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지영 한국범죄심리학회 201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3 No.4
This paper aims to find out influence of social safety network on fear of crime. So far, little has been discussed on the measures to reduce fear of crime although previous researches, to a certain extent, tried to seek variables that affect fear of crime. Thus, this article is to examine basic policy data to construct a safe city by clarifying significant variables in terms of social safety network that reduce fear of crime, and then by measuring relative influence of those variables to identify priori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conduct above mentioned task with survey questionnaires from 237 residents in Ansan City, Gyeong-gi Province. Relative influence of sex turns out to be the most consistent and substantial determinant that decreases fear of crime among other variables. Subsequently, community policing and CPTED are discovered to be important strategies that diminish citizens’ fear of crime. However, traditional policing, CCTV, citizen patrol for voluntary crime prevention, private security, and media don’t appear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his research empirically demonstrates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safety network that affect fear of crime, by which it implies improvements and their prior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안전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그 동안 기존 연구들은 부분적으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밝혀내기 위한 것이고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중점을 두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안전망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고, 또한 그러한 요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순서대로 파악, 우선순위를 밝혀냄으로써 정책적으로 안전도시 구축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주민 237명의 응답자들로부터 얻은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성별(-)이 일관적이고 가장 큰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지역사회경찰활동(-), 범죄예방설계(CPTED)(-) 순으로 시민들의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사회안전망 중에서 전통적 경찰활동, CCTV 시설, 지역자율방범활동, 민간경비, 미디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안전망의 상대적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요인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박지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5 독도연구 Vol.- No.18
This paper compares websites of four local government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Dokdo issue—Shimane Prefecture and Okinoshima-Cho of Japan and Gyeongsangbuk-do and Ulleung-gun of Korea—based on six criteria: (1) the visibility of the website, (2) the systemicity of the content, (3) whether they provide relevant materials, (4) the applicability of the materials, (5) the clarity of their sovereignty claims, (6) the usefulness of their public relations.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ir public relations regarding sovereignty over Dokdo, the website of Gyeongsangbuk-do seems to be the best among the four. In order for more effective publicity campaigns in the future, Gyeongsangbuk-do should strive to provide more materials and improve their applicability, and Ulleung-gun should have a clearer argument for our position on the sovereignty over Dokdo. 이 논문은 독도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인 일본의 시마네 현 및 오키노시마초와 한국의 경상북도 및 울릉군의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1) 사이트의 가시성, (2) 콘텐츠의 체계성, (3) 관련자료 제공여부, (4) 자료의 활용성, (5) 영유권 주장의 명확성, (6) 대외 홍보의 유용성을 기준으로 각각의 사이트에 대해 고찰해 본 것이다. 위의 네 사이트의 특징을 독도 영유권에 대한 효율적인 홍보라는 관점에서 정리해 보면, 현재로서는 경상북도의 홈페이지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보다 효과적인 홍보활동을 위해서 경상북도는 자료의 제공과 활용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울릉군의 경우는 좀 더 독도 영유권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명확하게 주장할 수 있는 콘텐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강남대로의 가로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중심으로-
박지영,김진오,여화선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본 연구는 보행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보행에 불편함을 주는 보행지장물의 개선에 따라 보행서비스수준의 개선 가능성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하루 평균 20만명 이상의 유동인구가 분포하는 강남대로 약 139m 구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했다. 현장조사, 기존 자료조사, 보행 서비스수준(PLOS) 분석 등을 기반으로 해서, 강남대로의 보행서비스수준을 저하시키는 요인인 보행지장물을 개선함으로써 보행서비스수준 개선 가능성을 고찰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강남대로 약 139m구간의 보행교통류율은 83.33으로 보행자가 보행속도를 임의대로 선택할 수 없고, 다른 보행자를 추월, 역행, 통과하기 어렵다. 둘째, 강남대로의 상황에 맞게 적정 보도 폭을 산정하면 적정 보도 폭은 12.5m로 현 강남대로의 보도 폭이 5m인 것을 감안할 때 강남대로의 보도 폭이 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강남대로의 통행을 방해하는 보행지장물을 개선하고 개선 후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개선을 예측하여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산정하였다.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산정한 결과, 결과 값은 62.52 이하로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20.81 이상 개선 가능하였으며 보행지장물의 수종 대체로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였고, 강남대로의 보행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담관 스텐트 삽입으로 치료한 췌장암에 의한 담즙종 1예
