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청소년학회지」의 연구동향: 내용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정미나,임영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focusing on content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hen grope after its developmental strategy in the future. For this, 327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urnal from its first issue in 2004 to the issues in 2016, were analyz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journal has satisfied the conditions of a professional journal and developed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Second, more than half research papers were studied by collaborators and the majority of researchers belonged to universities. Third, most of research papers were carried out empirically and survey studies were many in particular. Fourth, most of study subjects were youths, and most frequently presented keyword was ‘youth activity’. Fifth, the result of weighted network analysis, presented that ‘peer attachment’ was number one in ‘nearest neighbor centrality’, whereas ‘protective factor’ and ‘self-esteem’ were number one in ‘mean associations’ and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respectively. And sixth, the result of keyword network structure analysis presented that there was an intellectual structure and it was classified into five clusters.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내용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병용하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에서 발간된「미래청소년학회지」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4년 창간호부터 2016년까지 게재된 32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학술지는 전문학술지로서의 자격을 갖추면서 질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양적으로도 연도별 게재논문의 편수가 꾸준히 증가․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논문의 절반 이상이 공동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고, 대학교 소속 연구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논문이 경험연구이며, 특히 조사연구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학술지 특성상 가장 많이 집중된 연구대상은 청소년이고, 가장 많이 제시된 키워드는 ‘청소년활동’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동시출현 키워드에 근거한 가중 네트워크 분석결과, 지역 중심성인 최근접이웃중심성에서는 ‘또래애착’이 1위로, 전역 중심성인 평균연관성과 삼각매개중심성에서는 ‘보호요인’과 ‘자아존중감’이 각각 1위로 나타났다. 여섯째, 키워드 네트워크 구조의 분석결과,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된 지적 구조가 도출되었다. 5개의 군집은 문제 및 비행, 정신건강, 또래애착, 학교적응과 진로, 청소년활동 및 정책 관련 키워드로 구성되었다. 결론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학술지와 청소년학문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싸이코패스 특성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

        강태신,임영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sychopathic trait and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1 adolesc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confirmed between youth psychopathic trait and career maturity. On the other hand, for the delinquency adolescent, the mediation effe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was not confirmed between youth psychopathic trait and career maturity. Also, Future time perspectiv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as described above, for the delinquency adolescent, These facts suggested that we should create the multi intervention to develop career maturity. 본 연구는 청소년 싸이코패스 특성과 진로성숙 관계에 있어서 미래시간 전망이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 대상자는 총 301명이고 그 중에서 일반 청소년은 157명이고 비행 청소년은 144명 이었다. 청소년 싸이코패스 특성과 진로성숙 관계에서 미래시간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변인 투입 후 기존 변인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량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Aroian test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변인들 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에게는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지만 비행 청소년에게서는 미약한 매개효과가 있었을 뿐 유의미한 수준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일반 청소년에서는 청소년 싸이코패스 특성과 진로성숙 및 미래시간전망에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지만 비행 청소년에서는 청소년 싸이코패스 특성과 진로성숙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집단 간 차이에서는 청소년 싸이코패스 특성이 일반 청소년보다 비행 청소년에서 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진로성숙에서는 일반 청소년이 비행 청소년에 비해 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미래시간전망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 청소년들에게는 싸이코패스 특성이 높더라도 진로성숙을 위해서 미래시간전망을 신장시킬 수 있는 진로 교육과 같은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되고 있다. 하지만 비행 청소년들에게는 싸이코패스적인 특성이 높을 경우에는 진로성숙을 위해서 다양한 차원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비교를 통한 청소년기 비행 관련 생태학적 맥락 분석

        이미리,이명숙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4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xtu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hich can discriminate delinquent adolescents from adolescent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64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on probation and 88 highschool students. The 88 highschool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from the middle school 2nd grade 5th wave of Korean Youth Panel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al analysis. Fiv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discriminated the delinquent adolescents from adolescent students, were found. Educational expectancy, the frequency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leisure life satisfaction, the amount of leisure time, and the number of smoking friends had 83% in its accuracy to discriminate the differences of both groups effectively.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을 비교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청소년 비행 관련 맥락적, 심리적 변인의 효과를 검증하고 상대적 효과의 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중인 청소년 64명(남 39명, 여 25명)과 동일 지역 소재 고등학교 재학 중인 청소년 88명(남 53명, 여 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88명의 일반 청소년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패널 5차년도 자료에서 무선표집되었다. 선행연구 결과를 기초로 선정된 가족, 학교, 친구, 여가 맥락 변인들과 심리적 특성 변인들 중에서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과 일반 청소년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변인을 예측변인으로 하여 단계적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적 기대, 부모자녀 간 대화정도, 여가만족도, 여가시간, 흡연친구수의 순으로 집단변별에 유의하게 기여했다. 교육적 기대, 부모자녀 간 대화정도, 여가만족도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여가시간과 흡연친구수가 많을수록 보호관찰 청소년 집단으로 변별될 가능성이 높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비행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요구와 필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효과성 있는 지도방안의 하나로 청소년멘토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교우관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박동진,이지연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used data from the 6th year (2016) youth survey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MAP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We us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Sobel test was used to test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acculturation stres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Second, the higher the acculturation stress, the lower the self­-esteem. Third, acculturation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eer relationship,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multilateral support to promote peer relationship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we also suggested efforts to reduce the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providing programs to improve acculturation and self-esteem, and providing comprehensive support.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교우관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6차년도(2016) 청소년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비롯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교우관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교우관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교우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고, 이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한 노력, 문화적응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돕는 프로그램 제공, 종합적인 지원 제공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노동경험이 있는 학업중단청소년의 학업복귀 경험 -근거이론에 의한 접근-

