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흰쥐 C6 신경교종 세포에서 Fluoxetine의 전처리 시간에 따른 Dexamethasone-매개 열충격 단백질 70의 발현 억제

        이준석,양병환,김석현,최미란,채영규 대한정신약물학회 2004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xamethasone and fluoxetine on the expression of 70kDa heat shock protein(HSP70) in C6 glioma cells. Methods : The C6 glioma cells belong to control group were incubated with DMEM culture solution, the cells belong to dexamethasone group were incubated with dexamethasone for 6 hours, and the cells belong to fluoxetine group were incubated with fluoxetine for 1, 6, 24, and 72 hours, separately, and then exposed to dexamethasone for an additional 6 hours. Crude extracts from control, dexamethasone and fluoxetine-treated C6 glioma cells were separated on a 10% SDS-PAGE and probed with anti-HSP70mAb. Results : 1) Dexamethasone(10uM, 6hours) reduced the level of HSP70 expression relative to control, but this redu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Pretreatment with fluoxetine(10uM, 1, 6, 24, and 72 hours) and exposure to dexamethasone(10uM, 6hours) decreased the level of HSP70 express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fluoxetine treatment. 3) Fluoxetine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HSP70 at 24 and 72 hours compared to control. However, compare to the level of HSP70 expression at 24 hours, the level of HSP70 expression at 72 hours was elevated.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xamethasone and fluoxetine may affect HSP70 expression through effects on GR. 목 적: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ypothalamic-pi -tuitary-adrenal;HPA) 축의 과다활동은 우울 장애의 특징이며, 항우울제 치료는 HPA 축의 과다활동을 정상화시킨다. 또한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HSP)이라고 알려진 일군의 단백질이 증가되는데, HSP의 일종인 70kDa HSP(HSP70)는 신경세포의 스트레스를 조기에 알려주는 민감한 표식자이며, glucocorticoid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GR)에 결합하여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glucocorticoid, fluoxetine, 그리고 HSP70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흰쥐 C6 glioma 세포에 glucocorticoid계의 일종인 dexamethasone을 6시간 동안 처리했을 때 HSP70의 발현 정도를 면역탁본법(im unoblot)을 이용해 조사하여 glucocorticoid가 신경세포에서 HSP70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fluoxetine을 1, 6, 24, 72시간 동안 전처리한 이후 dexamethasone에 노출시켜서 HSP70의 발현 양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결 과:첫째, dexamethasone이 HSP70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fluoxetine으로 전처리이준석 등 73 한 이후 dexamethasone에 노출시켰을 때 HSP70의 발현이 전처리 기간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특히 24시간 및 72시간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 셋째, fluoxetine을 전처리한 이후 24시간까지는 HSP70의 발현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었지만 72시간에서는 미약하지만 다시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 결과는 fluoxetine 치료가 단기적으로 GR을 전위시키는 기전을 통하여 GR 저항성을 개선시킴으로써 HPA 축의 과다활동 및 혈청 cortisol 농도의 상승을 정상화시킬 뿐만 아니라 HSP70의 발현을 낮추고, 더 나아가 주요 우울증의 증상을 개선시킬 것이라는 새로운 항우울 작용을 제시한다.

      • 국어 속의 한자어

        이준석 국립국어연구원 2000 국어문화학교 Vol.- No.5

        한자와 한문이 중국에서 들어온 것임이 분명하나 우리에게는 이들을 우리 것으로 사용하려는 전통이 있다. 국어 속의 한자어는 한자와 한문을 토착화하려는 선인들의 이러한 노력 속에서 생성된 것들이다. 따라서 한자어를 우리 국어에서 몰아내려는 짓을 계속한다면 우리 스스로 문화의 무덤을 파는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한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헌신했던 선각자의 본의가 어디에 있었는가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그분들은 ‘자동’이나 ‘기계’란 말 대신에 ‘오토’나 ‘머신’이 버젓이 자리 잡고 있는 이런 현실을 기대했던 것은 아닐 것이다. 국어에서 나름대로 문화 관련 명칭으로 생명을 얻어가는 ‘회관’을 몰아내고 센터로 바꾸기를 바랐던 바는 더더욱 아니었을 것이다. 그분들이 한글 사용에 보인 열정은 한문이나 한자 뒤에 가려진 지나친 형식주의를 경계하고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어야 할 시대적 당위성을 직시했던 결과라고 생각한다. 한자와 한문을 배우기 위해 보내야 하는 그 오랜 시간과 정열이 새로운 학문 체계와 기술의 습득으로 승화되어야 하는 시대적 요구를 선각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철도구조물 상시계측시스템의 교정방안에 관한 연구

