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니커헤드 하위문화에 대한 네트노그라피 분석 -하위문화자본 개념을 중심으로-

        김솔휘,임은혁 한국의류학회 2023 한국의류학회지 Vol.47 No.5

        This study explores the sneakerhead subculture through the lens of subcultural capital, primarily focusing on online community interactions. The analysis utilizes text mining techniques and netnographic research methods to examine textual data extracted from the online sneakerhead community and aims to elucidate manifestations of subcultural capital within the subculture. The findings underscore several key points: Firstly, shared experiences cultivated by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subcultural capital foster solidarity among members. Secondly, ongoing validation of authenticity and comprehension of sneakers' cultural significance are member requirements. Subsequently, exhibiting greater levels of subcultural capital empowers members, resulting in hierarchical structures both within and beyond the community. Fourthly, resale-driven sneaker commercialization yields positive outcomes, including individual profit and cultural expansion, yet also brings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market distortion and intra-community conflict. Lastly, the online community fills a pivotal role in dictating subcultural trends, effectively functioning as an institutional network. Given sneakers' enduring status as a fashion phenomenon, further examination of in this realm is warranted.

      • KCI등재

        포스트 하위문화 관점에서 살펴본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커뮤니케이션 경향 - 스트리트웨어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을 중심으로 -

        김솔휘,임은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2 No.2

        최근 럭셔리 패션 브랜드는 스트리트웨어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MZ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킬 새로운 전략을 시도하며 스트리트웨어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은 개인의 취향과 소비 선택에 따라 새롭게 형성되는 청년 문화인 포스트 하위문화 관점을 적용해 럭셔리 패션 브랜드와 스트리트웨어 브랜드 간의 컬래버레이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이에 나타나는 커뮤니케이션 경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사례 분 석에서는 루이 비통과 슈프림의 컬래버레이션이 이루어진 2017년 이후 럭셔리 패션 브랜드와 스트리트웨 어 브랜드 간의 컬래버레이션 사례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 미디어에서 컬래버 레이션에 대한 소식과 소문이 게시되는 경우 청년들은 유동적이고 일시적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해 모이며 하이프를 만든다. 둘째, 럭셔리 패션 브랜드는 스트리트웨어의 드롭 방식을 적용한 한정적 공급으로 소비 행위를 조장하고, 청년들은 이를 구매하는 소비 중심적 행위를 통해 자신의 취향과 정체성을 표현한다. 셋 째, 청년들은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의 하위문화자본을 과시해 자기표현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외부와의 구분을 지으며 대중에게 하위문화자본이 전유되는 것을 경계하는 미디어에 대한 양면적인 태도를 보인다. 넷째, 포스트 하위문화의 청년들은 정치적 항의 조직을 형성해 브랜드에 다양성과 형평성, 포용성을 요구 하면서 더욱 적극적인 방식으로 사회를 바꾸려는 의지를 표출한다. 그러므로 럭셔리 패션 브랜드는 전통적 인 패션 시스템을 뒤집는 스트리트웨어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자발적으로 커뮤니티를 형성 하거나 밈을 만들어 콘텐츠를 공유하는 참여적인 소비자 모델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포스트 하위문화의 소비자는 무엇이 쿨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권한을 가지고 테이스트메이킹을 주도하게 된다. 본 연구는 새롭 게 나타나는 청년 문화인 포스트 하위문화적 관점에서 럭셔리 패션 브랜드와 스트리트웨어 브랜드의 컬래 버레이션을 고찰함으로써 패션 브랜드가 MZ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킬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Luxury fashion brands are embracing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streetwear brands while trying new strategies to meet the need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through collaboration with streetwear brand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trends by analyzing collaboration cases between luxury fashion brands and streetwear brands from the post-subculture perspective. The post-subculture theory investigates a youth culture newly formed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s and consumption choices. As a research methods,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case analysis were combined. In the case analysis, collaboration cases between luxury fashion brands and streetwear brands after 2017 were collected, when Louis Vuitton and Supreme collabor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 people form a fluid and temporary network to gather and create a hype when news and rumors about a collaboration are posted on social media. Second, luxury fashion brands promote consumption behavior with limited supply by applying the drop release of streetwear, and young people express their tastes and identities through consumption-oriented behaviors. Third, young people exhibit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the media. They display subcultural capital on social media, while distinguishing them from the outside world and being aware of the appropriation of subcultural capital to the public. Fourth, the consumers put emphasis on brand activism and express their will to change society in a more active way while demanding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Therefore, luxury fashion brands create a participatory consumer model in which a community is voluntarily formed or a meme is created by applying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streetwear that overturn the traditional fashion system. As a result, consumers of the post-subculture take the lead in tastemaking with the authority to decide what is c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help fashion brands establish effective strategies to meet the need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성인용 매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옥수,김솔휘,이지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act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adolescents’ concerning preoccupation on X-rated media and to study the effect of adolescents’ aggression in the mechanism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possible interventions. Out of 2,108 adolescents in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7th grade data, 427 (high school sophomores in Wave 4) reported X-rated media preoccupation. Using Stata 1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Goodman test were conducted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gender, level of household income, and peer relationship.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ediating variable were from Wave 2 and the other variables were from Wave 4. As hypothesized, perceived parental abu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adolescents’ X-rated media preoccupation and aggression. Also, adolescents’ agg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buse and adolescents’ X-rated media preoccupation. However, parental neglect did not exhibi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X-rated media preoccupation. Countermeasures to combat the adolescents' troublesome X-rated media preoccupation were addre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성인용 매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사회복지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학교 1학년 패널 2차년도와 4차년도에 참여한 2,108명 중 4차년도 성인용 매체에 몰입도 문항에 응답을 한 청소년 427명(4차년도인 2013년 기준 고등학교 1학년)을 최종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Stata 13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Sobel-Goodman test를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성인용 매체 몰입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성별, 가구 소득, 또래관계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가 높을수록, 성인용 매체 몰입도와 공격성이 증가하였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학대는 공격성을 부분 매개하여 성인용 매체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은 성인물 매체 몰입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갖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성인용 매체 몰입도를 경감시키고 병태적 양상을 예방하는데 있어 가정 내 학대와 방임 그리고 공격성에 개입하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가습기 살균제 노출 및 건강피해 규모 평가 연구