        이선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school dropouts’ labor experiences after stopping study and their experiences of returning to academic course. Participants were 11 adolescents who experienced dropouts more than 1 year and then constantly study more than 3 months. They were interviewed deeply and analyzed using the study methods of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zed data, the central phenomenon from labor experiences to returning to school for dropouts was changing for learning from the adolescent work. The casual condition was ‘being away from school fence’, ‘nomad life losing home’, ‘wandering continuedly as nomad out of school’. Contextual condition about the central phenomenon was ‘changing for adolescent worker from nomad’, ‘struggling for being stable in the adolescent workplace’, ‘being stable in the adolescent workplace as a settler’.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warm hands for the help’ for returning to their studies and the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to control the phenomenon were ‘the hope gesture for returning to learning’, ‘obstacle blocking for returning to learning’. The results of central phenomenon appeared to be ‘sweet after bitter in life from returning to learning’. The core category was ‘a speed regulate of changing for learing from the adolescent work’. The types of labor experience toward returning to study were ‘the type of professional labor experience’, ‘the type of living labor experience’, ‘impulsive labor experience’. Based on this analyzed result, this thesis suggested the ways to provide services to help school dropouts who try to return to academic course from their labor experiences. 본 연구는 학업중단청소년들이 학업을 중단한 후 경험하는 노동경험에서 학업복귀 과정에 대한 청소년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학업 현장으로부터 1년 이상 벗어난 후 3개월 이상 학업을 지속하고 있는 청소년 11명을 심층면접한 후,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청소년노동에서 학업복귀로 방향키 돌리기’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학교담장밖 세상에 내몰리기’, ‘정착할 곳을 잃은 떠돌이의 삶’, ‘학교밖 떠돌이로 끊임없는 방황’이었고, 중심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은 ‘떠돌이에서 청소년노동자로 방향전환’, ‘청소년노동현장에 정착하려는 몸부림치기’, ‘청소년노동현장에 정착민의 터전일구기’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도움의 따뜻한 손길’이었고,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학업복귀를 향한 희망의 몸짓’, ‘학업복귀를 가로막는 장애물’이었다. 중심현상의 결과는 ‘학업복귀 경험이 심어준 인생의 고진감래’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으로 핵심범주는 ‘청소년노동에서 학업복귀로 방향키의 속도조절’이였으며, 학업복귀로 향한 노동경험형은 ‘전문직 노동경험형’, ‘생계형 노동경험형’, ‘충동적 노동경험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업중단청소년의 노동경험에서 학업복귀 과정에 필요한 개입 서비스를 위한 방안과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참여활동의 성과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 : 청소년참여기구 청소년들과의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조혜영,최창욱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1

        This study discussed what the youths who are doing participation activities think that the positive effects and the obstacles and limits of their participation are, and in what ways they can further facilitate youth participation. Especially for this, we attempted to reveal the voices of youths who were active in participation organizations mainly focused on policy decision making. Previous studies on situation and effects of youth participation were mostly based on quantitative data using standardized indicators. Thus, we have difficulties of figuring out the details and vividness of youth participation effects and limits, told directly by youths themsel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present unique voices behind the quantified indicators. For th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youths who are participating in youth administration committees,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s, and presidential youth congress. The positive effects of youth participation were told network building and sharing interests, increasing achievement, improvement of expression and persuasion skill. The obstacles of youth participation were school atmosphere, entrance exam, lack of creative thinking from cramming instruction, limited autonomy, budget, conflicts between youth participants and hierarchy among the organizations. The ways of facilitating youth participation were suggested youth participants' active coping, increasing publicity, liaison with education policy and change of adult recognition. 이 논문은 참여 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참여활동에 대해 어떠한 성과를 인식하고 있으며, 참여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요인 및 한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나아가 청소년 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참여 활동 중 정책 참여에 초점을 맞추어 참여기구 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견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기존의 청소년 참여활동 실태와 성과에 대한 논문들이 계량화된 지표를 통한 양적연구들이어서 청소년들이 스스로 느끼는 성과와 한계에 대한 구체성과 생생함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화된 지표 이면에 내재된 개별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운영위원회,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특별회의에 참여하고 있는 15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청소년 참여활동의 성과로는 네트워크형성 및 관심분야공유, 성취감, 표현능력 및 설득력 등이 향상되었다고 지적되었다. 청소년 참여의 장애요인은 학교, 입시, 학업, 주입식교육으로 인한 창의성 부재, 제한적 자율성, 예산 문제 및 참여자들간의 갈등 및 조직간 위계를 들고 있었다. 청소년 참여 활성화 방안으로는 참여기구 청소년들의 능동적 대처, 홍보 활성화, 교육정책과의 연계, 성인들의 인식 개선이 제안되었다.

