated startups by changing the investment support polic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utiliza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 ensure sustainability among global competition.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business failures to rechallenge through removing the obstacles that have hindered the efforts of restart after experiencing bankruptcy. Finally, through increasing the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related government sector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execution should be enhanced, particularly in evaluating and supporting the SMEs with high growth potentials. 한국은 당면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갖기 위해서는 그간 중소기업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기반이 되어왔던 근본 가정과 인식들의 변화가 필요하다. 역대 정부는 중소기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지원을 위한 자원배분을 높여왔음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문제의 개선이 어려웠던 것은 제도혁신을 통한 구조개혁의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은 열등하고 취약한 영역이라는 인식이 고착화됨에 따라 중소기업 취업 기피현상이 확산되었고 이는 중소기업 인력난과 함께 창업의욕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해왔다. 대기업 중시의 고용 없는 성장, 국민 소득 정체, 경제의 이중 구조 심화라는 근본적 한계를 돌파하는 핵심 동력으로서 중소기업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 그간 중소기업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불합리하고 불공정한 제도와 사회 구조를 개혁하여 정책지원의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이 자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생태적 환경을 만드는데 집중해야 한다. 지난 반세기 동안 경제성장 과정에서 고착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 재벌 대기업 중심의 폐쇄적 생태계의 개혁이 필요하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혁신을 통하여 징벌적 배상제 확대, 불공정 행위에 대한 고발창구 확대, 유통업계와 가맹점 업계의 불공정 행위 감시 강화, 창업․중소기업의 기술보호 지원 강화 등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기술 스타트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창의성이 보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확률을 높여 주어야 한다. 창업 후 단기간에 M&A를 통한 자금 회수를 통하여 2차, 3차 도전에 나서도록 하는 연속 기업가의 성공사례가 확산되어야 한다. 민간 투자 주도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자지원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기술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IP(지식재산권)확보와 활용을 위한 정책 지원의 강화가 필요하다. 기업가정신의 활성화를 위해서 재도전 생태계의 개혁이 필요하다. 연대보증 제도의 개혁을 통하여 사업실패에 직면한 기업가가 개인 희생을 최소화하며 사업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재도전의 기회를 높여야 한다. 심사평가 시스템의 투명성, 전문성, 효율성 향성을 통해 정책지원의 효과성과 신뢰성을 제고해야 한다.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는 중소기업 정책의 통합 조정과 지원성과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중견기업 : 수출지속 중소기업의 수출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출시장지향적 활동, 지원정책 활용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윤지 ( Yun Ji Ahn ),박광호 ( Kwang Ho Park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中小企業硏究 Vol.37 No.4

        기업들의 사업범위가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되면서 글로벌화 첫 단계인 수출을 기반으로 한 수출지향형 성장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세계 경제 불안, 유가 하락, 세계 교역증가율 둔화 등으로 수출 여건이 악화되면서 수출실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수출기반이 취약한 수출중소기업은 수출둔화로 인해 경영실적이 악화되었고 급기야 수출을 중단하는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신규 수출기업의 육성이 중요하지만 수출의 80%를 담당하는 수출지속 중소기업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이런 관점에서 수출지속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통한 지원 정책을 제시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출지속 중소기업의 수출역량과 수출성과의 관계 그리고 이 관계에 수출시장지향적 활동과 지원정책 활용수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즉 자원기반이론에 근거하여 수출지속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요인설계 시 혁신활동의 탐색과 활용 개념을 수출역량과 수출시장지향적 활동에 각각 반영하였고, 수출시장지향적 활동은 정보공유와 활용부분에 초점을 두어 설계하였다. 특히, 수출지속 중소기업을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하여 각 집단별 맞춤형 성장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실증분석 결과, 수출지속중소기업의 수출역량은 수출시장지향적 활동과 지원정책 활용수준 그리고 수출성과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시장지향적 활동이 수출성과에 그리고 지원정책 활용수준이 수출시장지향적 활동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시장지향적 활동과 지원정책 활용수준이 수출역량과 수출성과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증연구 결과는 수출지속 중소기업의 각 유형별 집단에 대한 맞춤형 성장전략 제시를 통해 수출지속 중소기업의 수출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more companies are expanding their business into global markets, export-oriented growth as the first step for the globalization is getting more attention. However, the recent oil price slump and the slowdown in the growth of the global trade result in aggravation of export. Export oriented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SMEs) with limited export capability have experienced more decrease in export and even discontinued expor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crease the number of new export SMEs but also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export-continuing SMEs which accounts for eighty percent of the total national export. In the present research, we conduct an empirical study with a survey of 521 export-continuing companies in order to derive the factors which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export performance. Firstl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xport performance of SMEs are def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export capability is defined as the main independent factor. Then, the utilization level of export support policies and the export market-oriented behavior are defined as mediating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ort capability of SMEs influences both the utilization level of export support policies and the export performance. Also, it is shown that the export market-oriented behavior has a meaningful effect to the export performance and the utilization level of export support policies does to the export market-oriented activities. The study further shows that the export market-oriented behavior and the utilization level of export support policies moderate the link between the export capability andthe export performance. Having tested the hypotheses, we classify the export-continuing SMEs into four groups with the export capability and the export market-oriented behavior. The cluster analysis enables us to suggest customized export support programs for each group to enhance export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esent effective strategies for export-continuing SMEs to sustain their growth in global markets.