        이경무,이경무,백도명,정해관,김솔휘,서정욱,홍영습,김형수,이종화,임종한,김판기 한국환경보건학회 2019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5 No.3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number of those who used humidifier disinfectants (HDs) and experienced health effects from exposure to HDs in Korea between 1994 and 2011. Methods: A nationwid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representative sample to identify the proportion of those who used HDs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n=3,001). Another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hose exposed to HDs to fi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among those who were exposed to HDs (n=3,993). Statistics for population size by region and year (1994-2011) were used to estimate the cumulative number of those exposed to HDs and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those exposed to HDs, those less than 30 years of age were excluded due to an issue related to information bias. Various approaches for estimation included the capture-recapture method for estima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Results: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those exposed to HDs was 6.7%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among those who were exposed to HDs was 13.9%. Based on these factors, it was estimated that 3.5 to 4.0 million people were exposed to HDs and 350 to 400 thousand experienced health effects at least requiring visiting a hospital.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 nationwide representative sample may be essential for population size estimation of those exposed to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of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 KCI등재

        개방형 설문으로 조사된 직업정보를 이용한 직업분류 코딩 결과의 일치도 평가

        박문영,윤형기,윤형석,오세은,김솔휘,홍기명,박석환,이은선,이경무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4

        Background: Information on occupation is known as one of the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for socioeconomic and epidemiological research. It can be used to assume socioeconomic status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to forecast the likelihood of a work-related accident or disease, and to assess the existence and degree of exposure to various risk factors in workplace. Objective: Individual information on occupation is often collected by open-ended questions and then coded into job categories by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standard job classification system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reliability among the job codes that three raters independently classified using the information on occupation collected by open-ended questionnaire. Methods: Information on occupation was collected from two surveys with different populations (145 health examinees and 154 college students of open university) with open-ended questionnaire. Two surveys were basically self-administered, but the health examinee survey questionnaire was checked by a trained interviewer. Two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ystems, i.e.,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al (KSCO, 14 categories) and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KSIC, 21 categories) were used for job-coding by three junior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The degree of agreement/concordance was assessed by Cohen’s Kappa or Fleiss Kappa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Results: Concordance of job codes among three raters for KSCO was moderate for health examinees (k=0.56, 95% CI=0.52-0.58) and fair for open university students (k=0.34, 95% CI=0.31-0.38). That of KSIC was moderate for both health examinees (k=0.60, 95% CI=0.57-0.63) and open university students (k=0.46, 95% CI=0.43-0.49). There was observed a lot of variation in category-specific kappa values for both KSCO and KSIC classification. Conclusion: Increased concordance of job coding is expected when interview survey is used to collect open-ended questions for the information on occupation and then definite protocol for classification is adopted or to conduct prior education before cod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연구자 간 직업분류 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직업분류 과정의 신뢰도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설문 응답자에게 자신이 경험한 직업 중 가장 오래 종사한 직업을 개방형으로 답하도록 하였고, 세 명의 보건학 전공자에게 독립적으로 설문 답변을 직업분류표의 직업 코드로 변환하도록 하였다. 이후 이들의 분류 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카파통계량을 구하였다. 주요결과: 면접 설문 요원의 개입이 있었던 병원 내원자들을 설문 대상으로 한 경우(n=145), ‘중간 정도’의 일치도를 보였다(한국표준직업분류 14범주: k=0.56, 95% CI=0.52-0.58, 한국표준산업분류 21범주: k=0.60, 95% CI=0.57-0.63). 면접 설문 요원의 개입이 없었던 원격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n=154), ‘중간 미만’ 이나 ‘중간 정도’의 일치도를 보였다(각각, k=0.34, 95% CI=0.31-0.38, k=0.46, 95% CI=0.43-0.49). 결론: 일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 종류에 대한 상세한 이해, 코딩을 위한 세부적인 지침 마련, 사전 교육 등이 필요하며, 직업분류 일치도를 해석할 때는 설문 방법 확인, 설문 집단의 연령 분포, 직업 분포, 전문직의 비율 등 다양한 원인을 고려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 2016년 보건복지통계정보 통합 관리 및 운영