        이준석,최일윤,이현석,고동춘 한국철도학회 2003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6 No.4

        철도교량 및 철도터널 등의 철도 노반구조물은 시공 정밀도 및 공용기간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설계시 예측한 이상적인 거동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이를 대비한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대책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중요 구조물은 정기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등을 통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내하력 등을 확인하고 있으나 점검자의 주관, 재하시험 방법 및 계측기기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주요 교량 및 대표적인 구조물에 대하여는 상시계측시스템이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이준석 등, 2000) 외국의 경우에도 설치 예가 보고된 바 있다 (Li 등, 2001). 그러나 상시계측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는 계측센서의 적정 위치선정 (Heo 등, 1997) 및 주기적인 교정이 필수적이며, 특히 전기저항식 센서를 채택하여 상시계측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검정 및 교정작업이 계측데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량 및 터널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계측센서, 현장계측실내 데이터 저장장치 및 중앙계측실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종합적인 검정방안과 이에 따른 교정작업을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결과를 기술하였다.

      • KCI등재

        분산 음성 인식 시스템을 위한 특징 계수 양자화 방식 설계

        이준석,윤병식,강상원,Lee Joonseok,Yoon Byungsik,Kang Sangwon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4

        본 논문에서는 분산 음성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멜켑스트럼 계수를 양자화 하기 위하여 예측 구조를 갖는 BC-TCQ 양자화기를 제안하였다. 분산 음성 인식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멜켑스트럼 계수 양자화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인접 프레임간의 높은 상관도를 이용한 1차 AR 예측 필터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예측 필터에 의해서 구해지는 예측 에러 벡터는 BC-TCQ를 사용하여 양자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예측 BC-TCQ멜켑스트럼 계수 양자화기는 분산 음성 인식 시스템을 위해 ETSI 규격에서 사용되는 split VQ 멜켑스트럼 계수 양자화 방식보다 cepstral distortion (CD) 측면에서 훨씬 좋은 성능을 보이며, 인코딩 연산 복잡도 및 메모리 요구량에서도 더 유리하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edictive block constrained trellis coded quantization (BC-TCQ) to quantize cepstral coefficients for the distributed speech recognition. For Prediction of the cepstral coefficients. the 1st order auto-regressive (AR) predictor is used. To quantize the prediction error signal effectively. we use a BC-TCQ. The performance is compared to the split vector quantizers used in the ETSI standard, demonstrating reduction in the cepstral distance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 KCI등재
      • Magneto/Pressure Sensitive Dual-mode Sensor with Enhanced Sensitivity and Modality Enabled by Sandwich Structure

        이준석,최동원,장호찬,박성진,황원섭,이규호,이기영,박철민,이현정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1

        Nowadays, the need for multi-modal tactile sensors is increasing for emerging human-interactive applications. In this work, we present a dual-mode, magneto-sensitive pressure sensor that can detect a magnetic field in a remote mode and pressure in a contact mode, with excellent sensitivity and stability. The dual-mode sensor consists of a magnetic composite elastomer integrated with two flexible pressure sensors. An external magnetic field can exert force on the magnetic composites interfaced with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ly changing the resistance of the pressure sensor. In order to detect not only the intensity but also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we further employed a sandwich structure, that is, pressure sensor-magnetic elastomer- pressure sensor so that magnetic elastomer would press different sensors under different magnetic field direction. Our device showed an exceptionally high magnetic sensitivity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