박지영,이진,이순재,권세아,고동희,최민호,장현주,계세협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3
Biloma is a rare disorder, and is defined as an abnormal extrahepatic or intrahepatic collection of bile within a defined capsular space. The common causes of biloma are iatrogenic and trauma. Spontaneous biloma, especially caused by pancreatic cancer, is very rare. An 86-year-old man was admitted with abdominal pain and fever. The patient denied a history of abdominal surger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or trauma.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demonstrated a huge collection of fluid in the left lobe of the liver, dilatation of the intra and proximal common bile duct, and a heterogeneous enhancing mass in the pancreatic head portion. Percutaneous drainage under ultrasound guidance was performed, and the fluid analysis was compatible with biloma. A plastic stent was endoscopically inserted into the common bile duct to treat continuous drainage of the fluid despite percutaneous drainage. We report a case of biloma developed spontaneously in a patient with pancreatic cancer and successfully treated by endoscopic biliary stenting. 담즙종은 담즙이 담도 외로 누출되어 간내 또는 간외에 축척된 것으로 주로 수술이나 경피적 담관 조영술 등에 의한 의인성 담도 손상이나 외상에 의한 경우가 많지만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특히 췌암암이 원인인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전에 복부 수술이나 시술 또는 외상의 병력이 없었던 86세 남자 환자가 복통과 열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CT에서 담즙종과 췌장 두부의 종괴가 발견되었고 경피 배액술을 시행하였다. 이후에도 다량의 담즙성 배액이 지속되어 ERCP를 하여 총담관에 스텐트를 삽입한 후 환자는 안정되었다. 저자들은 췌장암 환자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한 담즙종을 경피배액술과 내시경적 담관 스텐트 삽입을 통해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박지영 한국통역번역학회 2019 통역과 번역 Vol.21 No.1
Shadowing is used in interpreting education for various purposes, from student screening to simultaneous interpretation training. This study analyzes student diaries to find out what effects students think they enjoy from practicing shadowing, what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and what teachers need to consider when assigning shadowing practice for self-study. The analysis found that the greatest difficulties that students had was to shadow fast-speaking speakers. It indicates that phonemic or adjusted-lag shadowing are appropriate for students who begin their training, as the methods help enhance auditory decoding and articulatory encoding. In contrast, phrase shadowing, which enhances selective attention, is for advanced students who learn simultaneous interpreting. Post-shadowing recalls encourage students to concentrate more intently during shadowing and better remember shadowed expressions. Last but not least, teachers should offer lots of encouragement to students to perform shadowing, since shadowing is a mentally and physically strenuous task.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 영토조항을 중심으로 -
박지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3 독도연구 Vol.- No.34
Japan asserts that Japan's territory has been legally established und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that the Kuril Islands, Dokdo, and Senkaku Islands have all been established as Japanese territory. In particular, Korea requested that Dokdo be added to the territory that Japan should give up during the drafting of the San Francisco Treaty, but the United States refused through an official letter from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Rusk, claiming that the treaty was finalized as it is. In order to examine the falsity of Japan's claim,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an Francisco Treaty, focusing on the territorial clause. The San Francisco Treaty was signed during the Korean War,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pread of the East-West Cold War and the strategic judg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to respond to the expansion of the Soviet Union. In particular, the treatment of Dokdo was eventually excluded from the treaty after going through twists and turns,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was immediately confirmed as Japanese territory. And Japan, focusing only on the intention of the United States, put forward the Rusk Letter and the Van Fleet Report, saying that the United States judged Dokdo as Japanese territory, but the United States is only one of the 49 countries that signed the San Francisco Treaty, It will not represent the will of all the treaty partners.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neither Rusk nor Van Fleet's opinion was an official opinion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States has adhered to the principle of non-intervention in the Dokdo issue so far. Therefore, Japan's claim does not correspond to historical facts, but rather distorts the facts.