      • 청소년 비행 관련 요인들의 집단간 비교

        한상철,이수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ison the difference between a delinquent group and a normal group of the related factors with juvenile delinquency. The related factors were select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are a self-control i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e parent's monitering, a family discord, a friend orientation and a disclosure with friends of delinquency in the social context. The subjects are 150 adolescents that consisted of 100 students at a high schools and 50 adolescents under the protection of a protection facilities. But only 93 students and 34 delinquent adolescents were the final subjects for the data analysis. The 6 scales all were used after a reliabilit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a self-control score. That is, a juvenile group than a normal group is lower in a self-control, then this factor is influence to the juvenile delinquency.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a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ore and a parent's monitoring score. Therefore, a juvenile group than a normal group is lower in a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a parent's monitoring, then these factors are influence to the juvenile delinquency. Third,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a family discord, a friend orientation, and disclosure with friends with delinquency. These results all were discuss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본 연구는 청소년 비행을 예측하는 요인들이 실제 비행 집단과 일반 청소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비행 관련 요인들의 타당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비행의 동시 발생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개인적 특성과 더불어 사회 맥락적 요인들이 동시에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 가운데 자기 통제력과 사회 맥락적 요인 가운데 부모-자녀 의사소통, 부모의 감독, 가정불화, 친구 지향성, 비행친구 접촉 정도 등의 득점을 산출하여 비행집단과 일반 청소년 집단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소에 있는 비행 청소년 50명과 일반 고등학교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6개 영향 요인들을 측정하고, 집단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 통제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부모의 감독 요인은 비행과 일반 집단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비행 청소년들의 자기 통제력이 의미있게 낮고, 부모와의 의사소통 정도와 부모의 감독 즉, 관심과 애정이 현저히 비교집단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한편, 가정 불화, 친구 지향성, 비행친구 노출 정도 등은 양 집단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논의되었으며, 추후 연구과제를 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화와 관련변인과의 차이 분석

        하중래,조아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을 분석하고, 구분된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에 따라 성별, 근무시설, 종사경력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소진, 이직의도, 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의 청소년관련기관(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단체, 청소년문화의집)에 종사하는 428명의 청소년지도사였다.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의 경우, 전체 428명 중 여자가 225명(52.6%), 남자가 203명(47.4%)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28명(53.3%), 20대가 120명(28.0%), 40대 이상이 80명(18.7%)의 순이었다. 근무시설별로는 청소년수련관이 193명(45.1%), 청소년수련원과 청소년단체가 각각 92명(21.5%), 청소년단체가 78명(18.2%), 청소년문화의집이 51명(11.9%)의 순이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은 3개 유형(직무만족형, 동기만족형, 수단만족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결혼여부, 근무시설, 최종학력, 직위, 종사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에 따라 청소년지도사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소진,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관련 잠재계층유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관련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latent classes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work institution, exhaustion, intention to turnover,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are 428 youth workers who work youth institutions at the nation wide. Among them, female youth workers are 225(52.6%), male youth workers are 203(47.4%). Youth workers between 30-39(age) are 228(53.3%), youth workers between 20-29(age) are 120(28.0%), youth workers over 40 years old are 80(18.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ree latent classes of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job satisfaction type, motivation satisfaction type, means satisfaction type). Seco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rital status, work institution, education, position, employment period. Third, there are differences among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latent classes, exhaustion, intention to turnover, self-esteem,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related policy must be sugges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latent classes.