      • KCI등재

        중소기업 지원 실태 분석: 출연(연)을 중심으로

        김진민 ( Jinmin Kim ),홍재범 ( Jaebum Hong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8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21 No.1

        중소기업은 제4차 산업 혁명의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업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중소기업은 핵심 역량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 중소기업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중소기업이 전체 공급사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중소기업의 사업 확대를 위한 중소기업 네트워크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유발 할 수 있다. 상호 협력하는 네트워크의 장점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중소기업 네트워크의 협력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네트워크의 협력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출연(연)의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중소기업의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출연(연)의 중소기업 지원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중소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시장 수요를 고려하여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전략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또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전략을 도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학문적이고 실질적인 연구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하고 지속 가능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한다. SMEs need a strategy to respond to rapid changes in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a business environment, SMEs must concentrate on the core competency. Because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MEs, government support is very important, as it is difficult for SMEs to carry out the entire supply chain role. The support of GRIs is very important for ensuring competitivenes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Es.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SMEs network for business expansion is demanded. SMEs can form networks to induce synergistic effects.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SMEs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mutually cooperating networks,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of SMEs is increasing. The government has proposed various support programs to support network cooperation.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derive an effective strategy of the SME support program,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the GRIs support program. We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 policies and perceptions for SMEs and to derive strategies for supporting SMEs in a systematic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SMEs. In a situation where research to revitalize SMEs is insufficient, in consideration of the market demand of SMEs, we grasp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and try to guide improvement strategies. Also, we suggest policies that can derive and utilize support strategies for SM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research related SMEs must be conducted and a sustainable support program for SMEs must be developed.