박지영,조재경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2012년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72%가 아파트, 주상복합,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건축적, 구조적 취약성으로 발생되는 층간소음 문제는 이웃 간의 갈등과 분쟁 차원을 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건축문화의 쇄신을 기대하거나 건실한 주택을 찾아 나서는 비현실적이고도 장기적인 처방을 제외하고는 이웃 간에 배려하고 소음차단을 위한 인테리어 개선으로 대처해 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실내 바닥마감재는 기능보완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층간 소음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해결도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소음문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어떠한 생각과 관심으로 바닥재를 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여 기존제품과 차별화될 수 있는 차음기능성 바닥 마감재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본 산인(山陰)지방민과 ‘울릉도·독도 도해금지령’에 대하여
박지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7 독도연구 Vol.- No.2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the Japanese 's perception that the Japanese were no longer allowed to plot on Ulleungdo and Dokdo as a result of the Ulleungdo conflict, and analyze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For him (1) In the 17th century, Japanese Sanin Province residents established the nature of fishery activities carried out in the coastal waters off Ulleungdo and the nature of the Oya family, Murakawa family and the Yonago who was the subject of the fishery activity, (2) the political context of Japan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3) after 1696 the Shogunate issued a ban on the Ulleungdo, the authors would like to reveal how Oya and Murakawa understood the plot of Ulleungdo and Dokdo. I would like to presen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ether the Japanese government, as it is currently claiming, had been forbidden to illustrate Ulleungdo, Oya and Murakawa, who had been banned at the time, but that Dokdo was not forbidden. 본고의 목적은 울릉도쟁계의 결과 일본인이 더 이상 울릉도와 독도로의 도해를 금지당한 것에 대한 일본 측의 인식을 정리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그를 위해서 (1) 17세기에 일본의 산인지방민들이 울릉도 근해에서 실행했던 어업활동의 성격과 그 주체였던 요나고의 오야 가문과 무라카와 가문의 성격을 정립하고, (2) ‘죽도 도해 면허’가 발급된 맥락을 17세기 초 일본의 정치적·사회적 배경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3) 1696년에 막부가 지시한 ‘죽도도해금지령’이후에 오야와 무라카와 가문이 울릉도와 독도 도해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일본 정부가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당시 도해를 금지당한 당사자인 오야와 무라카와 가문도 울릉도에 대한 도해는 금지 당했지만 독도에 대한 도해는 금지당하지 않았다고 인식하고 있었던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돗토리번 사료를 통해 본 울릉도 쟁계 -몇 가지 쟁점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박지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5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and the nature of the issue of the ‘Permission for passage to Takeshima’ and the inclusion of Dokdo in the ‘Prohibit the passage to Takeshima’ in relation to the "Ulleungdo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in 1696, An Yong-bok sought to identify historical facts about the purpose. Regarding the timing and nature of issuance of the ‘Permission for passage to Takeshima’, it was originally issued in 1618 and issued in 1625, but in this paper, it was issued twice in 1618 and 1625, Proved to be a license that must be renewed each time it is replaced. And Oya, Murakawa family used a license that was ineffective in Japan at that time, proved that the "Passage to Takeshima Project" by the Oya, Murakawa family and the Tottori government also committed illegal activities. Regarding the inclusion of Dokdo by the ‘Prohibit the passage to Takeshima’, in 1740, Oya, Murakawa family sent petitions to the related organizations of the Edo Shogunate, including Sasa-bugyo, as well as Oya, Murakawa, and the Edo Shogunate, And that the purpose of Ahn Yong-bok's passage to Japan was to compensate the individual, but in the process Ulleungdo and Dokdo claimed to belong to the Gangwon Province of Korea. Proved that it is no doubt wrong to claim the sovereignty over Dokdo, 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 purpose. 