      • KCI등재

        IPA를 활용한 소외청소년 문화예술교육사업 만족도 연구-상상학교 참여자 및 지도자를 중심으로-

        정경은,김신영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4

        This study purports to evaluate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so-called imagination school, which is a part of a education program for art and culture for the alienated youths in Korea. To be more precise, this study utilizes two-dimensional approach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evaluation items of bot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By doing this, we try to isolate potential factors for selective focuses for a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magination school program. The respondents consist of two sub-parts, 398 youths who participated imagination schools program in 2013 and 45 persons who both supervised the program and managed the facilities for the program. Considering both aspect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 IPA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d foremost, the average level of overall satisfaction for participating youths IS 86.80, and that of supervisors(managers at the same time) is 79.10. Secondly, the first quadrant signify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IP matrix involves such items as kindness of facilities managers in management system, appropriateness of activity locations in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in instructors. In supervisors's part, appropriateness of supporting systems, the more positive composition of participating contents in contents, the expertise with other youth activities, and expertise of instructors, and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instructors towards participating youths are induced. Thirdly, the second quadrant of IP matrix signifying the parts of improvement shows such items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of program locations in environment, appropriateness of contents for participation in contents, and a more smooth procedures from the instructors in instructors as needing improvements. Lastly, IPA analysis shows such items as appropriateness of programs for selection and areas of need in management system and a more professional manner of program procedure in instructors as needing improvement efforts with priority. 본 연구는 소외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상상학교’ 사업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만족도를 평가함에 있어 각 평가 항목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함께 고려한 2차원적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상상학교 정책사업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하는 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2013년 상상학교 참여청소년 398명과 상상학교 운영시설 지도자 45명이었다. 중요도 가중치를 고려한 종합만족도 산출과 IPA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상학교 참여 청소년의 종합만족도는 86.60이었고, 지도자들의 종합만족도는 79.10점이었다. 둘째, IP Matrix의 유지관리에 위치(1사분면)하여 지속적인 유지를 해야 하는 항목으로 청소년들은 운영체계 차원의 ‘시설선생님들의 친절성’, 환경차원의 ‘활동 장소의 적절성’, 강사차원의 ‘강사의 참가자 이해와 배려’ 항목으로 나타났다. 지도자들은 운영체계 차원의 지원(예산, 행정 등)의 적절성, 내용 차원의 ‘적극적인 참여 내용의 구성’, ‘다른 청소년활동과의 전문성’, 강사차원의 ‘강사들의 전문성’, ‘강사들의 학생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도출되었다. 셋째, IPA매트릭스 분석의 2사분면의 중점개선에 해당하여 중점적으로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으로 청소년들은 환경차원의 ‘장소까지의 교통의 편리성’, 내용차원의 ‘참여내용 구성의 적절성’, 강사차원의 ‘강사들의 원활한 진행’ 등을 중점적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 지목하였다. IPA 분석을 통해 드러난 지도자들이 지목하고 있는 주요 개선 희망사항들은 운영체계의 ‘희망분야 및 선정 프로그램의 적합성’, 강사차원의 ‘강사들의 원활한 프로그램 진행’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상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uffer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on a risk behavior and an resilience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y. As such have supported by prior researchers, protective factors have the effect that buffering the negative influences of risk factors on risk behavior and resilience, and consists of a self efficacy, an parent's monitoring and controlling attitude, a social support, and a positive coping strategies. The subjects are 166 adolescents that including 79 males and 87 female, and 121 elementary and 45 middle students. The scales consisted with a sensation seeking scale, risk behavior scale, resilience scale, and 5 scales for test protective factors.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stepwise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are that a positive coping strategies and a mothe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ttitude identified to protective factors on risk behavior and resilience. These factors have a functioning that buffer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sensation seeking, and remove the risk behavior and facilitate resilience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y.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protective factors and compensatory factors.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경우 다양한 위험요인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위험행동과 문제행동의 개입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들의 위험행동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위험요인을 제거하거나 억제시키는 전략만으로는 더 이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오늘날 긍정심리학자들은 위험요인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충해 줄 뿐만 아니라 적응유연성(resilience)을 향상시켜 주는 보호요인을 탐색하여 이를 처치해 주는 전략을 선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가정에 따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요인들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청소년 166명(남 79명, 여, 87명; 초등 121명, 중 45명)을 대상으로 감각추구성향 검사(위험요인), 위험행동과 적응유연성 검사(종속변인), 그리고 보호요인으로 투입된 자기효능감과 부모의 감시 및 통제, 사회적 지지 지각, 적극적 대처전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의 감시 및 통제 양육행동과 적극적 대처 2개의 요인이 위험요인의 영향을 완충해 주는 보호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그리고 이들 2개의 보호요인이 다른 요인들보다 적응유연성을 의미있게 설명해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모의 양육행동(감시 및 통제)과 적극적 대처전략이 그들의 위험행동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적응유연성을 향상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극단적인 위험요인의 제거와 더불어 보호요인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 향상방안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