        오미애,최현수,박민규,권성훈,진재현,천미경,김솔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배경 및 목적 보건복지통계는 보건복지 정책의 중요한 기반이 되는 기초자료로, 국내외적으로 시의성 있고 적절한 보건복지통계정보와 관련 자료를 수요자의 요구에 맞게 제공할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보건복지통계정보와 자료 제공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에 정책수립 시 기초자료가 되는 근거중심 통계의 통합 관리 및 서비스 제공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그리고 요즘 관심사가 되고 있는 부분이 빅데이터 활용과 마이크로데이터 간의 연계 필요성이다. 보건복지 분야의 조사는 횡단 조사와 종단 조사가 있으나, 패널자료를 제외하고 이질적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가 실시되어 조사 간 연계가 어려운 실정이다. 상이한 조사자료 연계는 특정 조사의 한계를 넘어 보건복지 서비스 수요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기존 통계의 활용을 통한 미래 예측과 새로운 통계생산의 기반 확보를 가능하게 하기에 데이터 연계 방안도 필요한 연구 분야이다. 보건복지데이터포털에서는 정부 3.0 시대의 국정과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보건복지통계정보 제공 및 역할 모색을 위하여, 2014년부터 보건복지통계정보시스템을 보건복지데이터포털로 개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기존의 보건복지통계정보시스템은 통계표를 중심으로 하여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나, 통계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통계포털(KOSIS)의 방대한 국가통계 정보와 차별성을 두고자, 보건복지데이터포털에서는 연구원 고유의 다양한 조사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생산된 마이크로데이터에 역량을 집중하였다. 우선, 수요자 중심의 통계정보 및 마이크로데이터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사이트를 구축하기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다양한 조사자료에 기반을 둔 마이크로데이터 및 관련 연구 리스트 작성 및 분류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해외 연구기관 및 국제기구 등과 연계하여 마이크로데이터(패널 등 조사자료)와 매크로데이터(국가별 통계지표 등)에 대한 링크 및 활용방법에 대한 메타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제공하여 향후 보건복지통계를 종합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포털사이트를 구현하였다. 2015년에는 2014년의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을 개선하는 작업으로, 메인페이지의 구조를 바꾸어 전체메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Micro & Macro 부분을 Data Bank로 바꾸어 데이터 저장 및 관리·제공에 대한 역할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데이터 시각화인 인포그래픽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통계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또한, 공간정보통계에서 시도통계 또는 시군구통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가 지도차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2016년에는 보건복지통계에 특화된 GIS와 데이터시각화를 활용한 서비스를 확대하여 보건복지통계의 사용자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그리고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의 이용자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찾았던 유저들의 패턴을 분석하여 비슷한 자료를 추천해 주는 추천 시스템(Recommendation system)을 도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데이터 연계 방안에 대한 연구로, 데이터연계 방법론과 데이터연계 평가 및 쟁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은 이러한 고도화작업을 통하여 보건복지 분야 통계자료의 활용도를 향상하고 국민에게 질 높은 통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2. 주요 연구결과 제2장에서는 1~4차(2010~2013) 기존 포털 시스템, 통계 DB 구축 및 운영 경과를 살펴보고, 2014년, 2015년의 보건복지데이터포털 개편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보건복지데이터포털로의 개편(2014)에서는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고, 2015년에는 2014년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하여 주요 콘텐츠를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인포그래픽스와 공간정보통계의 신규 콘텐츠를 개발하여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제3장에서는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의 올해 신규 내용과 개편된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의 주요 내용을 다루었다. 주요 개편 내용은 각 콘텐츠를 고도화한 부분과 신규 콘텐츠인 추천 시스템(Recommendation system), Deposit data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4장은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의 고도화 작업으로 추천 시스템의 이론과 장기적으로 확장·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추천 시스템은 앞으로도 단계적으로 고도화하여 이용자들에게 향상된 시스템으로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마이크로데이터 통합 연계방안에 대한 전체적인 논평과 관련 논점 및 쟁점을 다루었다. 데이터 연계 방법론, 마이크로데이터 연계 결과에 대한 평가와 통합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을 위한 가중치, 마이크로데이터 연계의 한계점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3. 결론 및 시사점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은 연속사업으로, 중·장기적인 계획이 중요한 과제이다.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 사회과학자료원의 사이트와 차별화될 수 있도록, 연구적인 성격을 강화하고 연구자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의 향후 방향성을 데이터 통합 연계 및 컨설팅으로 제시하고, 서비스 환경을 고도화하며,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관리·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영진은 주기적으로 생산되는 자료의 업데이트와 신규 자료의 등록을 꾸준히 하여 이용자들에게 질 높은 통계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보건복지데이터포털 콘텐츠와 User Interface는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사항이므로 이 부분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보건복지데이터포털에서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부분과 맞춤형 서비스 지원을 위한 추천시스템의 고도화, 그리고 데이터연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연결하여 고도화된 시스템을 완성할 수 있다면, 보건복지데이터포털은 보건복지 분야에서 독보적??존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policies aimed at improving people`s quality of life. As public interest in health and welfare increases, the provision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to user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launched the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in 2010 and since then developed information system infrastructures and applications as part of its effort to provide statistical services tailored to users` needs. Since 2014, the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has been restructured into what is now known as the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Portal, which, to set itself apart from Statistics Korea`s KOSIS, focuses its capacities on micro-data produced through KIHASA`s various surveys. The Portal also features links to releva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research bodies. The Portal was updated to a great extent in 2015, with its main page redesigned in a way to better meet users` needs. Also, the previous “Micro & Macro Data” was refurbished into “Data Bank” to better archive, manage and provide data. The Portal makes full use of infographics to help improve data visualization. Spatial informa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create a map chart directly. This year, we established a recommendation system and a deposit data section in the Data Bank. The recommendation system is useful to predict user preferences. We encourage researchers to consider sharing their own data through the deposit data section. As part of this project, we also looked into ways to data link methods and data link assessment.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일반 가구의 가습기살균제 노출 특성 및 건강이상 경험과의 연관성