이 글은 17세기 말에 조·일 양국 간에 벌어진 ‘울릉도 쟁계’와 관련해서 돗토리번의 사료를 중심으로 쟁점이 되고 있는 문제 중에 ‘다케시마 도해면허’의 발급 시기와 성격, ‘다케시마 도해금지령’의 독도 포함 여부, 그리고 1696년에 안용복이 도일한 목적에 대해 역사적 사실관계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다케시마 도해면허’의 발급 시기와 성격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1618년 발급설과 1625년 발급설이 있었지만 이 연구에서는 그것이 상반되는 것이 아닌 1618년과 1625년 두 차례에 걸쳐 발급된 것이며, 쇼군과 번주가 교체될 때마다 갱신해야 하는 면허라는 것을 증명했다. 그리고 당시의 일본 국내법적으로 효력이 상실된 면허장을 사용한 오야·무라카와 가문과 돗토리번 당국의 ‘울릉도 도해사업’도 불법행위를 자행한 것임을 증명했다. 또 ‘다케시마 도해금지령’의 독도 포함여부와 관련해서는 1740년에 오야·무라카와 가문이 사사봉행소를 비롯한 에도막부의 관련기관에 제출한 청원서를 통해 오야·무라카와 가문뿐만 아니라 에도막부도 ‘다케시마 도해금지령’에 독도가 포함되어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리고 안용복의 도일 목적은 개인적인 피해보상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그 과정에서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강원도에 소속된 섬이라고 주장하였으므로 결과적으로는 목적과는 다르지만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 것은 틀림이 없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한국 정상 성인의 나이와 성별에 따른 수근관내 정중신경의 초음파 소견
박지영,박송래,이상훈,최경효 대한재활의학회 2008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2 No.5
Objective: To defin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the median nerve within the carpal tunnel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the median nerve according to age, sex and the wrist in the normal Korean adults. Method: We studied 152 hands of 76 normal Korean adults who had no symptoms of carpal tunnel syndrome such as hand numbness, pain, dysesthesia or hand weakness. All subjects were examined with a real-time ultrasonography. We evaluated the flattening ratio (FR) and cross-sectional area (CSA) of the median nerve within the carpal tunnel. Results: The CSA of the median nerve was 6.44±0.02 mm2 (at distal radioulnar joint), 6.34±0.02 mm2 (at pisiform) and 6.31±0.02 mm2 (at hamate). The FR at distal radioulnar joint is 2.36±0.02, at pisiform is 2.33±0.01 and at hamate is 2.33±0.01. Men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and flattening ratio of the median nerve than women. The older group over age 50 years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and flattening ratio than the younger group.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body mass index (BMI) as well as between the older and the younger. There was also a linear relationship with CSA and FR in weight and height. Conclusion: The ultrasonographic finding of the normal Korean adult's median nerve in the carpal tunne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sex. Weight, height and BMI might be important factors to bring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race, sex and age. Objective: To defin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the median nerve within the carpal tunnel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the median nerve according to age, sex and the wrist in the normal Korean adults. Method: We studied 152 hands of 76 normal Korean adults who had no symptoms of carpal tunnel syndrome such as hand numbness, pain, dysesthesia or hand weakness. All subjects were examined with a real-time ultrasonography. We evaluated the flattening ratio (FR) and cross-sectional area (CSA) of the median nerve within the carpal tunnel. Results: The CSA of the median nerve was 6.44±0.02 mm2 (at distal radioulnar joint), 6.34±0.02 mm2 (at pisiform) and 6.31±0.02 mm2 (at hamate). The FR at distal radioulnar joint is 2.36±0.02, at pisiform is 2.33±0.01 and at hamate is 2.33±0.01. Men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and flattening ratio of the median nerve than women. The older group over age 50 years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and flattening ratio than the younger group.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body mass index (BMI) as well as between the older and the younger. There was also a linear relationship with CSA and FR in weight and height. Conclusion: The ultrasonographic finding of the normal Korean adult's median nerve in the carpal tunne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sex. Weight, height and BMI might be important factors to bring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race, sex and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