      • KCI등재

        한국 기술경쟁력 부문 중소기업정책 네트워크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무 ( Jae Moo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3 中小企業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소기업정책의 새로운 집행체제인 정책 네트워크를 확인하고자 시작되었다. 연구를 위해 우선 미래지향적이고 중소기업의 자생력 강화를 통해 경쟁 환경에서 생존 내성을 배양하는데 최적의 지원 방법인 기술경쟁력 분야 중소기업정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와 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바람직한 중소기업정책 네트워크 형태를 설정하고 현재 정책 네트워크 형태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변수와 세부지표들을 규정하였다. 그리고 정부 부문과 금융기관 부문·대기업 부문·대학 및 연구소 등 부문·중소기업 측 집단 부문 등 비정부 부문 네트워크 내 정책행위자들의 연계상황과 상호작용, 관계구조 등에 대한 분석과정을 통해 파악된 현행 정책 네트워크 형태를 바람직한 정책 네트워크 형태와 비교해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 기술경쟁력 분야 중소기업정책 네트워크에서 정부 부문과 대학 및 연구소 등 부문, 중소기업 측 집단 부문은 협력적 상호작용, 금융기관 부문은 방관적 상호작용, 대기업은 의무적 상호작용 성격을 각각 표출하고, 전반적으로 수평적이며 폐쇄적인 관계구조의 형태를 보유한 것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정부 부문의 정부 부처 간 기술경쟁력 분야 시책들의 중첩 및 혼란과 네트워크 정책행위자들에 대한 조정 기능 미숙 등의 문제점들을, 비정부 부문의 정책 네트워크 내 형식적이고 전시적인 관계 형성에서 기인한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또한 그에 해결책으로써 중소기업기술청의 신설, 협의체 형식 중소기업기술 권익보호 기구 창설 등 중소기업정책 네트워크에서 정책행위자들의 참여와 정책목표 공유, 네트워크의 개방성 확대와 적극적인 활동 여건을 마련할 수 있는 독자적이고 실용적인 방법론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defined solving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es of the new enforcement system and check the policy network in Korea. This study is to the viability of a future-oriented for enhanced small and medium businesses and to survive a competitive environment. It is the best way to support competitive field of technology was select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through the policy network types desirable to set the network mode and to check for current policy analysis parameters and detailed indicators decided. For example, policy actors (Governments, financial institutions, large corporation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non-governmental sector) have small and medium businesses sector in the network connection. Interaction situations, relationships and structure is identifed a preferred form of the current policy network proposal has policy implications. As a result, the Korea technology competitive sector, the government sector and the policy network, such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sector, the cooperative sector, small group interaction side, financial sector interaction sidelines, large mandatory nature of the interaction is expressed respectively. And overall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of the closed form of the relationship has held. This study of public sector initiatives in technology competitivenes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overlap and confusion and adjustment functions for network policy actors. It includes the issue of immature, non-governmental sector in policy network relationships and exhibit intellectu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 formation said. A new solution, small business technology advocacy council type organizations, the creation of actors involved in the network policy goals and policy sharing, network expansion and openness to establish conditions for an active and practical methodology.

      • KCI등재

        중소기업의 경영자원과 기업가정신이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첨단기술 상용화 지원사업 수진기업을 대상으로

        정재휘 ( Jae Hwi Jung ),배준영 ( Jun Young Ba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中小企業硏究 Vol.36 No.2

        연구는 자원기반관점과 동적역량에 기반을 두어 중소기업의 경영자원과 기업가정신이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경영자원과 기업가정신은 동적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중소기업의 동적역량은 저원가우위와 차별화우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뿐만아니라 중소기업의 경쟁우위는 중소기업의 제품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상의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첨단기술 상용화 지원사업을 수진한 대전지역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11개의 대전지역 중소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로분석과 소벨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경영자원은 동적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중소기업의 동적역량은 저원가우위와 차별화우위에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의 경쟁우위 중 차별화우위는 제품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의 동적역량이 경영자원과 경쟁우위 간의 관계를 매개하며, 중소기업의 차별화우위가 동적역량과 제품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첨단기술 상용화지원사업을 수진한 대전지역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동적역량과 경쟁우위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중소기업의 경영자원과 기업가정신이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로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Based on the resource-based view and the dynamic capabilities, we examine the effects of resources and entrepreneurship on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of the high-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SMEs(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in the area surrounding Daejeon metropolitan city. On basis of a literature review, we suggest that the SMEs` resources and entrepreneurship positively influence on the dynamic capabilities, and that the SMEs` dynamic capabilitie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low cost and differentiation. In addition, we hypothesiz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MEs`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We analyze data through questionnaire from 211 SM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rea. To investigate these hypotheses, path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employed, and firm size, firm age, government support and the lifecycle of the firm were controlled in the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MEs` resourc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dynamic capabilities. Also, the dynamic capabilitie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low cost and differentiation.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differenti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Furthermore,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dynamic capabil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the differentiation advant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were confirmed. This study advanced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linking the SMEs` resources and entrepreneurship to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the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provide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