        이은선(Eunsun Lee),정해관(Hae-Kwan Cheong),백도명(Domyung Paek),김솔휘(Solhwee Kim),임종한(Jonghan Leem),김판기(Pangyi Kim),이경무(Kyoung-Mu Lee) 한국환경보건학회 2020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6 No.3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s (HDs) and their association with the presence of a person who experienced the adverse health effects in general households in Korea. Methods: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2016, a nationwi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over 20 years of age who had experience of using HDs. It provided information on exposure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health effects. The final survey respondents consisted of 1,555 people who provided information on themselves and their household members during the use of HD. Exposure characteristics at the household level included average days of HD use per week, average hours of HD use per day, the duration within which one bottle of HD was emptied, average input frequency of HD, amount of HD (cc) per one time used, and active ingredients of HD products (PHMG, CMIT/MIT, PGH, or others). The risk of the presence of a person who experienced adverse health effects in the household was evaluated by estimating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adjusted for monthly income and region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Subgroup analyses were conducted for households with a child (≤7 years) and households with a newborn infant during HD use. Results: The level of exposure to HD tended to be higher for households with a child or newborn infant for several variables including average days of HD use per week (P<0.0001) and average hours of HD use per day (P<0.0001).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in which there was at least one person who experienced adverse health effects such as rhinitis, asthma, pneumonia, atopy/skin disease, etc. was 20.6% for all households, 25.3% for households with children, and 29.9% for households with newborn infants. The presence of a person who experienced adverse health effects in the househol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verage hours of HD use per day (Ptrend<0.001), duration within which one bottle of HD was emptied (Ptrend<0.001), average input frequency of HD (Ptrend<0.001), amount of HD per one use (Ptrend=0.01), and use of HDs containing PHMG (OR=2.23, 95% CI=1.45-3.43).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subgroup analyse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level of exposure to HD tended to be higher for households with a child or newborn infant and that exposure to HD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a person who experienced adverse health effects in the househ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